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935B1 -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935B1
KR101364935B1 KR1020070035024A KR20070035024A KR101364935B1 KR 101364935 B1 KR101364935 B1 KR 101364935B1 KR 1020070035024 A KR1020070035024 A KR 1020070035024A KR 20070035024 A KR20070035024 A KR 20070035024A KR 101364935 B1 KR101364935 B1 KR 10136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vibration
mood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931A (ko
Inventor
김종환
엄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935B1/ko
Priority to US12/041,445 priority patent/US8933891B2/en
Publication of KR2008009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태나 동작이 달라지는 캐릭터에 대해, 캐릭터의 동작을 이동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매칭시켜,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캐릭터의 동작이나 기분을 표시함과 더불어 진동을 출력하거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을 캐릭터를 통해 표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분을 캐릭터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에서 캐릭터의 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캐릭터, 진동, 피드백, 터치 스크린, 핫키

Description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for outputting tremor with displaying charactor image, and termina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에서 캐릭터 진동 피드백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7은 캐릭터 진동 피드백 메뉴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캐릭터 기분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캐릭터 기분에 매칭시킬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캐릭터 터치 위치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캐릭터 터치 위치에 대응된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호를 요청하는 기능에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메시지 수신 기능에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메시지 송수신시 캐릭터 기분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캐릭터 기분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때 캐릭터의 다른 기분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6은 화면 상에 표시된 캐릭터 기분에 사용자가 터치한 경우 캐릭터 진동 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 단말기 110 : 터치 디바이스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출력부 150 : 프로그램부
160 : 저장부
본 발명은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캐릭터를 키우거나, 단말기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를 키우는 게임 등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 키우기 게임은 사용자로 하여금 캐릭터를 선택하여 관심과 정성으로 캐릭터를 키우게 하고 사용자가 그로부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캐릭터 키우기 게임은 단순히 사용자의 관심과 정성으로 캐릭터를 키우는데만 이용하고, 그 외에 캐릭터를 이용한 다른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태나 동작이 달라지는 캐릭터에 대해, 캐릭터의 동작을 이동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매칭시켜,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캐릭터의 동작이나 기분을 표시함과 더불어 진동을 출력하도록 하는,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태 또는 동작이 달라지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릭터의 동작과 연동하여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설정된 캐릭터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사용 패턴은,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된 그룹이나 인명, 또는 전화번호별로 호(call)를 요청하거나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수신 시에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 설정된 특정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단어에 매칭된 캐릭터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캐릭터의 동작과 연동된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캐릭터의 동작에 매칭된 세기(Strength)의 진동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핫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캐릭터의 형태 또는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캐릭터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태 또는 동작이 달라지는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캐릭터의 동작과 연동된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 대응된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캐릭터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핫키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핫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형태 또는 동작을 표시하고, 상기 캐릭터에 대응된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디바이스(Touch Device)(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출력부(140), 프로그램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터치 디바이스(110)는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과, 표시 영역(Display Area), 입력 영역(Input Area) 및 제어 영역(Control Area)을 포함한다. 터치 디바이스(110)는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거나, 입력받은 정보나 입력받은 정보에 따른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정보는 문자와 숫자, 기호, 그림,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캐릭터의 형태나 동작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터치 디바이스(110)는 입력 영역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 또는 조작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터치 디바이스(110)는 표시 영역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거나, 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통신부(120)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 및 멀티미디어에 관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20)는 상대방 단말기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관한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대방 터치 입력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30)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른 캐릭터의 형태나 동작을 터치 디바이스(110) 상의 표시 영역으로 표시하고, 캐릭터의 형태나 동작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거나, 캐릭터의 형태나 동작에 대응된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된 그룹이나 인명으로 호의 요청 이 있거나 메시지의 송수신이 있는 경우에, 그 단말기의 동작 패턴에 따른 캐릭터의 기분을 표시하고, 그에 대응된 캐릭터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메시지의 표시 화면 상에 캐릭터의 기분을 표시함과 더불어 캐릭터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캐릭터의 기분 단계에 따라 출력되는 진동의 세기(Strength)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캐릭터에 대한 터치 위치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캐릭터의 기분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거나, 캐릭터의 터치 위치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한다.
