KR101369260B1 -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260B1
KR101369260B1 KR1020120064492A KR20120064492A KR101369260B1 KR 101369260 B1 KR101369260 B1 KR 101369260B1 KR 1020120064492 A KR1020120064492 A KR 1020120064492A KR 20120064492 A KR20120064492 A KR 20120064492A KR 101369260 B1 KR101369260 B1 KR 10136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ce signal
counterpart
voi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228A (ko
Inventor
권재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6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260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호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는 음성통화를 연결할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정합부,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외부의 교환기로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호가 연결되는 것에 응답하여, E1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 출력할 음성신호를 다중화며,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역 다중화하도록 형성되는 선로 정합부 및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성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TRACTICS TELEPHONE APPRARATUS AND METHOD FOR THE TRACTICS TELEPHONE APPARATUS}
본 발명은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호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공작전 통제체계는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 운용자들과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부체계 운용자와 통화하기 위한 전화기와 하부체계의 운용자와 통화하기 위한 전화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해야했다. 따라서,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 운용자들과 동시에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없어,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가 동시에 방공작전을 수행해야하는 경우, 서로 간에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방공작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무기체계나 운용자가 늘어날수록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에 대한 전화기가 추가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전술 전화장치를 이용하여,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 운용자들과 동시에 통화하는 것이 가능한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는 음성통화를 연결할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정합부,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외부의 교환기로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호가 연결되는 것에 응답하여, E1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 출력할 음성신호를 다중화며,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역 다중화하도록 형성되는 선로 정합부 및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성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기 E1다중화 링크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채널에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를 각각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복수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매칭된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출력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채널에 대응되도록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상기 E1 다중화 링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기 사용자 정합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호가 연결된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E1링크로부터 전달받아 역 다중화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음성 입?출력부에 포함된 스피커로 출력하는 콜 믹서 및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량을 조절하는 오디오앰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출력부는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콜 믹서는 상기 사용자 정합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가 좌측 스피커와 연결된 통화로의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좌측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가 우측 스피커와 연결된 통화로의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상대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다이얼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현재 호가 연결된 통화로에 대응하는 상대방 기기의 식별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전화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다이얼 화면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연결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외부의 교환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와 호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 전송할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후, 다중화하여 상기 E1 다중화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E1 다중화 링크로부터 전달받아 역 다중화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E1 다중화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호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 중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한 상대방 기기에 대해서만 상기 다중화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와 개별 또는 동시에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한 대의 전화기만을 사용하여,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와 개별 또는 동시에 통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의 선로 정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1 다중화 링크의 타임슬롯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의 선로 정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는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 호 연결을 요청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부터 요청된 호를 동시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 동시에 통화로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전술 전화장치(100)는 중앙 제어부(110), 사용자 정합부(120), 선로 정합부(130), 음성 입·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전술 전화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술 전화장치(100)는 E1 다중화 링크(200)를 통해 외부의 교환기(또는 사설 교환기, 200)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10)는 전술 전화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사용자 정합부(120) 및 선로 정합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정합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통화를 연결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또는 식별정보)를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합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받거나, 키패드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 호를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식별정보로서, 예를 들어, 전화번호 정보 또는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단축키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합부(120)는 E1 다중화 링크(200)에 포함된 서로 다른 타임슬롯에 각각 연결된 서로 다른 통화로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음성 입·출력부(140)에 전달한다.
