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975B1 - 입자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입자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975B1
KR101366975B1 KR1020120024107A KR20120024107A KR101366975B1 KR 101366975 B1 KR101366975 B1 KR 101366975B1 KR 1020120024107 A KR1020120024107 A KR 1020120024107A KR 20120024107 A KR20120024107 A KR 20120024107A KR 101366975 B1 KR101366975 B1 KR 10136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module
collecting
exhaust air
fil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910A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12002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97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Abstract

배출 공기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필터 모듈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입자 필터장치가 개시된다. 입자 필터장치는 배출 공기의 유동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페인트 수용성 입자를 용해시키는 포집제를 갖는 포집부 및 포집부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포집부를 통과한 배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필터 모듈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교체 주기를 현저히 낮출 수 있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필터 모듈에 발생될 수 있는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필터장치의 원활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입자 필터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PARTICLE}
본 발명은 입자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인트의 스프레이 작업시 발생하는 스프레이 된 입자로부터 기재를 보호하기 위한 입자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Painting) 작업은 페인트 부스(Paint Booth)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페인트 부스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폐쇄된 구조물로서, 내부 표면이 금속 코팅 또는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부스 바닥 및 내부 표면은 페인트 오버 스프레이로 인해 오염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인트 스프레이 부스에는 필터 모듈이 설치된다. 필터 모듈은 배출 공기로부터 페인트 스프레이 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습윤 또는 건조 입자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된 배출 공기는 순환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입자 필터장치는 선 출원된 대한민국공개특허 2011-0114580호에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자 필터장치의 필터 모듈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모듈(100)은 그레이팅(102)과, 입자 필터(106) 및 다공성 프리 필터(108)를 구비한다. 그레이팅(102)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순차로 하류 표면(104) 및 상류 표면(107)을 갖는다. 또한, 입자 필터(106)는 그레이팅(102)의 하류 표면(104)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다공성 프리 필터(108)는 그레이팅(102)의 상류 표면(107)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입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 필터장치(200)는 내부에 배출 공기의 유동로가 형성된 덕트(210)가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다. 덕트(210)의 내부에는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페인트 등의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모듈(100)이 하나 또는 다수 개로 설치된다. 아울러, 필터 모듈(100)의 상류 측 또는 하류 측에는 배출 공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 팬(220)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 팬(220)에 의해 강제 송풍되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페인트 입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필터 모듈(100)을 순차로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최종적으로 페인트 입자가 제거된 여과 공기로 배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입자 필터장치는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페인트 입자가 필터 모듈(100)을 통과하면서 필터 모듈(100)에 흡착되어, 일정 시간 이상 사용 시 필터 모듈(100)을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필터 모듈(100)의 교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 모듈(100)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페인트 입자의 여과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여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모든 입자가 필터 모듈(100)에 의하여 제거되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필터 모듈(100)의 교체 주기가 짧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필터 모듈(100)의 페인트 입자 흡착 현상에 의해 필터 모듈(100)이 조기에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여과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필터 모듈(100)을 다수 개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최 상류 측에 위치한 필터 모듈(100)에 막힘 현상이 집중되어 전체적인 여과 시스템의 오작동을 유발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2011-0114580호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출 공기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필터 모듈의 조기 막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입자 필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으로 개구되며 유동로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과,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에 구비되는 송풍 팬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모듈과 송풍 팬 사이에 위치하는 포집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용기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액체인 포집제로 이루어지는 입자 필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포집부의 상부로 이격되며 유동로의 일부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배출 공기를 포집부로 안내하는 반사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격벽은 하부로 갈수록 하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필터 모듈은 반사 격벽과 나란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반사 격벽은 배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구비되며,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의 연장거리가 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포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 하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우징은 양측으로 상향 경사 연장된 경사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모듈은 하우징의 일측 경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 팬은 하우징의 타측 경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송풍 팬은 필터 모듈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포집부와 반사 격벽은 필터 모듈의 상류 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는 필터 모듈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필터 모듈에 발생될 수 있는 조기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필터장치의 원활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며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는 집적된 하우징의 내부에서 효율적인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필터장치의 구조를 매우 컴펙트한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미립자 필터장치의 필터 모듈을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미립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립자 필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립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미립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립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입자 필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1)는 하우징(30)과, 포집부(10)와, 필터 모듈(20) 및 반사 격벽(40)을 포함한다.
