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427B1 -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427B1
KR101364427B1 KR1020120089890A KR20120089890A KR101364427B1 KR 101364427 B1 KR101364427 B1 KR 101364427B1 KR 1020120089890 A KR1020120089890 A KR 1020120089890A KR 20120089890 A KR20120089890 A KR 20120089890A KR 101364427 B1 KR101364427 B1 KR 101364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solvent
tread
sponge roller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or the mechanical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L2030/002T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트레드 반제품을 생산하는 압출 공정에서 트레드의 절단면 및 접착부에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압출장치에서 압출된 후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트레드 반제품(50)의 끝단 절단면(51)에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접착용제 도포부(10)와;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로 접착용제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접착용제 공급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는,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내부의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스폰지 롤러(11)와,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용제를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형 니플(12)과,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13)(13')과, 상기 베어링(13)(13')에 연결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11)를 탄성 지지하는 프레임(15)과, 상기 프레임(15)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수단(16) 및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접착용제의 비산 또는 적하로 인한 작업장 내의 환경 오염이 방지되고 접착 용제 사용량을 줄여 원가가 절감된다.

Description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Device for Painting Adhesive of Tread using Sponge Roller}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트레드 반제품을 생산하는 압출 공정에서 트레드의 절단면 및 접착부에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트 압출 라인에서 냉각 후 일정 길이로 절단된 트레드 반제품이 성형 과정에서 잘 붙을 수 있도록 양쪽 절단면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트레드 반제품은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되는 과정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되며, 절단된 트레드 반제품은 접착용제(Cement)로 연속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이어의 트레드 반제품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 접착용제를 도포하여야 한다. 이러한 접착용제의 도포작업은 보통 고압을 이용하여 접착용제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스프레이 분사방식은 접착용제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만 분사되지 않고 그 주변부로도 비산되기 때문에, 작업장의 공기와 바닥이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들이 공기 오염에 따른 두통을 호소하거나 작업장의 바닥 오염으로 미끄럼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접착용제의 비산을 고려하여 필요 이상의 접착용제를 분사함에 따라 접착용제의 사용량이 과다하게 되어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릴 트레이드 또는 APU 성형기 등과 같이, 스프레이 분사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붓이나 롤러를 사용하여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 접착용제를 도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방식은 외부의 통에 있는 접착용제를 붓이나 롤러에 묻혀와서 도포하게 되므로, 붓이나 롤러의 이동 과정에서 접착용제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적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붓이나 롤러가 작업 위치와 외부의 통 사이를 왕복 이동해야 하므로 연속 작업이 곤란하여 트레드 반제품을 일정 속도로 이송하면서 접착용제를 도포하고자 하는 현재의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를 이용하여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 접착용제를 등사(謄寫)도포 방식으로 발라주고 접착용제를 스폰지 형태의 롤러 내부로 공급하여 도포함으로써, 접착용제의 비산 또는 적하로 인한 작업장 내의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비산 등을 고려하여 접착용제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접착용제 공급에 따른 중단없이 연속작업을 할 수 있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트레드 반제품의 두께에 따라 스폰지 롤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폰지 롤러에 접착용제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함으로써 도포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접착용제가 떨어지거나 공급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로 저하되어 저장용기를 교환하는 도중에도 끊임없이 접착용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용제의 공급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로 저하될 경우 저장용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이를 작업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작업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레드 압출장치에서 압출된 후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트레드 반제품의 끝단 절단면에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접착용제 도포부와;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로 접착용제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접착용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는, 상기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내부의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스폰지 롤러와,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용제를 상기 스폰지 롤러의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스폰지 롤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형 니플과, 상기 스폰지 롤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연결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수단 및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는, 상기 스폰지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베어링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그 상측으로 돌출된 타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 축과, 상기 베어링과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어링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가이드 축이 삽입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축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과 스폰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나사와, 상기 가이드 축이 관통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스폰지 롤러는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접착용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공급관 파이프와, 외부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니플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 파이프의 일단에 부착되는 제1연결구와, 외부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외측이 막혀 있으며 상기 공급관 파이프의 타단에 부착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공급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 파이프로부터 배출되는 접착용제를 분산시켜 상기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 도포하는 원통 형상의 스폰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스폰지 롤러는, 상기 스폰지를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폰지에 흡수된 접착용제가 상기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 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용 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이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는, 접착용제가 저장되는 저장용기과, 상기 저장용기의 접착용제를 상기 회전형 니플로 압송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회전형 니플과 공급펌프를 연결하는 용제 공급관에 설치되어 접착용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공급펌프와 전자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압력 이상의 접착용제를 귀환용 배관을 통해 상기 저장용기로 복귀시키는 압력유지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는 상기 용제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인 경우 보조 저장용기의 접착용제를 보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용제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보조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공급부는 상기 보조 저장용기의 접착용제가 상기 보조 공급관을 통해 용제 공급관에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저장용기의 에어 실린더에 작동 압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에어 실린더에 인가되는 작동 압력을 균일화시키는 에어 레귤레이터와, 상기 압력유지밸브의 전방에서 접착용제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보조 공급부는, 상기 압력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저장용기로부터 용제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접착용제가 공급펌프 또는 저장용기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상기 보조 공급관과 용제 공급관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압력유지밸브 사이에 역지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는,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 스폰지 롤러를 이용하여 접착용제를 등사방식으로 도포하게 되므로, 접착용제의 비산 또는 적하로 인한 작업장 내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접착 용제 사용량을 줄여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간격 조절부를 이용하여 스폰지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구동수단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트레드 반제품의 두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스폰지 롤러의 내부로 접착용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트레드 반제품에 도포하게 되므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일정 속도로 이송중인 트레드 반제품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스폰지 롤러의 스폰지 외면 전체를 도포용 천이 감싸고 있으므로 도포용 천에 의해 접착용제의 도포 두께가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과 가이드 바로 이루어진 가이드 수단이 구비되어 스폰지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을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압력유지밸브를 이용하여 스폰지 롤러에 접착용제를 균일한 압력으로 공급함으로써 균일한 도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로 떨어지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는 동안에는 보조 저장용기의 접착용제가 균일한 압력으로 스폰지 롤러에 공급되므로 저장용기의 교체시에도 연속적인 도포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접착용제의 공급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경고등이 점등되거나 경고음이 발생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에 따르면, 압력 유지밸브와 보조 공급관 연결부 사이에 역지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접착용제가 공급펌프 또는 저장용기 쪽으로 역류되지 않고 스폰지 롤러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접착용제 도포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스폰지 롤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요부 구성인 접착용제 도포부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접착용제 공급부의 구성도.
