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064B1 - 자세 교정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064B1
KR101368064B1 KR1020120067449A KR20120067449A KR101368064B1 KR 101368064 B1 KR101368064 B1 KR 101368064B1 KR 1020120067449 A KR1020120067449 A KR 1020120067449A KR 20120067449 A KR20120067449 A KR 20120067449A KR 101368064 B1 KR101368064 B1 KR 10136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mounting plate
chest
che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080A (ko
Inventor
정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각을가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각을가치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각을가치로
Priority to KR102012006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0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5Supplementary support fixed on the edge of a desk or tabl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자세 교정용 테이블은 몸체, 장착판 및 가슴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부위에 장착홈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은 상기 장착홈과 대응되는 모양을 가지면서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다. 상기 가슴 지지부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 장착판의 노출된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테이블{TABLE FOR CORRECTING ATTITUDE}
본 발명은 자세 교정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아서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여 허리 및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공부 또는 업무를 의자에 앉은 상태로 테이블에서 수행하고 있다. 이때, 학생 또는 직장인과 같은 테이블 사용자들은 의자에 기대어 앉거나, 테이블 쪽으로 상체를 구부려서 수행하고 있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상체의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수험생과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는 착석 시간이 점차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허리가 결리거나 척추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여 팔에 힘이 들어가게 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되면 팔의 힘이 손으로 전달되어 글쓰기 등 불안한 자세가 발생함으로써 집중 불안 및 신체의 피로가 쌓이게 되어 사용자가 의자에서 오랜 시간을 버티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앉아서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세 교정용 테이블은 몸체, 장착판 및 가슴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부위에 장착홈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은 상기 장착홈과 대응되는 모양을 가지면서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다. 상기 가슴 지지부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장착판의 노출된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슴 지지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장착판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일측에서 상기 장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판 및 상기 일측에서 상기 체결판과 연결되어 상기 가슴 지지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체결판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홀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상기 가슴 지지부는 상기 체결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를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체결판들은 상기 제2 체결판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판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회전부, 및 상기 제2 체결판의 노출된 일면에 상기 회전하는 회전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 연결된 제1 및 제2 체결판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슴 지지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노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체결판이 접혀졌을 때 상기 가슴 지지부를 감싸서 고정하도록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착판은 상기 일측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및 제3 측들에서 상기 상판과 회전 돌기와 회전홈의 결합을 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의 일측 또는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제4 측은
상기 상판과 고정 돌기와 고정홈의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회전홈은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하부면에 상기 장착판이 회전하는 궤도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판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착판은 상기 가슴 지지부가 체결된 위치의 양 옆에서 상기 일측보다 높은 단차를 가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착판은 상기 가슴 지지부가 체결된 위치의 양 옆에서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의 팔에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팔 받침부에 장착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특징에 따른 자세 교정용 테이블은 몸체, 레일부 및 가슴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일측 부위로부터 에지 부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슴 지지부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부에 체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자세 교정용 테이블은 몸체 및 가슴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가슴 지지부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상판의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일측에서 상기 상판을 클램핑하는 체결부를 통해 상기 상판에 체결된다.