프로그램부(150)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른 캐릭터의 형태나 동작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캐릭터의 형태나 동작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거나, 캐릭터의 형태나 동작에 대응된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부(150)는 캐릭터의 터치 위치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거나 캐릭터의 기분 단계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부(150)는 일반적인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도 저장하고 있다.
저장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에서 캐릭터 진동 피드백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된 다수의 메뉴 중에서 캐릭터 진동 피드백 메뉴를 선택한다(S202).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캐릭터의 형태와 동작, 단말기 사용 패턴 및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화면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한다(S204).
예컨대, 제어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진동 피드백 메뉴(710)의 하부 메뉴를 터치 스크린(110) 상의 화면에 표시해 준다. 여기서, 도 7은 캐릭터 진동 피드백 메뉴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캐릭터 진동 피드백 메뉴는 캐릭터 기분 설정 메뉴와 캐릭터 터치 위치 설정 메뉴를 포함한다.
이때, 캐릭터 기분 설정 메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좋은 단계의 "앗싸", 아주 좋은 단계의 "즐거움", 좋은 단계의 "행복", 조금 좋은 단계의 "기쁨", 안 좋은 단계의 "우울" 등을 포함한다. 도 8은 캐릭터 기분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기분 설정 메뉴(810)에서 최고 좋은 단계의 "앗싸" 단계(820)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캐릭터 기분을 설정한 이후에, 설정한 캐릭터 기분에 대응된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진동 출력 설정 메뉴를 선택한다.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진동 출력 설정 메뉴가 선택 입력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화면을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표시한다. 이에 대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제공된 다 수의 진동 출력 형태 중 캐릭터 기분에 매칭시킬만한 진동 출력 형태(910)를 선택한다. 도 9는 캐릭터 기분에 매칭시킬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진동 출력 형태는 일정 세기로 진동을 출력하다 일정 구간 동안 진동 세기를 낮추고 그 일정 구간 후에 다시 일정 세기로 진동을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 형태를 갖는다.
한편,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터치 위치 설정 메뉴를 통해 캐릭터 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캐릭터 터치 위치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터치 위치 설정 메뉴(1010)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캐릭터 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캐릭터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머리, 어깨, 몸, 다리, 꼬리 등의 메뉴를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한다. 이에 대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된 다수의 터치 위치 중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을 통해 예컨대, "머리"(1020)를 선택 입력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캐릭터 터치 위치가 설정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캐릭터 터치 위치 "머리"에 대응된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화면을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제공한다. 도 11은 캐릭터 터치 위치에 대응된 진동 출력 형태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진동 출력 형태는 일정 세기(1110)로 진동을 출력하다 일정 구간 동안 진동 세기를 낮추고 그 일정 구간 후에 먼저의 일정 세기보다 더 높은 세기(1120)로 진동을 출력하도록 하는 진동 출력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술한 캐릭터 기분이나 캐릭터 터치 위치에 관한 설정 이외에도 호(call)를 요청하거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 사용 형태에 캐릭터 기분이나 진동 출력 형태를 매칭시켜 설정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호를 요청하거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에 캐릭터 기분이나 진동 출력 형태를 매칭시키는 설정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2는 호를 요청하는 기능에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메뉴에서 전화번호부 메뉴를 선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전화번호부 메뉴를 터치 스크린(110) 상에 제공한다. 전화번호부 메뉴에는 예컨대, 전화번호를 추가하는 메뉴로서, 이름과 전화번호, 이메일을 입력하거나, 그룹 지정, 개인벨 지정,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는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전화번호부에서 임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거나 새로 추가하는 전화번호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진동 피드백(1210)을 설정함으로써, 호를 요청하는 기능에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게 된다.
