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532B1 -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532B1
KR101365532B1 KR1020120042929A KR20120042929A KR101365532B1 KR 101365532 B1 KR101365532 B1 KR 101365532B1 KR 1020120042929 A KR1020120042929 A KR 1020120042929A KR 20120042929 A KR20120042929 A KR 20120042929A KR 101365532 B1 KR101365532 B1 KR 10136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moving
moving block
shaf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0001A (en
Inventor
김재근
심우연
김정곤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 filed Critical (주)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4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532B1/en
Publication of KR2013012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0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전기 도금 라인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스트립 에지부의 징크(Zn) 트리를 제거할 수 있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이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이동블록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이동블록 상에 마련되어 스트립 에지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이동블록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스트립 폭 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구동부, 제2구동부의 작동 여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strip edge debris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the zinc (Zn) tree of the strip edge portion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ctroplating line is introduced.
Strip edge debris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block; A first driving part providing power to move the moving block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A second driving part providing power to move the moving blo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A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moving block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ormed at the strip edge; A sensor unit provided on the moving block to sense a strip width direction posi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re operat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Figure R1020120042929
Figure R1020120042929

Description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Strip edge debris removal device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본 발명은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기 도금 라인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스트립 에지부의 징크(Zn) 트리를 제거할 수 있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 edge debris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ip edge debris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the zinc (Zn) tree of the strip edge portion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ctroplating line.

일반적으로 전기 도금 라인은 카로제 타입과 수평 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the electroplating line can be divided into carouse type and horizontal cell type.

카로젤 타입에서는 전류가 스트립의 양 측면으로 몰리기 때문에, 도금 작업시 스트립 에지부로 과도금이 이루어져 이로 인한 빌드업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러한 과도금에 의한 빌드업(스트립 양 측면 부분에 아노드가 과도금되어 권취시 제품의 양 끝이 두꺼워지는 현상) 현상은 권취시 스트립 양 측면 약 30 ~ 50mm 정도 지점에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rousel type, current flows to both sides of the strip, which causes over-plating to the strip edge during plating, resulting in build-up.As a result of this over-plating (anode on both sides of the strip) Phenomenon that thickening of both ends of the product during winding takes place, causing a wave to occur at about 30 to 50 mm on both sides of the strip during winding.

과도금된 스트립의 양 측면 에지부의 도금층은 완전히 스트립에 붙어 있지 않은 상태로 스트립이 진행하면서 Zn(징크) 가루가 롤에 붙어 스트립에 전사되면 제품 불량을 발생시키거나, 프레스 등 가공 설비에 모여 설비의 2차 불량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plated layers on both side edges of the over-plated strip are not completely attached to the strip, and when Zn (ink) powder adheres to the roll and is transferred to the strip, it may cause product defects or gather at a processing facility such as a pres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secondary failure of.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공개실용신안 실2000-0014065호(2000.07.15.)호에는 "도금강판 엣지부 폴리싱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762489호(2007.09.20.)에는 "스트립 빌드업 삼면 연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0014065 (2000.07.15.) Discloses a "plating steel sheet edge part polishing apparatus",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2489 (2007.09.20.) Discloses a "strip buildup three-side polishing machi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모두 도금층 연마를 위한 기술로, 징크 트리(3)가 형성된 스트립 에지부(1)에 스트립 마스크(2)를 근접시켜 스트립 에지부(1) 과도금을 방지하고 있으며, 스트립의 사행 등으로 인하여 스트립 에지부(1)과 스트립 마스크(2)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립 마스크(2)는 스트립 에지부(1)와 10mm 정도 간격을 두고 사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is is all a technique for polishing the plating layer, in which the strip mask 2 is brought close to the strip edge portion 1 on which the zinc tree 3 is formed, thereby preventing overplating of the strip edge portion 1 and In order to prevent the strip edge portion 1 and the strip mask 2 from colliding due to meandering of the strip, the strip mask 2 is used at a distance of about 10 mm from the strip edge portion 1.

그러나, 55g/m2 이상의 후도금 작업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징크 트리가 성장하게 되고, 징크 찍힘성 덴트가 발생하는바, 스트립 에지부의 징크 트리는 결속력이 극히 불안정하여, 징크 트리를 살짝 터치만 하여도 쉽게 부숴지는데, 상술한 선행기술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별도로 브러쉬 롤을 코팅, 관리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브러쉬 롤의 수명은 약 1주일 정도로 극히 짧아 빈번하게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교체 작업시 징크 트리가 탈락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post-plating operation of 55g / m2 or more, as shown in Figure 2, the zinc tree grows, and the zinc stamping dent occurs, the zinc tree of the strip edge portion is extremely unstable, so that the zinc tree slightly Even if the touch is broken easily, even i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used, the brush roll must be coated and managed separately, and the life of the brush roll is extremely short, which is about one week. Dropping out causes the same problem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dhering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국공개실용신안 실2000-0014065호(2000.07.15.)Korean Utility Model Model 2000-0014065 (2000.07.15.) 한국등록특허 제10-0762489호(2007.09.20.)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62489 (2007.09.20.)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트립 에지부에 형성된 이물질(징크 트리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ip edge debris removal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debris (such as a zinc tree) formed on the strip edge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이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이동블록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이동블록 상에 마련되어 스트립 에지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이동블록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스트립 폭 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구동부, 제2구동부의 작동 여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Strip edge foreign material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a moving block; A first driving part providing power to move the moving block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A second driving part providing power to move the moving blo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A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moving block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ormed at the strip edge; A sensor unit provided on the moving block to sense a strip width direction posi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re operat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block further comprises a base portion to be seat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the first dr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상에 고정 결합된 제1가이드레일과, 이 제1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가이더와, 이 제1가이더상에 고정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상기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스크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가이더가 레일 상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블록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art includes a base frame, a first guide rail fixed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 first guider slidingly moving on the first guide rail,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guid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thereof. It includes a screw block coupled to the moving block, the first dr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screw block so that the first guider sliding on the rail.

