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344B1 -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344B1
KR101367344B1 KR1020120059192A KR20120059192A KR101367344B1 KR 101367344 B1 KR101367344 B1 KR 101367344B1 KR 1020120059192 A KR1020120059192 A KR 1020120059192A KR 20120059192 A KR20120059192 A KR 20120059192A KR 101367344 B1 KR101367344 B1 KR 101367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ite
data
management
autonomou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543A (ko
Inventor
이동길
Original Assignee
(주)한국경영교육협회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경영교육협회컨설팅 filed Critical (주)한국경영교육협회컨설팅
Priority to KR102012005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작업 현장에서의 자율적인 조직 관리를 위한 온라인을 이용한 조직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서버 및 단말기와 서버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으로, 상기 단말기는 현장 관리자가 작성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여 육성 전략 대상자를 선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선별된 육성 전략 대상자에 대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의 대상자를 선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선별된 자율관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분석한다.

Description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SELF-MANAGING SYSTEM AND ITS METHOD FOR SYSTEM MANAGEMENT}
본 발명은 각종 작업 현장에서의 자율적인 조직 관리를 위한 온라인을 이용한 조직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력 조직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조직원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며 교육 및 훈육하는 조직 관리 행위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작업 현장에서는 대규모의 조직원이 현장작업을 실시한다는 점에서 각 조직원들을 관리/통제하고 훈육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와 같은 대규모의 조직에 있어서는 어떠한 이유로든 조직 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발생한 아주 사소한 문제라 할지라도 조직 침체를 가져올 수 있으며 결국 현장 작업의 능률 저하를 불러오게 된다. 또한, 조직 내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체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조직원들 간의 감정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조직의 와해를 불러올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장 작업에 있어서 조직 관리 및 훈육이 미흡할 경우 작업 능률을 해치며 조직원 간 충돌을 불러오고 화목하며 인간적인 현장노사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큰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반드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현장 조직 관리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태껏 많은 조직 관리 방법이 제시되고 적용되었지만 대부분의 기존의 조직 관리 방법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객관적인 적용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직원 훈육에 있어서 타율적이고 일방적인 지시에 의존하여 설득력 있는 훈육이 되지 못하였고 그만큼 훈육 효과도 미미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8714호에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조직의 업무 및 인적자원을 관리하고 조직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조직원에 대한 적정한 평가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설득력 있는 훈육 및 조직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오로지 평가자의 입장에서 평가 자체의 효율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조직원의 자율적인 근무태도 개선을 유도할 수 없으며 설득력 있는 조직원 평가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직에 있어 조직원에 대한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평가 및 이를 통한 자율적인 훈육과 근무태도 개선을 유도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직 관리 상에서, 체계화되고 객관적인 적용이 가능한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직원 훈육에서 자율적인 설득력 높은 훈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단말기와, 서버 및 단말기와 서버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는 현장 관리자가 작성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여 육성 전략 대상자를 선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선별된 육성 전략 대상자에 대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의 대상자를 선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선별된 자율관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전송된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현장기초질서 평가 점수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방법은 단말기는 현장 관리자가 작성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전송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여 육성 전략 대상자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선별된 육성 전략 대상자에 대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수신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의 대상자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선별된 자율관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전송된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현장 조직 관리에 적용하는 경우, 현장 관리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서버에 저장된 각 현장 작업 인원들의 신상 및 현장기초질서 준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처리로서 장기간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수월해진다.
또한, 현장기초질서 미준수자들이 직접 현장 관리자의 입장에서 현장기초질서 준수 여부를 체크하게 됨으로써 스스로의 근무 태도에 대한 설득력 있고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고 자기 반성을 통한 자율적인 훈육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조직 관리 방법을 정량화, 시스템화 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조직의 상황에 따른 모듈별 적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량화된 작업 인원들에 대한 평가자료를 인사에 적용함으로써 합리적인 인사제도가 정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관리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관리시스템의 운용 방법.
