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769B1 -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769B1
KR101368769B1 KR1020120058571A KR20120058571A KR101368769B1 KR 101368769 B1 KR101368769 B1 KR 101368769B1 KR 1020120058571 A KR1020120058571 A KR 1020120058571A KR 20120058571 A KR20120058571 A KR 20120058571A KR 101368769 B1 KR101368769 B1 KR 101368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tank
sludge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796A (ko
Inventor
윤자문
이인수
구근회
임효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7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선박용 해수유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처리부를 구비하는 선미피크탱크; 선미피크탱크에 배치되어 전처리부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선미피크탱크의 일측에서 해상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호스와, 플렉시블 호스가 권취되는 풀리박스와,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기 위한 전처리 펌프를 구비하는 해수유입부; 및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해수를 발라스트 탱크로 안내하는 해수배출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SEA WATER INFLOW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해수유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발라스팅 등에 사용되는 해수를 선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선박용 해수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다수의 발라스트 탱크가 설치된다. 발라스트 탱크는 선박의 흘수(吃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화물 등이 불균형하게 적재된 경우 균형을 맞추어 선박이 복원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발라스트 탱크에는 평형수가 채워지는데, 일반적으로 평형수로는 해상에서 쉽게 충당할 수 있는 해수가 사용된다. 즉, 해수를 선내로 유입시켜 발라스트 탱크에 채움으로써, 선박의 흘수를 유지하거나 균형을 맞추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해수에는 토사나 부유물과 같은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이물질은 발라스트 탱크로 해수가 유출입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다 보면, 발라스트 탱크의 내부에 침전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라스트 탱크 내부에 침전 및 적층된 이물질은 선박의 전체적인 중량을 증가시키고, 운항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발라스트 탱크의 내부부식을 초래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최근에는 해양 생태계 교란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수 중의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평형수처리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이물질로 인해, 평형수처리시스템의 오작동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6183호에서는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전물 제거장치는 엔진룸 등 각종 전기장설비가 다수 배치되는 선미부의 공간활용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어,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6183호 (2011년 03월 24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미부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면서도, 해수 중의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처리부를 구비하는 선미피크탱크(After stern Peak Tank, APT); 상기 선미피크탱크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부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미피크탱크의 일측에서 해상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호스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권취되는 풀리박스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기 위한 전처리 펌프를 구비하는 해수유입부; 및 상기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해수를 발라스트 탱크로 안내하는 해수배출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 사이클론(hydro cycylone)이 조합된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은, 상기 해수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해수를 원심분리방식으로 여과시키고, 여과된 해수를 상기 해수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용 해수유입장치는,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슬러지 탱크와, 상기 슬러지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를 상기 선미피크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관과, 상기 슬러지 배관에 장착되는 슬러지 펌프를 구비하는 슬러지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처리부는, 격벽에 의해 상기 선미피크탱크의 내측 일부가 구획되어 형성된 침전탱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전탱크부는,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빔; 상기 지지빔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해수배출부와 연결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지지빔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부에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해수가 상기 지지빔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경사판을 구비하는 경사판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탱크부는, 상기 배출배관의 후단에서 분지되어 상기 배출배관의 전단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배관의 상부에 해수를 분사하는 슬러지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러지제거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탱크부의 내측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탱크부는, 상기 선미피크탱크에 형성된 하부홈에 배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슬러지 탱크와, 상기 슬러지 탱크에 연결되어 슬러지를 상기 침전탱크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관과, 상기 슬러지 배관에 장착되는 슬러지 펌프를 구비하는 슬러지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박용 해수유입장치는, 상기 해수유입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전처리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상기 전처리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 안내하는 바이패스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분지점에는 삼방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분지점 전단에는 해수의 부유물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는, 상기 농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부유물 농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전처리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상기 전처리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는, 상기 농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부유물 농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전처리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는, 선저부에 별도의 씨체스트 등을 생략하고, 선미피크탱크의 일측에 마련된 해수유입부를 통해 해수를 유입하게 된다. 