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719B1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5719B1 KR101365719B1 KR1020120008969A KR20120008969A KR101365719B1 KR 101365719 B1 KR101365719 B1 KR 101365719B1 KR 1020120008969 A KR1020120008969 A KR 1020120008969A KR 20120008969 A KR20120008969 A KR 20120008969A KR 101365719 B1 KR101365719 B1 KR 101365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uckweed
- root
- plants
- root grow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6—Water using one or more living organisms, e.g. a fish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13—Specific cations in water, e.g. heavy me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질 독성 평가 방법은 뿌리가 절단된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 특성을 수질 독성 평가의 지표로 이용하기 때문에 수질 독성 판별 시간이 약 2일 정도 소요되고, 종래의 수질 독성 평가 시간(약 7일)보다 3배 이상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 독성 평가 방법은 잎의 수(frond number), 잎의 면적(frond area), 습중량(fresh weight), 건중량(dry weight), 군체수(population growth rate), 또는 색소 함량(pigment contents)의 변화량을 수질 독성 평가의 지표로 이용하는 종래의 수질 독성 평가 방법에 비해 측정 절차가 보다 간편하고, 아울러 수질 독성원에 대한 높은 민감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도 2는 뿌리가 절단된 개구리밥과 식물을 배양액에 넣고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양액의 독성 물질 유무 및 독성 물질 함량의 고저에 따른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질 독성 평가 방법의 바람직한 일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광 조사량 및 배양 온도 조건별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것이고(도 4에서 배양액의 pH는 7이고 염분 농도는 0‰이다), 도 5는 배양액의 pH 조건별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것이고(도 5에서 배양 온도는 30℃이고, 배양액의 염분 농도는 0‰이며, 광 조사량은 Lemna minor 및 Lemna gibba의 경우 150μ㏖ photon/㎡·s 이고, Lemna paucicostata의 경우 50μ㏖ photon/㎡·s 이다), 도 6은 배양액의 염분 농도별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도 6에서 배양 온도는 30℃이고, 배양액의 pH는 7이며, 광 조사량은 Lemna minor 및 Lemna gibba의 경우 150μ㏖ photon/㎡·s 이고, Lemna paucicostata의 경우 50μ㏖ photon/㎡·s 이다).
도 7은 단일 독성 물질로서 은(Ag)을 포함하는 독성 물질 용액의 은(Ag) 농도에 따른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단일 독성 물질로서 카드뮴(Cd)을 포함하는 독성 물질 용액의 카드뮴(Cd) 농도에 따른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단일 독성 물질로서 6가 크롬(Cr6 +)을 포함하는 독성 물질 용액의 6가 크롬(Cr6 +) 농도에 따른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단일 독성 물질로서 구리(Cu)를 포함하는 독성 물질 용액의 구리(Cu) 농도에 따른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단일 독성 물질로서 수은(Hg)을 포함하는 독성 물질 용액의 수은(Hg) 농도에 따른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Method | ISO method | OECD method | US EPA method | Root cut method |
Test species |
L.
minor
,
L. gibba |
L.
minor
,
L. gibba |
L.
minor
,
L. gibba |
L.
minor
,
L. gibba , L. paucicostata |
Test duration | 7 days | 7 days | 7 days | 2 days |
Temperature(℃) | 25±1℃ | 24±2℃ | 25±2℃ | 30±1℃ |
Salinity | fresh water | fresh water | fresh water | fresh water |
Light intensity | 100±15 μ㏖ photons/㎡·s | 6500~10000 lux | 4200~6700 lux | 50~150 μ㏖ photons/㎡·s |
Photoperiodism | continuous light | continuous light | continuous light | continuous light |
Test vessel type | beaker | flask, petri dish | beaker | 24-well plate |
Test solution volume | 100㎖(minumum) | 150㎖ | 150㎖ | 3㎖ |
Test solution pH | 5.5 | 6.5±0.2 | 7.5±0.1 | 7±0.2 |
Test organism size | 10 fronds | 9~12 fronds per test vessel | 3~5 fronds per test vessel | one plant with 2 fronds per test vessel |
Endpoint | frond number, total frond area, dry weight, fresh weight, pigment contents | total frond area, dry weight, fresh weight | frond number, population growth rate, dry weight, pigment contents | root length |
스톡 용액 구분 | 스톡 용액을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 |
스톡 용액내에서의 구 성 성분의 농도(g/ℓ) |
인공 배지 1리터당 스 톡 용액이 차지하는 부피(㎖/ℓ) |
Ⅰ | KNO3 | 17.5 | 20 |
K2HPO4 | 4.5 | ||
KH2PO4 | 0.63 | ||
Ⅱ | MgSO47H2O | 5 | 20 |
Ⅲ | Ca(NO3)24H2O | 14.75 | 20 |
Ⅳ | H3BO₃ | 0.12 | 1 |
ZnSO47H2O | 0.18 | ||
Na2MoO42H2O | 0.044 | ||
MnCl24H2O | 0.18 | ||
Ⅴ | FeCl36H2O | 0.76 | 1 |
Na2-EDTA2H2O | 1.5 |
금속류 독성 물질 | Lemna minor 뿌리 생장 길이 기준 | Lemna gibba 뿌리 생장 길이 기준 | Lemna paucicostata 뿌리 생장 길이 기준 | |||
NOEC(㎎/L) | EC50(㎎/L) | NOEC(㎎/L) | EC50(㎎/L) | NOEC(㎎/L) | EC50(㎎/L) | |
Ag | < 0.0031 | 0.0053 | < 0.025 | 0.0276 | < 0.0625 | 0.2138 |
Cd | 0.125 | 0.2264 | 0.125 | 0.3666 | < 0.0781 | 0.1426 |
Cr6 + | 0.375 | 0.3418 | 0.75 | 0.9558 | < 0.1562 | 0.6430 |
