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742B1 -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742B1
KR101367742B1 KR1020120033809A KR20120033809A KR101367742B1 KR 101367742 B1 KR101367742 B1 KR 101367742B1 KR 1020120033809 A KR1020120033809 A KR 1020120033809A KR 20120033809 A KR20120033809 A KR 20120033809A KR 101367742 B1 KR101367742 B1 KR 10136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ray
communication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724A (ko
Inventor
류하영
김동근
임성훈
정필성
Original Assignee
아스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스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74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01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portable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엑스레이 촬영이 가능한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타겟물체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한다. 단말기 연결장치는 외부의 엑스레이 발생장치에서 출사되어 타겟물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 연결장치를 휴대하고 있을 경우 어디서나 손쉽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도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AND X-RAY IMAGE TAKING SYSTEM USING THE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레이(X-Ray)는 단파장을 갖고 있어 물체를 쉽게 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엑스레이는 상기 물체 내부의 밀한 정도에 따라 투과되는 양이 결정된다. 즉, 상기 물체의 내부상태는 상기 물체를 투과한 상기 엑스레이의 투과량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측될 수 있다.
엑스레이를 통해 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엑스레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엑스레이 필름을 통한 검출방법은 필름의 저장공간이나 필름을 검색하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최근에는 디지털 엑스레이 디텍터가 새로운 엑스레이 검출장치로서 주목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엑스레이 디텍터는 엑스레이 발생장치에서 출사되어 타겟물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러한 내부 이미지를 표시장치로 전송하여 외부로 표시하거나 저장장치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테플릿(tablet) PC 등과 같은 고성능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근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운받아 내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생활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사람의 건강에 관련된 의료용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초경량 및 초박형으로 하드웨어 설계가 이루어져야만 하고, 그로 인해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엑스레이 디텍터를 내장하기에는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여 엑스레이 촬영이 가능한 단말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타겟물체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는 외부의 엑스레이 발생장치에서 출사되어 상기 타겟물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와 도킹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는 엑스레이 센싱유닛 및 단말기 도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은 상기 타겟물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단말기 도킹유닛은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도킹 결합되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 도킹유닛은 베이스 몸체부 및 커넥터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는 일측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치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 몸체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주하는 상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도킹 결합되기 위한 도킹 커넥터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 및 상기 도킹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배선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을 수용하는 센싱유닛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베이스 몸체부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과 일체화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 도킹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커넥터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단말기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몸체, 카메라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몸체는 상기 도킹 커넥터와 도킹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와 마주하는 상기 단말기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타겟물체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기 단말기 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의 촬영을 위해 상기 타겟물체로 광을 제공하는 플래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플래시부를 노출시키는 단말기 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는 서로 동기화되어 상기 외부 이미지 및 상기 내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에 통해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테플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촬영되도록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 및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말기 연결장치가 타겟물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를 휴대하고 있을 경우 어디서나 손쉽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도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타겟물체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에는 상기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함에 따라,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외부 이미지와 매칭 및 동기화시키기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중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연결장치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연결장치와 결합된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연결장치와 결합된 후 상태의 일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장치 또는 막(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또한 각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막(층)이 다른 막(층) 또는 기판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다른 막(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그들 사이에 추가적인 막(층)이 개재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중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연결장치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연결장치와 결합된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연결장치와 결합된 후 상태의 일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은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엑스레이를 촬영할 수 있는 단말기 연결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는 엑스레이 발생장치(10)에서 출사되어 타겟물체(20)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와 유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와 도킹(docking)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 몸체(110), 표시부(120), 카메라부(130) 및 플래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몸체(110)는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와 도킹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중앙 제어부, 메모리부 및 통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상을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카메라부(130)는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플래시부(140)는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면에 상기 카메라부(13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130)에서의 촬영을 위해 외부로 광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 상기 메모리부, 상기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130) 및 상기 플래시부(14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저장 및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테플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는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엑스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엑스레이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는 엑스레이 센싱유닛(210) 및 단말기 도킹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은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10)에서 출사되어 상기 타겟물체(20)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물체(20)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은 상기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센서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센서는 PIN 다이오드,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도킹유닛(220)은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도킹 결합되어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에서 생성된 상기 타겟물체(20)의 내부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 도킹유닛(220)은 베이스 몸체부(222), 커넥터 몸체부(224) 및 단말기 고정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마주하는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의 타측면에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이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의 타측면에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을 수용하기 위한 센싱유닛 수용부(222a)가 형성되어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센싱유닛 수용부(222a)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는 탈착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과 일체화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엑스레이 센싱부(210)가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의 일측면에 배치될 때, 상기 카메라부(130) 및 상기 플래시부(140)가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에는 상기 카메라부(130) 및 상기 플래시부(140)를 노출시키는 단말기 노출홀(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 노출홀(222b)은 도면과 같이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130) 및 상기 플래시부(140) 모두를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두 개 형성되어 각각이 상기 카메라부(130) 및 상기 플래시부(140)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노출홀(222b) 대신에 상기 카메라부(130) 및 상기 플래시부(140)를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의 상단부가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 몸체부(224)는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단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부(224)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커넥터 몸체부(224)의 상면에는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단부와 도킹 결합되기 위한 도킹 커넥터(224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도킹 커넥터(224a)는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도킹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몸체부(224)에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 및 상기 도킹 커넥터(224a)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배선(224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 배선(224b)은 상기 커넥터 몸체부(224)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배선(224b)은 도면과 같이 엑스레이 연결부(224c)에 의해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엑스레이 연결부(224c)는 상기 센싱유닛 수용부(222a)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의 외부 접촉부와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커넥터에 의한 도킹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 고정부(226)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 및 상기 커넥터 몸체부(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고정부(226)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222)의 상면 및 상기 커넥터 몸체부(224)의 상면을 연결하면서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몸체(110)의 하단부의 양측을 감싸도록 한 쌍이 배치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의 엑스레이 센싱유닛(210) 및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1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용자는 상기 엑스레이 촬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타겟물체(20)의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촬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촬영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중앙 제어부는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10),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 상기 카메라부(130) 및 상기 플래시부(140)를 동시에 제어한다. 즉,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10)로부터 엑스레이를 출사시켜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210)로부터 상기 타겟물체(20)의 내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플래시부(140)를 통해 광을 출사시켜 상기 카메라부(130)로부터 상기 타겟물체(20)의 외부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이미지 및 상기 내부 이미지는 서로 동기화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표시부(12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도킹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가 상기 타겟물체(20)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물체(20)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를 휴대하고 있을 경우 어디서나 손쉽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서도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타겟물체(20)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200)에는 상기 타겟물체(20)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함에 따라, 상기 타겟물체(20)의 내부 이미지를 상기 타겟물체(20)의 외부 이미지와 동기화시켜 저장 및 표시가 가능해지므로, 서로 각각 촬영하여 나중에 각각의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 등을 제거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엑스레이 발생장치 20 : 타겟물체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단말기 몸체
120 : 표시부 130 : 카메라부
140 : 플래시부 200 : 단말기 연결장치
210 : 엑스레이 센싱유닛 220 : 단말기 도킹유닛
210 : 베이스 몸체부 222a : 센싱유닛 수용부
222b : 단말기 노출홀 224 : 커넥터 몸체부
224a : 도킹 커넥터 224b : 내부 배선
224c : 엑스레이 연결부 226 : 단말기 고정부