하우징(30)은 내부에 배출 공기의 유동로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중공체로서, 덕트의 형태로 별도 제작되거나 배출 공기의 유동로 상에 배치되는 구조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30)은 내부에 배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된다. 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로는 배출 공기가 수평 방향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하우징(30)의 일 측에는 배출 공기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배출 공기의 출구(31)가 형성된다.
상기 포집부(10)는 하우징(30)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유동로를 유동하는 배출 공기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방향으로 개구된 용기이며, 액체의 포집제(11)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10)는 하우징(30)의 내측으로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포집제(11)는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를 포집하거나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포집제(11)는 수용성 페인트 입자 등을 용해시킬 수 있는 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성 입자 등 입자를 포함한 배출 공기는 1차로 포집부(10)의 포집제(11)와 접촉하면서 포집되거나 포집 용해되어 입자의 일부가 제거된 후, 후술할 필터 모듈(20)을 통과하여 2차로 여과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 모듈(20)은 포집부(10)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집부(10)를 통과한 배출 공기를 여과한다. 필터 모듈(20)은 그레이트, 다공성 프리 필터 및 입자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모듈(20)의 상류 측 또는 하류 측에는 배출 공기의 강제 순환을 위한 송풍 팬(50)이 설치된다. 이 경우, 송풍 팬(50)은 필터 모듈(20)의 상류 측 및 하류 측 모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출 공기가 포집부(10)의 포집제(11)에 충격되도록 송풍 팬(50)은 포집부(10)의 상류 측으로 설치되어 작동되는 바람직하다.
반사 격벽(40)은 판상으로서 하우징(30) 내부의 유동로 상에 설치되며, 포집부(10)의 상부로 포집부(1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반사 격벽(40)은 배출 공기의 유동로 일부를 폐쇄하며 배출 공기를 포집부(1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반사 격벽(40)은 하우징(30)의 내벽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배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반사 격벽(40)은 하부로 갈수록 하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포집부(10)는 반사 격벽(4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필터 모듈(20)은 포집부(10)에 충격 후 반사되어 유동하는 배출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 모듈(20)은 반사 격벽(40)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 모듈(20)은 하우징(30)의 유동로 상에 구비되며 출구(3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송풍 팬(50)은 하우징(30)의 필터 모듈(20)로부터 상류로 이격되어 하우징(30)의 유동로 상에 구비된다. 상기 송풍 팬(50)은 하우징(30)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집부(10)는 필터 모듈(20)과 송풍 팬(5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30)에 구비된다. 상기 반사 격벽(40)은 포집부(10)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하우징(30)의 유동로 상에 구비된다.
송풍 팬(50)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30)의 내부 유동로에서 유동되는 배출 공기는 필터 모듈(20)에 도달하기 전에 경사진 반사 격벽(40)에 부딪혀 반사된다. 이 경우, 반사되는 배출 공기는 반사 격벽(40)의 경사를 따라 하향 유동하여 포집부(10)에 수용된 포집제(11)에 충격한다. 포집부(10)에 경사지게 유동하여 온 배출 공기는 포집제(11)에 충격된 후 포집제(11)에 의하여 반사되어 필터 모듈(20) 측으로 향한다. 이 경우, 배출 공기에 포함된 입자는 포집제(11)에 의해 포집되거나 포집되어 용해된다. 이후에, 경사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필터 모듈(20)에 포집부(10)로부터 반사된 배출 공기가 통과되어 최종적인 여과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반사 격벽(40)의 추가 구성 및 포집부(10) 및 필터 모듈(20)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집적된 하우징(30)의 내부에서 효율적인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필터장치의 구조를 매우 컴펙트한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해진다.
상기 포집부(10)는 상방향으로 개구된 용기인 케이스(12)와, 케이스(12)의 외측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에 액체 포집제(11)가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12)는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우징(30)의 내측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손잡이(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케이스(12)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액체인 포집제(11)를 수용한다. 손잡이(13)는 케이스(12)의 일 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2)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필터장치를 일정시간 사용한 후 포집부(10) 또는 포집제(11)를 교체하여야 할 때, 손잡이(13)를 파지하고 케이스(12)를 하우징(30)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하여 용이한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포집부(10)가 슬라이드 삽입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5은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사 격벽(40)은 배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며,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의 연장거리가 길어지게 형성된다. 반사 격벽(40)은 하부로 갈수록 하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반사 격벽(40)은 제1 반사 격벽(41)과, 제2 반사 격벽(42)과, 제3 반사 격벽(43)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반사 격벽(40)은 2개는 물론 4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반사 격벽(40)과, 포집부(10) 및 필터 모듈(20)은 하나의 하우징(30) 내부에 배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쌍으로 중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배출 공기의 일부는 제1 반사 격벽(41)에 의해 반사되어 포집부(10) 측으로 진행되고, 제1 반사 격벽(41)보다 하부에서 유동되는 배출 공기의 일부는 제2 반사 격벽(42)에 의해 반사되어 포집부(10) 측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제2 반사 격벽(42)보다 하부에서 유동되는 배출 공기의 일부는 제3 반사 격벽(43)에 의해 반사되어 포집부(10) 측으로 진행된다.