이러한 자세 교정용 테이블에 따르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을 테이블의 장착판에 체결된 가슴 지지부를 통해서 견고하게 지지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및 허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피로감을 저하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슴 지지부가 체결된 장착판을 테이블과 같이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도록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테이블의 상품 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테이블의 장착판과 가슴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들은 도 2에 도시된 가슴 지지부가 접혀지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들은 도 2에 도시된 장착판이 회전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d에 도시된 장착판이 회전한 상태에서 테이블 상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Ⅰ-Ⅰ'부분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판의 하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판 부분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가슴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가슴 지지부 부분을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Ⅱ-Ⅱ'부분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테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테이블의 장착판과 가슴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0)은 몸체(100), 장착판(400) 및 가슴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자와 셋트로 구성된 책상의 기본적인 구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0)는 실질적으로 공부 또는 업무가 수행되는 상판(210) 및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 높이 정도로 상기 상판(210)을 지지하는 다리(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판(210)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부위에 장착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10)은 도 2에 나타나듯이 안쪽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예컨대 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300)는 상기 상판(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210)의 양 에지 부위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400)은 상기 상판(210)의 장착홈(210)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판(400)은 상기 장착홈(210)과 동일한 모양으로 장착되어 상기 장착홈(210)에 의한 빈 공간을 채워준다. 이러한 장착판(400)은 상기 상판(210)과 유사한 재질과 색상으로 제작하여 외관상 쉽게 구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디자인 측면에서 일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장착판(400)은 상기 상판(210)과 다른 색상으로 제작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슴 지지부(500)는 상기 장착홈(210)에 장착된 장착판(400)의 노출된 일측(410)에 체결된다. 상기 가슴 지지부(500)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아서 사용자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가슴 지지부(500)는 사용자의 가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력을 갖는 스폰지, 메모리폼, 우레탄폼 또는 라텍스(latex)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을 상기 테이블(1000)의 장착판(400)에 체결된 가슴 지지부(500)를 통해서 견고하게 지지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및 허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피로감을 저하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 지지부(500)가 체결된 장착판(400)을 테이블(1000)과 같이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도록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테이블(1000)의 상품 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가슴 지지부(500)의 구체적인 구조와 이에 따라 접혀지는 방식에 대해서 도 3a 내지 도 3c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 내지 도 3b들은 도 2에 도시된 가슴 지지부가 접혀지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가슴 지지부(500)는 체결부재(600)를 통해 상기 장착판(400)에 체결된다. 이에, 상기 체결부재(600)는 제1 체결판(610) 및 제2 체결판(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판(610)은 상기 일측(410)에서 상기 장착판(4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체결판(610)은 실질적으로 상기 장착판(400)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체결판(610)은 상기 일측(410)에 대응되는 측변이 상기 일측(410)의 모서리와 일치되도록 상기 장착판(4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체결판(620)은 상기 장착판(400)의 일측(410)에서 상기 제1 체결판(610)과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2 체결판(62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체결판(610)의 상기 일측(410) 모서리에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체결판(620)의 상기 장착판(400)과 반대되는 면에는 상기 가슴 지지부(500)가 체결된다. 상기 제2 체결판(620)의 중앙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체결홀(6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슴 지지부(500)는 상기 체결홀(622)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630)를 통해 그 높이가 조절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630)는 일 예로, 상기 가슴 지지부(500)를 나사 고정시키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판(620)은 상기 제1 체결판(610)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체결판(610)의 측변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가슴 지지부(500)가 불필요시 상기 제2 체결판(620)을 상기 제1 체결판(610)으로 접어서 상기 장착판(400)의 일측(410)을 전체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체결부재(600)는 상기 힌지 연결된 제1 및 제2 체결판(610, 620)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부(640)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치(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40)는 상기 제1 체결판(610)의 일측(410)과 대향하는 위치, 구체적으로 상기 측변과 대향하는 제2 측(420)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고정 노치(650)는 상기 제2 체결판(620)의 노출된 일면, 즉 상기 제2 체결판(620)이 상기 제1 체결판(610)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제2 체결판(620)의 상기 제1 체결판(610)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회전하는 회전부(640)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체결판(610)에 힌지 연결된 회전부(640)를 상기 제2 체결판(620)에 형성된 고정 노치(650)에 결합시켜 상기 회전부(640)가 상기 제2 체결판(620)을 고정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체결판(610, 620)들의 위치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600)는 사용자의 앉은 키에 따라 상기 장착판(400)과 정확하게 수직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슴 지지부(500)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체결판(620)에 상기 고정 노치(650)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체결부재(600)의 구조를 통해서 상기 가슴 지지부(500)가 접혀지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체결판(620)이 상기 제1 체결판(610)과 수직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부(640)를 상기 고정 노치(650)에 결합시켜 상기 가슴 지지부(500)에 의해서 사용자의 자세가 교정되도록 한다.
