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413A -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413A
KR20130084413A KR1020120005182A KR20120005182A KR20130084413A KR 20130084413 A KR20130084413 A KR 20130084413A KR 1020120005182 A KR1020120005182 A KR 1020120005182A KR 20120005182 A KR20120005182 A KR 20120005182A KR 20130084413 A KR20130084413 A KR 2013008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ize
unit
guide indicat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097B1 (ko
Inventor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손가락 크기 측정부와;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할 수 있는 매크로 거리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표시기가,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와;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촬상부에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가이드 표시기와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ingerprint }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렌즈부와 결합되는 하우징 어셈블리, IR 필터와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에 내장되고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지문 인식을 시행할 경우, 지문의 융선을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선명한 이미지가 필수적이다.
즉, 선명한 이미지는 하기의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될 때 촬영이 가능하다.
첫째, 초점거리가 맞은 상태에서 촬영해야 하고, 둘째, 손가락 지문이 확대되어 인식이 용이하도록 촬영해야 한다.
이때, 상기 둘째 방법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최대 근접 촬영이 요구되며, 이미지를 촬영할 사람의 경우 어느 정도 거리에서 최적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거리 정보가 없기 때문에 여러번 시도를 해보며 초점이 맞았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 크기를 인식하는 측정부에서 인식한 손가락 사이즈에 맞는 가이드 라인을 촬영부에서 수집된 이미지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의 베스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손가락 크기 측정부와;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할 수 있는 매크로 거리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표시기가,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와;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촬상부에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가이드 표시기와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의 크기가 일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이 일치된 경우, 지문 인식을 위하여 상기 손가락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는,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는 손가락 형상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손가락 형상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와 일치되는 손가락 형상의 크기를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로 측정하는 측정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된 손가락의 압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를 일치시켜,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손가락 크기를 인식하는 측정부에서 인식한 손가락 사이즈에 맞는 가이드 라인을 촬영부에서 수집된 이미지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의 베스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표시기로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매크로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손가락의 지문을 최적의 상태에서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손가락 크기 측정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손가락 크기 측정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로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매크로 거리에 위치시키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방법의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는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손가락 크기 측정부(110)와;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할 수 있는 매크로 거리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표시기가,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20)와;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130)와;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저장부(120)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촬상부(130)에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에서 상기 가이드 표시기와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110)는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저장부(120)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촬상부(130)에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에서 상기 가이드 표시기와 합성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상기 가이드 표시기의 가이드 라인에 일치시킨 후,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표시기의 크기와 상기 손가락의 크기가 일치되는 거리가 손가락의 지문을 최적으로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최대 매크로 거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 크기를 인식하는 측정부에서 인식한 손가락 사이즈에 맞는 가이드 라인을 촬영부에서 수집된 이미지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의 베스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이드 표시기로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매크로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손가락의 지문을 최적의 상태에서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문 인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의 크기가 일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이 일치된 경우, 지문 인식을 위하여 상기 손가락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손가락 크기 측정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손가락 크기 측정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손가락 크기 측정부는 도 2a와 같이,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는 손가락 형상들(210,220,230)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손가락 형상들(210,220,230)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300)을 일치시키면, 사용자의 손가락(300) 크기와 일치되는 손가락 형상(220)의 크기를 사용자의 손가락(300) 크기로 측정하는 측정부일 수 있다.
예컨대, 지문 인식 장치는 손가락 크기별 손가락 형상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손가락 형상을 이미지 신호 처리부가 도출하고,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표시된 손가락 형상에 일치시키면,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와 일치되는 손가락 형상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손가락 크기 측정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하고, 이 가압된 손가락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인가된 압력(310)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로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매크로 거리에 위치시키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매크로 거리에 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4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기 가이드 표시기(290)의 가이드 라인에 일치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가이드 표시기(290)의 가이드 라인에 일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매크로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의 지문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4의 '250'은 상기 가이드 표시기(290)와 합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문 인식 방법은 도 5와 같이, 손가락 크기를 측정한다.(S100단계)
그 다음, 상기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110단계)
그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를 일치시켜,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한다.(S120단계)
그리고, 도 6과 같이, 손가락 크기를 측정한다.(S210단계)
이어서, 상기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220단계)
계속, 상기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한다.(S240단계)
여기서, 도 6의 방법은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가 일치되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매크로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므로, 자동으로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여, 손가락의 지문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손가락 크기 측정부와;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할 수 있는 매크로 거리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표시기가,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와;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를 상기 촬상부에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가이드 표시기와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의 크기가 일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이 일치된 경우, 지문 인식을 위하여 상기 손가락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는,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는 손가락 형상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손가락 형상들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와 일치되는 손가락 형상의 크기를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로 측정하는 측정부인 지문 인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크기 측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된 손가락의 압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인 지문 인식 장치.
  5.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를 일치시켜,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방법.