상기 스크류 블록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부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스크류 샤프트와, 이 스크류 샤프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그 외주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크류 블록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형성된 스크류 너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crew block, and the first driving part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crew shaf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shaft so that the screw shaft can be fitted therefrom. And a screw nut having a fixed flang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crew block, and a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crew shaft to generate power.

상기 클리닝부 및 센서부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블록 상에서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저면과 상기 이동블록을 매개하는 유압실린더와, 이 유압실린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동블록 상에 고정 결합된 제2가이드레일과, 이 제2가이드레일과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oving frame mounted with the cleaning part and the sensor part and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wherein the second driving part comprises a hydraulic cylinder which mediates a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the moving block; A second guide rail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with the hydraulic cylind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guider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vabl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guide rail.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이동블록 상에서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립 에지부와의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클리닝부는, 중앙은 관통 형성되며 그 일측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 결합된 고정편과, 이 고정편의 하방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와, 이 상부 플랜지와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플랜지와, 상기 고정편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편을 통과하여 상기 상, 하부 플랜지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는 제1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상, 하부 플랜지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그 양단이 결합되는 제2샤프트와, 스트립의 에지부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oving fram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wherein the sensor unit is mounted to the moving frame to detect a distance from the strip edge part, and the cleaning part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 upper flange having one side fixed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ie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exten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having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upper flange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both ends thereof have a lower flange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pass through the fixing piece through the fixing piece. The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he first shaft, the angle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haft, the second shaf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the edge portion of the stri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eaning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to enable.

상기 제1샤프트의 끝단에는 그 외주연 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그 평면 및 저면에 톱니가 형성되며 그 저면은 상기 제1샤프트의 끝단에 안착되는 너트와,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되 그 일단은 상기 너트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너트의 상면에 형성된 톱니와 대응되는 톱니가 내측면에 형성된 텐션 조절캡과, 상기 제1샤프트에 권선되며 그 일단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텐션 조절캡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텐션 조절 스프링과, 상기 텐션조절캡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샤프트에 형성된 수용홈에 결합되되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텐션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e end of the first shaft, sawtooth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at the center thereof is formed a receiving groove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1, a tension adjustment cap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nut seated on the end of the shaft, a compression spring which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one end of which is protruded through the nut, and a tooth corresponding to the tooth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ut; A tension adjustment spring wound around the first shaft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iece at one end thereof and fixed at one side of the tension control cap, and passing through an upper end surface of the tension control cap;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nsion adjusting bolt for compressing the compression spring.

상기 상부 플랜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 일측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 방향으로 각도 제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ngle limiting stopper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upper flange so as to limi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upper flange.

상기 이동블록 상에서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브라켓과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직하방에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과, 이 하부 브라켓의 타단부에 장착된 물분사 노즐과, 상기 상부 브라켓의 타단부 저면에 상기 물분사 노즐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그 내부는 관통 형성된 튜브와, 상기 물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튜브 내부에서 승강하는 도그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타단에서 상기 도그와 대응되는 위치로 굴곡 연장 형성된 연장 브라켓에 설치된 마그네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의 에지부가 상기 튜브와 물분사 노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그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 센서와 상기 도그가 서로 마주보지 않는 경우 상기 제1구동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comprising a moving fram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wherein the sensor unit, the upper end is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 lower bracket which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rom one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rack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lower bracket The water spray nozzl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the other end of the upper bracket is coupl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pray nozzle, the inside of the tube is formed through, and the pressure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A dog rising and lowering inside the tube and the dog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bracket And a magnet sensor installed in an extension bracket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to a posi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edge portion of the strip positioned between the tube and the water spray nozzle so that the dog is lowered so that the magnet sensor and the dog face each other. If not, the first driving unit is stopped, and the second driving unit is operated.

상기 도그는, 상기 튜브 내주면을 승강하는 상부 플로트와, 이 상부 플로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방에 위치하되 상기 튜브 내주면을 승강하는 하부 플로트와, 상기 상부 플로트 및 하부 플로트를 매개하는 연결바와, 이 연결바의 외주면에 장착된 도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내측 하단부에는 상기 도그가 상기 튜브의 내주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 스토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g has an upper float for eleva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 lower floa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o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lower float for eleva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a connection bar for interfacing the upper float and the lower float. And a dog sensor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and an anti-separation stopper is coupled to an inner lower end of the tube to prevent the dog from escap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chnical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스트립 에지부에 형성된 징크 트리 등 다양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remove various foreign matters such as the zinc tree formed in the strip edge portion.

둘째, 크리닝 롤러가 스트립 에지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클리닝 롤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econdly, by maximizing the area where the cleaning roller contacts the strip ed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 of the cleaning roller can be extended.

셋째, 클리닝 롤러가 스트립 에지부와 접촉하는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roller can adjust the contact force in contact with the strip edge portion.

넷째, 최소한의 비용으로 징크 트리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zinc tree at a minimum cost.

다섯째,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Fif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eign matter removal efficiency is improved.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도금 수평 셀의 단면도,
도 2는 징크 트리 및 제품 불량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electroplating horizontal cell,
2 is a photograph showing a zinc tree and a defective product stat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ip edg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second and third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trip edg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동블록(100), 제1구동부(200), 제2구동부(300), 클리닝부(400), 센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strip edg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block 100, a first driving unit 200, a second driving unit 300, a cleaning unit 400, and a sensor unit 500. And a controller 600.

이동블록(100) 상에는 클리닝부(400)와 센서부(500)가 설치되는바, 센서부(500)는 스트립을 감지하여 이동블록(100)의 스트립 폭 방향 이동 여부 결정시 필요한 데이터를 제어부(600)에 제공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기초로 이동블록(100)이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면, 클리닝부(400)가 스트립의 에지부에 접촉하면서 스트립 에지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The cleaning unit 400 and the sensor unit 500 are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100, and the sensor unit 500 detects a strip to control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ving block 100 moves in the strip width direction. 600, and based on this data, when the moving block 100 mov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the cleaning unit 400 contacts the edge of the stri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trip edge.

