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377B1 -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 Google Patents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377B1
KR101367377B1 KR1020110075186A KR20110075186A KR101367377B1 KR 101367377 B1 KR101367377 B1 KR 101367377B1 KR 1020110075186 A KR1020110075186 A KR 1020110075186A KR 20110075186 A KR20110075186 A KR 20110075186A KR 101367377 B1 KR101367377 B1 KR 10136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ermentation
building
tea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498A (ko
Inventor
마승진
손영란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발효차 제조를 위해 찻잎을 발효 및 숙성시키기 위한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상에 세워지는 건물, 상기 건물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기밀 가능한 발효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개방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발효되는 찻잎이 올려지는 선반이 복수의 층을 이루고 있고, 상기 선반들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발효공간의 중앙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거치대, 상기 하우징의 천장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외선 조사가 가능한 살균램프, 발효공간의 천장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천장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주입홀을 통하여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공간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온기를 포함하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APPARATUS FOR MICROBIAL FERMENTED TEA}
본 발명은 미생물발효차 제조를 위해 찻잎을 발효 및 숙성시키기 위한 시설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56546호에서는 녹차의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 작용, 콜레스트롤 저감 작용, 충치예방 및 구치예방 작용 등 우리 몸에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강 식음료로 알려진 녹차는 색상, 향기, 맛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분류되며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녹차 외에도 오랜 기간 다양한 차가 유통되고 있으며, 그 중 우롱차, 홍차와 같은 효소 발효차와 보이차와 같은 미생물발효차가 있다. 발효차는 향과 색상이 일반 녹차와 차별될 뿐만 아니라, 맛과 효능 면에서도 녹차와는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생물발효차의 제조 방법은 보통 녹차와 같은 찻잎을 살청하는 단계, 찻잎을 비비고 말리는 단계를 거친 후 발효와 숙성의 기간을 거치게 된다. 전통적인 발효 및 숙성은 중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량으로 모은 차를 한데 모아 동굴이나 땅 속 등에 오랜 기간 보관하여, 자체 하중 및 발효열과 땅 속의 습기를 통하여 일정한 환경 속에서 숙성시키는 방법이다.
상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보통 10톤 이상의 차를 쌓아놓고 물을 뿌려 1달에서 3달 정도 발효시키고 통기가 잘되는 건조한 곳에서 숙성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3097호(공개일 2009.05.06)에서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녹차 잎을 발효시키고 숙성시키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2차 숙성 방안으로 섭씨 15도 내지 섭씨 30도를 유지하면서 일주일 가량 숙성시켜 발효차의 품질을 상승시키는 방안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3097호, 공개일 2009.05.06, 발효녹차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량의 건조된 찻잎 또는 녹차를 효과적으로 발효 및 숙성시킬 수 있게 하며, 특히 온도와 습도 등 발효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위생적인 발효차를 생산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더하여,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한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상에 세워지는 건물, 상기 건물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기밀 가능한 발효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개방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발효되는 찻잎이 올려지는 선반이 복수의 층을 이루고 있고, 상기 선반들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발효공간의 중앙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거치대, 상기 하우징의 천장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외선 조사가 가능한 살균램프, 발효공간의 천장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천장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주입홀을 통하여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공간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온기를 포함하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건물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냉각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하우징의 외벽과 지붕에 분사하는 분사배관들,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분사배관으로 유입시키는 펌프 및 상기 건물의 개방 가능한 창문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의 작동과 함께 작동되는 환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바닥에는 복수의 지지블록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블록 상에 올려져 상기 건물의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발효공간에 고정되는 프레임골조에서 상기 선반이 상기 발효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인출 가능하고, 상기 선반의 인출 길이는 하부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온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코일이 지그재그로 꼬여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전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홀에서 유입되어 상기 코일을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천장을 향하여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팬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에 저장되는 다량의 찻잎을 동시에 발효시키면서 요구되는 발효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고품질의 발효차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램프의 작용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인출식 선반은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 주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에 구비된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에 채용된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에 구비된 거치대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에 채용된 가온기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에는 지상에 세워지는 건물과 그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거치대, 살균램프, 가습기 및 가온기를 포함한다. 나아가 부가적인 구성으로 냉각수단이 더 포함된다.