이하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서버(30)에 접속되며 상기 서버(30)에 저장할 데이터를 입력하고, 추후에 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서버(30)를 연결해 주는 장치이다. 단말기(10)는 데스크탑 컴퓨터나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서버(30)에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춘 장치라면 어느 것이든 해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기(10)와 서버(30)를 연결해주는 LAN(근거리 네트워크)이나 인터넷 등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 현장기초질서 데이터,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 등,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장치로서 데스크탑 컴퓨터나 서버 컴퓨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상기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2는 서버(30)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31)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32),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33) 등이 서버 내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서버(30)의 분석/평가부(34)에 의해 상기 데이터들이 분석/평가될 수 있다. 상기 서버에는 이 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반원신상 데이터, 작업불편사항 데이터, 반원상담일지, 전문가 의견 데이터, 인사평가 데이터 등이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자율관리시스템을 통한 자율관리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반원신상 데이터 입력/저장 단계(s31)는 단말기(10)를 통하여 서버(30)가 작업 반원의 개인 신상을 입력받는 단계로서 여기서 개인 신상은 이름 및 나이, 거주지, 가족관계 및 배치부서, 사내 모임 활동 내역, 작업 숙달 정도 등 작업 반원 개인 신상 및 업무 관련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 입력/저장 단계(s33)에서, 단말기(10)는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서버(30)에 전송하고, 서버(30)는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수신하여(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 작업 반장 등의 현장 관리자가 현장 작업 인원을 대상으로 현장기초질서 준수 여부에 대한 수치화된 평가항목을 마련하여 하루를 단위로 이를 평가하고 이렇게 얻어진 인원별 점수 데이터를 의미한다.
평가 기준인 현장기초질서 평가 항목은 예를 들어 출근시간 준수여부, 조회 참석여부, 개인 컨디션 정도, 안전복장 착용여부, 작업시간 준수여부, 이석행위 실행여부, 연장근무 실시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평가방법은 예를 들어 평가자의 만족도를 5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5점에서 1점까지의 점수를 차등 부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인별, 일별 현장기초질서 평가 항목은 일정한 기간을 단위로 묶여 현장기초질서 데이터가 되는데 예를 들어 이 기간은 일주일이 될 수도 있고 한 달이 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인 현장기초질서 데이터 분석 단계(s35)에서는 서버 내부의 데이터 처리로써 상기 서버(30)에 입력된 일정기간 단위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은 상기 저장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각 작업자별로 통계 내어 평균 점수가 저조한 일정 인원들을 뒤에 설명되는 육성전략 대상자로 선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기준이 되는 평균 점수는 항목 전체의 일정기간 평균이 될 수도 있고 각 항목별 일정기간 평균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상대평가를 하여 선정할 수도 있으며 특정 평균 점수 이하를 모두 대상자로 선정하는 절대평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평가기준 외에도 반원신상 데이터 및 과거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추가로 고려하여 선정할 수도 있다.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 입력/저장 단계(s37))에서, 단말기(10)는 상기 육성전략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육성전략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가 이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입력받는 단계이다.
여기서 육성전략은 예를 들어 대상자별 통보 후, 개인별 고충사항이나 신상 변화 등의 내용에 대한 심층 상담, 근무태도 향상을 위한 교육이 될 수 있으며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란 이러한 심층 상담 내용 및 교육 내용, 이에 대한 대상자의 의견 등에 더하여 육성전략 실행 기간 동안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한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육성전략은 일정기간 계속되는데 예를 들어 그 기간은 일주일이나 한 달이 될 수 있다.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는 해당 개인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자기반성을 유도하기 위한 객관적 데이터로서 추후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 분석(s39) 단계는 서버 내부의 데이터 처리로써 상기의 일정기간 동안의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분석은 육성전략 실시 기간 동안 수집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장기초질서 평가 항목이 일정 점수 미달인 작업 인원을 뒤에 설명될 자율관리의 대상자로 선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정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육성전략 대상자 선정에서의 선정 방법을 차용할 수 있다.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입력/저장 단계(s41)는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 분석(s39) 단계에서 선정된 자율관리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자율관리의 결과 데이터를 단말기(10)가 서버(30)로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전송하고, 서버(30)가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자율관리는 각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자신을 포함한 전체 작업 인원을 대상으로 현장기초질서 항목 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으로서 일정 기간 계속되는데 이 기간은 예를 들어 일주일이나 한 달이 될 수 있다.