나아가 사용자 정합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음성 입·출력부(140)에 포함된 좌측 스피커(141) 및 우측 스피커(142)에 함께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좌측 스피커(141) 및 우측 스피커(142) 중 어느 하나로만 출력될 수 있도록 음성 입·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합부(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각각 연결된 통화로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좌측 스피커(141) 및 우측 스피커(1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음성 입·출력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정합부(120)는 음성 입·출력부(140)에 포함된 마이크(143)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응되는 모든 통화로에 전달하거나,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합부(120)는 성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로에 대응되고, E1 다중화 링크(200)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또는 타임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선택적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전달하는 것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선로 정합부(130)를 살펴보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외부의 교환기(300)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선로 정합부(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와 호가 연결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 출력할 음성신호를 다중화한 후, E1 다중화 링크(20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선로 정합부(130)는 사용자 정합부(120)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선로 정합부(130)는 상기 E1 다중화 링크(2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채널(또는 타임 슬롯) 중 사용자 정합부(120)의 제어에 근거하여, 특정 채널에만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로 정합부(130)는 상기 E1 다중화 링크(200)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역 다중화한 후 음성 입·출력부(14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선로 정합부(130)는 E1 다중화 링크(200)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채널(또는 타임슬롯)에 각각 복수개이 상대방 기기를 매칭시킨다. 그리고, 매칭된 복수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매칭된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교환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외부의 교환기(200)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매칭된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전술 정화장치(100)와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 간에 호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선로 정합부(1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디오 앰프(Audio Amp, 131), 콜 믹서(Call Mixer, 132), 라인 인터페이스부(Line Interface Unit, 13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라인 인터페이스부(133)는 E1 다중화 링크(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콜 믹서(132)로 전달하고, 콜 믹서(13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다중화하여 E1 다중화 링크(200)로 전달한다.
또한, 콜 믹서(132)는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음성 입·출력부(140)에 포함된 스피커(141, 14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콜 믹서(132)는 사용자 정합부(120)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신호가 좌측 스피커(141)와 연결된 통화로의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좌측 스피커(14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신호가 우측측 스피커(141)와 연결된 통화로의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우측 스피커(141)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앰프(131)는 라인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음성 입·출력부(140)는 사용자 정합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1, 142) 및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43)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이,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통화내용은 중앙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추후에 통화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외부의 교환기(200)로 다시 송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통화내용은 전술 전화장치(100)에 포함된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된 후, 상기 중앙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의 교환기(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에는 중앙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서로 다른 통화로마다 각각 음성통화내용이 별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술 전화기(100)와 외부의 교환기(300)를 연결하는 E1 링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1 다중화 링크의 타임슬롯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E1 다중화 링크는 복수개의 채널(또는 타임슬롯)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E1 다중화 링크는 32개이 타임 슬롯(또는 채널)을 갖으며, 0번과 16번 슬론을 각각 동기를 위한 슬롯(sync slot) 및 신호방식을 위한 슬롯(signal slot)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호를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1 다중화 링크는 전술 전화장치(100)로 부터 요청되는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마다 각각 서로 다른 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교환기(3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외부의 교환기(300)는 상기 E1 다중화 링크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 호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E1 다중화 링크에 포함된 채널 중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긱와 통화로가 연결된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의 교환기(3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E1 다중화 링크는 상기 외부의 교환기(3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술 전화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 전화 장치(100)는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 중 어느 기기로부터 음성신호가 전달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 전화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100)는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위하여,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기기와 호를 연결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에는 '단축통화', 일반전화', '시스템', '통화목록', '회의통화' 등의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한번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에는 '통화자 추가'와 같은 기능을 두어, 전술 전화장치(100)는 통화 중이라도 현재 호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상대방 기기와 호가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에는 일반 다이얼 화면이 출력되어, 전술 전화장치(100)는 사용자가 도 4a에서 '일반전화'를 선택한 경우, 직접 상대방 기기로 호를 연결하기 위한 정보(특히,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에는 스피커, 헤드셋 및 마이크와 같이 음성 입·출력부(140)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술 전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한번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와 개별 또는 동시에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한 대의 전화기만을 사용하여, 상부체계 및 하부체계와 개별 또는 동시에 통화할 수 있다.
