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866B1 -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866B1
KR101364866B1 KR1020087026100A KR20087026100A KR101364866B1 KR 101364866 B1 KR101364866 B1 KR 101364866B1 KR 1020087026100 A KR1020087026100 A KR 1020087026100A KR 20087026100 A KR20087026100 A KR 20087026100A KR 101364866 B1 KR101364866 B1 KR 10136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nitor
microprocessor
contact por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828A (ko
Inventor
앤드류 마크 롱
크리스토퍼 피터 올슨
토마스 마이클 3세 앨리스
셜리 앤 위버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0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젖음 센서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사용하기 위한 모니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류 공급원을 포함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젖음 감시 회로의 일부와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젖음 센서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은 (1) 모니터가 젖음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을 때 통보를 제공하고 (2) 모니터가 젖음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통보를 제공하고, (3) 흡수성 물품이 젖었을 때 통보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 젖음 센서, 모니터, 젖음 감시 회로, 전류 공급원

Description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STATUS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에서 용변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스템이 작동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단단히 부착되었음을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젖음 모니터 및 젖음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흡수성 물품은 의료용 덮개와 스폰지 및 의료용 의복 뿐 아니라 기저귀, 어린이용 배변 훈련 팬츠와 그 밖의 유아 및 어린이 보호 제품, 성인용 요실금 의복과 그 밖의 성인 보호 제품, 위생 냅킨과 그 밖의 여성용 보호 제품 등과 같은 개인용 보호 제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물품은 신체 배출물을 흡수하여 보유하고 제한된 기간의 사용 후 폐기된다. 즉, 이들 물품은 세탁되거나 재사용을 위해 복원되지 않는다. 종래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되어 흡수된 액체 배출물이 물품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수성 본체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의 내층은 통상적으로 신체 배출물이 흡수성 본체에 의한 흡수를 위해 통과할 수 있도록 액체 투수성을 갖는다.
특히, 일회용 흡수성 트레이닝 팬츠는 어린이를 배변 훈련시키는 데 유용하다. 통상적으로, 이들 일회용 내복은 착용 방식에 있어 세탁식 천 내복과 유사하지만 피부 건강의 유지를 위해 기저귀와 유사한 흡수 기능을 제공한다. 트레이닝 팬츠는 화장실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에 있어 보다 신뢰성 있게 됨으로써 배변 훈련을 하는 어린이에게 기저귀에서 세탁식 천 내복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내복을 제공한다.
보호자가 배변 훈련 중인 어린이를 감시하는 것은 배뇨 작용이 일어날 때 어린이와 보호자가 학습 효과를 개선하고 향상시키도록 이를 논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배뇨가 이루어졌음을 보호자에게 즉시 통보 및/또는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건이 어린이에게는 여전히 새롭지만 이를 어린이와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익하다.
마찬가지로, 피보호자의 위생 요구를 돌보는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배뇨 작용을 감시하여 흡수성 물품이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반복되는 검사가 요구되지 않도록 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배뇨가 발생했음을 보호자에게 즉시 통보함으로써 적절한 행동이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익하다.
배뇨를 감시하는 한 가지 방식은 전기적 특성이 내복의 젖음 기능인 내복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전기적 특성은 저항, 컨덕턴스, 임피던스, 정전용량 또는 내복의 젖은 상태가 변함에 따라 변하는 그 밖의 매개변수일 수 있다. 예컨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도전체가 내복의 흡수성 재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도전체는 내복의 흡수성 재료와 전 기 접촉 상태에 있고 모니터에 연결되어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포함하는 젖음 회로를 완성한다. 예컨대 회로는 도전체 간의 저항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의 출력은 저항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출력 전압이다. 내복이 건조한 경우에는, 도전체 간의 저항이 극단적으로 높고 상대적으로 무한값을 가져서 개방 회로로서 나타난다. 내복이 젖은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도전체 사이에서 내복의 흡수성 재료가 젖게 될 때에는, 소변이 도전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 영역에서 내복의 저항이 비교적 낮은 값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종래 시스템에서는 도전체 사이의 저항이 감시되고 소정의 고정 문턱 저항값에 비교된다. 저항값이 문턱 저항값보다 낮다면, 젖음 회로는 표시계에 신호를 전송하고 표시계는 보호자 및/또는 착용자에게 착용자가 소변을 누었음을 통보한다.
이들 종래의 장치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부적절 정렬, 부적절 부착 또는 그 밖의 착용자 실책을 일으킴으로써 장치가 원하는 바에 따라 신뢰성 있게 기능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적절한 정렬 및 부착에 대한 통보를 제공하는 젖음 감시 시스템이 요구된다.
위에서 논의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은 젖음 센서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사용하기 위한 모니터를 제공한다. 모니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류 공급원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젖음 감시 회로의 일부와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 모두가 완성될 때 표시계를 가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밍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는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제3 접촉부 및 제4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속성 감시 회로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는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제1 도전체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도전체는 젖음 센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2 연속성 감시 회로는 제3 접촉부와 제4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촉부와 제4 접촉부는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제2 도전체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도전체는 젖음 센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젖음 감시 회로는 제1 접촉부 또는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접촉부 또는 제4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는 흡수성 물품의 몸체측 라이너 또는 외측 커버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는 흡수성 물품 상에 스냅 끼움되어 제1 및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는 부착 감시 회로의 일부를 추가로 형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부착 감시 회로가 완성될 때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한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는 힌지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 회로는 힌지와 관련된 제1 접촉부와 하우징과 관련된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는 모니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2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제1 접촉부는 모니터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2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는 젖음 감시 키트의 일부일 수 있다. 키트는 모니터와, 젖음 센서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와 물품은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와 젖음 센서는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젖음 센서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거리 D 만큼 서로 이격된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는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제3 접촉부 및 제4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제3 접촉부와 제4 접촉부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는 측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약 D의 거리만큼 제3 접촉부 및 제4 접촉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젖음 감시 키트는 사용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설명서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가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흡수성 물품에 모니터를 부착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설명서는 제3 접촉부와 제4 접촉부가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흡수성 물품에 모니터를 부착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설명서는 모니터가 센서와의 연속성을 가질 때 통보를 수신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설명서는 어떠한 통보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모니터를 재배치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설명서는 연속성이 파손되었음을 알리는 통보가 수신되는 경우 모니터를 재배치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젖음 센서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젖음 센서는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전류 공급원을 갖는 모니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는 젖음 센서의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제2 접촉부는 젖음 센서의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방법은 감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전기적 특성이 제1 값보다 높을 때 제1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전기적 특성이 제1 값보다 낮고 제2 값보다 높을 때 제2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전기적 특성이 제2 값보다 낮을 때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값은 약 10 MΩ(메가오옴)일 수 있고 제2 값은 약 1 MΩ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는 모니터가 흡수성 물품의 젖음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았다는 통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표시는 모니터가 흡수성 물품의 젖음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다는 통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표시는 흡수성 물품이 젖었다는 통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서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를 포함하는 젖음 센서와 사용하기 위한 모니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관련된 제1 도전체를 갖는 모니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젖음 센서의 제1 도전체와 정렬되도록 모니터 하우징 상에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젖음 센서의 제2 도전체와 정렬되도록 모니터 하우징 상에 제3 접촉부와 제4 접촉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3 접촉부 및 제4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젖음 감시 회로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제1 또는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또는 제4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 모두가 완성될 때 제1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젖음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용변이 젖음 감시 회로에서 검출될 때 제2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니터 하우징은 힌지에 의해 메인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 레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는 제5 접촉부를 포함하고 메인 하우징 또는 부착 레그들 중 하나는 제6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부착 감시 회로를 한정하도록 제5 접촉부 및 제6 접촉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부착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제5 접촉부가 부착 감시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제6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제1 연속성 감시 회로 및 제2 연속성 감시 회로가 모두가 폐쇄된 후 이들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될 때 제4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니터 하우징은 힌지에 의해 메인 하우징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 레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방법은 부착 레그 상에 제1, 제2, 제3 또는 제4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는 단계와, 모니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와 정렬되도록 메인 하우징 상에 리셉터클을 배치하는 단계와, 부착 감시 회로를 한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 및 리셉터클을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부착 감시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가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1은 젖음 감시 시스템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물품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팬츠의 사시도이다.
도3은 물품에서 제거된 감시 시스템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2와 유사한 팬츠의 사시도이다.