  6. 손가락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손가락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표시기를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이드 표시기에 손가락 크기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방법.












KR1020120005182A 2012-01-17 2012-01-17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93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82A KR101939097B1 (ko) 2012-01-17 2012-01-17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82A KR101939097B1 (ko) 2012-01-17 2012-01-17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413A true KR20130084413A (ko) 2013-07-25
KR101939097B1 KR101939097B1 (ko) 2019-01-16

Family

ID=4899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182A KR101939097B1 (ko) 2012-01-17 2012-01-17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777A (ko) * 2012-09-19 2014-03-27 크로스 매치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지문 스캐너를 기반으로 하여 신뢰할만한 높은 품질로 지문을 촬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79347A (ko) 2014-06-03 2014-06-26 이도훈 순차 지문 입력을 이용하는 pos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13454978A (zh) * 2018-12-26 2021-09-28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1404A (ja) * 1999-09-29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指紋認識方法と指紋認識装置
JP2006252003A (ja) * 2005-03-09 2006-09-21 Nec Infrontia Corp 指紋照合方法
KR20100127432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지문인식장치 및 그 지문 데이터 획득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1404A (ja) * 1999-09-29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指紋認識方法と指紋認識装置
JP2006252003A (ja) * 2005-03-09 2006-09-21 Nec Infrontia Corp 指紋照合方法
KR20100127432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지문인식장치 및 그 지문 데이터 획득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777A (ko) * 2012-09-19 2014-03-27 크로스 매치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지문 스캐너를 기반으로 하여 신뢰할만한 높은 품질로 지문을 촬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79347A (ko) 2014-06-03 2014-06-26 이도훈 순차 지문 입력을 이용하는 pos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13454978A (zh) * 2018-12-26 2021-09-28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CN113454978B (zh) * 2018-12-26 2023-08-18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97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4660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34359B2 (ja) 画像認証装置、画像認証方法、画像認証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電子機器
US8593534B2 (en) Auto-triggered camera self-timer based on recognition of subject's presence in scene
KR101762769B1 (ko)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799063B2 (ja) 注目位置認識装置、撮像装置、表示装置、注目位置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90804B (zh)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程式,以及測量系統
KR20140089132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물 촬영장치 및 방법
US8947552B2 (en) Method and device with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based on detection of the image
US20140368695A1 (e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060081380A (ko)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홍채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7624A (ko) 지문 입력 제시 방법 및 장치
US9197818B2 (en) Imaging apparatus
US20110267529A1 (en) Imaging apparatus
EP3761627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7333823B2 (ja) 携帯機器向け携帯機器アクセサリを使用および位置合わせするため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60411A (ko) 피사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영 장치.
US20110273604A1 (en) Imaging apparatus
KR101939097B1 (ko)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JP5601142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39183A (ko) 정맥인식이 가능한 손목용 웨어러블 장치
KR2019008578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WO2010058927A3 (ko) 안면 영상 촬영장치
US20140232920A1 (en) Photography guide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ing subject characteristic
US99714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eye tracking data trigger arrangement
TW201503687A (zh) 拍照控制系統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