따라서 선미부에 배치되는 엔진룸의 설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는, 유입된 해수를 평형수처리시스템이나 발라스트 탱크로 공급하기 전에, 전처리부인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이나 침전탱크부를 통해 여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수 중의 부유물 등으로 인한 평형수처리시스템의 오작동이나 발라스트 탱크 내 슬러지 적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미피크탱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미피크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사판 침전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미피크탱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해수유입부(110)와, 선미피크탱크(120, After stern Peak Tank, APT)와, 해수배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해수유입부(110)는 선박의 발라스팅(ballasting)에 필요한 해수를 선내로 유입하기 위한 것으로, 선미피크탱크(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해수유입부(110)는 플렉시블 호스(111), 풀리박스(미도시), 전처리 펌프(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플렉시블 호스(111)만이 도시되었다. 해수유입부(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선미피크탱크(120)는 선박의 선미부에 위치하는 탱크로, 내부에 전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하고, 해수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전처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선미피크탱크(120)를 전처리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여,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엔진룸(미도시) 등 선미부에 배치되는 각종 전기장설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선미피크탱크(120)의 내부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해수배출부(130)는 선미피크탱크(120)를 통해 전처리된 해수를 발라스트 탱크(10)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선미피크탱크(12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직접 발라스트 탱크(10)로 안내하거나, 필요에 따라, 평형수처리시스템(20)을 거쳐 발라스트 탱크(10)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평형수처리시스템(20)은 발라스트 탱크(10)로 해수를 공급하기 전 해수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나 생물을 제거하여, 각 해역의 생태계 교란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는 무관한 바, 내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해수배출부(130)에는 해수의 이송을 위한 발라스트 펌프(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수유입부(110), 선미피크탱크(120) 및 해수배출부(130)로 구성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종래와 달리 선저부에 별도의 씨체스트(sea shest)가 요구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해수유입부(110)를 통해 선미피크탱크(120)로 직접 해수를 유입하여, 전처리 후 해수배출부(130)를 통해 발라스트 탱크(10)로 공급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 선저부에 마련되었던 씨체스트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씨체스트로 인한 엔진룸의 공간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종 전기장설비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선미피크탱크(120)의 내부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미피크탱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미피크탱크(120)의 전처리부로서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을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선미피크탱크(120)의 일측에는 해수유입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해수유입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수를 선내로 유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렉시블 호스(111), 풀리박스(112) 및 전처리 펌프(113)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렉시블 호스(111)는 선미피크탱크(120)의 일측에서 해상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호스(111)는 미사용시 풀리박스(112)에 감겨져 보관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11)의 전개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111a)가 선미피크탱크(120)에 장착될 수 있다.
풀리박스(112)에는 플렉시블 호스(111)가 권취될 수 있다. 즉, 풀리박스(112)는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11)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호스(111)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플렉시블 호스(111)는 풀리박스(112)에 감겨져 보관될 수 있으며, 미관이나 운항상 장애가 될 수 있는 플렉시블 호스(111)가 선미피크탱크(120)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풀리박스(112)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풀리박스(112)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전처리 펌프(113)는 해수를 선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플렉시블 호스(111)와 연결되어 해수를 흡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111), 풀리박스(112) 및 전처리 펌프(113)로 구성된 해수유입부(110)는 플렉시블 호스(111)를 통해 해상으로부터 해수를 유입하여, 선미피크탱크(120) 내에 마련된 전처리부로 해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처리부로서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은 공급된 해수에서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은 복수개의 하이드로 사이클론(121a, hydro cycylone)이 조합된 것으로, 각각의 하이드로 사이클론(121a)이 원심분리 방식을 통해 해수 중의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이드로 사이클론(121a)은, 종래 다양하게 공지된 바 있으므로, 내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을 통해 여과된 해수는, 해수배출부(130)에 의해 선미피크탱크(12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해수배출부(130)에 의한 해수의 배출은 도 1에 도시된 발라스트 펌프(30)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수배출부(130)에 별도의 보조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해수배출부(130)를 통해 배출된 해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수처리시스템(20) 등을 거쳐 발라스트 탱크(10)로 안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선미피크탱크(120)에 배치된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을 통해 해수가 전처리, 즉, 여과된 후에 도 1의 평형수처리시스템(20) 등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평형수처리시스템(20) 내에서 해수 중의 이물질로 인한 막힘 현상이나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슬러지배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배출부(140)는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에서 여과된 이물질이나 부유물(이하, 슬러지로 지칭함)을 선미피크탱크(120) 밖으로 배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러지배출부(140)는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슬러지 탱크(141), 슬러지 배관(142) 및 슬러지 펌프(143)로 구성될 수 있다.