도 1에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의 외형을 이루는 건물(10)이 도시되어 있다. 건물은 내부에 실내공간을 가지는 것이고 사방의 벽들과 지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벽들과 지붕은 일반적인 철골 콘크리트로 지어지는 것으로, 슬라브 구조를 갖는 것이다. 건물(10)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일반적인 건물이 구비하는 수도시설, 하수시설 등이 더 구비된다.
건물(10)의 측벽(11)에는 개방 가능한 창문(12)이 복수로 형성된다. 더하여 창문(12)에는 환풍팬(34)이 구비된다. 환풍팬(34)은 건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가 공급됨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와 팬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풍팬(34)의 구성은 일반적인 환풍기와 동일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창문과 환풍팬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복수가 구비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건물(10)의 실내에는 하우징(2)이 위치한다. 하우징(2)은 건물(10)의 측벽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기밀 가능한 발효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일면에는 개방 가능한 도어(21)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은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질 수 있다. 나아가 하기에 설명되는 냉각수단이 갖추어지지 아니한 경우에 하우징에 단열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하우징(2)의 바닥은 건물(10) 바닥과의 접촉을 최소로 하고 있다. 즉, 건물(10)의 실내 바닥에는 복수의 지지블록(13)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하우징(2)은 복수의 지지블록(13) 상에 올려져 건물(10)의 바닥과 이격된다. 이때, 지지블록(13)은 열전달률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지지블록(13)은 경질 고무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은 적어도 바닥면을 제외하고는 건물(10)과 직접 접하지 아니함에 따라 실외의 온도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지 아니하게 된다. 즉 건물과 하우징 사이의 공기가 단열재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대기의 온도변화보다 발효공간의 온도변화가 적게 된다.
더구나 건물(10)의 바닥과 하우징(2) 사이에 지지블록(13)이 더 개재되는 경우에는 지면을 통한 열전달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물의 내부에는 하우징(2)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냉각수단(3)이 구비된다. 이 냉각수단(3)은 선선한 날씨가 유지되는 계절 등 찻잎 발효 시기에 따라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냉각수단(3)은 건물(10)과 하우징(2)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된다. 냉각수단(3)은 주로 늦가을이나 초여름의 낮 시간대에 운영하여 하우징이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한 수준을 초과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냉각수단(3)은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31), 상기 저장탱크(31)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하우징(2)의 외벽과 지붕에 분사하는 분사배관들(32), 상기 저장탱크(31)의 물을 분사배관(32)으로 유입시키는 펌프(33) 및 상기 건물(10)의 개방 가능한 창문(1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33)의 작동과 함께 작동되는 환풍팬(34)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저장탱크(31)와 펌프(33)는 건물(10) 바닥에 위치된다. 그러나 충분한 설치 공간이 확보된다면, 하우징(2)의 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 밖의 별도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저장탱크 등이 건물 외곽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차양 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저장탱크는 더운 계절에 지상보다 온도가 낮은 지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저장탱크(31)의 냉각수는 펌프(33)에 의하여 가압되어 분사배관(32)으로 이동된다. 분사배관(32)은 하우징(2)의 외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분사배관에는 하우징을 향한 분사노즐이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노즐은 냉각수가 배출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배관(32)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하우징(2)에 뿌려져 하우징(2)의 외부를 적시게 된다. 흘러내린 냉각수는 건물(10)의 하수시설을 통하여 배출된다.
펌프(33)의 작동으로 하우징(2)에 뿌려진 냉각수에 의하여 하우징의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펌프(33)의 작동과 함께 환풍팬(34)이 작동하여 하우징(2)의 표면을 적신 냉각수의 신속한 증발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은 대기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에는 하우징(2)의 지붕 위에 설치된 가습기(7)가 도시되어 있다.
