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738B1 - 연기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738B1
KR101367738B1 KR1020120023812A KR20120023812A KR101367738B1 KR 101367738 B1 KR101367738 B1 KR 101367738B1 KR 1020120023812 A KR1020120023812 A KR 1020120023812A KR 20120023812 A KR20120023812 A KR 20120023812A KR 101367738 B1 KR101367738 B1 KR 10136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uction pipe
filtering device
inner passag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742A (ko
Inventor
박진선
Original Assignee
박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선 filed Critical 박진선
Priority to KR102012002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73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연기 흡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흡입되는 하부 흡입관, 하부 흡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개방가능한 문이 형성되어 있는 개방형 흡입관, 및 개방형 흡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연기에 포함된 기름을 거르는 거름장치를 구비하며, 거름장치의 상부는 폐쇄되어 있고, 하부 및 측부은 개방되어 있으며, 거름장치의 측부는, 거름 장치의 하부를 통해 거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내부 통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기 흡입장치의 흡입관 내부에 형성되는 기름 찌꺼기 등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연기 흡입장치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기 흡입장치{Smoke Suction Device}
본 발명은 연기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관 내부의 기름 찌거기 등을 편리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조리용 구이판의 상부에는 조리용 구이판에서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장치는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의 실내 천장 부분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메인 덕트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로스터용 연기 흡입장치의 연기 흡입관의 내부에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연기 흡입관의 내부에는 기름 등의 찌꺼기가 형성되게 되고, 이로 인해 연기 흡입장치의 연기 흡입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연기 흡입장치로 흡입되는 연기의 열기로 인해 연기 흡입장치가 과열되어 화재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관 내부의 기름 찌거기 등을 편리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연기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는, 조리대에 설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기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흡입되는 하부 흡입관; 상기 하부 흡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개방가능한 문이 형성되어 있는 개방형 흡입관; 및 상기 개방형 흡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연기에 포함된 기름을 거르는 거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장치의 상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장치의 측부는, 상기 거름 장치의 하부를 통해 상기 거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연기가 통과되는 내부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름장치는, 상기 거름장치의 하부를 통해 상기 거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상기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내부 통로를 통과한 연기가 상기 거름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기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 통로를 통과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거름장치의 측부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측면 부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측면 부재가 적층됨에 따라, 상기 거름장치의 측부에는, 상기 유입구, 상기 내부 통로, 및 상기 유출구로 이루어지는 연기 배출 구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장치의 상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하부 및 측부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장치의 측부는, 상기 거름 장치의 하부를 통해 상기 거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장치는, 상기 거름장치의 하부를 통해 상기 거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상기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내부 통로로 유입된 연기가 상기 거름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 장치는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는, 조리대에 설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수분이나 기름 등을 포함한 연기를 흡입관을 통해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기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의 양을 조절하는 회동판; 및 상기 흡입관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판의 회동 정도를 조절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판과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입되는 연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끊어지는 휴즈(Fus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가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회동판이 상기 흡입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회동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회동판이 설치된 위치의 상부 측면에 개방가능한 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의 측면에는 조명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기 흡입장치의 흡입관 내부에 형성되는 기름 찌꺼기 등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연기 흡입장치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의 외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거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서의 거름장치의 내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의 하부 흡입관에 설치된 연기량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연기량 조절장치의 회동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는 하부 흡입관(100), 개방형 흡입관(200), 및 상부 흡입관(300)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흡입관(100)은 이동형 흡입관(50)을 통해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게 되며, 하부 흡입관(100)의 상부에 연속하여 결합되어 있는 개방형 흡입관(200)에는 측면에 개방가능한 문(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흡입관(300)은 개방형 흡입관(200)의 상부에 연속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 흡입관(100)을 통해 흡입된 연기는 개방형 흡입관(200)을 거친 후에 상부 흡입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개방형 흡입관(200)의 양쪽 측면에는 조명틀(2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조명틀(250)에는 조명기구(230)가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서의 연기 흡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리대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이 조명을 받게 되어, 조리되는 음식물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조명틀(250) 및 조명기구(230)는 상부 흡입관(300) 또는 하부 흡입관(10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개방형 흡입관(200)의 내부에는 흡입된 연기에 포함된 기름을 거르기 위한 거름장치(2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의 거름장치(270)는 도 1에서의 개방형 흡입관(200)의 측면에 형성된 문(210)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개방형 흡입관(200)의 측면에 형성된 문(210)을 통해 거름장치(270)를 분리해낸 후에 