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278B1 -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 Google Patents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278B1
KR101368278B1 KR1020120020609A KR20120020609A KR101368278B1 KR 101368278 B1 KR101368278 B1 KR 101368278B1 KR 1020120020609 A KR1020120020609 A KR 1020120020609A KR 20120020609 A KR20120020609 A KR 20120020609A KR 101368278 B1 KR101368278 B1 KR 10136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oil
roller
emulsif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800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2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수상용 오일펜스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수상용 오일펜스장치는: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구동롤러와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압축롤러부와, 오일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오일제거펜스를 구비하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의 사이로 이동되어 압축이 이루어지는 복합펜스부 및 압축롤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복합펜스부로 유화제를 분사하는 유화제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용 오일펜스장치{DEVICE FOR WATER OIL FENCE}
본 발명은 수상용 오일펜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에 떠 있는 오일의 제거 및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 정박 중인 선박으로 이송물을 선적하거나, 선박으로부터 이송물을 하역하는 작업에 있어서, 오일과 같은 오염물질이 선박 주위의 바다로 낙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이 바다로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 주위에는 수상용 펜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상용 펜스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릴부재에 권선되어 보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7-0062568호(1997. 12. 11 공개, 고안의 명칭: 오일 펜스 보관기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물에 떠 있는 오일의 제거 및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는: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구동롤러와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압축롤러부와, 오일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오일제거펜스를 구비하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의 사이로 이동되어 압축이 이루어지는 복합펜스부 및 압축롤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복합펜스부로 유화제를 분사하는 유화제분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복합펜스부는, 오일제거펜스에 접하여 설치되며 내측에 공기가 충진되는 부상펜스 및 부상펜스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을 구비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롤러부는, 구동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롤러와 같이 회전되며, 걸림홈에 맞물려서 복합펜스부를 견인하는 견인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화제분사부는, 복합펜스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화제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공을 구비하는 공급파이프와, 구동롤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공급파이프와 연통되는 연결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파이프와 연통되는 유입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며 유입공간으로 유화제가 이동되는 연결공을 구비하는 유입부 및 유입부로 공급되는 유화제가 저장되며 연결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파이프와 연결파이프 및 유입부는 일체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는, 부상펜스와 함께 오일제거펜스가 물에 부상되어 오일을 제거하며, 구동부의 동작으로 복합펜스부가 견인되어 압축롤러부와 유화제분사부를 통과하며 오일의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오일의 제거 및 회수에 따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롤러부와 유화제분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펜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내측으로 유화제가 유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내측에 유화제가 유입된 상태에서 유입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내측에 있는 유화제가 연결파이프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두에 설치되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롤러부와 유화제분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펜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내측으로 유화제가 유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내측에 유화제가 유입된 상태에서 유입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내측에 있는 유화제가 연결파이프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1)는,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20)와, 구동부(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32) 그리고, 구동롤러(32)와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34)를 구비하는 압축롤러부(30)와, 오일(18)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오일제거펜스(42)를 구비하며 구동롤러(32)와 지지롤러(34)의 사이로 이동되어 압축이 이루어지는 복합펜스부(40)와, 압축롤러부(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복합펜스부(40)로 유화제(19)를 분사하는 유화제분사부(50)를 포함한다.
선박이 접안되는 부두(10)의 상측에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1)가 설치된다.
부두(10)의 상측에는 제1지지면(12)과 제2지지면(13)이 구비되며, 이러한 제1지지면(12)과 제2지지면(13)은 단차를 이루며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다.
제1지지면(12)에 압축롤러부(30)가 설치되어 복합펜스부(40)에서 오일(18)을 1차로 제거하며, 제2지지면(13)에 유화제분사부(50)가 설치되어 복합펜스부(40)에서 오일(18)을 2차로 제거한다.
부두(1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벽(14)에는 완충부재(16)가 설치된다.
완충부재(16)는, 선박과 부두(10) 사이에 위치하며, 선박이 부두(10)에 접하면서 발생하는 선박의 손상을 감소시킨다.
압축롤러부(30)의 구동롤러(3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0)는,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와,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를 증대시키는 변속기(2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2)와 변속기(23)는 구동브라켓(24)에 의해 롤러지지부(36)에 고정된다.