도4는 하부 특징부들을 도시하기 위해 일부가 절개된 도면으로, 팬츠가 미체결되어 접히지 않고 편평하게 놓인 상태에 있는 도1의 트레이닝 팬츠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5는 선 5-5를 따라 취한 도4의 팬츠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젖음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와 팬츠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7은 물품과 모니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젖음 감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젖음 감시 시스템의 일예와 연속성 감시 시스템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9는 물품과 모니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젖음 감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10은 선 10-10을 따라 취한 도9의 젖음 감시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2는 젖음 감시 시스템을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플로우 로직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13은 모니터의 일예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3의 모니터의 부착 회로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15는 모니터의 일예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모니터의 제1 및 제2 부착 회로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17은 전력 조절 회로의 일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18은 모니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된 모니터의 전력 조절 회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0은 모니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1은 도20에 도시된 모니터의 전력 조절 회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2는 물품과 모니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젖음 감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3은 선 23-23을 따라 취한 도22의 젖음 감시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24는 도22에 도시된 젖음 감시 시스템의 젖음 회로, 연속성 감시 회로, 부착 감시 회로 및 전력 조절 회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 전체에 결쳐 대응하는 도면부호는 대응하는 부분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와 흡수성 물품은 용변(예컨대 소변, 대변, 월경, 혈액 등) 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용변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가 이용된다. 시스템은 센서의 전기적 특성(예컨대 저항, 전도성 등)을 감시하고, 전기적 특성의 변화에 기초하여 흡수성 물품에 용변을 보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용변의 존재를 검출한 후,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용변의 존재에 대한 신호를 받는다. 신호는 예컨대 노래와 같은 청각 신호와, 온도 변화, 압력 및/또는 진동과 같은 촉각 신호와, 그리고/또는 점멸광, 시각 메시지 등과 같은 시각 신호일 수 있다. 그 밖의 신호도 본 내용의 범위에 해당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은 원거리 청각, 시각, 촉각 또는 그 밖의 감각적 경보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면, 특히 도1을 참조하면, 어린이의 배변 훈련 팬츠 형태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흡수성 물품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가 도면부호 20으로 지시된다. 흡수성 물품(20)은 일회용이거나 일회용이 아닐 수 있는데, 일회용 물품이란 물품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기간의 사용 후 폐기되도록 설계되는 물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기저귀, 여성용 위생제품, 요실금 제품, 의료용 의복, 수술 패드 및 감개, 그 밖의 개인용 보호 또는 건강 보호 의복 등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개인용 착용물로 예정된 그 밖의 다양한 흡수성 물품과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트레이닝 팬츠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와 방 법은 본 출원에 원용되는 2000년 6월 29일 공개된 에이. 플레쳐(A. Fletcher) 등의 PCT 특허 출원 WO 00/37009와, 1990년 7월 10일 공고된 반 곰펠(Van Gompel) 등의 미국 특허 제4,940,464호와, 1998년 6월 16일 공고된 브랜든(Brandon) 등의 미국 특허 제5,766,389호와, 2003년 11월 11일 공고된 올슨(Olson) 등의 미국 특허 제6,645,190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1에는 부분 체결된 한 쌍의 트레이닝 팬츠(20)가 예시되어 있다. 팬츠(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츠의 종방향(48)에 수직한 팬츠의 측방향(49)을 한정한다. 팬츠(20)는 본 출원에서 일반적으로 22로 지시되는 전방 허리 영역 및 본 출원에서 일반적으로 24로 지시되는 후방 허리 영역으로 지칭되는 한 쌍의 종방향 단부 영역과,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22, 24) 사이에서 이들 영역을 상호 연결하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본 출원에서 일반적으로 26으로 지시된 가랑이 영역으로 지칭되는 중심 영역을 한정한다.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22, 24)은 착용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착용자의 허리 또는 중간 하부 몸통을 덮거나 감싸는 팬츠(20)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가랑이 영역(26)은 일반적으로 착용시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하측 몸통과 가랑이를 덮는 팬츠(20)의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팬츠(20)는 착용시 착용자와 대면하는 내면(28)과 내면에 대향하는 외면(30)을 한정한다. 도4를 추가로 참조하면, 한 쌍의 트레이닝 팬츠(20)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모서리(36)와, 각각 전방 허리 모서리(38) 및 후방 허리 모서리(39)로 지정된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허리 모서리(넓게는, 종방향 단부)를 갖는다.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에서, 트레이닝 팬츠(20)는 일반적으로 32로 지시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중심 흡수성 조립체와, 중심 흡수성 조립체와 별개로 형성되어 고정된 측면 패널(34A, 34B)을 포함한다. 측면 패널(34A, 34B)은 팬츠(20)의 각각의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22, 24)에서 중심 흡수성 조립체(32)에 시임을 따라 영구 접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측 패널(34A)은 전방 허리 영역(22)에서 흡수성 조립체(32)의 측면 가장자리(47)에 영구 접합되어 측방으로 외향 연장될 수 있으며 후방측 패널(34B)은 후방 허리 영역(24)에서 흡수성 조립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영구 접합되어 측방으로 외향 연장될 수 있다. 측면 패널(34A, 34B)들은 접착제, 열 또는 초음파 접합과 같은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흡수성 조립체(32)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팬츠(20)의 착용시 전방측 및 후방측 패널(34A, 34B)은 착용자의 엉덩이에 위치되는 트레이닝 팬츠(20)의 부분을 포함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패널(34A, 34B)은 서로 영구 접합되어 팬츠(20)의 3차원 구성을 형성하거나 예시된 태양의 체결 시스템(59)에 의한 것과 같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34A, 34B)은 탄성재 또는 신축성이지만 비탄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는 흡수성 조립체(32)가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흡수성 조립체(32)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그 밖의 형상(예컨대 모래시계, T-형상, I-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측면 패널(34A, 34B)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흡수성 조립체(32)와 일체로 형 성될 수도 있다.
도4 및 도5에 적절히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조립체(32)는 외측 커버(40)와,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가압 접합 또는 그 밖의 종래 기술에 의해 외측 커버(40)에 중첩(대향)된 관계로 부착된 몸체측 라이너(42)를 포함한다. 라이너(42)는 팬츠(20)의 종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외측 커버(40)에 적절히 연결된다. 또한, 라이너(42)는 외측 커버(40)에 적절히 연결된다. 라이너(42)는 팬츠의 착용 동안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관계를 위해 적절한 구성, 즉 팬츠(2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 위치된다. 또한, 흡수성 조립체(32)는 착용자가 배출하는 신체 삼출액을 흡수하기 위해 외측 커버(40)와 몸체측 라이너(42)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성 구조물(44)과, 흡수성 구조물과 몸체측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분출 조절층(45)을 포함한다. 한 쌍의 봉쇄 플랩(46)이 신체 삼출물의 측면 유동을 막기 위해 몸체측 라이너(42)에 고정된다.
도1에 부분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닝 팬츠(20)가 체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후방 허리 영역은 허리 구멍(50)과 한 쌍의 다리 구멍(52)을 갖는 3차원 팬츠 구성을 한정하도록 체결 시스템(5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트레이닝 팬츠(20)의 전방 및 후방 허리 모서리(38, 39)(예컨대 종방향 단부)는 팬츠의 허리 구멍(50)(도1)을 한정하기 위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랩 탄성부재(53)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적절한 방식으로 각각의 봉쇄 플랩(46)과 작동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봉쇄 플랩(46)을 위한 적절한 구조와 배열은 일반적으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본 출원에 원용되는 1987년 11월 3일 공고된 엔로(Enloe)의 미국 특허 출원 제4,704,116호에 설명되어 있다.
신체 삼출물의 봉쇄 및 흡수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트레이닝 팬츠(20)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전방 허리 탄성부재(54)(도1)와, 후방 허리 탄성부재(56)와, 다리 탄성부재(58)(도2 내지 도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탄성부재(53)와, 허리 탄성부재(54, 56)와, 다리 탄성부재(58)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의 체결 시스템(59)은 측방 대향하는 제2 체결 구성요소(62)와 재체결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측방 대향하는 제1 체결 구성요소(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체결 구성요소(60, 62)의 전방 또는 외면은 복수의 결합요소를 포함한다. 제1 체결 구성요소(60)의 결합요소는 3차원적 구성으로 팬츠(2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2 체결 구성요소(62)의 대응하는 결합요소와 반복해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체결 구성요소(60, 62)들은 접착식 체결구, 밀착식 체결구, 기계식 체결구 등과 같이 흡수성 물품에 적절한 임의의 재체결식 체결구일 수 있다. 적절한 체결 시스템도 상기에서 원용한 2000년 6월 29일 공개된 에이. 플레쳐 등의 PCT 특허 출원 WO 00/37009와 상기에서 원용한 2003년 11월 11일 공고된 올슨(Olson) 등의 미국 특허 제6,645,190호에 개시되어 있다.
외측 커버(40)는 사실상 액체 불투수성인 재료를 적절히 포함한다. 외측 커버(40)는 단층 액체 불투수재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여러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액체 불투수성인 복수의 층으로 된 적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 다. 외층이 액체 불투수성일 필요는 없지만, 착용자에게 비교적 천과 같은 질감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 대안으로서, 외측 커버(40)는 흡수성 구조물에 인접한 또는 가까운 선택된 영역에 대해 원하는 수준의 액체 불투수성을 부여하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되거나 처리된 직물층 또는 섬유성 부직포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커버(40)는 신축 가능할 수도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외측 커버는 탄성중합성일 수 있다. 적절한 외측 커버재에 관련된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모두 본 출원에 원용된 것으로서 모먼(Morman) 등의 미국 특허 제5,883,028호와, 모만 등의 미국 특허 제5,116,662호와, 모만 등의 미국 특허 제5,114,781호를 참조한다.
몸체측 라이너(42)는 적절히 유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이며 착용자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몸체측 라이너(42)는 또한 신체 삼출수가 흡수성 구조물(44)까지 그 두께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액체 투수성이다. 몸체측 라이너(42)는 신축 가능할 수도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몸체측 라이너는 탄성중합성일 수 있다. 적절한 몸체측 라이너재에 관련된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모두 본 출원에 원용된 것으로서 2000년 5월 3일 출원한 뢰슬러(Roessler)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09/563,417호와, 2000년 10월 27일 출원한 부코스(Vuko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09/698,512호를 참조한다.