이러한 이동블록(100)은 그 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클리닝부(400)가 스트립 에지부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클리닝부(4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ving block 1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plane, the cleaning unit 400 is in contact with the strip edge portion in a large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cleaning unit 400.

제1구동부(200)는 이동블록(100)과 연결되어 이동블록(100)이 스트립의 폭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The first driv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00 to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ing block 100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또한, 제2구동부(300)는 이동블록(100)과 연결되어 이동블록(100)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00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ing block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제어부(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500)로부터 이동블록(100)과 센서부(500) 간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블록(100)을 스트립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클리닝부(400)가 스트립의 에지부에 접촉 가능케 하는바, 구체적으로는 이동블록(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200)를 컨트롤함으로써, 상술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block 100 and the sensor unit 500 from the sensor unit 500, by moving the moving block 100 in the strip width direction cleaning unit The bar 400 makes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strip, specifically, by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20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ing block 100,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s to be performed.

또한, 제어부(600)는 제2구동부(30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동블록(100)의 스트립 길이 방향 이동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unit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moving block 100 moves in the strip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는 베이스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블록(100)을 베이스부(7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구동부(200)를 이 베이스부(700)에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Strip edge portion foreign material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base portion (700). That is, the first driv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unit 700 in a state where the moving block 100 is seated on the base unit 700 to transmit power.

별도의 베이스부(700)를 구비함으로써, 동력 전달시 필요한 구성 요소를 이동블록(100)에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이동블록(100)이 필요 이상으로 그 부피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이동블록(100)의 중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필요한 동력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By providing a separate base portion 700, there is no need to mount the components required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moving block 100 to prevent the moving block 100 from increasing its volume more than necessary.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lso reduce the power required by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moving block (100).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의 베이스부(700), 제1구동부(200), 제2구동부(300)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3 and 4, the base unit 700, the first driving unit 20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00 of the strip edg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베이스부(700)는, 베이스 프레임(710), 제1가이드레일(720), 제1가이더(730), 스크류 블록(7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unit 700 preferably includes a base frame 710, a first guide rail 720, a first guider 730, and a screw block 740.

베이스 프레임(710)은, 메인 베이스 프레임(712)과, 이 메인 베이스 프레임(712) 상에 결합되는 제1보조 베이스 프레임(714), 제1보조 베이스 프레임(714)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2보조 베이스 프레임(716) 및 제3보조 베이스 프레임(718), 제2보조 베이스 프레임(716)(또는 제3보조 베이스 프레임(718))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4보조 베이스 프레임(719)을 포함한다.The base frame 710 is provided with a main base frame 712, a first auxiliary base frame 714 and a first auxiliary base frame 714 coupled to the main base frame 71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ourth auxiliary base frame 719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the second auxiliary base frame 716, the third auxiliary base frame 718, and the second auxiliary base frame 716 (or the third auxiliary base frame 718). ).

제1보조 베이스 프레임(714) 상에는 제1가이드레일(720)이 결합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레일(720)은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바, 이 제1가이드레일(720) 상으로 제1가이더(73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guide rail 720 is coupled to the first auxiliary base frame 714. The first guide rail 72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so that the first guider 730 slides on the first guide rail 720.

제1가이드레일(720) 및 제1가이더(730)의 구조 및 형상은, 제1가이더(730)가 제1가이드레일(720) 상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케 하는 것이라면,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는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그 중의 하나의 구조 및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The structures and shapes of the first guide rail 720 and the first guider 730 may be slidably moved on the first guide rail 720,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3 and 4 illustrate the structure and shape of one of them.

제1가이더(730)가 제1가이드레일(7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가이더(730)의 평면에는 스크류 블록(740)이 결합되고, 이 스크류 블록(740)의 평면에 이동블록(100)이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In a state where the first guider 7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rail 720, a screw block 740 is coupled to a plane of the first guider 730, and a plane of the screw block 740 is coupled to the first guider 730. The moving block 100 is fixedly coupled.

제1구동부(200)는 스크류 블록(740)에 스트립 폭 방향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제1가이더(730)가 제1가이드레일(720) 상을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제1가이더(730)의 이동에 따라 이동블록(100)도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driving unit 200 transmits the strip width direction power to the screw block 740, thereby allowing the first guider 730 to move on the first guide rail 720,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guider 730. As a result, the movable block 100 will also be able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한편, 제1구동부(200)는, 스크류 샤프트(210), 스크류 너트(220), 모터(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driving part 200 preferably includes a screw shaft 210, a screw nut 220, and a motor 230.

스크류 블록(74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바, 관통 방향은 스트립 폭 방향을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으로 스크류 샤프트(210)가 통과하게 된다.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screw block 740, the through direction is formed in the strip width direction, the screw shaft 2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스크류 샤프트(210)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관통공을 통과한다.The screw shaft 210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또한, 스크류 블록(740)의 일측면에는 스크류 너트(220)가 결합된다. 스크류 너트(220)의 내주면에는 스크류 샤프트(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일단에는 둘레 방향으로 고정 플랜지(222)가 연장 형성된다. 즉, 스크류 너트(220)는 스크류 블록(740)의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 플랜지(222)는 스크류 블록(740)의 일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볼트 등의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crew nut 2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crew block 74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nut 220 is formed with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shaft 210, and a fixed flange 222 extends in one end thereof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That is, the screw nut 220 is inserted into the screw block 740, the fixing flange 222 is fixed by a member such as a bolt in a stat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crew block 740.

또한, 스크류 샤프트(210)의 일단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수단인 모터(230)가 결합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crew shaft 210 is coupled to the motor 230 which is a means for generating power.