Cu | 0.125 | 0.2210 | 0.25 | 0.3604 | < 0.1562 | 0.3914 |
Hg | 0.25 | 0.1971 | < 0.0625 | 0.2854 | < 0.078 | 0.1498 |
금속류 독성 물질 | 개구리밥과 식물 : Lemna minor | ||
Root cut method | ISO method | US EPA ECOTOX Database | |
Ag | 0.0053 | 0.081 | - |
Cd | 0.2264 | 0.323 | 0.74(4일 배양 기준) |
Cr6 + | 0.3418 | 2.3 | 8.5(7일 배양 기준) |
Cu | 0.221 | 0.33 | 0.32(14일 배양 기준) |
Hg | 0.1971 | 0.683 | - |
Claims (10)
- (a) 측정용 용기에 pH가 4~10으로 조정된 수체 샘플을 넣는 단계;
(b) 수체 샘플을 함유하는 측정용 용기에 뿌리 생장점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뿌리가 절단된 개구리밥과 식물을 투입하는 단계;
(c) 측정용 용기에 투입된 개구리밥과 식물을 50~200 μ㏖ photon/㎡·s 의 광 조사량 조건 및 20~35℃의 온도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d) 배양이 완료된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 길이 또는 뿌리 길이 생장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수체 샘플은 원수 및 희석 배수가 서로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희석 원수로 구성되고
상기 희석 원수는 원수를 스테인버그(Steinberg) 인공 배지로 희석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 원수는 반수 희석법에 의해 희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 샘플은 원수의 대조군으로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을 저해하는 독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독성 물질은 은(Ag; Silver), 알루미늄(Al; Aluminum), 비소(As; Arsenic), 카드뮴(Cd; Cadmium), 코발트(Co; Cobalt), 크롬(Cr; Chromium), 구리(Cu; Copper), 철(Fe; Iron), 수은(Hg; Mercury), 니켈(Ni; Nickel), 납(Pb; Lead), 및 아연(Zn; Zin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군은 스테인버그(Steinberg) 인공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수체 샘플은 염분 농도가 4‰ 이하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969A KR101365719B1 (ko) | 2012-01-30 | 2012-01-30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969A KR101365719B1 (ko) | 2012-01-30 | 2012-01-30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7802A KR20130087802A (ko) | 2013-08-07 |
KR101365719B1 true KR101365719B1 (ko) | 2014-02-24 |
Family
ID=4921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89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5719B1 (ko) | 2012-01-30 | 2012-01-30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571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8580B1 (ko) * | 2014-03-25 | 2015-06-16 |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 잠아로부터 발아된 개구리밥의 엽상체 면적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KR20150111169A (ko) * | 2014-03-25 | 2015-10-05 |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 개구리밥으로부터 분리된 잠아의 발아 방법 |
KR20150136749A (ko) * | 2014-05-28 | 2015-12-08 |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 개구리밥으로부터 분리된 잠아를 이용한 수질 독성 진단 키트 |
KR101614923B1 (ko) * | 2014-03-25 | 2016-04-22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잠아로부터 발아된 개구리밥의 뿌리 길이를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WO2017131281A1 (ko) * | 2016-01-27 | 2017-08-03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이탈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CN109141172A (zh) * | 2018-08-10 | 2019-01-04 | 山东鲁寿种业有限公司 | 一种种苗成长监测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4190B1 (ko) * | 2015-08-11 | 2017-03-09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파래를 이용한 수질 독성 측정 방법 |
KR102347130B1 (ko) * | 2020-08-25 | 2022-01-05 | 한국화학연구원 | 셀룰로오스 생합성 저해제 탐색을 위한 신규한 생물 검정법 |
CN118095664A (zh) * | 2024-04-28 | 2024-05-28 |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 一种海绵型高架桥生态集水系统及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1621A (ja) | 2006-08-24 | 2008-03-06 | Osaka Univ | 水質評価方法および水質評価システム |
KR20110088267A (ko) * | 2010-01-28 | 2011-08-03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추 씨앗의 뿌리 생장 길이 또는 뿌리 길이 생장률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KR20120001698A (ko) * | 2011-11-11 | 2012-01-04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좀개구리밥의 생장 면적 변화율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
2012
- 2012-01-30 KR KR1020120008969A patent/KR10136571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1621A (ja) | 2006-08-24 | 2008-03-06 | Osaka Univ | 水質評価方法および水質評価システム |
KR20110088267A (ko) * | 2010-01-28 | 2011-08-03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추 씨앗의 뿌리 생장 길이 또는 뿌리 길이 생장률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KR20120001698A (ko) * | 2011-11-11 | 2012-01-04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좀개구리밥의 생장 면적 변화율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박지숙, 좀개구리밥을 이용한 생태위해성진단 파이토 바이오마커 개발, 인천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2011.06. * |