또한, 포집부(10)로 도달된 배출 공기의 일부는 필터 모듈(20) 측으로 진행되며, 다른 일부는 다시 반사 격벽(40) 중 하나에 반사되어 여러 차례 포집부(1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포집부(10)에 수용된 포집제(11)의 넓은 표면으로 배출 공기가 충격하게 되어,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가 포집제(11)에 포집되거나 포집되어 용해되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결국,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 공기는 다중으로 포집부(10)에 접촉하여 입자의 포집 및 포집 용해 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수용성 페인트 입자를 포함한 배출 공기에 한정되어 입자 필터장치(1)가 포집부(10)를 구비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지용성 페인트 입자를 여과 가능하도록 포집부(10)를 지용성 용해부(미도시)로 대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포집부(10) 및 지용성 용해부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집부(10)를 지용성 용해부로 대체한 경우에도 반사 격벽(40)과, 필터 모듈(20)의 구조 및 배치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지용성 용해부는 아세톤 등과 같은 지용성 용해제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에 개시되는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립자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립자 필터장치(1)는 스프레이 부스에서 수행되는 도장 작업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페인트 입자 등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 공기의 통로인 덕트 내부의 적소 또는 유동로 상에 설치되거나, 하나의 유닛으로서 배출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된다. 미립자 필터장치(1)는 유동로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30)과, 포집부(10)와, 필터 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0)은 내부에 배출 공기가 유동하도록 유동로가 형성되며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로서, 덕트의 형태로 별도 제작되거나 배출 공기의 유동로 상에 배치되는 구조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30)은 내부를 유동하는 배출 공기가 후술할 포집부(10)를 통과하여 후술할 필터 모듈(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내측으로 포집부(10)가 구비되며, 하우징(30)은 포집부(10)를 중심으로 좌우 측에 상향 연장되는 경사 구조를 가진다. 상기 포집부(10)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하우징(30)의 경사부에 필터 모듈(20)이 설치되고, 타측으로 이격되어 하우징(30)의 다른 경사부에 송풍 팬(50)이 설치된다. 이 밖에도 하우징(30)의 형상은 그 설치 위치에 적절히 대응되도록 설계 변경 가능하다.
포집부(10)는 배출 공기의 유동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향 개구된 용기이며, 용기에 수용된 액상의 포집제(11)를 포함한다. 포집제(11)는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를 포집하거나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포집제(11)는 수용성 페인트 입자를 포집하여 용해시킬 수 있는 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 팬(50)이 작동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공기가 하우징(30)의 일측 경사부로 유입되어 포집부(10)로 유동하고, 포집부(10)에 수용된 포집제(11)에 충격하게 되며, 이때 배출 공기에 포함된 입자의 일부가 포집제(11)에 포집되거나 포집되어 용해되며, 다시 타측 경사부를 통하여 유동하고, 타측 경사부에 설치된 필터 모듈(20)을 통과한 후 배출된다.