가습기(7)는 하우징 상부에 위치된다. 그 외에도 가습기는 건물의 내외의 다양한 공간에 설치 가능하다. 가습기(7)는 물을 수증기로 발생시키는 것으로, 필요한 물은 건물에 구비된 수도시설이나 별도의 저장탱크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가습기(7)의 가습 방식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거나, 물의 가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습기의 작동 구조는 널리 알려진 가습 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습기(7)에서 배출된 수증기는 하우징(2)의 천장에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주입홀(71)을 통해 발효공간으로 유입되어 습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하우징(2) 내부의 발효공간(22)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구성요소는 발효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발효 대상인 찻잎이 놓이는 거치대(5)는 하우징(2)의 내부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1)가 위치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면을 따라 거치대(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달리 거치대는 다양한 배치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거치대(5)가 놓이지 아니한 발효공간의 중심, 즉 하우징 바닥면의 중앙에는 가온기(6)가 놓인다. 가온기(6)는 발효공간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가온기(6)는 발효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 구체적인 가온기의 구성과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천장에는 자외선 조사가 가능한 살균램프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실시예에서 살균램프(4)는 복수로 구비된다. 이때, 살균램프(4)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램프(4)는 평면도 상에서 거치대(5)와 겹치지 아니한다. 따라서 살균램프(4)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은 거치대(5)에 적층되는 찻잎들에 가능한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도 5와 도 6에는 거치대(5)가 도시되어 있다.
거치대(5)는 하우징(2)에 고정되는 프레임골조(51)와, 상기 프레임골조(51)에 놓이며 찻잎이 올려지는 선반들(52)을 포함한다.
프레임골조(51)는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복수의 세로프레임(511)과, 상기 상하프레임들에 결합되며 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로프레임(512)을 포함한다. 가로프레임(512)이 구획한 층에는 선반(52)이 결합된다.
이때, 프레임골조(51)는 하부로 갈수록 발효공간(22)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된다. 그에 따라 가로프레임들에 결합되는 선반들(52)도 하부로 갈수록 발효공간의 중앙으로 돌출된다.
도 5에서 살균램프(4)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광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하부로 갈수록 발효공간(22)의 중앙을 향하여 선반(52)이 돌출됨에 따라 살균램프(4)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선반에 조사되는 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살균램프(4)에 의한 찻잎이나 선반(52)의 살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살균램프의 살균 작용은 숙성된 찻잎의 최종 출하 직전에 유해 세균을 제거하는 데에 주요한 것이다.
또는 살균램프에 의한 살균은 찻잎의 출하가 종료된 후 선반을 소독하는 데에 주요하다. 즉, 선반은 상하 통기가 용이하도록 짜인 소쿠리가 사용되는 것이 좋은데, 선반이 유기물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랜 숙성 기간 동안 습기를 머금어 유해 세균이 활성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된 다음에는 살균램프를 점등시켜 자외선으로 선반을 살균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때, 가능한 선반 전부에 자외선이 조사되게 하여 살균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선반(52)은 하우징(2)의 내벽과 거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내벽을 타고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진다.
도 5를 참고하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선반(52)은 프레임골조(51)에서 발효공간(22)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골조(51)에는 슬라이더(53)가 장착되고, 선반은 슬라이더(53)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53)는 프레임골조(51)에 결합하는 레일부재(531)와, 상기 레일부재(5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선반에 결합되는 활차부재(5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라이더의 구성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다양한 운동 기계 요소로 대체 가능하다.
더하여, 선반(52)의 인출 가능한 최대 길이는 거치대(5)의 하부로 갈수록 더 길어지는 것이다. 도 6에는 하부로 갈수록 더 돌출된 선반들(52)이 도시되어 있다.
거치대(5)의 하부로 갈수록 선반(52)이 더 돌출됨에 따라 살균램프(4)의 자외선이 닿는 선반의 면적이 더욱 증대한다.