Claims (15)

  1. 타겟물체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외부의 엑스레이 발생장치에서 출사되어 상기 타겟물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는
    서로 동기화되어 상기 외부 이미지 및 상기 내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와 도킹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는
    상기 타겟물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물체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엑스레이 센싱유닛; 및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도킹 결합되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도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도킹유닛은
    일측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치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이 배치되는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주하는 상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도킹 결합되기 위한 도킹 커넥터가 형성된 커넥터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 및 상기 도킹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배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을 수용하는 센싱유닛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는
    상기 엑스레이 센싱유닛과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도킹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커넥터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단말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도킹 커넥터와 도킹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앙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부와 마주하는 상기 단말기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타겟물체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기 단말기 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의 촬영을 위해 상기 타겟물체로 광을 제공하는 플래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플래시부를 노출시키는 단말기 노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에 통해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테플릿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촬영되도록 상기 단말기 연결장치 및 상기 엑스레이 발생장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15. 삭제
KR1020120033809A 2012-04-02 2012-04-02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KR10136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09A KR101367742B1 (ko) 2012-04-02 2012-04-02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09A KR101367742B1 (ko) 2012-04-02 2012-04-02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724A KR20130111724A (ko) 2013-10-11
KR101367742B1 true KR101367742B1 (ko) 2014-02-27

Family

ID=4963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809A KR101367742B1 (ko) 2012-04-02 2012-04-02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7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154A (ko) * 2004-10-05 2006-04-10 인태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엑스레이 영상의 송수신 시스템
KR20100109734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전기연구원 휴대용 x선 영상장치 및 그 영상 수집방법
KR20100116743A (ko) * 2009-04-23 2010-11-02 (주)세현 휴대용 엑스레이 검출장치
KR20120028852A (ko) *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바텍 휴대용 엑스레이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레이 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154A (ko) * 2004-10-05 2006-04-10 인태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엑스레이 영상의 송수신 시스템
KR20100109734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전기연구원 휴대용 x선 영상장치 및 그 영상 수집방법
KR20100116743A (ko) * 2009-04-23 2010-11-02 (주)세현 휴대용 엑스레이 검출장치
KR20120028852A (ko) *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바텍 휴대용 엑스레이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레이 촬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724A (ko) 201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583B2 (en) System for mobile device with detachable camera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297264B2 (en)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9721346B2 (en) Image assessment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3-dimensional measuring and capturing of image pair range
KR10137793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JP6244061B2 (ja) 距離画像取得装置及び距離画像取得方法
TW201320631A (zh) 具可卸式相機模組之行動裝置
US20150029350A1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KR101395354B1 (ko) 파노라마 카메라
CN105379243A (zh) 便携式相机扩展坞
TWM542158U (zh) 攝影系統及裝置
TWI446089B (zh) 鏡頭擴充座
KR20170101732A (ko) 광학 줌 기능을 지닌 전자펜 장치
TWI514307B (zh) 放大鏡裝置、資訊傳輸中繼裝置與遠端照護系統
KR20200027276A (ko) 관심 영역을 통해 움직이는 외부 객체에 대해 프레임 레이트를 제어하여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367742B1 (ko) 단말기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JP6320020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72093A (ja) 撮像装置
KR101788818B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KR101238965B1 (ko) 스마트 기기 결합 카메라
WO2015103446A2 (en)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KR20130084413A (ko)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JP5548057B2 (ja) データ共有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4150810A (ja) 三次元画像計測装置
TWI527449B (zh) 相機之無線操控系統,透過控制裝置無線操控之相機,及其操控方法
JP201107806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