구동부(20)와 축 연결되는 압축롤러부(30)는, 구동부(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32)와 구동롤러(32)와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34)를 포함한다.
롤러지지부(36)가 구동롤러(32)와 지지롤러(34)의 양측에 설치되어 구동롤러(32)와 지지롤러(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동롤러(32)와 지지롤러(34)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롤러(32)와 지지롤러(34)의 이격 거리는 복합펜스부(40)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구동롤러(32)의 양측에는 견인스프라켓(38)이 설치되어 복합펜스부(40)를 견인한다. 견인스프라켓(38)은 구동롤러(32)에 연결되어 구동롤러(32)와 같이 회전되며, 복합펜스부(40)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부재(46)의 걸림홈(48)에 맞물려 돌아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스프라켓(38)은 원주 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며, 이러한 견인스프라켓(38)의 치형은 복합펜스부(40)의 걸림홈(48)에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복합펜스부(40)를 견인한다.
압축롤러부(30)를 지나는 복합펜스부(40)는 구동롤러(32)와 지지롤러(34)의 사이를 지나면 압축되어 오일(18)이 복합펜스부(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압축롤러부(30)의 하측에는 오일회수통(60)이 구비되므로, 압축이 이루어지는 복합펜스부(40)로부터 낙하되는 오일(18)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롤러부(30)를 통해 이동되는 복합펜스부(40)는, 오일(18)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오일제거펜스(42) 및 물에 뜨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펜스(44)를 포함하며, 부상펜스(44)의 재질로 스티로폼을 포함한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펜스부(40)는, 오일제거펜스(42)에 접하여 설치되며 내측에 공기(49)가 충진되는 부상펜스(44) 및 부상펜스(44)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48)을 구비하는 걸림부재(46)를 포함한다.
부상펜스(44)의 상측과 하측에는 오일(18)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오일제거펜스(42)가 설치되며, 부상펜스(44)의 양측에는 견인스프라켓(38)에 걸려서 견인이 이루어지는 걸림부재(46)가 구비된다.
걸림부재(46)는 견인스프라켓(38)의 치형 간격과 비례하는 걸림홈(48)이 부상펜스(44)의 양측을 따라 연이어 설치된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롤러부(30)를 통과한 복합펜스부(40)는 유화제분사부(50)를 통과하며 오일(18)의 2차 제거가 이루어진다.
유화제분사부(50)는, 압축롤러부(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복합펜스부(40)로 유화제(19)를 분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분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화제분사부(50)는, 유화제(19)를 분사하는 공급파이프(51)와, 압축롤러부(3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연결파이프(53) 및 연결파이프(53)로 유화제(19)를 공급하는 유입부(54)를 포함한다.
공급파이프(51)의 양측에 지지프레임(58)이 설치되며, 이러한 지지프레임(58)에 공급파이프(51)와 회전롤러(5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합펜스부(40)는 회전롤러(59)의 상측으로 이송되며, 공급파이프(51)를 통해 분사되는 유화제(19)가 복합펜스부(40)의 오일제거펜스(42)에 분사된다.
공급파이프(51)는, 복합펜스부(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화제(19)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분사공(52)을 구비한다.
공급파이프(51)의 양측에는 걸림부재(46)의 걸림홈(48)에 걸리는 회전스프라켓(도시생략)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0)의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파이프(51)가 회전되는 경우, 공급파이프(51)와 함께 회전스프라켓이 회전되며 걸림부재(46)의 걸림홈(48)에 맞물려 돌아가며 복합펜스부(40)를 견인한다.
이러한 회전스프라켓의 설치와 별도로, 유화제분사부(50)의 후측(도 1기준 우측)에 복합펜스부(40)를 권선하는 별도의 권선장치가 설치되어 압축롤러부(30)와 유화제분사부(50)를 통과한 복합펜스부(40)를 권선할 수 있다.
공급파이프(51)와 연결되어 유화제(19)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연결파이프(53)는, 구동롤러(3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파이프(53)는 유화제(19)가 저장되는 저장탱크(5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파이프(5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파이프(53)와 연통되는 유입공간(55)이 내측에 형성되는 유입부(54)는 유화제(19)가 이동되는 연결공(56)이 측면에 구비된다.