또한, 작업자는 어느 한 층의 선반을 인출한 후 찻잎을 뒤집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경사져 하부가 돌출된 거치대에도 불구하고 상부의 선반에서 찻잎을 다루기가 어렵지 않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에는 가온기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7에는 실시예에 따른 가온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가온기(6) 케이스(61), 발열을 담당하는 코일(62) 및 공기를 순환시키는 배기팬(63)를 포함한다.
케이스(61)는 가온기(6)의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케이스(61)는 육면체 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61)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빈 공간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코일(62)이 구비된다. 코일(62)은 지그재그로 꼬여 대략 평평한 판의 형상을 이룬다. 이때, 코일(62)이 형성한 판에는 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자유롭게 공기가 코일이 이루는 판을 통과할 수 있다.
코일(62)이 형성한 판은 케이스(61) 내부의 빈 공간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코일(62)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된다.
케이스(61)의 전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홀(6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1)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63)이 구비된다. 배기팬(63)은 전술된 환풍팬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배기팬(63)은 케이스(6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2)의 천정을 향하여 방출시키는 것이다.
코일(62)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열된다. 또한, 배기팬(63)이 작동하게 된다. 케이스(61) 외부의 공기 즉, 가온기(6) 주변의 공기는 정면의 흡입홀(611)을 통하여 케이스(6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코일(62)이 형성한 경사진 판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배기팬(63)에 의하여 케이스(61)의 상부로 배출된다.
도 4에서 블록화살표는 가온기에 의한 공기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온기(6)에서 방출된 따뜻한 공기는 배기팬(63)의 위치에 따라 하우징(2)의 천장을 향하게 된다. 천장에 부딪친 공기는 이후 하우징의 내벽면을 타고 거치대(5)로 이동된다. 이때, 공기 중 일부는 거치대(5)와 하우징(2) 내벽면 사이로 유입되어 하우징(2)의 내벽면을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하우징 바닥 부근으로 이동되며 냉각된 공기는 다시 케이스(61)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 순환은 가온기(6)가 거치대를 향하여 가열된 공기를 직접 분출하지 아니함에 따라, 선반의 찻잎에 짧은 시간에 과다하게 건조되지 않게 한다.
더하여, 가온기(6)는 코일(62)에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배기팬(63)만 작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기팬(63)만의 작동은 천장에서 수증기가 유입되는 상황에서 주요한 것으로,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유도하여 대부분의 선반에서 습도가 같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가온기, 습도기, 냉각수단 및 하우징 도어의 작동을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습도 범위와 온도 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가온기, 습도기, 냉각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습도가 낮은 경우 가습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제습을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고 환풍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온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냉각을 위하여 냉각수단의 펌프와 환풍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효공간의 환경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과다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아니하면서 온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찻잎의 최적 발효조건을 만족시키는데 주요하다.
1 : 건물
11 : 측벽 12 : 창문 13 : 지지블록
2 : 하우징
21 : 도어 22 : 발효공간
3 : 냉각수단
31 : 저장탱크 32 : 분사배관 33 : 펌프 34 : 환풍팬
4 : 살균램프
5 : 거치대
51 : 프레임골조 511 : 세로프레임 512 : 가로프레임
52 : 선반 53 : 슬라이더 531 : 레일부재 532 : 활차부재
6 : 가온기
61 : 케이스 611 : 흡입홀 62 : 코일 63 : 배기팬

Claims (5)

  1. 지상에 세워지는 건물,
    상기 건물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기밀 가능한 발효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개방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발효되는 찻잎이 올려지는 선반이 복수의 층을 이루고 있고, 상기 선반들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발효공간의 중앙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거치대,
    상기 하우징의 천장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외선 조사가 가능한 살균램프,
    발효공간의 천장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천장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주입홀을 통하여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공간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온기를 포함하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2. 제1항에서,