또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란 대상자들이 직접 평가한 상기 일정기간 동안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에 더하여 동일 기간 내에 현장 관리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분석(s43) 단계에서는 서버 내부의 데이터 처리로써 상기의 일정기간 동안의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한다. 여기서 데이터 분석은 상기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현장기초질서 평가 점수를 비교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버가, 상기 데이터 내에 포함된, 자율관리 대상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평가 점수와 현장 관리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평가 점수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 항목 간의 편차를 보여주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대상자 개인의 현장기초질서 평가 점수와 비대상자들의 현장기초질서 평가 점수를 비교하여 역시 동일 항목 간의 편차를 보여주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서버에 의해 각 조직 관리 실시 단계별로 그 실시 결과 및 데이터 분석 결과가 저장되고 또한 단말기를 통하여 현장 관리자나 작업 인원 개인이 저장된 실시 결과 및 데이터 분석 결과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조직 관리에 필요한 객관적이고 신빙성 높은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직접 현장 관리자의 입장에서 작업 인원들의 기초질서 준수여부를 체크하면서 현장 관리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고 자신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와 비대상자들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를 비교해 보며 자기반성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들을 동기간에 현장 관리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와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평가의 신뢰성 및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들이 기존의 조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비교하여 설득력 있는 훈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서버(30)에 입력되고 저장되는 데이터는 추가적으로 반원 작업자 개인별 작업불편사항 데이터, 반원별 상담일지, 전문가 의견 데이터, 인사평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불편사항 데이터는 작업자 개인별로 기구 낙후 등 현장 작업에 있어서의 불편 사항을 기록한 문서 데이터를 말하며, 반원별 상담일지는 자율관리시스템 적용 기간 내에 개인 작업자별로 상담을 진행하고 여기서의 상담 내용을 상세히 기록한 문서 데이터를 말한다. 전문가 의견 데이터는 조직 관리 전문가가 서버를 통하여, 자율관리시스템을 운용하며 저장된 각종 데이터들을 열람하여 자율관리시스템의 적용과 관련되는 문제 사항이나 돌발 상황 등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지도사항이나 피드백 내용을 문서 데이터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인사평가 데이터는 현장 관리자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자율관리시스템 적용 기간 동안 자율관리시스템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 즉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나 반원별 상담일지 등의 내용을 토대로 한 자율관리시스템에 대한 작업자의 참여 성실도 평가 및 업무역량 평가, 작업성과 평가 등을 기록한 자료를 말한다.
상기 서술한 반원신상 데이터 입력/저장(s31) 단계의 전단에 서버(30)가 단말기(10)로부터 전술한 작업불편사항 데이터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분석(s43) 단계의 후단에 서버(30)가 단말기(10)로부터 전술한 인사평가 데이터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단계들의 최후단에 서버(30)가 단말기(10)를 통하여 전술한 전문가 의견 데이터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단말기
20: 네트워크
30: 서버

Claims (6)

  1. 단말기와 서버 및, 단말기와 서버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현장 관리자가 작성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대평가 또는 절대평가에 의해 평균점수가 저조한 육성 전략 대상자를 선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선별된 육성전략 대상자에 대한 육성전략 실시 기간 동안의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대평가 또는 절대평가에 의해 평균점수가 저조한 자율관리 대상자를 선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선별된 자율관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자율관리에 있어서,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직접 평가한 상기 자율관리 실시 기간 동안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 및 동일 기간 내에 현장 관리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의 집합인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전송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직접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 및 동일 기간 내에 현장 관리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전송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자신에 대하여 직접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와 비대상자들에 대하여 직접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4. 단말기가 현장 관리자가 작성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전송된 현장 기초질서 데이터를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대평가 또는 절대평가에 의해 평균점수가 저조한 육성 전략 대상자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선별된 육성전략 대상자에 대한 육성전략 실시 기간 동안의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신된 육성전략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대평가 또는 절대평가에 의해 평균점수가 저조한 자율관리 대상자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선별된 자율관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자율관리에 있어서,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직접 평가한 상기 자율관리 실시 기간 동안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 및 동일 기간 내에 현장 관리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의 집합인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전송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전송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직접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 및 동일 기간 내에 현장 관리자가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전송된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자율관리 결과 데이터 내의 자율관리 대상자들이 자신에 대하여 직접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와 비대상자들에 대하여 직접 평가한 현장기초질서 데이터들을 동일 항목 간에 비교하여 편차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방법.