거름장치(270)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거름장치(270)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면과 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면서, 상면은 폐쇄된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흡입된 연기에 포함된 기름을 거르기 위해 거름장치(270)의 측부에는 상기 거름장치(270)의 하부를 통해 상기 거름장치(270)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복수개의 내부 통로(275)가 구비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거름장치(270)의 측부의 안쪽 면에는, 거름 장치(270)의 내부로 유입되어 폐쇄된 상면(271)으로 배출되지 못한 연기가 거름장치(270)의 측부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 통로(275)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복수개의 유입구(2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름장치(270)의 측부의 바깥쪽 면에는, 내부 통로(275)로 유입된 연기가 거름장치(27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복수개의 배출구(277)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거름장치(270)의 하면을 통해 거름장치(270) 내부로 들어온 연기는 폐쇄된 상면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거름장치(270)의 측부의 각 유입구(273)를 통해 각 유입구(273)에 연결된 내부 통로(275)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내부 통로(275)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는 내부 통로(27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내부 통로(275)를 통과하는 연기의 유속이 감소하게 되면, 연기에 포함된 기름 입자는 내부 통로(275)의 벽면에 침착됨으로써 걸러지게 되며, 기름 입자가 걸러진 연기는 거름장치(270)의 측부의 유출구(277)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거름장치(270)의 측부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측면 부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의 측면 부재가 적층됨에 따라, 거름장치(270)의 측부에는, 유입구(273), 내부 통로(275), 및 유출구(277)로 이루어지는 연기 배출 구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유출구(277)를 통해 빠져나간 연기는 개방형 흡입관(200)의 상부로 이동한 후 상부 흡입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연기 흡입장치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거름장치(270)의 내부 통로(275)에는 기름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거름장치(270)가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기 흡입장치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화재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도 1에서의 문(210)을 개방하고, 거름장치(270)를 빼낸 후에 거름장치(270)의 내부 통로(275)를 청소하거나 교체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거름장치(270)는 도 2에서와 같은 상향식 연기 흡입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하향식 연기 흡입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도 3에서의 거름장치(270)는 상하가 역전된 상태에서 설치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거름장치(270)는 도 3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도 4에서와 같이 상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원뿔대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은 원뿔대 형상의 거름장치(270)가 도 2에서의 개방형 흡입관(200)의 내부에 설치되면, 거름장치(270)의 상부로 갈수록 개방향 흡입관(200)내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므로, 유출구(277)를 통해 유출된 연기가 적체되지 않고, 유출구(277)를 통해 빠져나간 연기가 개방형 흡입관(200)의 상부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되어 상부 흡입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의 하부 흡입관에 설치된 연기량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연기량 조절장치는 하부 흡입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연기량 조절장치는 회동판(110), 및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회동판(110)은 도 6에서와 같이 하부 흡입관(100)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으로 설치된 원형판으로서,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하부 흡입관(100) 내부에서 회전을 함으로써, 하부 흡입관(100) 내부를 폐쇄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흡입관을 토해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부(130)는 하부 흡입관(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흡입관(10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130)는 연결부(150)를 통해 회동판(110)의 일측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손잡이부(130)와 연결부(15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회동판(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6의 (a)에서와 같이 하부 흡입관(100)의 내부가 개방되게 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30)를 잡아당기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회동판(110)의 회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하부 흡입관(100)을 통과하는 연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손잡이부(130)를 원하는 만큼 잡아당긴 후에 조임부(135)를 통해 손잡이부(130)의 이동을 고정함으로써 하부 흡입관(100)의 연기의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하부 흡입관(100)의 내부로 밀어 넣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30)와 연결부(15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회동판(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6의 (b)에서와 같이 하부 흡입관(100)의 내부가 폐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손잡이부(130)와 회동판(110)을 연결하는 연결부(150)는 휴즈(Fuse)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하부 흡입관(100) 내부의 온도가 흡입된 연기에 의해서 소정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휴즈로 제작된 연결부(150)가 끊어지게 되고, 연결부(150)가 끊어지게 되면 회동판(110)은 손잡이부(13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회동판(110)의 타측에 연결 설치된 용수철 등의 탄성부재(17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동판(110)이 흡입관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기 흡입장치에는 추가의 연기가 흡입되지 않게 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회동판(110)이 수평으로 위치하여 흡입관을 폐쇄한 상태에서 더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부 흡입관(100)의 내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은 고정쇠(1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기 흡입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도 2에서의 거름장치(270) 뿐만 아니라, 도 5에서의 연기량 조절장치에도 기름 등의 찌꺼기가 쌓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연기량 조절장치의 회동판(110)이 회전되지 않는 등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와 함께 쌓여진 기름 찌꺼기로 인한 발화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연기 흡입장치가 설치된 하부 흡입관(100)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형 흡입관(200)에 구비된 문(210)을 통해 연기량 조절장치의 회동판(110) 등의 부품을 청소 및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개방형 흡입관(200)에 형성된 문(210)을 열어 거름 장치를 꺼낸 상태에서 하부 흡입관(100)의 내부에 설치된 연기량 조절장치의 회동판(110) 등의 부품을 정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5에서의 연기량 조절장치는 하부 흡입관(100)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연기 흡입장치의 설치환경에 따라 상부 흡입관(30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하부 흡입관, 110: 회동판
115: 회동축, 130: 손잡이부
150: 연결부, 200: 개방형 흡입관
210: 문, 250: 조명틀
230: 조명기구, 270: 거름장치,
271: 상부, 273: 유입구,
275: 내부 통로, 277: 유출구,
300: 상부 흡입관.