흡수성 구조물(44)은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외측 커버(40)와 몸체측 라이너(42) 사이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는 예시된 흡수성 구조물(44)이 가랑이 영역(26)에서 전방 및 후 방 허리 영역(22, 24) 모두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흡수성 구조물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가랑이 영역(26)에서 전방 허리 영역으로만 또는 후방 허리 영역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
흡수성 구조물(44)은 적절하게 압축성이고 유연하고 착용자의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액체와 소정의 신체 배출물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흡수성 구조물(44)은 셀룰로오스 섬유(예컨대 목재 펄프 섬유), 그 밖의 천연섬유, 합성섬유, 직포 시트 또는 부직포 시트, 면포 망 또는 그 밖의 안정화 구조물, 초흡수성 재료, 바인더 재료, 표면 활성재, 선택된 소수성 재료, 안료, 로션, 향 제어제 등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재료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래의 방법과 기술을 이용함으로서 흡수성 웹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흡수성 구조물(44)은 건조 가공 기술, 대기 가공 기술, 습식 가공 기술, 발포 가공 기술 등과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구조물(44)은 본 출원에 원용되는 앤더슨(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제4,100,324호와, 에버하트(Everhart) 등의 미국 특허 제5,284,703호와, 궤르거(Georger) 등의 미국 특허 제5,350,624호에 개시된 재료와 같은 동시 성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실상 액체 투수성인 랩시트(wrapsheet)(미도시)가 흡수성 구조물(44)의 일체성 유지를 돕기 위해 흡수성 구조물(44)을 에워쌀 수 있다.
초흡수성 재료는 적절하게는 흡수성 구조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흡수성 구조물(44)에 존재한다. 흡수성 구조물(44)은 입방 센티미터 당 약 0.10 내지 약 0.35 그램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초흡수성 재료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천연 폴리머, 합성 폴리머 및 개질된 천연 폴리머와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구조물(44)은 외측 커버(40)와 몸체측 라이너(42)와 같이 흡수성 구조물이 부착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의 신축성을 억제하지 않도록 신축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성 구조물은 본 출원에서 원용되는 미국 특허 제5,964,743호, 제5,645,542호, 제6,231,557호, 제6,362,389호, 국제특허출원 WO 03/051254호에 개시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분출 조절층(45)은 접착제, 초음파 또는 열 접합과 같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흡수성 구조물(44) 및/또는 몸체측 라이너(42)와 같이 물품(20)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분출 조절층(45)은 물품(20)의 흡수성 구조물(44) 내로 신속히 도입될 수 있는 액체의 쇄도 또는 분출을 감속시켜서 확산시키도록 돕는다. 바람직하게는, 분출 조절층(45)은 흡수성 구조물(44)의 저장부 또는 보유부 내로 액체를 방출하기에 앞서 액체를 신속히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적절한 분출 조절층(45)의 예들이 미국 특허 제5,486,166호와 미국 특허 제5,490,846호에 설명되어 있다. 그 밖의 적절한 분출 조절재가 미국 특허 제5,820,973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특허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용변 회로(이하, 젖음 회로라 함)를 포함한다. 용변 회로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도전체와 전류 공급원과 측정장치 를 포함한다. 측정장치는 예컨대 저항, 컨덕턴스, 전압 등과 같은 용변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해서 전기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갖는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신호를 분석해서 용변을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용변을 했다면, 표시계가 가동되어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용변의 존재를 신호로 알린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트레이닝 팬츠(20)는 팬츠(20) 내부의 소변(광의로, 용변)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젖음 감시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2 내지 도4에 예시된 젖음 감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70으로 지시된다. 감시 시스템(70)은 물품의 전기적 특성(예컨대 저항 R)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72)를 포함한다. 센서(72)는 팬츠(20) 내부에 배치되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도전체(88, 90)를 포함하며, 이들 도전체는 도전체 사이에 배치된 팬츠의 감시 영역(74)을 한정한다. 도전체(88, 90)는 일반적으로 전기 도전성인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체는 금속 스트립(예컨대 알루미늄 스트립), 금속 필름, 피복 필름, 도전성 폴리머, 도전성 잉크, 도전성 실 등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의 도전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88, 90)는 전방 허리 영역(22)으로부터 가랑이 영역(26)을 거쳐 팬츠(20)의 후방 허리 영역(24)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도5에 적절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88, 90)는 흡수성 구조물(44)과 분출 조절층(45) 사이에서 흡수성 조립체(32) 내부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전류 공급원(100)(도6에 개략적으로 예시됨)에서 나온 전류는 센서(72)의 도전체(88, 90)를 통해 진행한다. 전류 공급원(100)은 (예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와 같은 직류 공급원이거나 교류 공급원일 수 있다. 도전체(88, 90)는 임의의 적절한 접촉부에 의해 전류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전류 공급원의 접촉부는 흡수성 물품의 하나 이상의 재료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도전체(88, 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전류 공급원의 접촉부는 도전체(88, 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흡수성 물품의 하나 이상의 재료를 관통할 수 있다. 도2와 도3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전체(88, 90)는 전기 도전성 스냅 체결구(79)에 의해 전류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예컨대 클램프 커넥터, 도전성 후크 및 루프 체결구, 도전성 접착제(예컨대 도전성 테이프), 전기 도전성 접촉부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전류 공급원에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은 전체 내용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전류 공급원에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은 각각 본 출원에 원용되는 발명의 명칭이 "용이 사용 신호장치를 구비한 의복(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인 2005년 12월 15일 출원된 롱(Long) 등의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303283호와, 발명의 명칭이 "용이 사용 신호장치를 구비한 의복(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s)"인 2005년 12월 15일 출원된 모스바쳐(Mosbacher)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30322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전기적으로 접속된" 또는 "전기 접속" 또는 그 파생어는 전류가 하나의 물체에서 제2 물체로 흐를 수 있도록 위치된 그리고/또는 구성된 둘 이상의 물체를 설명한다. 즉, 이들 용어는 전류가 제2 접촉부, 도전체, 회로 등에서 또는 이들로 흐를 수 있도록 위치되고 그리고/또는 구성되는 제1 접촉부, 도전체, 회로 등을 지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 접속은 스냅, 후크 등을 통한 물리적 연결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 접속은 접촉함으로써 전류가 흐르도록 하지만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은 둘 이상의 접촉부, 도전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감시 시스템의 구성요소(예컨대 측정장치, 전류 공급원, 마이크로프로세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표시계,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 등)는 함께 또는 별도로 수용될 수 있으며 흡수성 물품에 부착될 수 있거나 원거리에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측정장치, 전류 공급원, 마이크로프로세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또는 송신기는 함께 수용되어 흡수성 물품에 부착되는 반면, 수신기 및/또는 표시계는 원거리에 함께 수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원거리"라 함은 구성요소가 흡수성 물품에 부착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 및/또는 표시계는 보호자가 보관할 수 있는 운반형 유닛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런 유닛의 예로는 침대측 경보, 경보시계, 무선 호출기 또는 삐삐, 램프,벽시계 등과 같은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2 및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센서(72)의 각 도전체(88, 90)의 각각의 대응하는 단부는 팬츠(20)의 전방 허리 영역(22)에 위치된 제1 스냅 체결부재(79A)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냅 체결부재는 팬츠(20) 상의 후방 허리 영역(24) 또는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전류 공급원(100)을 수용하는 하우징(82)은 제1 스냅 체결구(79A)와 결합하고 팬츠(20)에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대응하는 제2 스냅 체결부재(79B)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82)은 전류 공급원(100) 외에 후술하는 젖음 감시 시스템(70)의 나머지 구성요소도 수용할 수 있지만, 나머지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82)은 스냅 체결구(79)에 의해 팬츠(2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지만, 예컨대 리셉터클, 접착제, 밀착제, 자석, 후크 및 루프, 클립, 클램프, 스냅, 포켓, 스트랩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은 그 밖의 체결구에 의해 팬츠(2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하우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팬츠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센서(7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측정장치(85)(도6)는 팬츠(20)의 감시 영역(74)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팬츠(20)의 감시 영역(74)의 저항 R이 측정된다. 도전체(88, 90)는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공급원(100)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감시 영역(74)을 통과해야만 한다. 도6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감시 영역(74)은 도면부호 R에 의해 대표적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레지스터로 작용한다. 감시 영역(74)이 건조하면(예컨대 용변의 존재 이전), 감시 영역의 저항은 비교적 높은데, 예컨대 약 200 ㏀ 보다 높은 저항이다. 감시 영역(74)이 예컨대 용변에 의해 젖은 경우, 그 저항은 소 변의 전도적 특성 때문에 200 ㏀(킬로오옴) 보다 낮은 저항으로 강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전체(88, 90)는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감시 영역(74)에 위치된 예컨대 화학저항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레지스터 또는 레지스터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적절한 화학저항체는 그 전체 내용이 본 출원에서 모순되지 않게 원용되는 2005년 12월 21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냄새 검출을 위한 미세 화학 센서를 구비한 개인용 보호 제품(Personal Care Products With Michrochemical Sensors For Odor Detection)"인 동(Dong)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314438호에 제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팬츠(20)의 감시 영역(74)의 컨덕턴스가 측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변은 전기 도전성이고 물품(20)은 일반적으로 전기 도전성이 아니다. 따라서, 팬츠(20)의 감시 영역(74)이 젖어 있다면, 그 컨덕턴스는 건조할 때보다 크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팬츠(20)의 다른 전기적 특성이 측정될 수 있다.