따라서, 모터(230)가 작동하여 스크류 샤프트(210)가 회전하면, 스크류 너트(220)와 나사 결합하고 있는 스크류 샤프트(21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과 함께, 고정 플랜지(222)에 결합된 이동블록(100)이 스크류 블록(740)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센서부(500) 및 클리닝부(400)가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motor 230 is operated to rotate the screw shaft 210, the screw shaft 210 which is screwed with the screw nut 220 is moved in one direction, and with this movement, the fixed flange 222 The moving block 100 coupled to) will move the screw block 740, and ultimately the sensor unit 500 and the cleaning unit 400 will be able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제2보조 베이스 프레임(716) 및 제3보조 베이스 프레임(718) 상에는 각각 스크류 샤프트(21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브라켓(B1,B2)이 고정 결합되며, 모터(230)는 제4보조 베이스 프레임(719) 상에 고정 결합된다.
Support brackets B1 and B2 capable of supporting the screw shaft 210 ar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base frame 716 and the third auxiliary base frame 718, respectively, and the motor 230 is the fourth auxiliary base.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719.

한편,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는, 클리닝부(400) 및 센서부(500)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 프레임(8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trip edge debris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moving frame 800 for mounting the cleaning unit 400 and the sensor unit 500.

이동 프레임(800)은 이동블록(100) 상에서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구동부(300)는 이러한 이동 프레임(800)이 이동블록(100) 상에서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The moving frame 8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10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00 powers the moving frame 800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100. Function to provide.

이러한 기능 실현을 위해서 제2구동부(300)는, 유압실린더(310), 제2가이드레일(320) 및 제2가이더(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alize such a function, the second driving unit 300 preferably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310, a second guide rail 320, and a second guider 330.

유압실린더(310)는 이동블록(100)과 이동 프레임(800)을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유압실린더(310)의 양 단은 각각 이동 프레임(800)과 이동블록(100)에 결합되며, 유압실린더(310) 압축시 이동 프레임(800)은 이동블록(100)의 일단에 위치하게 되고, 그것이 팽창하면 이동 프레임(800)이 이동블록(100)의 타단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hydraulic cylinder 310 functions to mediate the moving block 100 and the moving frame 800. That is, both ends of the hydraulic cylinder 310 ar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800 and the moving block 100, respectively, and when the hydraulic cylinder 310 is compressed, the moving frame 800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moving block 100. When it expands, the moving frame 800 moves towar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block 100.

이동 프레임(800)이 이동블록(100) 상에서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100) 상에는 제2가이드레일(320)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이동 프레임(800)이 이러한 제2가이드레일(320) 상에서 사행하거나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프레임(800)의 저면에는 제2가이더(330)가 결합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guide rail 320 is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so that the moving frame 800 can move more smoothly on the moving block 100, and more preferably, the moving frame ( The second guider 33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ving frame 800 so that the 800 may move on the second guide rail 320 without meandering or leaving.

제2가이드레일(320) 및 제2가이더(330)의 구조 및 형상은, 제2가이더(330)가 제2가이드레일(320) 상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케 하는 것이라면,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The structures and shapes of the second guide rail 320 and the second guider 330 may be slidably moved on the second guide rail 320,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It may be designed to be deformable into a shap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센서부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a sensor unit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센서부(500)는, 상부 브라켓(510), 하부 브라켓(520), 튜브(540), 도그(550) 및 마그네트 센서(5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unit 500 preferably includes an upper bracket 510, a lower bracket 520, a tube 540, a dog 550, and a magnet sensor 570.

상부 브라켓(510)은, 스트립 에지부 일측면과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800)의 일면에 설치되는바, 그 일단은 이동 프레임(800)에 고정 결합되되 그 타단은 스트립 에지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upper bracket 510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800 facing one side of the strip edge part,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800 and the other end thereof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edge part. .

하부 브라켓(520)은 상부 브라켓(510)의 직하방에 위치하는바, 상부 브라켓(510)과는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그 일단을 이동 프레임(800)에 고정 결합하며, 그 타단은 스트립의 에지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The lower bracket 520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upper bracket 510. The lower bracket 520 is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8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racket 5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p It extends in the edge direction.

상부 브라켓(510)과 하부 브라켓(520)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 브라켓(CB)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 하부 브라켓(510,520)의 일단에는 이동 프레임(8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체결편(J)이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The upper bracket 510 and the lower bracket 5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CB)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moving frame 800 at one end of the upper, lower brackets (510, 520). The fastening pieces J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이 하부 브라켓(520)의 타단부에는 물을 상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물분사 노즐(530)이 설치되며, 이러한 물분사 노즐(530)과 대응되는 상부 브라켓(510) 부분에는 그 내부가 관통 형성된 튜브(540)가 결합하는바, 물분사 노즐(530)은 튜브(540) 내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게 되는바, 이러한 물분사 노즐(530)에는 공급라인(L)이 연결된다.The other end of the lower bracket 520 is provided with a water spray nozzle 530 to spray the water upwards, the upper bracket 510 corresponding to the water spray nozzle 530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When the tube 540 is coupled, the water spray nozzle 530 is to spray the water toward the tube 540, the supply line (L) is connected to the water spray nozzle 530.

또한, 도그(550)는 튜브(540) 내부에서 승강하는데, 물 분사시 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하고, 물의 압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튜브(540) 내에서 하강한다.In addition, the dog 550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tube 540, and rises by the pressure of water during water injection, and falls in the tube 540 when the pressure of the water is not transmitted.

한편, 상부 브라켓(510)의 타단부에는 연장 브라켓(56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장 브라켓(560)에는 마그네트 센서(570)가 설치된다.Meanwhile, an extension bracket 56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bracket 510, and a magnet sensor 570 is installed at the extension bracket 560.

마그네트 센서(570)는 도그(550) 상승시, 이러한 도그(550)와 서로 마주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한다.The magnet sensor 570 is positioned where the dog 550 faces each other when the dog 550 is raised.