슬러지 탱크(141)는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수집하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의 하부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의 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로 배출되어, 슬러지 탱크(141)로 수집되게 된다.
또한, 슬러지 배관(142)은 슬러지 탱크(141)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선미피크탱크(120) 밖으로 안내한다. 이때, 슬러지 탱크(141)의 슬러지가 자중에 의해 일측의 슬러지 배관(142)으로 자연스럽게 유동될 수 있도록, 슬러지 탱크(141)는 일측으로 소정정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에 의해 여과된 슬러지는 모래, 흙 등 해수 중의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이 혼합된 것으로, 슬러지 배관(142) 내에서 유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슬러지 배관(142) 내 슬러지가 강제 이송될 수 있도록 슬러지 펌프(143)를 장착하여 슬러지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선미피크탱크(120)로 유입된 해수를 바로 발라스트 탱크(1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부(150)는, 해수유입부(110)에서 분지되어 전처리 펌프(113)로 흡입된 해수를 발라스트 탱크(10)로 바로 안내하는 바이패스 배관(151)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배관(151)은 전처리가 특별히 필요하지 않거나, 발라스트 탱크(10)에 해수를 신속히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을 거치지 않고 해수를 바로 발라스트 탱크(10)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이패스부(150)는, 바이패스 배관(151)의 분지점에 장착되는 삼방밸브(152)와, 삼방밸브(152) 전단에 마련되는 농도측정센서(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단은 해수의 유입시 해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을 의미한다.
삼방밸브(152)는 해수의 유로 전환을 위한 것으로, 공지된 3-way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삼방밸브(152)의 개폐는 농도측정센서(153)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농도측정센서(153)는 해수 중의 부유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화상이나 전류값 등을 통해 삼방밸브(152)의 전단에서 부유물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농도측정센서(153)의 측정값은 삼방밸브(152)에 제공되어 삼방밸브(152)의 개폐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삼방밸브(152)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 자동 제어가 가능한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삼방밸브(152) 및 농도측정센서(153)는 부유물의 농도에 따라 해수의 유동경로를 전환하여, 보다 효율적인 해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농도측정센서(153)에서 측정된 부유물 농도가 기 설정된 설정치 이상인 경우, 삼방밸브(152)는 바이패스 배관(151)을 패쇄하고, 전처리 펌프(113)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해수는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을 통해 전처리 된 후에 평형수처리시스템(20)이나 발라스트 탱크(10) 등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해수 중에 부유물이 많은 경우에도, 평형수처리시스템(20)의 오작동을 초래하거나, 발라스트 탱크(10) 내에 침전물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해수 중에 부유물이 적은 경우에는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을 통한 전처리나 여과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삼방밸브(152) 및 농도측정센서(153)는 유입된 해수를 바로 평형수처리시스템(20)이나 발라스트 탱크(1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농도측정센서(153)에서 측정된 부유물 농도가 기 설정된 설정치 이하인 경우, 삼방밸브(152)는 바이패스 배관(151)을 개방하고, 전처리 펌프(113)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바이패스 배관(151)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흡입된 해수는 바이패스 배관(151)을 통해 바로 평형수처리시스템(20)이나 발라스트 탱크(10)로 공급되게 되며, 불필요하게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을 거치지 않아, 작동 효율이 증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미피크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미피크탱크(220)의 전처리부로서 침전탱크부(221)를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해수유입부(210) 및 해수배출부(230)는 전술한 실시예의 해수유입부(110, 도 2 참고) 및 해수배출부(130, 도 2 참고)와 동일 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선미피크탱크(220)에는 전처리부로서 침전탱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침전탱크부(221)는 격벽(222)에 의해 선미피크탱크(220)의 내측 일부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해수유입부(210)를 통해 공급된 해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해수 중의 부유물 등을 침전시킨다. 따라서 해수는 침전탱크부(221)를 거쳐 여과된 후, 해수배출부(230)를 통해 평형수처리시스템(20)이나 발라스트 탱크(10) 등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침전탱크부(221)에는 경사판침전지(2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사판침전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경사판침전지(224)는 침전탱크부(221)의 내측에 배치된 지지빔(22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빔(225)은 고정수단(미도시) 등을 통해 침전탱크부(221)의 내측 천정면이나 측면 등에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침전 작용을 통해 부유물 등이 소정정도 제거된 해수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침전탱크부(2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판침전지(224)는 상기와 같은 지지빔(225)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24a)가 형성되고, 측부에는 유입된 해수가 지지빔(225) 측을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224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판침전지(224)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경사판(224c)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224c)은 