이어,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부(640)를 상기 고정 노치(65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2 체결판(620)을 상기 제1 체결판(610)을 향하여 접는다. 이어, 도 3c에서와 같이 상기 가슴 지지부(500)가 상기 장착판(400)의 상부에 완전히 접혀지도록 상기 제2 체결판(620)을 상기 제1 체결판(610)에 완전히 접는다. 이어, 상기 회전부(640)를 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장착판(400)의 상부로 접혀진 가슴 지지부(500)를 감싸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640)가 상기 가슴 지지부(5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슴 지지부(500)에 걸림턱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 형태의 회전부(640)는 상기 걸림턱 부분에 걸리도록 단부가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접혀진 가슴 지지부(50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1000) 사용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접혀진 가슴 지지부(500)를 상기 상판(210)의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착판(400)을 회전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도 4a 내지 도 4d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a 내지 도 4d들은 도 2에 도시된 장착판이 회전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장착판(400)은 상기 장착판(400)의 일측(410)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및 제3 측(420, 430)들에 회전 돌기(450)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210)의 장착홈(210) 안쪽의 상기 회전 돌기(450)들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회전 돌기(450)들과 결합되는 회전홈(220)들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장착판(400)은 상기 회전 돌기(450)들과 상기 회전홈(220)들이 결합된 구조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돌기(450)들은 일직선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돌기(450)들이 상기 장착판(400)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220)들이 상기 상판(21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이들은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와 같이 상기 장착판(400)이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장착판(400)을 상기 상판(210)과 같이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장착판(400)을 상기 상판(210)과 평행한 상태에서 고정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상기 상판(210)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판(400)의 일측(410)과 대향하는 제4 측(440)에는 고정홈(460)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210)의 장착홈(210) 안쪽의 상기 제4 측(440)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고정홈(460)과 결합되는 고정 돌기(230)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장착판(400)을 상기 상판(210)과 평행한 상태일 때 상기 고정홈(460)을 상기 고정 돌기(230) 방향으로 밀어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착판(4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460)과 상기 고정 돌기(230)는 상기 장착판(400)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므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홈(460)이 상기 장착판(40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230)가 상기 상판(21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이들은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460)이 상기 고정 돌기(23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착판(400)을 밀 때 상기 회전 돌기(450)들과 상기 회전홈(220)들의 결합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홈(220)은 상기 장착판(400)을 미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필요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홈(460)을 상기 고정 돌기(230)에 결합시킬 때 통상 상기 장착판(40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홈(220)들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상기 장착판(400)이 회전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도 4a 에서와 같이 상기 가슴 지지부(500)를 상기 장착판(400)의 상부로 접어둔 상태에서 상기 장착판(400)을 상기 상판(210)에 상기 고정홈(460)을 상기 고정 돌기(230)에 결합시켜 고정해 둔다.
이어,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홈(460)을 상기 고정 돌기(2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착판(40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판(400)을 상기 회전 돌기(45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어,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판(400)이 180ㅀ회전하여 상기 가슴 지지부(500)를 상기 상판(210)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장착판(400)의 일측(410)에는 회전한 상태, 즉 뒤집어진 상태 그대로 상기 상판(2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돌기(230)에 결합되는 제2 고정홈(470)이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뒤집어진 장착판(400)을 상기 제2 고정홈(470)이 상기 고정 돌기(230)에 결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상판(21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슴 지지부(500)를 상기 상판(210)의 상부로 접은 다음 상기 장착판(400)을 회전시켜 상기 상판(210)의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운반하는 경우 또는 상기 가슴 지지부(5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가슴 지지부(500)에 의한 불편한 요소를 제거시킴으로써, 사용상 편의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회전 가능한 장착판(4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4d에 도시된 장착판이 회전한 상태에서 테이블 상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상판(210)은 하부면에 상기 장착판(400)이 회전하는 궤도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판(400)을 정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240)는 상기 장착판(400)이 장착된 상판(210)을 사용자가 사용할 때 팔이 받쳐지는 상기 장착판(400)의 일측(41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는, 상기 장착판(400)이 상기 일측(410) 또는 상기 제4 측(440)에서 상기 상판(210)과 상기 고정홈(460) 또는 상기 제2 고정홈(470)과 상기 고정 돌기(2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어도 사용자 팔의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장착판(400)이 임의적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상기 스토퍼(240)는 상기 장착판(400)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착판(400)의 제2 및 제3 측(420, 430)들과 인접한 위치에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40)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210)의 하부면에 상기 장착판(400)이 회전하는 궤도 영역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토퍼(240)는 상기 상판(210)의 하부면에 일부가 상기 궤도 