물분사 노즐(530)에서 분사된 물이 튜브(540) 내부의 도그(550)에 이르게 되면, 도그(550)와 마그네트 센서(570)는 서로 마주보게 되는바, 서로 간에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 제어부(600)는 이동블록(100)이 아직 충분히 스트립 에지부로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When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530 reaches the dog 550 inside the tube 540, the dog 550 and the magnet sensor 570 face each other, and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00 determines that the moving block 100 has not sufficiently approached the strip edge portion.

지속적으로 이동블록(100)을 스트립의 에지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물분사 노즐(530)에서 분사된 물은 스트립 에지부의 간섭에 의해 튜브(540) 내부에 이르지 못하게 되고, 튜브(540) 내부에서 도그(550)가 하강하게 된다.When the moving block 100 is continuously moved toward the edge of the strip,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530 does not reach the inside of the tube 540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strip edge, and the inside of the tube 540. Dog 550 is lowered.

이때, 도그(550)는 마그네트 센서(570)와 서로 마주보지 못하는 곳에 위치하게 되는바, 제어부(600)는 이동블록(100)이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구동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og 550 is located in a location where the magnet sensor 570 does not face each other,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at the moving block 100 is sufficiently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the first driving unit ( 200 will be stopped.

한편, 도그(550)는, 튜브(540) 내주면을 승강하는 상부 플로트(562)와, 이 상부 플로트(562)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하방에 위치하되 튜브(540) 내부를 승강하는 하부 플로트(564), 상부 플로트(562)와 하부 플로트(564)를 매개하는 연결바(566) 및 이 연결바(566)의 외주면에 장착된 도그 센서(568)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g 550, the upper float 562 to elevat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540, and the lower floa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oat 56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the lower float (elevating the inside of the tube 540 ( 564, a connecting bar 566 which mediates the upper float 562 and the lower float 564, and a dog sensor 568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566.

또한, 튜브(540) 내부에는 도그(550) 하강시 튜브(540)로부터 도그(5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 스토퍼(569)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569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ube 540 to prevent the dog 5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ube 540 when the dog 550 descend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요부인 클리닝부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leaning unit,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strip edg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클리닝부(400)는, 스트립 에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800)의 일면에 장착된다.The cleaning unit 40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800 facing the strip edge portion.

이러한 클리닝부(400)가 이동 프레임(8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도는 상술한 센서부(500)가 이동 프레임(8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도와 동일하다. 이는, 센서부(500) 작동의 궁극적인 목표가, 클리닝부(400)의 효율 증대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The degree to which the cleaning unit 400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8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nsor unit 500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800. This is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500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leaning unit 400.

클리닝부(400)는, 고정편(410), 상부 플랜지(420), 하부 플랜지(430), 제1샤프트(440), 각도조절부(450), 제2샤프트(460), 클리닝 롤러(4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eaning unit 400 includes a fixed piece 410, an upper flange 420, a lower flange 430, a first shaft 440, an angle adjusting unit 450, a second shaft 460, and a cleaning roller 47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고정편(410)은, 중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그 일측은 이동 프레임(80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편(410)의 중앙을 관통 형성한 이유는, 후술할 제1샤프트(440)가 고정편(4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xed piece 410 has a center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side thereof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800. The reason for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fixing piece 410 is to allow the first shaft 440 to be described later to pass through the fixing piece 410.

고정편(410)의 하방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플랜지(420)가 설치된다. 상부 플랜지(420)는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양 단부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The upper flange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iece 4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upper flange 420 is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이러한 상부 플랜지(420)의 하방에는 상부 플랜지(420)와 일정 간격 이격되되 그 형상 및 구조가 상부 플랜지(420)와 유사한 하부 플랜지(430)가 설치된다. 하부 플랜지(430)의 양 단부에도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flange 43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4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upper flange 420, and its shape and structure are similar to the upper flange 420. Through holes are also formed in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430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제1샤프트(440)는 고정편(410)을 통과하여 상부 플랜지(420) 및 하부 플랜지(430)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 상부 플랜지(420) 및 하부 플랜지(430)에 끼워지게 된다.The first shaft 440 passes through the fixing piece 410 and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lange 420 and the lower flange 430 to be fitted to the upper flange 420 and the lower flange 430. do.

또한, 제2샤프트(460)는 상부 플랜지(420) 및 하부 플랜지(4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끼워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haft 460 is f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upper flange 420 and the lower flange 430.

제2샤프트(460)에는 클리닝 롤러(4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클리닝 롤러(470)의 재질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재질 변경 가능하다.The cleaning roller 4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460. The material of the cleaning roller 470 may be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and various material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이동블록(100)이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충분하게 이동하게 되면, 클리닝 롤러(470)가 스트립의 에지부에 접하게 되고, 이동블록(100)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트립 에지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moving block 100 is sufficiently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the cleaning roller 470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strip, the moving block 1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strip edge portion. You can do it.

한편, 이러한 클리닝부(400)는 제1샤프트(440)를 기준으로 좌, 우로 일정 각도 회동하게 되는데, 회동하는 정도에 따라 클리닝 롤러(470)와 스트립 에지부 사이의 접촉력에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unit 4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440, a change in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cleaning roller 470 and the strip edge por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tation.

회동 각도가 커지면 커질수록 이물질 제거시 스트립 에지부와의 접촉 장력이 감소하고, 회동 각도가 작으면 작을수록 이물질 제거시 스트립 에지부와의 접촉 장력이 증가한다.The larger the rotation angle, the smaller the contact tension with the strip edge whe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the smaller the rotation angle, the greater the contact tension with the strip edge when removing the foreign matter.

따라서, 제1샤프트(440)의 회동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는 각도조절부(4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shaft 440, the strip edge portion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angle adjusting portion 450.

이러한 각도조절부(450)는 제1샤프트(44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4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haft 440.

이하에서는 이러한 각도조절부(450)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ngle adjusting unit 4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각도조절부(450)는, 너트(452), 압축스프링(454), 텐션 조절캡(456), 텐션 조절 스프링(458), 텐션 조절 볼트(45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gle adjusting unit 450 preferably includes a nut 452, a compression spring 454, a tension adjusting cap 456, a tension adjusting spring 458, and a tension adjusting bolt 459.