유입구(224a)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배출구(224b)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해수 중에 잔여하는 부유물 등이 배출구(224b)로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한편, 지지빔(225)에는 배출배관(226)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배관(226)은 지지빔(225) 위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부에 유입홀(226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판침전지(224)의 배출구(224b)를 통해 지지빔(225) 측으로 배출된 해수는 상기 유입홀(226a)을 통해 배출배관(226) 내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배출배관(226)은 일단이 해수배출부(230, 도 3 참고)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입홀(226a)을 통해 유입된 해수를 해수배출부(230)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침전탱크부(221)에는 슬러지배출부(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슬러지배출부(240)는 전술한 실시예의 슬러지배출부(140, 도 2 참고)와 대응되며, 슬러지 탱크(241), 슬러지 배관(242) 및 슬러지 펌프(24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배출부(240)는 슬러지 탱크(241)의 슬러지 수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슬러지 탱크(241)가 선미피크탱크(220)의 일측에 형성된 하부홈(220a)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선미피크탱크(220)는 바닥면이 선수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하향 경사 끝단부에는 하부측을 향해 소정정도 돌출된 하부홈(220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하부홈(220a) 부위에 슬러지 탱크(241)를 배치함으로써, 경사진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가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홈(220a) 측으로 유동하여, 슬러지 탱크(241)로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침전탱크부(221)는 슬러지제거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러지제거부(260)는 배출배관(226)의 상부로 해수를 분사하여, 배출배관(226)에 이물질이나 부유물 등의 슬러지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러지제거부(260)는 배출배관(226)의 후단에서 분지되어 배출배관(226)의 전단을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노즐(26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단 또는 후단은, 해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 또는 후방측을 의미한다.
슬러지제거부(260)는 배출배관(226)의 상부에 해수를 분사하여 유입홀(226a) 등에 슬러지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슬러지제거부(260)가 분사하는 해수는 배출배관(226)의 후단을 유동하는 해수로, 침전탱크부(221)나 경사판침전지(224)를 통해 부유물 등이 소정정도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슬러지제거부(260)의 해수 분사로 인해 배출배관(226) 등에 슬러지가 다시 적층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슬러지제거부(260)에서 분사되는 해수는 일부 경사판침전지(224)로도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사판침전지(224)에 잔존하는 슬러지도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슬러지제거부(260)에는 해수의 유입 및 분사를 위해 펌프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슬러지제거부(260)는 침전탱크부(221)의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미피크탱크(220)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슬러지제거부(260)가 침전탱크부(221)의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러지제거부(26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출배관(226)의 상부에서 침전탱크부(221)의 내측 바닥면에 이르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슬러지제거부(260)의 해수 분사로 인해, 침전탱크부(221)의 바닥면에 적층된 슬러지까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침전탱크부(221)에는 정류판(223)이 구비될 수 있다. 정류판(223)은 해수유입부(210)에서 침전탱크부(221)로 해수가 유입되는 입구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입되는 해수의 유동 흐름을 억제하고, 와류의 생성을 방지하여, 침전탱크부(221) 내 침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선저부에 별도의 씨체스트 등을 생략하고, 선미피크탱크(120, 220)의 일측에 마련된 해수유입부(110, 210)를 통해 해수를 유입하게 된다. 따라서 선미부에 배치되는 엔진룸의 설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해수유입장치(100)는, 유입된 해수를 평형수처리시스템(20)이나 발라스트 탱크(10)로 공급하기 전에, 전처리부인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121)이나 침전탱크부(221)를 통해 일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 중의 부유물 등으로 인한 평형수처리시스템(20)의 오작동이나 발라스트 탱크(10) 내 슬러지 적층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110, 210: 해수유입부
120, 220: 선미피크탱크 130, 230: 해수배출부

Claims (11)

  1. 전처리부를 구비하는 선미피크탱크(After stern Peak Tank, APT);
    상기 선미피크탱크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부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미피크탱크의 일측에서 해상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호스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권취되는 풀리박스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기 위한 전처리 펌프를 구비하는 해수유입부;
    상기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해수를 발라스트 탱크로 안내하는 해수배출부; 및