Claims (5)

  1. 조리대에 설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기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흡입되는 하부 흡입관;
    상기 하부 흡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개방가능한 문이 형성되어 있는 개방형 흡입관; 및
    상기 개방형 흡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연기에 포함된 기름을 거르는 거름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장치의 상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장치의 측부는,
    상기 거름 장치의 하부를 통해 상기 거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연기가 통과되는 내부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름장치는,
    상기 거름장치의 하부를 통해 상기 거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상기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내부 통로를 통과한 연기가 상기 거름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기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 통로를 통과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거름장치의 측부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측면 부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측면 부재가 적층됨에 따라, 상기 거름장치의 측부에는, 상기 유입구, 상기 내부 통로, 및 상기 유출구로 이루어지는 연기 배출 구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인 연기 흡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23812A 2012-03-08 2012-03-08 연기 흡입장치 KR10136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12A KR101367738B1 (ko) 2012-03-08 2012-03-08 연기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12A KR101367738B1 (ko) 2012-03-08 2012-03-08 연기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42A KR20130102742A (ko) 2013-09-23
KR101367738B1 true KR101367738B1 (ko) 2014-02-27

Family

ID=4945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812A KR101367738B1 (ko) 2012-03-08 2012-03-08 연기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7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250Y1 (ko) * 2003-06-25 2003-09-13 강정희 로스터용 배기덕트의 흡기구 구조
KR20100040816A (ko) * 2010-03-08 2010-04-21 박진선 연기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250Y1 (ko) * 2003-06-25 2003-09-13 강정희 로스터용 배기덕트의 흡기구 구조
KR20100040816A (ko) * 2010-03-08 2010-04-21 박진선 연기 흡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42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3159B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US20120204855A1 (en) Cooking Device with Ventilation and Filtration System
KR102109966B1 (ko) 직, 간접 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구이기
KR101614105B1 (ko) 공기정화 및 순환기능을 갖는 직화 구이장치
KR101478038B1 (ko) 무연 그릴
US20100051010A1 (en) Recirculating, self-contained ventilation system
KR100845577B1 (ko) 보조덕트가 구비된 레인지후드
EP3380791B1 (en) A hood for domestic use
KR101061455B1 (ko) 연기 흡입장치
KR101490985B1 (ko) 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
KR20060087209A (ko) 조리기구용 배기시스템
JP2011112251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102000918B1 (ko)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KR101367738B1 (ko) 연기 흡입장치
KR20190103568A (ko) 배연기능이 향상된 배기장치
JP5215694B2 (ja) ダクト閉塞装置及び此を備えた無煙ロースター
US11060736B2 (en) Mobile recirculation grill with variable fan drive
KR20170136286A (ko) 이동식 후드장치
KR20220157703A (ko) 포터블 후드
KR20110102249A (ko) 연기 흡입장치
JP5009685B2 (ja) レンジフード
WO2005003640A1 (ja) フィルタを内蔵したレンジフード用ファン
KR102199327B1 (ko) 에어커튼식 조리용 가열기구 테이블
CN207865485U (zh) 一种烤炉用排油烟罩
KR20120008469U (ko) 렌지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