도 13은 메시지 수신 기능에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다수의 메뉴 중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캐릭터 피드백 메뉴를 선택하게 되고, 제어부(1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캐릭터 피드백 설정에 관한 화면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해 준다. 도 13에 도시된 캐릭터 피드백 설정 화면은 수신 메시지의 내용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신 단어"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수신 단어"를 입력하는 란과, 입력된 "수신 단어"들에 대한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기 위한 캐릭터 진동 피드백 설정 메뉴(121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단어"(1320)를 입력한 후에 캐릭터 진동 피드백 설정 메뉴(1310)를 선택함으로써, 메시지 수신 기능에 대한 캐릭터 진동 피드백을 설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캐릭터 기분이나 캐릭터 터치 위치에 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면(S206-YES),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의 동작과 형태, 단말기 사용 패턴 및 진동 출력 형태에 관한 설정 데이터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208).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으로서 사용자가 호를 요청하거나,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에 캐릭터 진동 출력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표시된 다수의 전화번호부에서 임의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해 호(call)를 요청하거나 메시지의 전송에 관한 메뉴를 선택한다(S302).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호 요청이나 메시지의 전송에 관한 명령이 입력되면, 호 요청이나 메시지 전송에 매칭된 캐릭터의 기분과 진동 출력 형태를 확인한다(S304).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 중 호 요청이나 메시지 전송에 매칭된 캐릭터의 기분과 진동 출력 형태에 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확인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이 호 요청인 경우에, 호를 요청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저장부(160)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캐릭터 기분과 진동 출력 형태를 확인하고,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해당 캐릭터 기분을 디스플레이하고, 그에 대응된 진동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S306).
또한, 제어부(130)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이 메시지의 전송인 경우에, 전송 대상의 전화번호를 저장부(16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전화번호에 대응된 캐릭터 기분과 진동 출력 형태를 확인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캐릭터 기분을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도 9와 같은 진동 출력 형태를 갖는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메시지 송수신시 캐릭터 기분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도 14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수신 단어"에 대응된 해당 캐릭터 기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으로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캐릭터 진동 출력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어부(13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통신부(120)를 통해 SMS(Short Message Service)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메시지를 수신한다(S402).
제어부(130)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 단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04).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수신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406-YES), 제어부(130)는 수신 단어에 대응된 캐릭터의 기분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그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S408).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으로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 중인 경우에 캐릭터 진동 출력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호를 요청한 이후에,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단말기와 호 접속이 이루어져 통화 중 상태가 된다(S502).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S504).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기분 상태를 캐릭터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진동을 피드백하기 위해, 통화 중에 핫키(Hot-key)를 입력한다(S506). 이때, 핫키는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핫키가 입력되면(S506-YES), 핫키에 대응된 캐릭터의 기분을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표시한다(S508). 이때, 제어부(130)는 핫키에 대응된 해당 캐릭터 기분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된 캐릭터 기분을 확인하고, 다른 캐릭터 기분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된 캐릭터 기분에 대한 메뉴를 통해 캐릭터의 다른 기분을 설정(1510)하여 입력한다(S510). 도 15는 캐릭터 기분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때 캐릭터의 다른 기분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새로 설정된 캐릭터 기분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한다(S512). 이때, 제어부(1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출 버튼(1520)의 입력에 의해 새로 설정된 캐릭터 기분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핫키에 대응된 진동 출력 형태에 맞도록 출력부(140)를 통해 해당 진동을 출력하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핫키에 대응된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S514).
물론, 제어부(130)는 핫키에 대응된 캐릭터의 기분을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표시한 이후에 다른 캐릭터 기분으로 변경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에(S508-NO), 그 핫키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거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S514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캐릭터의 기분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캐릭터가 터치된 경우에 캐릭터 진동 출력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어부(130)는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캐릭터의 기분을 표시한다(S602).
도 16은 화면 상에 표시된 캐릭터 기분에 사용자가 터치한 경우 캐릭터 진동 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된 캐릭터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터치하여 입력한다(S604).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캐릭터의 터치 위치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함과 더불어 그에 대응된 캐릭터의 동작을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606).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된 캐릭터의 머리를 터치한 경우, 제어부(130)는 출력부(140)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 형태를 갖는 진동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진동 출력 형태는 일정 세기(1110)로 진동을 출력하다 일정 구간 동안 진동 세기를 낮추고 그 일정 구간 후에 먼저의 일정 세기보다 더 높은 세기(1120)로 진동을 출력하는 형태이다. 물론, 제어부(130)는 도 11에 도시된 출력 형태를 갖는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캐릭터의 꼬리가 터치된 경우, 꼬리를 흔들고 있는 캐릭터의 동작을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캐릭터의 일정 부위가 터치된 경우, 그 터치된 부위에 대응된 캐릭터의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그 터치된 부위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거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태나 동작이 달라지는 캐릭터에 대해, 캐릭터의 동작을 이동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매칭시켜,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캐릭터의 동작이나 기분을 표시함과 더불어 진동을 출력하도록 하는,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을 캐릭터를 통해 표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분을 캐릭터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에서 캐릭터의 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호(call) 요청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요청 또는 상기 메시지 송수신의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캐릭터의 기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캐릭터의 기분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캐릭터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의 특정 위치에 매핑된 진동 출력 형태에 기초하여,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릭터의 특정 위치에 매핑된 상기 캐릭터의 동작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출력 형태는,
    일정 시간 동안 진동을 출력하되, 상기 일정 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 별로 서로 다른 진동의 세기를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수신 시에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 설정된 특정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단어에 매칭된 캐릭터의 기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진동 출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캐릭터의 동작과 연동된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진동 출력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핫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진동 출력 방법.