또한,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450)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샤프트(440)의 끝단에는 그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홈(442)이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홈(44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제1샤프트(440) 끝단의 외주연에는 톱니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angle adjustment unit 45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ceiving groove 44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haft 4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receiving groove 442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In addition,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first shaft 440.

제1샤프트(440) 끝단에는 너트(452)가 안착되는데, 이 너트(452)의 평면 및 저면의 외주연에는 제1샤프트(440) 끝단에 형성된 톱니와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되는바, 너트(452) 저면에 형성된 톱니는 제1샤프트(440) 끝단 외주연에 형성된 톱니와 서로 맞물리며, 너트(452) 평면에 형성된 톱니는 후술할 텐션 조절캡(456)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톱니와 서로 맞물린다.A nut 452 is seated at the end of the first shaft 440, and teeth corresponding to the teeth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haft 440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lat and bottom surfaces of the nut 452. 452) The teeth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re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first shaft 440, and the teeth formed on the nut 452 plane are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on one side of the tension adjusting cap 456 to be described later. .

너트(452)가 제1샤프트(440)에 안착한 상태에서, 압축스프링(454)을 제1샤프트(440)에 형성된 수용홈(442)에 삽입한다. 이때, 압축스프링(454)의 일단은 수용홈(442) 및 너트(452)로부터 돌출된다.With the nut 452 seated on the first shaft 440, the compression spring 45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442 formed in the first shaft 44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454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groove 442 and the nut 452.

이 상태에서, 그 내측면에 톱니가 형성된 텐션 조절캡(456)을 너트(452)의 평면 외주연에 형성된 톱니와 치합시킨다. 또한, 텐션 조절캡(456)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다.In this state, the tension adjusting cap 456 with teeth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is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on the planar outer periphery of the nut 452.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control cap 456 is formed through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텐션 조절 스프링(458)은 제1샤프트(440)의 외주면에 감겨 그 일단이 텐션 조절캡(456)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텐션 조절캡(456)의 일 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의 편의성을 위하여 텐션 조절캡(456) 하단에는 텐션 조절 스프링(458) 결합을 위한 돌출편(456a)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텐션 조절캡(456)의 일측면에는 핸들(456b)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adjustment spring 458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440,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tension adjustment cap 456, the other end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sion adjustment cap 456. For convenience of fixing, a protrusion 456a for engaging the tension control spring 458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ension control cap 456, and the handle 456b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ension control cap 456. Can be.

이러한 상태에서, 텐션 조절 볼트(459)를 텐션 조절캡(456) 상단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시켜 제1샤프트(440)에 형성된 수용홈(442)에 체결하면, 각도조절부(450)의 조립이 완료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tension adjusting bolt 459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op surface of the tension adjusting cap 456 and is fastened to the receiving groove 442 formed in the first shaft 440, the angle adjusting part 450 Assembly is complete.

텐션 조절 볼트(459)가 완전히 수용홈(442)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는 제1샤프트(440)는 회동하지 않는다.The first shaft 440 does not rotate when the tension adjusting bolt 459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442 and fastened.

사용자가 텐션 조절캡(456)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원상태에 있던 텐션 조절 스프링(458)은 변형되며, 제1샤프트(440)의 회동 각도가 확보되는바, 스트립 에지부와 접촉하면서 회동하게 되는 제1샤프트(440)는, 일정 각도 만큼 회동하더라도 텐션 조절 스프링(458)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user rotates the tension adjustment cap 456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tension adjustment spring 458 in the original state is deform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shaft 440 is secured, and the rotation is performed while contacting the strip edge part. Even if the first shaft 44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shaft 440 may automatical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adjustment spring 458.

또한, 제1샤프트(440), 너트(452)의 평면 및 저면, 텐션 조절캡(456)에 형성된 톱니는 텐션 조절캡(456)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그 외주연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eth formed on the plane and bottom of the first shaft 440, the nut 452, and the tension adjustment cap 456 is limited to only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in order to limit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tension adjustment cap 456. It is preferable to form.

또한, 제1샤프트(440)와 끼움 결합 관계에 있는 상부 플랜지(420) 내지 하부 플랜지(430)가 이동 프레임(800)과 마주보는 측면에는, 이동 프레임(800) 방향으로 각도 제한 스토퍼(42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부 플랜지(420) 내지 하부 플랜지(430), 더 나아가 제1샤프트(44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limiting stopper 422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800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420 to the lower flange 430 in the engagement relationship with the first shaft 440 facing the moving frame 800. By forming th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flange 420 to the lower flange 430, and further, the first shaft 440.

한편, 클리닝 롤러(470)를 제2샤프트(460)에 견고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그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B) 및 와셔(W)를 이용할 수 있는바, 제2샤프트(460) 끝단에 베어링(B)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 베이링(B)의 외주연에 클리닝 롤러(470)를 끼워 조립한다.Meanwhile, the bearing B and the washer W may be used to firmly couple the cleaning roller 470 to the second shaft 460 and to facilitate the rotation thereof. The bearing B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cleaning roller 470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earing B to be assembled.

또한, 각도조절부(450)와 관련하여, 고정편(410)과 너트(452) 등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고정편(410)에는 부쉬(H) 및 커버(C)가 장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angle adjuster 450, in order to firmly couple the fixing piece 410 and the nut 452, the fixing piece 410 may be mounted with a bush (H) and the cover (C). .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operation of the strip edge debris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스트립 통과시, 모터(230) 작동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210)가 회전하여 스트립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류 블록(740)을 밀게 되면, 이동블록(100)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블록(100) 상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800)도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passing through the strip, if the screw shaft 21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0 to push the screw block 740 while moving in the strip width direction, the moving block 100 is moved in one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moving frame 800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00 is also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물분사 노즐(530)에서 일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물은 튜브(540) 내부에 설치된 하부 플로트(564)를 일정한 압력으로 밀게 되는바, 도그 센서(568)와 마그네트 센서(570)가 서로 마주보면서 상호 간에 신호를 주고 받게 된다.Water sprayed at a constant pressure from the water spray nozzle 530 pushes the lower float 564 installed in the tube 540 at a constant pressure, and the dog sensor 568 and the magnet sensor 570 face each other. Will signal between them.