    상기 해수유입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전처리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상기 전처리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 안내하는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 사이클론(hydro cycylone)이 조합된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은, 상기 해수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해수를 원심분리방식으로 여과시키고, 여과된 해수를 상기 해수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형성된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 유닛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슬러지 탱크와, 상기 슬러지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를 상기 선미피크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관과, 상기 슬러지 배관에 장착되는 슬러지 펌프를 구비하는 슬러지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격벽에 의해 상기 선미피크탱크의 내측 일부가 구획되어 형성된 침전탱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탱크부는,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빔;
    상기 지지빔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해수배출부와 연결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지지빔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부에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해수가 상기 지지빔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경사판을 구비하는 경사판침전지;를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침전탱크부는, 상기 배출배관의 후단에서 분지되어 상기 배출배관의 전단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배관의 상부에 해수를 분사하는 슬러지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제거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탱크부의 내측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된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침전탱크부는, 상기 선미피크탱크에 형성된 하부홈에 배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슬러지 탱크와, 상기 슬러지 탱크에 연결되어 슬러지를 상기 침전탱크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관과, 상기 슬러지 배관에 장착되는 슬러지 펌프를 구비하는 슬러지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분지점에는 삼방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분지점 전단에는 해수의 부유물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가 장착된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는, 상기 농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부유물 농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전처리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상기 전처리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는, 상기 농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부유물 농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전처리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를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KR1020120058571A 2012-05-31 2012-05-31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KR10136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71A KR101368769B1 (ko) 2012-05-31 2012-05-31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71A KR101368769B1 (ko) 2012-05-31 2012-05-31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96A KR20130134796A (ko) 2013-12-10
KR101368769B1 true KR101368769B1 (ko) 2014-03-04

Family

ID=4998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71A KR101368769B1 (ko) 2012-05-31 2012-05-31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31B1 (ko) * 2018-01-26 2018-06-15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연속세척 부상·침전·여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573A (ja) * 1991-11-05 1993-05-21 Nkk Corp バラスト水の泥砂除去装置
JP2006088980A (ja) * 2004-09-27 2006-04-06 Maeda Corp 深層水取水装置
KR20090072926A (ko) * 2007-12-28 2009-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090129061A (ko) * 2008-06-12 2009-1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573A (ja) * 1991-11-05 1993-05-21 Nkk Corp バラスト水の泥砂除去装置
JP2006088980A (ja) * 2004-09-27 2006-04-06 Maeda Corp 深層水取水装置
KR20090072926A (ko) * 2007-12-28 2009-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090129061A (ko) * 2008-06-12 2009-1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96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424B1 (ko)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JP5479252B2 (ja) 圧力水噴射式ポンプシステム
KR20120016755A (ko) 원형 수처리 장치에서 스컴 제거 방법과 그 장치
CN102995686B (zh) 水池清淤系统
JP5264001B1 (ja) 浮上油分離回収装置
KR100794324B1 (ko) 역 부상 가압 부상조
KR101368769B1 (ko) 선박용 해수유입장치
KR101357633B1 (ko) 선박용 전처리 시스템
KR20180132481A (ko) 선박 폐유수 이동식 처리 시스템
KR100889661B1 (ko)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KR20090129061A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101225687B1 (ko) 선박용 배수 시스템
KR101026183B1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101224623B1 (ko) 선박용 청정연료 공급장치
US3988241A (en) Floating device for removing refuse situated on and under a water surface
CN208968313U (zh) 一种赤霉酸浓缩冷却塔
JP3092013B2 (ja) 油水分離装置
CN209178032U (zh) 一种污水处理浮选设备
KR101516160B1 (ko) 선박용 침전탱크 시스템
JP5509407B1 (ja) 加圧浮上式スカム分離処理装置
AU2018251620B2 (en) Sludge harvester improvements
KR20100118046A (ko) 유류 제거용 선박
KR20110047923A (ko) 조류제거장치
CN110563083A (zh) 一种节能环保型水面及河道悬浮油污污染物收集处理装置
KR910000634B1 (ko) 산적(散積)화물선의 복수개 선창을 세척한후의 잔존물을 함유하는 세척폐수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