결국, 입자를 포함한 배출 공기는 1차로 포집부(10)에 충격하면서 입자의 일부가 포집제(11)에 포집되거나 포집되어 용해된 후, 후술할 필터 모듈(20)을 통과하여 2차로 여과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 모듈(20)은 포집부(10)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집부(10)를 통과한 배출 공기를 여과한다. 필터 모듈(20)은 섬유나,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레이팅, 다공성 프리 필터 및 입자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송풍 팬(50)은 필터 모듈(20)의 상류 측 또는 하류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 모듈(20)의 상류 측 및 하류 측 모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송풍 팬(50)은 포집부(10)의 상류로 설치되어 포집부(10)로 배출 공기를 강하게 충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필터 모듈(20)이 포집부(10)의 하류 측에 배치됨으로써, 포집부(10)에 의해 입자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배출 공기를 통과시키며 이로 인해 여과로 인한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 모듈(20)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필터 모듈(20)에 발생될 수 있는 조기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필터장치의 원활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수용성 페인트 입자를 포함한 배출 공기에 한정되어 입자 필터장치(1)가 포집부(10)를 구비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지용성 페인트 입자를 여과 가능하도록 포집부(10)를 지용성 용해부(미도시)로 대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포집부(10) 및 지용성 용해부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집부(10)를 지용성 용해부로 대체한 경우에도 반사 격벽(40)과, 필터 모듈(20)의 구조 및 배치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지용성 용해부는 아세톤 등과 같은 지용성 용해제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필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입자 필터장치 10 : 포집부
11 : 포집제 12 : 케이스
13 : 손잡이 20 : 필터 모듈
30 : 하우징 40 : 반사 격벽
50 : 송풍 팬

Claims (7)

  1. 양측으로 개구되며 유동로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20)과; 상기 필터 모듈(20)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30)에 구비되는 송풍 팬(50)과; 상기 하우징(30) 내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모듈(20)과 송풍 팬(50) 사이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용기인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에 수용되는 액체인 포집제(11)로 이루어진 포집부(10)와; 상기 포집부(10)의 상부로 이격되며, 유동로의 일부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30) 내에 구비되어 배출 공기를 포집부(10)로 안내하며, 하부로 갈수록 하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배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의 연장거리가 길어지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반사 격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필터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20)은 반사 격벽(40)과 나란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필터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10)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벽 하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2)의 일측으로 하우징(30)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필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양측으로 상향 경사 연장된 경사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모듈(20)은 하우징(30)의 일측 경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 팬(50)은 하우징(30)의 타측 경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필터장치.
  7. 양측으로 개구되며 유동로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20)과; 상기 필터 모듈(20)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30)에 구비되며 필터 모듈(20)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송풍 팬(50)과; 상기 하우징(30) 내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모듈(20)의 상류 측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용기인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에 수용되는 액체인 포집제(11)로 이루어진 포집부(10)와; 상기 포집부(10)의 상부로 이격되며, 유동로의 일부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30) 내에 구비되어 배출 공기를 포집부(10)로 안내하며, 하부로 갈수록 하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배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의 연장거리가 길어지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반사 격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필터장치.
KR1020120024107A 2012-03-08 2012-03-08 입자 필터장치 KR10136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107A KR101366975B1 (ko) 2012-03-08 2012-03-08 입자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107A KR101366975B1 (ko) 2012-03-08 2012-03-08 입자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910A KR20130102910A (ko) 2013-09-23
KR101366975B1 true KR101366975B1 (ko) 2014-02-25

Family

ID=4945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107A KR101366975B1 (ko) 2012-03-08 2012-03-08 입자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363B1 (ko) 2016-05-11 2020-11-20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도포구
WO2024091063A1 (ko) * 2022-10-28 2024-05-02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연기제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444A (ko) * 2001-06-21 2002-12-31 이성규 습식 집진 장치
KR100615454B1 (ko) * 2005-03-30 2006-09-01 남주희 탁상용 담배연기 제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444A (ko) * 2001-06-21 2002-12-31 이성규 습식 집진 장치
KR100615454B1 (ko) * 2005-03-30 2006-09-01 남주희 탁상용 담배연기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910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1915C (en) Fluid scrubber and spray booth including the fluid scrubber
KR102125307B1 (ko) 도장부스용 집진 및 탈취장치
KR101975035B1 (ko)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BRPI0609440B1 (pt) instalação para laqueamento de objetos
KR100894313B1 (ko) 집진장치
KR20160139799A (ko)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CN208809711U (zh) 一种防爆湿式除尘一体机
CN112351717A (zh) 真空吸尘器
KR101366975B1 (ko) 입자 필터장치
KR200400487Y1 (ko) 집진기
KR100559371B1 (ko) 집진기
KR101376193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040723B1 (ko) 집진기 dust 부착 저감장치
CN105797506A (zh) 塑烧板除尘器
KR100992841B1 (ko) 부스형 집진기
KR100899733B1 (ko) 분진 및 액적 제거장치
JP2007296457A (ja) 集塵装置
CN107754540B (zh) 一种惯性力推进气液分离器
KR20100011217U (ko) 도장분진 및 유해물질 포집장치
KR101698817B1 (ko) 연기 집진장치
JP6335830B2 (ja) 液滴捕集装置、及び、その液滴捕集装置を用いた塗装排気洗浄装置
CN107930310A (zh) 车间废气处理系统
EP3746686B1 (en) Air filter including a scavenging system
JP2007098339A (ja) サイクロン式オイルミストコレクターの処理装置
CN113368640A (zh) 涂料雾捕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