측정장치(85)는 팬츠(20)의 감시 영역(74)의 전기적 특성을 알려주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도6)를 생성한다. 예컨대 측정장치(85)는 감시 영역(74)을 가로지르는 전압 강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전압 강하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전압 신호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적절한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또는 기준표를 이용함으로서 저항이나 전류값과 같은 다른 전기적 특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전압 강하는 전류가 일정할 때 팬츠의 저항을 지시한다. 따라서, 팬츠(20)의 저항은 측정장 치(85)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정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일체일 수 있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흡수성 물품 내의 용변의 존재(또는 그 결핍)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적절한 방법은 그 전체 내용이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출원에 원용되는 발명의 명칭이 "흡수성 물품 내의 용변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과 그 검출장치(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sult In An Absorbent Article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Same)"인 2005년 8월 31일 출원된 롱(Long)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215937호와, 발명의 명칭이 "흡수성 물품 내의 용변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sult In An Absorbent Article)"인 2005년 8월 31일 출원된 콜린스(Collin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216977호와, 발명의 명칭이 "흡수성 물품 내의 용변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sult In An Absorbent Article)"인 2005년 8월 31일 출원된 콜린스(Collin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215968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작동식 통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시스템이 작동 가능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충분한 전류가 공급되어야만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센서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반면에, 감시 시스템은 보호자 및/또는 착용자에게 용변의 존재에 대해 경고하고 작동식 통보 시스템은 보호자 및/또는 착용자에게 감시 시스템의 상태에 대해 경고한다. 즉, 작동식 통보 시스템은 감시 시스템이 작동 중인지 비작동 중인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이런 통보에 의해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젖음 감시 시스템이 설계된 바에 따라 기능할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작동식 통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연속성 감시 회로를 포함한다. 연속성 감시 회로는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와 모니터에 관련된 측정장치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품은 두 개의 도전체를 포함하지만, 임의의 적절한 수의 도전체가 이용될 수 있다. 측정장치는 예컨대 저항, 컨덕턴스, 전압 등과 같은 연속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해서 전기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갖는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신호를 분석해서 흡수성 물품 내의 도전체와 모니터 사이에 전기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기 접속이 존재한다면, 표시계가 가동되어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감시 시스템이 작동 중임을 신호로 알린다(즉, 통보한다).
도7은 일반적으로 106으로 지시되는 작동식 통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작동식 통보 시스템(106)은 모니터 하우징(108)(이하, 모니터라 한다)과, 제1 연속성 감시 회로(124)의 일부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26)의 일부와, 도8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젖음 감시 회로(128)의 일부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모니터(108)는 전류 공급원(100)과 마이크로프로세서(93)와 표시계(122)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측정장치(85)는 마이크로프로세서(93)와 일체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93)와 측정장치(85)는 제1 연속성 감시 회로(124)의 일부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26)의 일부와 젖음 감시 회로(128)의 일부를 포함한다.
모니터(108)는 젖음 센서(72)를 갖는 트레이닝 팬츠(20)와 물리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108)는 젖음 센서(7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젖음 센서(7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젖음 감시 회로(128)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1 도전체(88)와 제2 도전체(9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장치(85)와 도전체(88, 90) 사이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때, 제1 및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24, 126)는 완성되고 작동식 통보 시스템(106)은 젖음 감시 회로가 작동 중이라는 신호(통보)를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신호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체(88)는 제1 접촉부(110A)와 제2 접촉부(11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도전체(90)는 제3 접촉부(114A)와 제4 접촉부(116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촉부(110A, 112A, 114A, 116A)는 스냅 체결부재로 예시되지만, 예컨대 금속 패드, 도전성 후크 및 루프 체결구, 도전성 접착제(예컨대 도전성 테이프)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전기 접촉부일 수 있다. 접촉부는 예시된 바와 같이 팬츠(20)의 전방 허리 영역(2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모니터(108)는 지점(110, 112, 114, 116)에서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대응하는 접촉부(110B, 112B, 114B, 116B)를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접촉부는 트레이닝 팬츠(20)에 모니터(108)를 고정(즉, 물리적으 로 부착)하기도 하지만, 모니터(108)는 리셉터클, 접착제, 밀착제, 자석, 후크 및 루프, 클립, 클램프, 스냅, 포켓, 스트랩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은 그 밖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팬츠(2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도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93)의 측정장치(85)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젖음 감시 회로(128)(점선으로 지시)의 전기적 특성과, 제1 연속성 감시 회로(124)(일점쇄선으로 지시)의 전기적 특성과,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26)(이점쇄선으로 지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다. 지점(110, 112)과 제1 도전체(88)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면 제1 연속성 회로(124)가 완성된다. 지점(114, 116)과 제2 도전체(90)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면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26)가 완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93)는 제1 연속성 회로(124)가 완성될 때, 제2 연속성 회로(126)가 완성될 때 또는 제1 및 제2 연속성 회로(124, 126) 모두가 완성될 때 표시계(122)를 가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93)는 제1 연속성 회로(124)가 완성될 때, 제2 연속성 회로(126)가 완성될 때 또는 제1 및 제2 연속성 회로(124, 126) 모두가 완성될 때 송신기로 신호를 전송하고 송신기는 다시 수신기로 신호를 전송하여 표시계(122)를 가동시킨다. 가동된 표시계(122)는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시스템이 작동 중임을 통보하기 위한, 예컨대 삑하는 소음을 일으키는 스피커 또는 조명하는 전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93)는 제1 및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24, 126) 모두가 완성될 때 표시계(122)를 가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표시계(122)는 비교적 짧은 기간(예컨대 1초) 동안 "삑"하는 가청음을 생성할 수 있고 표시계(122)는 연속성 감시 회로(124, 126)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개방될 때까지 광을 연속으로 조명할 수 있다.
도9는 작동식 통보 시스템(156)(도11에 개략적으로 도시)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도10은 선 10-10을 따라 취한 도9의 측단면도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도9, 도10 및 도11의 작동식 통보 시스템(156)은 모니터(158)가 젖음 감시 회로(178)를 완성하도록 내부에 배치되는 젖음 회로(72)를 갖는 트레이닝 팬츠(20)에 물리적으로 부착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7의 작동식 통보 시스템(106)과 유사하다. 모니터(158)는 도11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속성 감시 회로(174)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76)를 완성하기 위해 트레이닝 팬츠(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9 및 도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58)는 흡수성 물품(20)의 후방 허리 영역(24)에 클립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158)는 제1 부착 레그(170), 제2 부착 레그(171), 메인 하우징(168) 및 힌지(18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착 레그(170, 171)는 모니터(158)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이될 수 있고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흡수성 물품(20)에 모니터(158)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힌지(180)를 거쳐 메인 하우징(168)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제1 부착 레그(170)는 제1 도전체(88) 또는 제2 도전체(90)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1 접촉부(160)와 제2 접촉부(162)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160)와 제2 접촉부(162)는 제1 도전체(88)와 정렬되고 제1 도 전체(88)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해 몸체측 라이너(42)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제2 부착 레그(172)는 다른 도전체(88 또는 90)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3 접촉부(164)와 제4 접촉부(166)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3 접촉부(164)와 제4 접촉부(166)는 제2 도전체(90)와 정렬되고 제2 도전체(90)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해 몸체측 라이너(42)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측 라이너(42)는 전기 접속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도전체(88 및/또는 90)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내부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 커버(40)는 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모니터의 접촉부와 흡수성 물품 내부의 도전체 간의 전기 접속을 용이하게 하도록 위치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모니터(158)는 전류 공급원(100), 마이크로프로세서(193) 및 표시계(172)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측정장치(194)는 마이크로프로세서(193)와 일체이다. 모니터(158)의 측정장치(194)와 물품 내의 도전체(88, 90)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때, 작동식 통보 시스템(156)은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젖음 감시 시스템이 작동 중이라는 신호를 제공한다. 