영역으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레일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의 팔을 상기 장착판(400)에 보다 편안하게 받칠 수 있는 상기 장착판(400)의 구조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도 5의 Ⅰ-Ⅰ'부분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장착판(400)은 상기 가슴 지지부(500)가 체결된 위치의 양 옆에서 상기 일측(410)보다 높은 단차를 가지면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480)를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가슴을 상기 가슴 지지부(500)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양 팔의 팔꿈치를 다른 부위보다 두꺼우면서 넓게 형성된 상기 팔 받침부(480)에 받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느낌을 받아 피로감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팔 받침부(480)는 상기 일측(410)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판(400)을 뒤집었을 경우 상기 돌출된 팔 받침부(4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210)의 고정 돌기(230) 아랫 부분이 상기 팔 받침부(480)의 돌출된 길이만큼 더 안쪽으로 절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판의 사용자 팔을 받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판(700)은 상기 가슴 지지부(500)가 체결된 위치의 양 옆에서 상기 일측(710)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팔 받침부(720)에는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패드(7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730)는 일 예로, 완충력이 매우 우수한 스폰지, 우레탄폼 또는 라텍스(latex)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730)는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불필요하게 너무 두껍지 않도록 약 5 내지 15㎜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약 10㎜ 두께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가슴을 상기 가슴 지지부(500)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양 팔의 팔꿈치를 상기 완충력이 우수한 완충패드(730)에 받침으로써, 보다 편안한 느낌으로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1000)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예컨대, PC를 업무 또는 게임 등의 이유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손가락과 팔목의 반복적인 사용이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는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판의 하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판 부분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가슴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100)은 몸체(800), 레일부(830) 및 가슴 지지부(86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800)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자와 셋트로 구성된 책상의 기본적인 구로써, 공부 또는 업무가 수행되는 상판(810) 및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 높이 정도로 상기 상판(810)을 지지하는 다리(82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830)는 상기 상판(810)의 하면에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일측 부위로부터 에지 부위로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부(830)는 상기 상판(810) 하면의 일측에서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이 맞닿는 중심 부위로부터 에지 영역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슴 지지부(860)는 상기 레일부(830)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부(83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슴 지지부(860)는 상기 레일부(83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832)에 삽입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862)를 통해 상기 레일부(8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결합부(862)는 상기 레일홈(832)에 체결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넥(neck) 형상의 걸림부(86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슴 지지부(860)가 상기 레일부(830)의 레일홈(832)에 삽입 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상기 가슴 지지부(860)와 상기 레일부(830)는 LM 베어링과 같이 롤러 슬라이딩 구조로 체결되어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 지지부(860)는 상기 레일홈(832)에 삽입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862)의 안쪽에 상기의 롤러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슴 지지부(860)를 상기 레일부(830)를 따라 상기 상판(810) 일측의 중심 부위로 이동시키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가슴 지지부(860)가 사용자의 가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사용자의 척추 및 허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상판(810) 일측의 중심 부위는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테이블(1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운반하거나 장시간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가슴 지지부(860)를 상기 레일부(830)를 따라 상기 상판(810) 일측의 에지 부위에 이동시켜 상기 가슴 지지부(86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가슴 지지부 부분을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Ⅱ-Ⅱ'부분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200)은 몸체(900) 및 가슴 지지부(9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900)는 사용자가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상판(910) 및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 높이 정도로 상기 상판(910)을 지지하는 다리(9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900)는 실질적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의 몸체(도 9의 8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슴 지지부(950)는 상기 상판(910)의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일측에서 상기 상판(910)을 클램핑하는 체결부(960)를 통해 상기 상판(910)에 체결되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가슴 지지부(950)가 상기 체결부(960)를 통해서 상기 상판(910)에 체결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상판(910)의 상기 체결부(960)가 클램핑되는 부위에 상기 상판(910)을 관통하는 관통홀(9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960)는 상기 가슴 지지부(95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912)에 관통되는 나사부(962) 및 상기 상판(910)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나사부(96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9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슴 지지부(950)는 상기 관통홀(912)에 상기 나사부(962)가 수직한 상태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910)의 일측에서 일부가 상기 관통홀(912)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912)의 상부에서는 상기 가슴 지지부(950)의 연장 돌출된 부분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관통홀(912)의 하부에서는 