이때, 제어부(600)는 클리닝부(400)가 스트립 에지부에 충분히 접근하지 못한 상태로 판단하고, 제1구동부(20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스트립 에지부가 상부 브라켓(510)과 하부 브라켓(520) 사이에 위치하여 물분사 노즐(530)에서 분사되는 물이 스트립 에지부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면, 도그(550)는 튜브(540)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도그 센서(568)는 마그네트 센서(570)와 상호 마주볼 수 없는 위치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600)는 클리닝부(400)가 스트립 에지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위치에 이르게 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at the cleaning unit 400 does not sufficiently approach the strip edge unit, and continuously operates the first driving unit 200. When the strip edge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racket 510 and the lower bracket 520 so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530 is interfered by the strip edge portion, the dog 550 is moved inside the tube 540. When the dog sensor 568 is lowered, the dog sensor 568 reaches a position which cannot be mutually opposite to the magnet sensor 57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cleaning unit 400 can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strip edge portion. It is judged that it has come.

이 상태에서, 제어부(600)는 유압실린더(310)를 작동시키면서 이동 프레임(800)을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바, 스트립 에지부에 접촉하고 있는 클리닝 롤러(470)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제1샤프트(440)를 기준으로 상부 플랜지(420) 및 하부 플랜지(430)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클리닝 롤러(470)와 스트립 에지부 사이의 과접촉을 조절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600 moves the moving frame 8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while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310, and the cleaning roller 470 in contact with the strip edge portion removes foreign substances. The upper flange 420 and the lower flange 430 are rotat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440 to adjust overcontact between the cleaning roller 470 and the strip edge portion.

또한, 사용자는 텐션 조절캡(456)을 회전시켜 상부 플랜지(420) 및 하부 플랜지(43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클리닝 롤러(470)와 스트립 에지부 사이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flange 420 and the lower flange 430 by rotating the tension adjusting cap 456, the user can adjust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cleaning roller 470 and the strip edge portion described above. will b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이동블록 200 : 제1구동부
210 : 스크류 샤프트 220 : 스크류 너트
230 : 모터 300 : 제2구동부
310 : 유압실린더 320 : 제2가이드레일
330 : 제2가이더 400 : 클리닝부
410 : 고정편 420 : 상부 플랜지
430 : 하부 플랜지 440 : 제1샤프트
450 : 각도조절부 460 : 제2샤프트
470 : 클리닝 롤러 500 : 센서부
510 : 상부 브라켓 520 : 하부 브라켓
530 : 물분사 노즐 540 : 튜브
550 : 도그 560 : 연장 브라켓
570 : 마그네트 센서 600 : 제어부
700 : 베이스부 710 : 베이스 프레임
720 : 제1가이드레일 730 : 제1가이더
740 : 스크류 블록 800 : 이동 프레임
100: moving block 200: first drive unit
210: screw shaft 220: screw nut
230: motor 300: second drive part
310: hydraulic cylinder 320: second guide rail
330: second guider 400: the cleaning unit
410: fixed piece 420: upper flange
430: lower flange 440: first shaft
450: angle adjuster 460: second shaft
470: cleaning roller 500: sensor
510: upper bracket 520: lower bracket
530: water spray nozzle 540: tube
550: dog 560: extension bracket
570: magnet sensor 600: control unit
700: base portion 710: base frame
720: first guide rail 730: first guider
740: screw block 800: moving frame