신호는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93)의 측정장치(194)는 젖음 감시 회로(178)(점선으로 지시)의 전기적 특성과, 제1 연속성 감시 회로(174)(일점쇄선으로 지시)의 전기적 특성과,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76)(이점쇄선으로 지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다. 접촉부(160, 162)와 제1 도전체(88)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면 제1 연속성 감시 회로(174)가 완성된다. 접촉부(164, 166)와 제2 도전체(90)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면 제2 연속성 감시 회로(176)가 완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93)는 제1 연속성 회로(174)가 완성될 때, 제2 연속성 회로(176)가 완성될 때 또는 제1 및 제2 연속성 회로(174, 176) 모두가 완성될 때 표시계(172)를 가동할 수 있다. 가동된 표시계(172)는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시스템이 작동 중임을 통보하기 위한, 예컨대 삑하는 소음을 일으키는 스피커 또는 조명하는 전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젖음 센서와 모니터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9에 대표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젖음 센서(72)는 일반적으로 종방향(48)으로 연장되는 제1 도전체(88)와 제2 도전체(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체(88)와 제2 도전체(90)는 측방향(49)으로 거리 D 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모니터(158)는 일반적으로 종방향(48)으로 정렬된 제1 접촉부(160)와 제2 접촉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158)는 일반적으로 종방향(48)으로 정렬된 제3 접촉부(164)와 제4 접촉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160) 및 제2 접촉부(162)는 제1 및 제2 도전체(88, 90)와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측방향(49)으로 측정했을 때 약 D의 거리만큼 제3 접촉부(162) 및 제4 접촉부(16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도전체마다 두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접촉부는 하나보다 많은 회로의 부분을 형성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접촉부 중 일부 또는 모두가 단지 하나의 회로만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추가 접촉부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도전체는 세 개의 접촉부와 전기 접속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접촉부들 중 하나는 젖음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연속성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고 접촉부들 중 두 개는 연속성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젖음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각각의 접촉부는 단지 하나의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작동식 통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니터는 모니터와 모니터가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때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보는 하나 이상의 시각 신호, 촉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전류 공급원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측정장치를 포함한다. 모니터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이 적절한 젖음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내부에 적절한 회로를 갖는 임의의 적절한 흡수성 물품과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다시 도3에 예시된 것과 같은 젖음 감시 시스템을 참조하면, 하우징(82)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일체인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예컨대 비작동 상태, 작동 상태 및/또는 젖음 상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상태를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신호로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2는 작동식 통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젖음 감시 시스템(183)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플로우 로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측정장치(18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젖음 회로(187)에서 저항과 같은 전기적 특성을 주기적으로 또는 연 속으로 측정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기적 특성이 제1 값보다 높을 때 제1 표시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10 MΩ과 같은 일정 문턱값보다 높은 저항치 R은 마이크로프로세서(186)에 의해 젖음 감시 시스템(183)이 비작동 상태, 즉 모니터가 흡수성 물품에 부착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모니터가 도전체와 전기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86)는 제1 표시를 제공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표시계(186)를 가동할 수 있다. 제1 표시는 젖음 감시 시스템(183)이 "비작동"이라는 통보를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기적 특성이 제1 값보다 낮고 제2 값보다 높을 때 제2 표시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1 MΩ과 같은 적절한 문턱값보다 높지만 약 10 MΩ보다 낮은 저항치 R은 마이크로프로세서(186)에 의해 젖음 감시 시스템(183)이 작동 상태, 즉 모니터가 흡수성 물품 내에 배치된 도전체와 전기 접촉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86)는 제2 표시를 제공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표시계(122)를 가동할 수 있다. 제2 표시는 젖음 감시 시스템(183)이 "작동"이라는 통보를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기적 특성이 제2 값보다 낮을 때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60 ㏀과 같은 적절한 문턱값보다 낮은 저항치 R은 마이크로프로세서(186)에 의해 젖음 감시 시스템(183)이 젖음 상태, 즉 용변이 검출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86)는 제3 통보를 제공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표시계(186)를 가동할 수 있다. 제3 표시는 젖음 감시 시스템(183)이 "젖음"이라는 통보를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저항값을 해석하고 임의의 적절한 표시계를 가동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계속해서 젖음 감시 시스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제2 및/또는 제3 표시는 청각적, 시각적, 촉각적 등일 수 있다. 제1, 제2 및/또는 제3 표시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표시는 적색광일 수 있고 제2 표시는 청색광일 수 있고 제3 표시는 가청 경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회로는 전기 접속을 수반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회로는 원하는 바에 따라 회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 신호 "링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포일 도전체 위에 배치될 때 LED가 광을 생성하고 광학 센서가 반사광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광 센서가 회로에 포함될 수 있었다. 반사광이 감지되거나 되지 않으면, 이에 따라 모니터는 통보를 생성할 수 있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특정 색상 위에 배치될 때, 광을 생성하는 LED는 적절한 정렬을 위해 그 색상을 광 센서로 반사할 수 있었다. 반사광이 감지되거나 되지 않으면, 이에 따라 모니터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회로는 자화, 압력, 온도, 가속, 변형 등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신호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양한 시간에 다양한 기간 동안 기 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하나 이상의 표시계를 가동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적절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젖음 감지 시스템이 처음 작동될 때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표시계를 가동시킴으로써 젖음 감시 시스템이 임의의 적절한 간격으로 작동 가능함을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표시계를 가동시킴으로써 젖음 감시 시스템이 비작동으로 될 때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는 연속성이 검출될 때 경적음을 낼 수 있고 연속성이 검출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경적음을 낼 수 있고 연속성이 파손될 때 경적음을 낼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표시가 동일한 장치 또는 장치들(즉, 표시계)를 거쳐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는 연속성 감시 회로가 완성될 때 경적음(제1 표시)를 낼 수 있고, 스피커는 연속성 감시 회로가 폐쇄된 상태로 남아 있을 때 주기적으로 경적음(제2 표시)를 낼 수 있고, 스피커는 젖음이 검출될 때 경보(제3 표시)를 울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부착 통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통보 시스템은 감시 시스템의 제거 가능한 구성요소, 예컨대 모니터 하우징이 흡수성 물품에 단단히 부착되었는지에 대해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경계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모니터는 모니터와 센서 사이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 지만 흡수성 물품에 대한 모니터의 부적절한 또는 미완성인 물리적 부착이 계속된 전기 접속의 가능성을 손상시킬 수 있도록 젖음 센서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활동적인 어린이가 착용한 트레이닝 팬츠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서 모니터가 사용동안 분리되어 젖음 감시 시스템이 기능하지 않게 될 수 있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이는 또한 흡수성 물품이 두툼한 그리고/또는 두터운 재료를 포함하며 모니터의 결합이 물품을 관통하거나 물품을 클립 고정하는 것을 수반하는 행위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접촉부는 도전체와 전기 접속을 하게 될 수 있지만 클립은 완전히 밀폐되지 않을 수 있거나 접촉부는 완전히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부착 통보 시스템은 작동 통보 시스템을 넘어 본 명세서에서 "제2 방어선"으로 설명되는 모든 실시예에 부가될 수 있거나 작동 통보 시스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모니터가 다양한 적절한 방식으로 흡수성 물품에 부착되기 때문에, 부착 통보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부착 통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부착 점검 회로를 포함한다.
도13은 부착 통보 시스템을 갖는 예시적인 모니터(206)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모니터(206)는 힌지(208)에 의해 메인 하우징(21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부착 레그(210)를 갖는다. 힌지(208)는 제1 접촉부(214)를 갖고 메인 하우징은 제2 접촉부(216)를 갖는다. 모니터(206)가 예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1 접촉부(214)와 제2 접촉부(216)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부착 레그(210)가 힌지(208)에 의해 피봇 차단될 때, 제1 접촉부(214)는 제2 접촉부(216)와 전기 접속됨으로써 도14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부착 감시 회로(218)를 완성한다. 부착 감시 회로(218)는 일체형 측정장치(224)와 전류 공급원(100)을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222)를 포함한다. 접촉부(214, 216)가 전기 접속될 때, 부착 회로(218)는 완성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22)는 표시계(220)를 가동하여 모니터가 흡수성 물품에 단단히 부착되었음을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도15는 부착 통보 시스템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모니터(230)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모니터(230)는 힌지(234)에 의해 메인 하우징(236)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부착 레그(232)를 갖는다. 부착 레그(232)는 제1 접촉부(238)와 제2 접촉부(240)를 갖는다. 메인 하우징은 전기 접속시 제1 접촉부(23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리셉터클(242)과 전기 접속시 제2 접촉부(2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리셉터클(244)를 갖는다.