    상기 건물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냉각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하우징의 외벽과 지붕에 분사하는 분사배관들,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분사배관으로 유입시키는 펌프,
    상기 건물의 개방 가능한 창문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의 작동과 함께 작동되는 환풍팬을 포함하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3. 제1항에서,
    상기 건물의 바닥에는 복수의 지지블록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블록 상에 올려져 상기 건물의 바닥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4. 제1항에서,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발효공간에 고정되는 프레임골조에서 상기 선반이 상기 발효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인출 가능하고,
    상기 선반의 인출 길이는 하부로 갈수록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5. 제1항에서,
    상기 가온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코일이 지그재그로 꼬여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전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홀에서 유입되어 상기 코일을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천장을 향하여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팬이 구비되어 있는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KR1020110075186A 2011-07-28 2011-07-28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KR10136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186A KR101367377B1 (ko) 2011-07-28 2011-07-28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186A KR101367377B1 (ko) 2011-07-28 2011-07-28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498A KR20130013498A (ko) 2013-02-06
KR101367377B1 true KR101367377B1 (ko) 2014-02-27

Family

ID=4789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186A KR101367377B1 (ko) 2011-07-28 2011-07-28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2009A (zh) * 2016-11-10 2017-01-04 山东省科学院生态研究所 一种固态物料发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7810B (zh) * 2018-05-11 2023-12-12 季馨妍 一种循环式绿茶加湿器和红茶发酵机及加湿装置和红茶发酵设备
CN113558114A (zh) * 2021-07-07 2021-10-29 福安市怀盛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控温恒湿的红茶发酵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210A (ja) * 1994-02-18 1995-08-29 Futamu Muramatsu 紅茶等の製造工程における茶葉の発酵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H10234352A (ja) * 1997-02-27 1998-09-08 Kyushiro Chiba 発酵装置
KR20000009832A (ko) * 1998-07-29 2000-02-15 박순애 버섯배지의 살균 및 발효 시스템
KR20100002954U (ko) * 2008-09-05 2010-03-15 김용희 버섯배지 살균 및 발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210A (ja) * 1994-02-18 1995-08-29 Futamu Muramatsu 紅茶等の製造工程における茶葉の発酵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H10234352A (ja) * 1997-02-27 1998-09-08 Kyushiro Chiba 発酵装置
KR20000009832A (ko) * 1998-07-29 2000-02-15 박순애 버섯배지의 살균 및 발효 시스템
KR20100002954U (ko) * 2008-09-05 2010-03-15 김용희 버섯배지 살균 및 발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2009A (zh) * 2016-11-10 2017-01-04 山东省科学院生态研究所 一种固态物料发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498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66654U (zh) 一种布料杀菌设备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CN106123226A (zh) 空调器的清洁控制方法及控制装置、空调器
KR101418314B1 (ko) 사계절 온실 하우스
CN102344019A (zh) 生姜恒温恒湿储藏箱
KR101367377B1 (ko)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DE102005022934A1 (de) Schrank zum kontrollierten Aufziehen von Pflanzen und zur Erreichung gleichbleibender pflanzlicher Geschmacksqualitäten
CN204665531U (zh) 自动温湿空气调节器及使用调节器的粮仓
KR20150012960A (ko) 대형 침구와 의류용 살균 및 건조장치
KR100541207B1 (ko) 농산물 저온저장고
CN202425934U (zh) 智能消毒鞋柜
CN206909267U (zh) 一种自动光照和自动变温的植物培育箱
CN105627667A (zh) 微波杀菌干燥冰箱
KR101198338B1 (ko) 발효식품 제조 장치
CN208874994U (zh) 一种培育双孢菇温室自动调节湿度装置
JP3098819U (ja) 箱型菌類栽培装置
CN204494953U (zh) 一种气调果蔬冷藏室
KR20100002954U (ko) 버섯배지 살균 및 발효 시스템
KR20160130678A (ko) 농작물 재배 자동제어 시스템
CN210445554U (zh) 可平行移动框架的萎凋装置
KR102124262B1 (ko) 곶감 건조 시스템
CN207610320U (zh) 一种送风、排风同时进行的高效室内排风设备
KR100880768B1 (ko) 농작물 저장 시스템
CN213523624U (zh) 一种刺槐种根储藏装置
CN206424333U (zh) 一种消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