연결파이프(53)의 측방향으로 단일 개의 유입부(54)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유입부(54)가 연결파이프(5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54)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공(56)도, 유입부(54)의 내측에 구비된 유입공간(55)으로 유화제(19)가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 및 설치위치를 갖는다.
유입부(54)로 공급되는 유화제(19)가 저장되는 저장탱크(57)는, 연결파이프(5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연결파이프(53)를 따라 회전되는 유입부(54)가 내측에 설치된다.
공급파이프(51)와 연결파이프(53) 및 유입부(54)는 일체로 회전되며, 유화제(19)가 이동되도록 서로 연통된다.
구동부(20)의 동력은 압축롤러부(30)의 구동롤러(32)를 통해 유화제분사부(50)의 연결파이프(53)로 전달된다.
구동롤러(32)와 연결파이프(53)는 동력전달부(70)를 통해 동력이 전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70)는, 압축롤러부(30)의 구동롤러(32)에 설치되는 제1스프라켓(72)과, 공급파이프(51)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파이프(53)에 설치되는 제2스프라켓(74) 및 제1스프라켓(72)과 제2스프라켓(74)을 연결하는 연결체인(76)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2)의 동력은 변속기(23)를 통해 압축롤러부(30)의 구동롤러(32)로 전달되어 구동롤러(32)를 회전시킨다.
회전롤러(59)에 연결된 견인스프라켓(38)이 회전되면서 복합펜스부(40)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부재(46)의 걸림홈(48)에 맞물려 돌아가므로, 복합펜스부(40)를 부두(10)의 상측으로 견인한다.
복합펜스부(40)는 구동롤러(32)와 지지롤러(34)를 지나면서 압축되므로, 오일제거펜스(42)에 흡착된 오일(18)이 압축되어 오일회수통(60)으로 낙하된다.
구동롤러(32)가 회전되면서 제1스프라켓(72)이 회전되며, 제1스프라켓(72)은 연결체인(76)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74)을 회전시킨다.
제2스프라켓(74)의 회전으로 연결파이프(53)와, 연결파이프(53)와 연결된 공급파이프(51) 및 유입부(54)가 회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54)가 연결파이프(53)의 하측을 향하여 위치하면, 유입부(54)의 측면에 구비된 연결공(56)이 유화제(19)에 잠긴다. 따라서, 유입부(54)의 연결공(56)을 통해 유입부(54)의 내측에 구비된 유입공간(55)으로 유화제(19)가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53)와 함께 유입부(54)가 회전하면서 연결공(56)이 유화제(19)의 상측에 위치하면, 유입공간(55)에 있는 유화제(19)도 유입부(54)와 같이 회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54)가 상측을 향하여 위치하면, 유입부(54)의 내측에 있는 유화제(19)도 자중에 의해 유입공간(55)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간(55)은 연결파이프(53)와 연통되므로, 유입부(54)에 있는 유화제(19)는 연결파이프(53)를 통해 공급파이프(51)로 이동된다.