모니터(230)가 예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1 접촉부(238)는 제1 리셉터클(24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접촉부(240)는 제2 리셉터클(2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부착 레그(232)가 힌지(234)에 의해 피봇 차단될 때, 제1 접촉부(238)는 몸체측 라이너(42), 도전체(246) 및 외측 커버(40)를 관통하여 제1 리셉터클(242)과 전기 접속을 이룸으로써 도16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제1 부착 회로(248)를 완성한다. 마찬가지로, 부착 레그(232)가 힌지(234)에 의해 피봇 차단될 때, 제2 접촉부(240)는 몸체측 라이너(42), 도전체(246) 및 외측 커버(40)를 관통하여 제2 리셉터클(244)과 전기 접속을 이룸으로써 도16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제2 부착 회로(250)를 완성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부(238, 240)는 도9, 도10 및 도11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몸체측 라이너(42)와 외측 커버(40) 사이에 위치된 도전체(246)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부(238, 240)는 도7 및 도8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젖음 감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몸체측 라이너(42)와 외측 커버(40) 사이에 위치된 도전체(246)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회로는 명료한 설명을 위해 도16에 생략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238) 및/또는 제2 접촉부(240)는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해 중간 매개재를 관통하여 리셉터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 매개재는 접촉부들이 전기 접속을 이루기에 충분히 가깝도록 리셉터클들 내부로 압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착 감시 회로(248, 250)는 일체형 측정장치(254)와 전류 공급원(100)을 포함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2)를 포함한다. 접촉부(238, 240)가 리셉터클(242, 244)과 전기 접속될 때, 부착 회로(248, 250)는 완성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52)는 표시계(256)를 가동하여 모니터(230)가 완전히 폐쇄되고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에 단단히 부착되었음을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52)는 제1 부착 회로(248)가 완성될 때, 제2 부착 회로(250)가 완성될 때 또는 제1 및 제2 부착 회로(248, 250) 모두가 완성될 때 표시계(256)를 가동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가동된 표시계(256)는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시스템이 작동 중임을 통보하기 위한, 예컨대 소음을 일으키는 스피커 또는 조명하는 전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 감시와 관련 회로의 통보를 허용하는 다양한 명령으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회로를 연속으로 그리고/또는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하나 이상의 회로가 개방 및/또는 폐쇄될 때 하나 이상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보는 설정 기간 경과 후 제공될 수 있다. 즉,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표시계를 가동하기 전에 소정 길이의 시간 동안 개방 및/또는 폐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속성 회로를 감시하고 완성된 회로를 검출함과 즉시 표시계를 가동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거나 완성된 회로를 검출한 5초 후 표시계를 가동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젖음 감시 시스템은 전통적인 시스템의 전력 요구와 예컨대 배터리와 같은 전류 공급원의 비용 및 기대수명과 조화를 이루어야만 했다. 따라서, 다양한 시스템에 의한 배터리의 사용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모니터가 배터리 활성 상태로 제조업자로부터 선적되는 경우 배터리 소모는 제어되지 않는다. 제어 안된 배터리 소모는 선반 수명을 예측할 수 없게 만들며, 배급 타이밍, 재고 조절 및 종종 제조업자의 제어를 벗어난 그 밖의 인자에 의해 더욱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류 공급원은 전력 조절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전력 조절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력 회 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전력 조절 시스템이란 전류 공급원과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전류 흐름 상태를 갖는 모니터를 설명한다. 따라서, 배터리가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전류 공급원이 없으며 이에 따라 흐름 상태를 구성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력 조절 시스템을 갖는 모니터는 전류 공급원과,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거나 전혀 흐르지 않는 "오프(off)" 상태와 어느 정도 큰 양의 전류가 흐르는 "온(on)" 상태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력 조절 시스템은 어느 정도의 전류가 흐르지만 "온" 상태에서와 같이 많이 흐르지는 않는 예컨대 "전력 절약"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전력 조절 시스템은 전력 회로를 차단하는 전기 절연 스트립을 포함하는 전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이 배치된 상태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거나 전혀 흐르지 않으며, 따라서 전력 조절 시스템은 오프 상태에 있다. 절연 스트립은 최초 사용에 앞서 착용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연 스트립을 제거하면 전류가 전류 공급원에서 전력 회로를 거쳐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니터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이된다. 이런 전력 조절 시스템은 선적, 보관 및 재고 제어의 충격을 최소화하지만, 일단 모니터가 가동되면 전류는 배터리가 고갈될 때까지 계속해서 흐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력 회로를 차단하는 전기 절연 스트립을 모니터에 제공하고 착용자 및/또는 사용자에게 전력 회로로부터 절연 스트립을 제거하여 모니터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이시키도록 명령함으로서 전력 조절 시 스템을 제공하는 방법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전력 조절 시스템은 수동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는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전력 회로를 가동 및 가동 중단할 수 있도록, 즉 모니터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이(가동)시키도록 또는 모니터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이(가동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는 모니터 하우징에 관련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력 회로를 가동 및 가동 중단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용이한 접근을 위해서 모니터의 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모든 적절한 유형의 스위치가 전력 회로를 개방에서 폐쇄로 그리고 폐쇄에서 개방으로 전이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17은 스위치(272)와 예컨대 배터리(274)와 같은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수동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270)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수동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270)는 예컨대 다른 것들 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들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모니터(276)와 임의의 적절한 젖음 감시 시스템(278)과 이용될 수 있다.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스위치(272)를 수동으로 폐쇄하여 전력 회로(270)를 완성하면, 전류는 모니터(276)와 감시 시스템(278)으로 흐른다. 즉,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모니터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이시킨다. 마찬가지로,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스위치(272)를 개방하면, 수동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270)는 중단되고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되고 배터리(274)는 보전된다. 즉,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모니터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이시킨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위치(272)는 모니터 상에서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 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272)는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배터리(274)를 보전하기 위해 원하는 바에 따라 스위치(272)에 접근할 수 있도록 모니터의 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수동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를 갖는 모니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전력 회로를 완성하고 모니터를 온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수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전력 회로를 분리하고 모니터를 오프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전력 조절 시스템은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의 이용을 포함한다.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는 전력 회로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수동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와 유사하다. 그러나,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에서,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흡수성 물품에 모니터를 부착할 때 전력 회로를 "자동으로" 가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에서,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흡수성 물품에서 모니터를 분리할 때 전력 회로를 "자동으로" 가동 중단시킨다. 따라서, 배터리는 사용 중이 아닐 때 보전되고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전력 회로를 가동 및 가동 중단하기 위해 추가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잊어버릴 수 없다.
도18은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를 갖는 예시적인 모니터(290)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모니터(290)는 힌지(296)에 의해 메인 하우징(298)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부착 레그(294)를 갖는다. 힌지(296)는 제1 접촉부(300)를 갖 고 메인 하우징은 제2 접촉부(302)를 갖는다. 모니터(290)가 예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1 접촉부(300)와 제2 접촉부(302)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부착 레그(290)가 힌지(296)에 의해 피봇 차단될 때, 제1 접촉부(300)는 제2 접촉부(302)와 전기 접속됨으로써 도19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292)를 완성한다.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292)는 예컨대 배터리(304)와 같은 전류 공급원과, 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감시 시스템(308)을 포함한다. 접촉부(300, 302)가 전기 접속될 때,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292)는 완성되고 배터리(304)에서 나온 전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감시 시스템(308)으로 흐를 수 있다.
도20은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모니터(316)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모니터(316)는 힌지(320)에 의해 메인 하우징(32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부착 레그(318)를 갖는다. 부착 레그(318)는 제1 접촉부(324)와 제2 접촉부(326)를 갖는다. 메인 하우징은 전기 접속시 제1 접촉부(32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리셉터클(328)과 전기 접속시 제2 접촉부(3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리셉터클(330)를 갖는다.
모니터(316)가 도20에 예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1 접촉부(324)는 제1 리셉터클(32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접촉부(326)는 제2 리셉터클(3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부착 레그(318)가 힌지(320)에 의해 피봇 차단될 때, 제1 접촉부(324)는 제1 리셉터클(328)과 전기 접속을 이룸으로써 도21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 식 전력 회로(334)를 완성한다.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334)는 예컨대 배터리(336)와 같은 전류 공급원과, 마이크로프로세서(338)와, 감시 시스템(340)을 포함한다. 제1 접촉부(324)와 제1 리셉터클(328)이 전기 접속될 때,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334)는 완성되고 배터리(336)에서 나온 전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38)와 감시 시스템(340)으로 흐를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가 대안으로서 제2 접촉부(326)와 제2 리셉터클(330)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시스템은 임의의 적절한 감시 시스템과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젖음 감시 시스템을 함께 임의의 적절한 전력 조절 시스템과, 임의의 적절한 부착 통보 시스템과, 임의의 적절한 작동 통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22는 작동 통보 시스템(344), 부착 통보 시스템(346) 및 전력 조절 시스템(348)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34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감시 시스템(342)은 젖음 감시 회로(354)를 완성하도록 젖음 회로(72)가 내부에 배치된 트레이닝 팬츠(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352)를 포함한다. 젖음 센서(72)는 제1 도전체(88)와 제2 도전체(90)를 포함한다.
모니터(352)는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의 후방 허리 영역(24)에 클립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352)는 제1 부착 레그(356), 제2 부착 레그(358), 메인 하우징(360) 및 힌지(362)를 포함한다. 제1 부착 레그(356)와 제2 부착 레그(358)는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흡수성 물품(20)에 모니터(35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힌지(362)를 거쳐 메인 하우징(360)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모니터(352)는 트레이닝 팬츠(20)에 부착되어 도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속성 회로(364), 제2 연속성 회로(366), 부착 회로(368) 및 전력 회로(370)를 완성하도록 구성된다.
도23은 선 23-23을 따라 취한 도22의 감시 시스템을 대표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2 및 도23을 참조하면, 제1 부착 레그(356)는 제1 도전체(88) 또는 제2 도전체(90)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1 접촉부(372)와 제2 접촉부(37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372)와 제2 접촉부(374)는 제1 도전체(88)와 정렬되고 몸체측 라이너(42)를 관통하여 제1 도전체(88)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제2 부착 레그(358)는 다른 도전체(88 또는 90)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3 접촉부(376)와 제4 접촉부(378)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3 접촉부(376)와 제4 접촉부(377)는 제2 도전체(90)와 정렬되고 몸체측 라이너(42)를 관통하여 제2 도전체(90)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힌지(362)는 제5 접촉부(378)를 포함하고 메인 하우징(360)은 제6 접촉부(379)를 포함한다.