박지숙, 좀개구리밥을 이용한 생태위해성진단 파이토 바이오마커 개발, 인천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2011.06.*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8580B1 (ko) * | 2014-03-25 | 2015-06-16 |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 잠아로부터 발아된 개구리밥의 엽상체 면적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KR20150111169A (ko) * | 2014-03-25 | 2015-10-05 |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 개구리밥으로부터 분리된 잠아의 발아 방법 |
KR101614923B1 (ko) * | 2014-03-25 | 2016-04-22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잠아로부터 발아된 개구리밥의 뿌리 길이를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KR101627182B1 (ko) | 2014-03-25 | 2016-06-03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구리밥으로부터 분리된 잠아의 발아 방법 |
KR20150136749A (ko) * | 2014-05-28 | 2015-12-08 |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 개구리밥으로부터 분리된 잠아를 이용한 수질 독성 진단 키트 |
KR101663665B1 (ko) | 2014-05-28 | 2016-10-07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구리밥으로부터 분리된 잠아를 이용한 수질 독성 진단 키트 |
WO2017131281A1 (ko) * | 2016-01-27 | 2017-08-03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이탈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CN109141172A (zh) * | 2018-08-10 | 2019-01-04 | 山东鲁寿种业有限公司 | 一种种苗成长监测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7802A (ko) | 2013-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5719B1 (ko)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생장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
Dwivedi | Researches in water pollution: A review | |
Birungi et al. | Active biomonitoring of trace heavy metals using fish (Oreochromis niloticus) as bioindicator species. The case of Nakivubo wetland along Lake Victoria | |
KR101136039B1 (ko) | 좀개구리밥의 생장 면적 변화율 또는 형광 특성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
Lau et al. | The significance of sediment contamination in a coastal wetland, Hong Kong, China | |
KR101436921B1 (ko) | 유글레나속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
Flura et al. |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water from the river Meghna, Bangladesh | |
Davies et al. | Study on heavy metals levels and some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a polluted creek along the tin can island in lagos | |
Ansari et al. | Aquatic plant biodiversity: a biological indicator for th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 |
Alam et al. | Observations on the effects of caged carp culture on water and sediment metal concentrations in Lake Kasumigaura, Japan | |
Matlala et al. | Development of a diatom index for wetland health | |
KR101523638B1 (ko) | 좀개구리밥의 생장 면적 변화율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
Tegu et al. | Monitoring the Variability of the Pollutants Level in Urban Water Front during Dry and Wet Seasons | |
Lyubenova et al. | Ecotoxicity of purified industrial waste water | |
Olapade et al. | Anthropogenic pollution impac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ake Kivu, Rwanda | |
KR20170089544A (ko) | 개구리밥과 식물의 뿌리 이탈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
Pattanayak et al. | Bioindicator emerged as a potential environmental marker | |
Tiakor | Impact of farming activities on the water quality of the Pratu River and its tributaries in the muni-pomadzi wetland | |
KR20130083172A (ko) | 좀개구리밥의 형광 특성을 이용한 수질 독성 평가 방법 | |
Egurefa et al. | Toxic effect of refinery industrial effluent using three toxicity bioassays | |
Riswandi et al. | Biofilm application as biomonitoring agent in heavy metals Pb2+ and Cr6+ in ngimboh coastal, ujung pangkah, Gresik | |
Hilmi et al. | The Clustering and Distribution of Heavymetal Accumulation and Translocation as an Ability of Mangrove Vegetation to Reduce Impact of Heavymetal (Hg, Cd and Zn) Pollution | |
KINTA | Secological Risk of Heavy Metals In Surface Water, Sediment and Dominant Fish Species from Tungan Kawo Reservoir, Kontagora, Niger State, Nigeria | |
Jalal et al. | Study on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Kuantan estuary, Pahang | |
Hand | Typical water quality values for Florida’s lakes, streams, and estua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1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