KR1020120059192A 2012-06-01 2012-06-01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6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92A KR101367344B1 (ko) 2012-06-01 2012-06-01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92A KR101367344B1 (ko) 2012-06-01 2012-06-01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43A KR20130135543A (ko) 2013-12-11
KR101367344B1 true KR101367344B1 (ko) 2014-03-11

Family

ID=4998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192A KR101367344B1 (ko) 2012-06-01 2012-06-01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428A (ja) 1999-11-22 2001-08-10 Shimizu Corp 労務安全情報の集中管理システム
JP2002259638A (ja) 2001-02-28 2002-09-13 Yasutaka Ito 勤務者自動評価方法、勤務者自動評価システム、及び勤務者自動評価プログラム
JP2003006396A (ja) 2001-06-21 2003-01-10 Csk Corp 勤務管理システム、勤務管理情報処理装置、勤務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428A (ja) 1999-11-22 2001-08-10 Shimizu Corp 労務安全情報の集中管理システム
JP2002259638A (ja) 2001-02-28 2002-09-13 Yasutaka Ito 勤務者自動評価方法、勤務者自動評価システム、及び勤務者自動評価プログラム
JP2003006396A (ja) 2001-06-21 2003-01-10 Csk Corp 勤務管理システム、勤務管理情報処理装置、勤務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43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kic et al. BUSINESS PROCESS MINING APPLICATION: A LITERATURE REVIEW.
Salas et al. The assessment of team performance: Observations and needs
Tsutsumi et al. Participatory intervention for workplace improvements on mental health and job performance among blue-collar worker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x et al. Behavioural approaches to safety management within UK reactor plants
US20120282576A1 (en) System for managing formal mentoring programs
US200701502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mmi diagnosis and analysis
US201601253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human resource factors using electronic sources and footprints
Dueholm Müller et al. Competing values in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 study of cultural profiles
Kucharčíková The importance of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investment in human capital
BLŠTÁKOVÁ et al. CAUSES AND IMPLICATIONS OF THE APPLICATIONS OF THE INDIVIDUALISATION PRINCIPLE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Kononenko et al. The methods of selection of th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mil Berg et al. Police management roles as determinants of knowledge sharing attitude in criminal investigations
Escrig-Tena et al. Does quality management drive labour flexibility?
Ingaldi et al. Analysis of problems during implementation of Lean Manufacturing elements
Kush et al.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quality maturity matrix
Embree et al. A balanced scorecard with strategy map: Measuring the value of a nursing sabbatical
de Melo Moura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project management support information systems: SEBRAE/RN Case
Casey et al. A tale of six climates: Reflections and learnings after the development of six industry-specific safety climate scales
KR101367344B1 (ko) 조직관리를 위한 자율관리시스템 및 방법
Berniak-Woźny et al. Business process nature assessment matrix–a nove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business process nature
Mani Assessing the competencies and developing a competency mapping system for managing talent
Starzyńska et al. Effective management of practitioners’ knowledge-development of a system for quality tool selection
Ornat et al. Library cartography: Mapping workflow processes in an academic library
Maura-Ayquipa et 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Model based on Business Intelligence
Babatunde et al. Organizational Climate and its effects on the Performance a Nigerian Pharmaceutical Compan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