Claims (10)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이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이동블록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이동블록 상에 마련되어 스트립 에지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이동블록 상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스트립 폭 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구동부, 제2구동부의 작동 여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Moving block;
A first driving part providing power to move the moving block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A second driving part providing power to move the moving blo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A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moving block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ormed at the strip edge;
A sensor unit provided on the moving block to sense a strip width direction posi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re operat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The moving block further comprises a base portion to be seat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The first dr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base portion, strip edg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상에 고정 결합된 제1가이드레일과, 이 제1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가이더와, 이 제1가이더상에 고정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상기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스크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가이더가 제1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블록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art includes a base frame, a first guide rail fixed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 first guider slidingly moving on the first guide rail,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guid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thereof. A screw block to which the moving block is coupled;
The first driving unit, strip edge portion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screw block so that the first guider sliding on the first guide rai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블록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부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스크류 샤프트와, 이 스크류 샤프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그 외주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크류 블록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형성된 스크류 너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crew block,
The first driving part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crew shaf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crew shaft can be fitted therein, and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block. And a screw nut having a fixing flange fixed to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crew shaft to generate pow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 및 센서부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블록 상에서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저면과 상기 이동블록을 매개하는 유압실린더와, 이 유압실린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동블록 상에 고정 결합된 제2가이드레일과, 이 제2가이드레일과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unit and the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 moving fram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The second driving unit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which medi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and the movable block, a second guide rail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with the hydraulic cylind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guider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vabl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guide rai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 상에서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립 에지부와의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클리닝부는, 중앙은 관통 형성되며 그 일측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 결합된 고정편과, 이 고정편의 하방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와, 이 상부 플랜지와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플랜지와, 상기 고정편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편을 통과하여 상기 상, 하부 플랜지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는 제1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상, 하부 플랜지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그 양단이 결합되는 제2샤프트와, 스트립의 에지부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ving fram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The sensor unit is mounted to the moving frame to detect the distance to the strip edge portion,
The cleaning part has a center portion formed through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moving frame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ing frame, spaced apart below the fixed piece at regular intervals and is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 upper flang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t both ends, and an upper flang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in a lengthwise width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a lower flang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t both ends thereof; A first shaft through the piece and fit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rotational angle of the shaft, and The second shaf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and the edge of the strip are foreign materials. Device, the strip edge to remove foreign matter, characterized in comprising the second shaft of the cleaning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o elimina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의 끝단에는 그 외주연 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그 평면 및 저면에 톱니가 형성되며 그 저면은 상기 제1샤프트의 끝단에 안착되는 너트와,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되 그 일단은 상기 너트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너트의 상면에 형성된 톱니와 대응되는 톱니가 내측면에 형성된 텐션 조절캡과, 상기 제1샤프트에 권선되며 그 일단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텐션 조절캡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텐션 조절 스프링과, 상기 텐션 조절캡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샤프트에 형성된 수용홈에 결합되되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텐션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toot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haft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a receiving groove having a thread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t the center there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the teeth are formed in the plane and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is a nut seated at the end of the first shaft, the compression spring is built in the receiving groove, one end of which protrudes through the nut, and The teeth corresponding to the teeth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ut is tension tension cap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first shaft is wound around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iece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sion control cap Strip tension portion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nsion adjusting bolt which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shaft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tension control cap and the compression adjustment spring to compress the compression spring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 일측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 방향으로 각도 제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So as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flange, one side of the upper fl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limiting stopper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strip edg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 상에서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브라켓과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직하방에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과, 이 하부 브라켓의 타단부에 장착된 물분사 노즐과, 상기 상부 브라켓의 타단부 저면에 상기 물분사 노즐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그 내부는 관통 형성된 튜브와, 상기 물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튜브 내부에서 승강하는 도그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타단에서 상기 도그와 대응되는 위치로 굴곡 연장 형성된 연장 브라켓에 설치된 마그네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의 에지부가 상기 튜브와 물분사 노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그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 센서와 상기 도그가 서로 마주보지 않는 경우 상기 제1구동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ving fram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on the moving block,
The sensor un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one end of which is formed to b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the upper bracket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One end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racke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low the lower bracket, the water spray nozzl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lower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bracket It is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pray nozzle, the inside of the tube is formed through, the dog lifting up inside the tube by the pressure of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dog A magnet sensor installed in the extension bracket which is formed to be bent to a position;
The control unit stops the first driving unit when the magnet sensor and the dog do not face each other because the edge of the strip is located between the tube and the water spray nozzle, so that the dog is lowered, and the second driving unit is operated. Characterized in that, strip edg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그는, 상기 튜브 내주면을 승강하는 상부 플로트와, 이 상부 플로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방에 위치하되 상기 튜브 내주면을 승강하는 하부 플로트와, 상기 상부 플로트 및 하부 플로트를 매개하는 연결바와, 이 연결바의 외주면에 장착된 도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내측 하단부에는 상기 도그가 상기 튜브의 내주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 스토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dog has an upper float for eleva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 lower floa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o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lower float for eleva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a connection bar for interfacing the upper float and the lower float. A dog sensor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Stripping prevention of the foreign material strip strip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stopper is coupled to the inner lower end of the tube to prevent the do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KR1020120042929A 2012-04-25 2012-04-25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KR101365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29A KR101365532B1 (en) 2012-04-25 2012-04-25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29A KR101365532B1 (en) 2012-04-25 2012-04-25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01A KR20130120001A (en) 2013-11-04
KR101365532B1 true KR101365532B1 (en) 2014-02-21

Family

ID=4985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929A KR101365532B1 (en) 2012-04-25 2012-04-25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5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64B1 (en) * 2016-12-13 2018-08-2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removing dendrite of electro galvanic plate
KR102043290B1 (en) * 2017-11-13 2019-11-11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for removing dendrite of plated strip
KR102119955B1 (en) 2018-08-29 2020-06-05 주식회사 포스코 Roller device and apparatus for removing dendrite or zinc-tree from electro galvanic strip having the same
KR102140183B1 (en) * 2018-11-08 2020-07-31 주식회사 포스코 Edge mask apparatus of electro-plating facilities
KR102252091B1 (en) * 2019-10-15 2021-05-13 주식회사 포스코 Strip edge overcoating protec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376A (en) * 2001-11-29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finishing strep edge build
KR20090071196A (en)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grinding edge of steel-plate for preventing to making line-mark
KR20110013022A (en)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Impact point measurement device for door module of veh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376A (en) * 2001-11-29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finishing strep edge build
KR20090071196A (en)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grinding edge of steel-plate for preventing to making line-mark
KR20110013022A (en)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Impact point measurement device for door module of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01A (en)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53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zinc-tree in strip-edge
CN210907034U (en) Glass wip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placing dust-free cloth based on GAP detection
CN104418048A (en) Elastic drum cleaning device of belt-type conveyor
CN108031667A (en) Electronic rotation brush device
CN209348937U (en) A kind of capacitor aluminium foil uniform gluing mechanism
CN210883828U (en) Hardware production feeding device
CN208262901U (en) A kind of new type auto cross cutting waste clearing device with detection function
CN217069810U (en) Ceramic tile cleaning device
CN211865631U (en) Painting device for processing plastic-steel doors and windows
CN101871121B (en) Metal sheet electrolytic etching method and etching machine
KR101245709B1 (en) Moving doctor-blade device
CN211678910U (en) Roller surface cleaning scraper
CN203624445U (en) Belt conveyor
CN212383947U (en) Paint spraying machine belt cleaning device and paint spraying machine
CN213355875U (en) Conveyor for mining system
CN211614044U (en) Continuous stamping die for stamping
CN218101199U (en) High-efficient clearance subassembly
CN207681252U (en) A kind of automatic punching machine
CN210591123U (en) Automatic flattening device for pencils
CN201762475U (en) Metal plate electrolytic etching machine
CN216190279U (en) High-efficiency anti-aging roller assembly
CN201762465U (en) Electrical etching machine for metal plate
CN209902702U (en) Positioning device for end grooving
CN220068743U (en) Double-roller tea flattening mechanism
CN218360153U (en) Pipeline inner and outer wall coa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