도24를 참조하면, 모니터(352)는 전류 공급원(380)과, 마이크로프로세서(382)와, 표시계(38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측정장치(386)는 마이크로프로세서(382)와 일체이다. 부착 레그가 힌지(362)에 의해 피봇 차단될 때, 제5 접촉부(378)는 제6 접촉부(379)와 전기 접속됨으로써 일체형 가동 및 가동 중단식 전력 회로(370)를 완성하고 전류가 배터리(380)로부터 다양한 회로(354, 364, 366, 368)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5 접촉부(378)가 제6 접촉부(379)와 전기 접속되면, 부착 감시 회로(368)는 완성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382)는 표시계(384)를 가동하여 모니터(352)가 흡수성 물품에 단단히 부착되었음을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제1 접촉부(372)와 제2 접촉부(374)가 라이너(42)를 관통하여 제1 도전체(88)와 접촉하면 제1 연속성 감시 회로(364)가 완성된다. 제3 접촉부(376)와 제4 접촉부(377)가 라이너(42)를 관통하여 제2 도전체(90)와 접촉하면 제2 연속성 감시 회로(366)가 완성된다. 젖음 감시 회로(354)는 제1 접촉부(372)가 제1 도전체(8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3 접촉부(376)가 제1 도전체(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완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382)는 젖음 회로(354)가 완성될 때, 제1 연속성 회로(364)가 완성될 때, 제2 연속성 회로(366)가 완성될 때, 부착 회로(368)가 완성될 때 또는 이들의 조합의 경우 표시계(384)나 임의의 다른 추가 표시계를 가동해서 하나 이상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가동된 표시계(384) 또는 표시계들은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젖음, 연속성, 부착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보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착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어느 표시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회로가 완성되고 그리고/또는 개방될 때 표시계를 가동해서 서로 다른 표시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속성 회로가 완성될 때 표시계를 가동해서 짧은 "삑"하는 것과 같은 제1 통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고 젖음 회로가 용변을 검출할 때 표시계를 가동해서 길게 연장된 "경보"와 같은 제2 통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하나보다 많은 표시계를 가동해서 서로 다른 표시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속성 회로가 완성될 때 제1 표시계를 가동하여 광을 조명하는 것과 같은 제1 통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젖음 회로 내의 용변을 검출할 때 제2 표시계를 가동하여 진동과 같은 제2 통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지금까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들에 대한 이해를 구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들 실시예에 대한 대체, 변경 및 균등 사항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 균등사항에 대한 것으로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젖음 센서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사용하기 위한 모니터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전류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1 젖음 감시 회로의 일부, 제2 젖음 감시 회로의 일부, 및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1 연속성 감시 회로 및 제2 연속성 감시 회로 모두가 완성될 때 표시계를 가동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을 포함하고,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제3 접촉부 및 제4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속성 감시 회로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제1 도전체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젖음 센서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연속성 감시 회로는 상기 제3 접촉부 및 상기 제4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접촉부 및 상기 제4 접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제2 도전체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젖음 센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음 감시 회로는 상기 제1 접촉부 또는 상기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촉부 또는 상기 제4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몸체측 라이너 또는 외측 커버를 물리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 상에 스냅 끼움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부착 감시 회로의 일부를 또한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부착 감시 회로가 완성될 때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한정하고 상기 모니터는 힌지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감시 회로는 힌지와 관련된 제1 접촉부와 하우징과 관련된 제2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촉부는 모니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모니터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모니터.
  7. 제1항의 모니터와,
    젖음 센서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와 상기 흡수성 물품은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와 상기 젖음 센서는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젖음 감시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젖음 센서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거리 D 만큼 서로 이격된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는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제3 접촉부 및 제4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3 접촉부와 상기 제4 접촉부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측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약 D의 거리만큼 상기 제3 접촉부 및 상기 제4 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젖음 감시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3 접촉부와 상기 제4 접촉부가 상기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에 상기 모니터를 부착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지시하는 사용설명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설명서는 상기 모니터가 센서와의 연속성을 가질 때 통보를 수신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또한 지시하고, 상기 사용설명서는 어떠한 통보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모니터를 재배치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또한 지시하는 젖음 감시 키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3 접촉부와 상기 제4 접촉부가 상기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에 상기 모니터를 부착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지시하는 사용설명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설명서는 상기 모니터가 센서와의 연속성을 갖는다는 통보를 수신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또한 지시하고, 상기 사용설명서는 연속성이 파손되었음을 알리는 통보가 수신되는 경우 모니터를 재배치할 것을 착용자나 보호자에게 또한 지시하는 젖음 감시 키트.
  11.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를 포함하는 젖음 센서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전류 공급원을 갖되,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젖음 센서의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젖음 센서의 제2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감시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적 특성이 제1 값보다 높을 때 제1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적 특성이 제1 값보다 낮고 제2 값보다 높을 때 제2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적 특성이 제2 값보다 낮을 때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은 약 10 MΩ이고 상기 제2 값은 약 1 MΩ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는 상기 모니터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젖음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았다는 통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표시는 상기 모니터가 상기 젖음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다는 통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3 표시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젖었다는 통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흡수성 물품에서 젖음 센서와 사용하기 위한 모니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젖음 센서는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관련된 모니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젖음 센서의 제1 도전체와 정렬되도록 상기 모니터 하우징 상에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젖음 센서의 제2 도전체와 정렬되도록 상기 모니터 하우징 상에 제3 접촉부와 제4 접촉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제2 연속성 감시 회로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제3 접촉부 및 상기 제4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젖음 감시 회로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또는 제4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연속성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연속성 감시 회로와 상기 제2 연속성 감시 회로 모두가 완성될 때 제1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젖음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용변이 상기 젖음 감시 회로에서 검출될 때 제2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하우징은 힌지에 의해 메인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제5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 또는 부착 레그들 중 하나는 제6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부착 감시 회로를 한정하도록 상기 제5 접촉부 및 상기 제6 접촉부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 감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상기 제5 접촉부가 상기 부착 감시 회로를 완성하도록 상기 제6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속성 감시 회로 및 상기 제2 연속성 감시 회로가 모두가 폐쇄된 후 이들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될 때 제4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하우징은 힌지에 의해 메인 하우징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부착 레그 상에 상기 제1, 제2, 제3 또는 제4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와 정렬되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 상에 리셉터클을 배치하는 단계와,
    부착 감시 회로를 한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 및 상기 리셉터클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 감시 회로를 완성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가 상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제3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087026100A 2006-04-26 2007-04-02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KR101364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12,351 2006-04-26
US11/412,351 US7489252B2 (en) 2006-04-26 2006-04-26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status notification system
PCT/IB2007/051169 WO2007125446A1 (en) 2006-04-26 2007-04-02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status notif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28A KR20090009828A (ko) 2009-01-23
KR101364866B1 true KR101364866B1 (ko) 2014-02-19

Family

ID=3826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100A KR101364866B1 (ko) 2006-04-26 2007-04-02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9252B2 (ko)
EP (1) EP2012729B1 (ko)
KR (1) KR101364866B1 (ko)
AU (1) AU2007245340B2 (ko)
MX (1) MX2008013620A (ko)
WO (1) WO2007125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03A (ko) 2015-01-07 2016-07-18 (주)유투 시스템 아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7529B2 (en) 2004-11-03 2011-07-12 Fred Bergman Healthcare Pty Ltd.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US7595734B2 (en) * 2006-04-26 2009-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power management
US20080033383A1 (en) * 2006-08-02 2008-02-07 Joy Cantor Sanitary apparatus with moisture level indication
US8299317B2 (en) * 2007-03-29 2012-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external access to internal conductors
US7667608B2 (en) * 2007-04-30 2010-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device lock and key and device ID
US8338659B2 (en) * 2007-04-30 2012-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leakage warning
US8264362B2 (en) * 2007-04-30 2012-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mbedded antenna for sensing article
CA2708749A1 (en) * 2007-12-12 2009-06-18 Whalley, Robin, As Trustee Of The Olfarse Trust Device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odily fluids
US7760101B2 (en) * 2008-06-20 2010-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reducing sensor corrosion in absorbent articles
US8044258B2 (en) * 2008-06-27 2011-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leakage warning
US8628506B2 (en) 2008-06-30 2014-0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functional monitoring device for absorbent articles
US20100168694A1 (en) * 2008-12-31 2010-07-01 Sudhanshu Gakhar Infrared Wetness Detection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US8866624B2 (en) * 2008-12-31 2014-10-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ductor-less detection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GB2467375A (en) * 2009-02-03 2010-08-04 Claude David Jones Disposable diaper with inbuilt wetness sensor and reusable alarm
NL2003163C2 (en) 2009-07-09 2011-01-11 Salusion Ip B V A moisture detecting module and a receiving unit.