  8. 캐릭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캐릭터의 기분 또는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진동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호(call)를 요청하거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요청 또는 상기 메시지 송수신의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캐릭터의 기분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캐릭터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캐릭터의 특정 위치에 매핑된 진동 출력 형태에 기초하여, 진동을 출력하며, 상기 캐릭터의 특정 위치에 매핑된 상기 캐릭터의 동작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출력 형태는,
    일정 시간 동안 진동을 출력하되, 상기 일정 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 별로 서로 다른 진동의 세기를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에 대응된 진동 출력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캐릭터에 대응된 진동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핫키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핫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기분 또는 동작을 표시하고, 상기 캐릭터에 대응된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70035024A 2007-03-02 2007-04-10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36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024A KR101364935B1 (ko) 2007-04-10 2007-04-10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
US12/041,445 US8933891B2 (en) 2007-03-02 2008-03-03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024A KR101364935B1 (ko) 2007-04-10 2007-04-10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931A KR20080091931A (ko) 2008-10-15
KR101364935B1 true KR101364935B1 (ko) 2014-02-19

Family

ID=4015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024A KR101364935B1 (ko) 2007-03-02 2007-04-10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42B1 (ko) * 2014-12-18 2016-02-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 자극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9582B1 (en) 2000-08-10 2003-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combining haptic sensory-motor effects from two separate input devices into resultant sensory-motor effects and for feedback of such resultant effects between the input devices
US20050108660A1 (en) 2003-11-17 2005-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te interactions
KR20050067022A (ko) * 2003-12-27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US20050181827A1 (en) * 2004-02-13 2005-08-18 Nokia Corporation Touch for feel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mobile wireless phone or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9582B1 (en) 2000-08-10 2003-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combining haptic sensory-motor effects from two separate input devices into resultant sensory-motor effects and for feedback of such resultant effects between the input devices
US20050108660A1 (en) 2003-11-17 2005-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te interactions
KR20050067022A (ko) * 2003-12-27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US20050181827A1 (en) * 2004-02-13 2005-08-18 Nokia Corporation Touch for feel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mobile wireless phone or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42B1 (ko) * 2014-12-18 2016-02-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 자극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931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3891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US10477006B2 (en) Method, virtual reality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al-world interaction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100678967B1 (ko) 공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별 연관 관계를 제공하는 장치및 그 방법
KR1009324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을 이용한 아바타 원격 제어 방법
KR20140020112A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08263297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端末
EP1838099B1 (en) Image-based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JP2008072269A (ja) 通信装置、処理実行方法および処理実行プログラム
US20110086711A1 (en) Game Environment to Interact with Telephony Modem
JP2008270914A (ja) 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08270912A (ja) 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KR101364935B1 (ko) 캐릭터 진동 출력 방법 및 그 단말기
JP5995621B2 (ja) 端末装置、システ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532912B2 (en) Mobile radio device having movable pointer on display screen
WO2014017283A1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58819A (ja) 電子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サーバ
KR20080080710A (ko) 사용자 동작 전달 방법 및 단말기
JP6496632B2 (ja) 電子機器
JP2015172883A (ja) 端末装置、情報通信方法及び情報通信プログラム
KR101349156B1 (ko)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JP7476548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58934B2 (ja)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44337A (ko) 도움말 버튼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01571B1 (ko) 연락 기능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01041B1 (ko) 아바타를 이용한 이동통신 방법 및 그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