공급파이프(51)로 이동된 유화제(19)는 분사공(52)을 통해 복합펜스부(40)의 오일제거펜스(42)로 분사되므로, 오일제거펜스(42)에 흡착된 오일(18)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오일펜스장치(1)는, 부상펜스(44)와 함께 오일제거펜스(42)가 물에 부상되어 오일(18)을 제거하며, 구동부(20)의 동작으로 복합펜스부(40)가 견인되어 압축롤러부(30)와 유화제분사부(50)를 통과하며 오일(18)의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오일(18)의 제거 및 회수에 따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부두에 설치되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부두가 아닌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에도 본 발명에 의한 수상용 오일펜스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10: 부두
12: 제1지지면 13: 제2지지면
14: 측벽 16: 완충부재
18: 오일 19: 유화제
20: 구동부 22: 구동모터
23: 변속기 24: 구동브라켓
30: 압축롤러부 32: 구동롤러
34: 지지롤러 36: 롤러지지부
38: 견인스프라켓 40: 복합펜스부
42: 오일제거펜스 44: 부상펜스
46: 걸림부재 48: 걸림홈
49: 공기 50: 유화제분사부
51: 공급파이프 52: 분사공
53: 연결파이프 54: 유입부
55: 유입공간 56: 연결공
57: 저장탱크 58: 지지프레임
59: 회전롤러 60: 오일회수통
70: 동력전달부 72: 제1스프라켓
74: 제2스프라켓 76: 연결체인

Claims (5)

  1.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압축롤러부;
    오일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오일제거펜스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의 사이로 이동되어 압축이 이루어지는 복합펜스부; 및
    상기 압축롤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복합펜스부로 유화제를 분사하는 유화제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펜스부는, 상기 오일제거펜스에 접하여 설치되며, 내측에 공기가 충진되는 부상펜스; 및
    상기 부상펜스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을 구비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롤러부는, 상기 구동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같이 회전되며, 상기 걸림홈에 맞물려서 상기 복합펜스부를 견인하는 견인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분사부는, 상기 복합펜스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화제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공을 구비하는 공급파이프;
    상기 구동롤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공급파이프와 연통되는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와 연통되는 유입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으로 상기 유화제가 이동되는 연결공을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 공급되는 상기 유화제가 저장되며, 상기 연결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 및 상기 유입부는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KR1020120020609A 2012-02-28 2012-02-28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KR10136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09A KR101368278B1 (ko) 2012-02-28 2012-02-28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09A KR101368278B1 (ko) 2012-02-28 2012-02-28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00A KR20130098800A (ko) 2013-09-05
KR101368278B1 true KR101368278B1 (ko) 2014-02-28

Family

ID=4945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609A KR101368278B1 (ko) 2012-02-28 2012-02-28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2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817Y1 (ko) * 1997-12-19 1999-12-15 박이동 오일팬스 권취기
JP2000328548A (ja) * 1999-05-18 2000-11-28 Bridgestone Corp オイルフェンス
KR20080007303A (ko) * 2007-12-31 2008-01-18 이선희 유류오염 제거기능을 가지는 청소선
KR20090061711A (ko) * 2007-12-12 2009-06-17 옥은호 해양 오염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817Y1 (ko) * 1997-12-19 1999-12-15 박이동 오일팬스 권취기
JP2000328548A (ja) * 1999-05-18 2000-11-28 Bridgestone Corp オイルフェンス
KR20090061711A (ko) * 2007-12-12 2009-06-17 옥은호 해양 오염 제거 장치
KR20080007303A (ko) * 2007-12-31 2008-01-18 이선희 유류오염 제거기능을 가지는 청소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00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1504A1 (en) Transporting and installing flexible pipe
CN206049984U (zh) 基于主动离心流作用的浮标船锚缆缠绕物清除装置
CN105121273A (zh) 船只拆解装置及其方法
JP2016514778A (ja) 海底垂直ホイス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027586A (ko) 선저청소로봇의 진회수장치
CN103863525B (zh) 一种全自动河道保洁船及其使用方法
CN107938725A (zh) 一种地下综合管廊巡检机器人升降平台及其控制方法
KR101368278B1 (ko) 수상용 오일펜스장치
KR100613131B1 (ko) 지반 조사용 콘 관입장치
KR20150047972A (ko) 해양부유물쓰레기 수거용 처리장치
CN208009499U (zh) 一种地下综合管廊巡检机器人升降平台
CN103866767A (zh) 一种深水液压打桩锤
CN106956757A (zh) 主动捕捉自治式潜器的套索装置
CN116631666A (zh) 一种水下转运系统
CN106477398B (zh) 一种胶带拆装车
KR101505707B1 (ko) 물질 복원 및 분리 컨테이너
CN105042185A (zh) 一种用于海底管道悬跨治理的液压推进式自动铺袋装置
WO2018234551A1 (en) DISMANTLING OF INFRASTRUCTURE PIPING OF OIL WELLS
JP2006088980A (ja) 深層水取水装置
CN102986809A (zh) 一种羊刨毛机
KR101471377B1 (ko) 선박의 제팅수 자동공급시스템
CN107010556B (zh) Rov用水下铺缆绞车
CN206087206U (zh) 水污染处理船
CN204662536U (zh) 一种吸泥船吸泥装置
CN110402317A (zh) 用于处理、储存和运输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