100: 전술 전화장치 110: 중앙제어부
120: 사용자 정합부 130: 선로정합부
131: 오디오 앰프 132: 콜 믹서
13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음향 입·출력부
141: 좌측 스피커 142: 우측 스피커
143: 마이크 200: E1 다중화 링크
300: 교환기

Claims (9)

  1. 음성통화를 연결할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합부;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외부의 교환기로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호가 연결되는 것에 응답하여,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 출력할 음성신호를 다중화며,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역 다중화하도록 형성되는 선로 정합부; 및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성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대방 기기를 각각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복수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매칭된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의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채널에 대응되도록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상기 E1 다중화 링크로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정합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호가 연결된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전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정합부는
    상기 복수개의 상대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E1링크로부터 전달받아 역 다중화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음성 입·출력부에 포함된 스피커로 출력하는 콜 믹서 및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량을 조절하는 오디오앰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전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출력부는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콜 믹서는 상기 사용자 정합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가 좌측 스피커와 연결된 통화로의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좌측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역 다중화된 음성신호가 우측 스피커와 연결된 통화로의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전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상대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다이얼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현재 호가 연결된 통화로에 대응하는 상대방 기기의 식별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전화장치.
  8.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다이얼 화면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연결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와 동시에 호가 연결되도록 E1 다중화 링크를 이용하여 외부의 교환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와 호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로 전송할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후, 다중화하여 상기 E1 다중화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E1 다중화 링크로부터 전달받아 역 다중화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1 다중화 링크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호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기기 중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한 상대방 기기에 대해서만 상기 다중화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전화장치의 제어방법.
  9. 삭제
KR1020120064492A 2012-06-15 2012-06-15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36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492A KR101369260B1 (ko) 2012-06-15 2012-06-15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492A KR101369260B1 (ko) 2012-06-15 2012-06-15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28A KR20130142228A (ko) 2013-12-30
KR101369260B1 true KR101369260B1 (ko) 2014-03-05

Family

ID=4998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492A KR101369260B1 (ko) 2012-06-15 2012-06-15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2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807A (ko) * 1997-05-26 1998-12-05 이계철 수요밀집형 가입자 광다중화 장치
KR100191434B1 (ko) * 1995-12-29 1999-06-15 김영환 전용전화 라인을 설립한 영상 서비스 접속 시스템 다중 장치
KR20090098969A (ko) * 2006-12-29 2009-09-1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네트워크들 간의 호출에 식별 데이터를 링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07436A (ko) * 2009-07-16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434B1 (ko) * 1995-12-29 1999-06-15 김영환 전용전화 라인을 설립한 영상 서비스 접속 시스템 다중 장치
KR19980084807A (ko) * 1997-05-26 1998-12-05 이계철 수요밀집형 가입자 광다중화 장치
KR20090098969A (ko) * 2006-12-29 2009-09-1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네트워크들 간의 호출에 식별 데이터를 링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07436A (ko) * 2009-07-16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28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0955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voice and digital data capability and employing a plurality of voice and data buses in main service unit and serial packetized transmission to and from telephones
JP3950148B2 (ja) アナログ電話サービスが可能な光通信システム
RU9811643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частн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в коммутируемой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общего пользования
EP1646215A1 (en) Stereo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alling using the stereo mobile terminal
KR101369260B1 (ko) 전술 전화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1722603B2 (en) Volume control over shared trunk lines in intercom systems
CA2555631C (en) Method and apparatus to allow two way radio users to access voice-enabled applications
US8526589B2 (en) Multi-channel telephony
JP3694713B2 (ja) 集合住宅用通話システム
KR101103454B1 (ko) 당사자 포지셔닝 식별을 갖는 휴대용 장치의 다자간 통화
JPH06237483A (ja) 無線電話装置
KR19990078803A (ko) 선택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06281B1 (ko) 사설교환기의디지털일제지령시스템
JP2590296B2 (ja) 話中端末への音声呼着信方式
JPH01252000A (ja) ディジタル電話システム
JP2011091582A (ja) 電話システム
JP2012169925A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中継器及び双方向通信方法
JPH06276147A (ja) 無線電話装置
JPH09261350A (ja) 特定通話者グループ自動構成方法及び装置
JPS59156060A (ja) 会議通話方式
JPH03283953A (ja) 加入者線多重交換システム
JPS59196642A (ja) デイジタル会議電話秘話装置
JPH09168052A (ja) 交換装置
JPH06197179A (ja) ディジタル多機能電話機
JP2004023432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における音声切換配分装置および音声切換配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