상기 나사 결합부(96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상판(910)을 클램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슴 지지부(950)는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기 위하여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클램핑을 위하여 상기 체결부(960)는 상기 관통홀(912)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나사부(962)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 결합부(9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 지지부(950)는 상기 테이블(12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운반하거나 장시간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체결부(960)의 나사 결합부(964) 또는 제2 나사 결합부(966)를 풀어서 상기 상판(910)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960)가 상기 상판(910)을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하여 클램핑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상기 체결부(960)는 탄성체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상판(910)을 클램핑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800, 900 : 몸체 200, 810, 910 : 상판
210 : 장착홈 300, 820, 920 : 다리
400 : 장착판 410 : 일측
500, 860, 950 : 가슴 지지부 600 : 체결부재
610 : 제1 체결판 620 : 제2 체결판
630 : 고정부 640 : 회전부
650 : 고정 노치 830 : 레일부
960 : 체결부 1000, 1100, 1200 : 테이블

Claims (15)

  1.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과 맞닿는 부위에 장착홈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장착홈과 대응되는 모양을 가지면서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판; 및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 장착판의 노출된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슴 지지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장착판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일측에서 상기 장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판; 및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제1 체결판과 연결되어 상기 가슴 지지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판들은 상기 제2 체결판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판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회전부; 및
    상기 제2 체결판의 노출된 일면에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 연결된 제1 및 제2 체결판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노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체결판이 접혀졌을 때 상기 가슴 지지부를 감싸서 고정하도록 고리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판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홀을 가지며, 상기 가슴 지지부는 상기 체결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를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슴 지지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노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상기 일측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및 제3 측들에서 상기 상판과 회전 돌기와 회전홈의 결합을 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일측 또는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제 4측은 상기 상판과 고정 돌기와 고정홈의 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회전홈은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부면에 상기 장착판이 회전하는 궤도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판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상기 가슴 지지부가 체결된 위치의 양 옆에서 상기 일측보다 높은 단차를 가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상기 가슴 지지부가 체결된 위치의 양 옆에서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팔에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팔 받침부에 장착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테이블.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67449A 2012-06-22 2012-06-22 자세 교정용 테이블 KR10136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49A KR101368064B1 (ko) 2012-06-22 2012-06-22 자세 교정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49A KR101368064B1 (ko) 2012-06-22 2012-06-22 자세 교정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80A KR20140000080A (ko) 2014-01-02
KR101368064B1 true KR101368064B1 (ko) 2014-03-13

Family

ID=5013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449A KR101368064B1 (ko) 2012-06-22 2012-06-22 자세 교정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02B1 (ko) 2014-07-30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404A (ko) * 2004-08-31 2006-03-06 이진락 책상
JP2008183338A (ja) 2007-01-31 2008-08-14 Itoki Corp テーブル類用身体支持具
KR20110002646U (ko) * 2009-09-09 2011-03-16 조종수 독서대 및 필기대를 구비한 책상
KR200460837Y1 (ko) 2012-03-16 2012-06-12 박윤호 책상용 자세 교정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404A (ko) * 2004-08-31 2006-03-06 이진락 책상
JP2008183338A (ja) 2007-01-31 2008-08-14 Itoki Corp テーブル類用身体支持具
KR20110002646U (ko) * 2009-09-09 2011-03-16 조종수 독서대 및 필기대를 구비한 책상
KR200460837Y1 (ko) 2012-03-16 2012-06-12 박윤호 책상용 자세 교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80A (ko)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41B2 (en) Tablet or laptop support cushion
CA2980612C (en) Touchscreen tablet computing device support
US5072905A (en) Wrist and forearm support apparatus
US20150208800A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attachable to desk
CN104540420A (zh) 用于保护脊椎和腰部的椅子
KR101297499B1 (ko) 자세교정장치
KR101368064B1 (ko) 자세 교정용 테이블
CN103445497A (zh) iPad床上两用折叠桌
KR200474171Y1 (ko)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CN103169279B (zh) 组合式桌椅
KR101131439B1 (ko) 서랍에 팔받침판이 연결된 사무용 책상
KR101347418B1 (ko) 자세 교정용 테이블
WO2007046827A2 (en) Adjustable armchair tray
CN210014184U (zh) 一种电脑收缩支撑架
JP2016067851A (ja) 支持具
CN202891049U (zh) 一种新型双臂腕托
KR101192590B1 (ko) 탁상용 가슴 지지대
KR101416009B1 (ko) 절곡 가능한 선형 고정장치를 구비한 독서대
KR101449665B1 (ko) 책상용 자세 교정장치
KR20110011143U (ko) 아이패드 거치장치
KR19980014268U (ko) 컴퓨터 마우스용 팔받침대
CN212171821U (zh) 一种美术教学使用的透写台
JP3138885U (ja) おでこ枕
US20040108433A1 (en) Ergonomic mouse pad support
KR20100006669U (ko) 다기능 받침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