US8823802B2 (en) * 2009-10-15 2014-09-02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Multi-mode imaging in the thermal infrared for chemical contrast enhancement
US8642832B2 (en) 2010-11-10 2014-0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 and signaling device matching
US8871994B2 (en) 2010-12-10 2014-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sensor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US9907707B2 (en) 2011-06-03 2018-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systems comprising auxiliary articles
TWI459933B (zh) 2011-07-15 2014-11-11 Ind Tech Res Inst 具尿布濕度檢測裝置之尿布、系統及尿布濕度檢測方法
US8826473B2 (en) 2011-07-19 2014-09-09 Hill-Rom Services, Inc. Moisture detection system
US8978452B2 (en) 2011-08-11 2015-03-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tness sensor using RF circuit with frangible link
US9681996B2 (en) 2011-08-11 2017-06-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tness sensors
US8816149B2 (en) 2011-10-28 2014-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for detection and monitoring of body exudates using a gas emitting substance for use in interactive toilet training
US9119748B2 (en) 2011-10-28 2015-09-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ectronic discriminating device for body exudate detection
US8933292B2 (en) 2011-10-28 2015-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nsor array for body exudate detection
US9278033B2 (en) 2011-11-22 2016-03-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ctless passive sensing for absorbent articles
US20140276504A1 (en) 2013-03-13 2014-09-18 Hill-Rom Servic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detection of incontinence or other moisture, methods of fluid analysis, and multifunctional sensor systems
ES2666347T3 (es) * 2013-04-30 2018-05-04 Sca Hygiene Products Ab Transiciones activadas por evento en la gestión de artículo absorbente
GB2578841B (en) 2013-08-08 2020-09-30 Procter & Gamble Sensor systems for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ensor gates
US10322036B2 (en) * 2014-10-03 2019-06-18 Glen Haire Incontinence system
ES2747261T3 (es) 2014-12-11 2020-03-10 Essity Hygiene & Health Ab Sensores de impedancia para detectar y supervisar humedad en artículos absorbentes
WO2016138331A1 (en) 2015-02-27 2016-09-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leakage assessment system
US9885147B2 (en) 2015-04-24 2018-02-06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Reproducible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quantitative stain detection
US10041866B2 (en) 2015-04-24 2018-08-07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Reproducible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quantitative stain detection
US10624804B2 (en) 2015-08-18 2020-04-21 Hill-Rom Services, Inc. Microclimate management airflow control based on incontinence detection
EP3158980A1 (de) * 2015-10-20 2017-04-26 Gady Shapira Gandy windelsensor
US10653567B2 (en) 2015-11-16 2020-05-19 Hill-Rom Services, Inc. Incontinence detection pad valid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1707387B2 (en) 2015-11-16 2023-07-25 Hill-Rom Services, Inc. Incontinence detection method
WO2017087452A1 (en) 2015-11-16 2017-05-26 Hill-Rom Services, Inc. Incontinence detection systems for hospital beds
US10285871B2 (en) 2016-03-03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ensor
US10115291B2 (en) 2016-04-26 2018-10-30 Hill-Rom Services, Inc. Location-based incontinence detection
US10028865B2 (en) * 2016-06-13 2018-07-24 Verily Life Sciences Llc Hardware to determine when a diaper needs to be changed and provide electronic notification
US10624795B2 (en) 2016-06-17 2020-04-21 Medline Industries, Inc.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US11229557B2 (en) 2016-06-17 2022-01-25 Medline Industries, Lp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US20180146906A1 (en) 2016-11-29 2018-05-31 Hill-Rom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continence device replacement interval
WO2018186842A1 (en) 2017-04-05 2018-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 for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and methods of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utilizing the same
KR102041569B1 (ko) * 2017-06-05 2019-11-06 (주)크레이더스 배설물 관리 장치
US11331019B2 (en) 2017-08-07 2022-05-17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anoparticle sensor having a nanofibrous membrane scaffold
US10716715B2 (en) 2017-08-29 2020-07-21 Hill-Rom Services, Inc. RFID tag inlay for incontinence detection pad
US10828205B2 (en) * 2017-12-05 2020-11-10 S-Square Systems, Llc Remote detection of wetness in diapers and bandages using reusable electronics
EP3787583A1 (en) 2018-05-04 2021-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KR102252697B1 (ko) * 2018-05-24 2021-05-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WO2019225854A1 (ko) * 2018-05-24 2019-1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US10945892B2 (en) 2018-05-31 2021-03-16 Hill-Rom Services, Inc. Incontinence detection system and detectors
US11051996B2 (en) 2018-08-27 2021-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NL2021861B1 (en) * 2018-10-23 2020-05-13 Open Care Group B V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diapers
US11950987B2 (en) 2019-05-21 2024-04-09 Hill-Rom Services, Inc. Manufacturing method for incontinence detection pads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US11712186B2 (en) 2019-09-30 2023-08-01 Hill-Rom Services, Inc. Incontinence detection with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KR102121926B1 (ko) * 2019-10-29 2020-06-11 (주)크레이더스 배설물 관리 장치
WO2021113230A1 (en) 2019-12-03 2021-06-10 Medline Industries, Inc.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032A (en) 1993-11-23 1995-02-21 Little Acorn Ventures Apparatus for sensing wet diaper including circuit breaker
US6097297A (en) * 1998-05-28 2000-08-01 Fard; Safieh Bahramian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US20040018418A1 (en) 2002-07-26 2004-01-29 Allen David M. Bi-metallic test switch
US20050156744A1 (en) 2003-09-02 2005-07-21 Pires Harold G. Diaper wetness annunci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570A (en) * 1972-10-05 1973-12-11 J Shuman Enuresis bed pad
US4100324A (en)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269206A (en) 1979-08-29 1981-05-26 Raymond Boyd Lighted hand mirror
CA1341430C (en)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US4940464A (en) 1987-12-16 1990-07-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US5116662A (en) 1989-12-15 1992-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US5114781A (en) 1989-12-15 1992-05-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IT1236977B (it) * 1989-12-22 1993-05-12 Italtel Spa Ricevitore per un sistema radiomobile digitale con cancellazione di segnali interferenti isofrequenziali aventi lo stesso tipo di modulazione,e relativo metodo
US5043704A (en) * 1990-03-12 1991-08-27 Blakeney William D Enuresis avoidance training aid
CA2048905C (en) 1990-12-21 1998-08-11 Cherie H. Everhart High pulp content nonwoven composite fabric
US5266928A (en) 1992-05-29 1993-11-30 Johnson Lonnie G Wet diaper detector
US5350624A (en) 1992-10-05 1994-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rasion resistant fibrous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537095A (en) * 1993-10-29 1996-07-16 Hill-Rom Company, Inc. Incontinence detection device
DE69510707T2 (de) 1994-03-04 1999-11-04 Kimberly Clark Co Vliesstoff mit verbesserten Flüssigkeits-Strömungs-Eigenschaften für absorbierende Artikel der persönlichen Pflege und dergleichen
US5486166A (en) 1994-03-04 1996-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Fibrous nonwoven web surge layer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JP2561028B2 (ja) * 1994-05-26 1996-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イドローブキャンセラ
US5645542A (en) 1994-12-29 1997-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absorbent structure
US5766389A (en) 1995-12-29 1998-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gistered graphic and process for making
US5820973A (en) 1996-11-22 1998-10-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terogeneous surge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US5964743A (en) 1997-02-27 1999-10-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absorbent material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5883028A (en) 1997-05-30 1999-03-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elastic film/nonwoven laminate
US6246330B1 (en) * 1998-05-29 2001-06-12 Wyn Y. Nielsen Elimination-absorber monitoring system
US6154443A (en) * 1998-08-11 2000-11-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FT-based CDMA RAKE receiver system and method
US6231557B1 (en) 1999-09-01 2001-05-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roduct containing an elastic absorbent component
US6362389B1 (en) 1998-11-20 2002-03-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absorbent structures
US6761711B1 (en) 1998-12-18 2004-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645190B1 (en) 1999-11-22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US6775260B1 (en) * 1999-02-25 2004-08-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for TDD/WCDMA systems
SE513206C2 (sv) 1999-03-12 2000-07-31 Ber Lin Wu Urindetekterande och signalerande anordning för användning i en blöja
CA2388024C (en) * 1999-10-19 2008-04-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ceiver for multiuser detection of cdma signals
US6552245B1 (en) 2000-05-03 2003-04-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sible outer cover and an extensible bodyside liner
US6641134B1 (en) 2000-10-27 2003-11-04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registration performance
US7250547B1 (en) 2000-11-07 2007-07-31 Rf Technologies, Inc. Wetness monitoring system
US6603403B2 (en) 2000-12-12 2003-08-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mote, wetness signaling system
US7221279B2 (en) 2001-06-11 2007-05-22 Nielsen Wyn Y Elimination—absorber monitoring system
CA2353906A1 (en) 2001-07-13 2003-01-13 Yves Bluteau Sensor device and an analyzing device specifically adapte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diapers for incontinent patients detecting the presence of urine or fecal matter, and other physiological or biochemical data emanating from the patient
US6682512B2 (en) 2001-12-18 2004-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inuous biaxially stretchable absorbent with low tension
AU2003261194A1 (en) * 2002-07-19 2004-02-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Groupwis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block transmission with reception diversity
US7214542B2 (en) 2003-01-30 2007-05-08 Michael Hutchinson Method of processing assay test results
US7053781B1 (en) 2003-05-19 2006-05-30 Glen Haire Apparatus for incontinence detection and notification
US20050137542A1 (en) 2003-12-19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ve graphics on absorbent articles using electrochromic displays
US7394391B2 (en) 2005-04-29 2008-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US7915476B2 (en) 2005-08-31 2011-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or interactive toilet training
US7498478B2 (en) 2005-08-31 2009-03-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sult in an absorbent article
US7649125B2 (en) 2005-08-31 2010-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sult in an absorbent article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same
US7355090B2 (en) 2005-08-31 2008-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insults in an absorbent article
US8304598B2 (en) 2005-12-15 2012-1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
US20070142797A1 (en) 2005-12-15 2007-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
US7737322B2 (en) 2005-12-21 2010-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s with microchemical sensors for odor detection
US7595734B2 (en) 2006-04-26 2009-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power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032A (en) 1993-11-23 1995-02-21 Little Acorn Ventures Apparatus for sensing wet diaper including circuit breaker
US6097297A (en) * 1998-05-28 2000-08-01 Fard; Safieh Bahramian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US20040018418A1 (en) 2002-07-26 2004-01-29 Allen David M. Bi-metallic test switch
US20050156744A1 (en) 2003-09-02 2005-07-21 Pires Harold G. Diaper wetness annunciato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03A (ko) 2015-01-07 2016-07-18 (주)유투 시스템 아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28A (ko) 2009-01-23
MX2008013620A (es) 2008-10-30
AU2007245340A1 (en) 2007-11-08
AU2007245340B2 (en) 2012-07-12
WO2007125446A1 (en) 2007-11-08
EP2012729B1 (en) 2015-12-02
US20070252710A1 (en) 2007-11-01
US7489252B2 (en) 2009-02-10
EP2012729A1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866B1 (ko)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KR101357463B1 (ko) 전력 조절부를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JP5276164B2 (ja) 吸収性物品内のセンサの腐食低減方法
US77008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need to replace an absorbent article
US7394391B2 (en)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RU2621649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распоз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выделений из тела
RU2614331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набженное массивом датчиков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выделений из тела
KR101283067B1 (ko) 흡수 용품 내 배설물 존재의 검출 방법 및 이를 검출하기위한 장치
KR101283241B1 (ko) 흡수 용품 내 배설물 존재의 검출 방법
KR20110098739A (ko) 젖음 센서 삽입체
KR20080085834A (ko)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