도 6과 7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트레드의 절단면에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모습이 도시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 압출장치에서 압출된 후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트레드 반제품(50)의 끝단 절단면(51)에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접착용제 도포부(10)와;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로 접착용제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접착용제 공급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는 도 2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내부의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스폰지 롤러(11)와,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용제를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형 니플(12)과,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13)(13')과, 상기 베어링(13)(13')에 연결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11)를 탄성 지지하는 프레임(15)과, 상기 프레임(15)에 설치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11)와 프레임(1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 조절부(14)와, 상기 프레임(15)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수단(16) 및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폰지 롤러(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로부터 회전형 니플(12)을 통해 공급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접착용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11')이 천공된 공급관 파이프(11a)와, 외주면 일측에 베어링(13)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니플(1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의 일단에 부착되는 제1연결구(11b)와, 외주면 일측에 다른 베어링(13')이 설치되고 외측이 막혀 있으며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의 타단에 부착되는 제2연결구(11c)와,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로부터 배출되는 접착용제를 분산시켜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 표면에 도포하는 원통 형상의 스폰지(11d)와, 상기 스폰지(11d)를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폰지(11d)에 흡수된 접착용제가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 표면에 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용 천(11e)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14)는 상기 베어링(13)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15)을 관통하여 그 상측으로 돌출된 타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 축(14a)과, 상기 베어링(13)과 프레임(15)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어링(13)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가이드 축(14a)이 삽입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11)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14b)과, 상기 가이드 축(14a)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15)과 스폰지 롤러(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나사(14c)와, 상기 가이드 축(14a)이 관통하도록 상기 프레임(15)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스프링(14b)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14d)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가이드 수단(17)은 상기 프레임 구동수단(16)과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17a)과, 상기 프레임(15)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7a)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5)이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 바(17b)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동수단(16)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실린더 장치를 이용한다.
한편,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용제가 저장되는 저장용기(21)과, 상기 저장용기(21)의 접착용제를 상기 회전형 니플(12)로 압송하는 공급펌프(22)와, 상기 회전형 니플(12)과 공급펌프(22)를 연결하는 용제 공급관(25)에 설치되어 접착용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23)와, 상기 공급펌프(22)와 전자밸브(23)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압력 이상의 접착용제를 귀환용 배관(26)을 통해 상기 저장용기(21)로 복귀시키는 압력유지밸브(24)와, 상기 용제 공급관(25)을 통해 공급되는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인 경우 보조 저장용기(31)의 접착용제를 보조 공급관(36)을 통해 상기 용제 공급관(25)으로 공급하는 보조 공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공급부(30)는 상기 보조 저장용기(31)의 접착용제가 상기 보조 공급관(36)을 통해 용제 공급관(25)에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저장용기(31)의 에어 실린더(32)에 작동 압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3)와, 상기 에어 실린더(32)에 인가되는 작동 압력을 균일화시키는 에어 레귤레이터(34)와, 상기 압력유지밸브(24)의 전방에서 접착용제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3)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압력감지부(35)와, 상기 압력감지부(35)에 의해 감지된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35)의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경고수단(3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 공급부(30)가 동작할 때 상기 보조 저장용기(31)로부터 용제 공급관(25)으로 공급되는 접착용제가 공급펌프(22) 또는 저장용기(21)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상기 보조 공급관(36)과 용제 공급관(25)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압력유지밸브(24) 사이에 역지 밸브(27)가 설치된다.
또, 상기 압력감지부(35)의 앞쪽에는 접착용제의 공급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28)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공급관에도 상기 보조 저장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용제의 공급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38)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는 스폰지 롤러의 내부로 공급된 접착용제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중인 트레드 반제품의 절단면에 도포하게 된다.
접착용액 도포부(10)는 접착용액 공급부(20)에서 용제 공급관(25)을 통해 스폰지 롤러(11)로 공급된 접착용제를 컨베이어(55)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중인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에 도포한다. 이때, 상기 용제 공급관(25)과 스폰지 롤러(11)를 연결하는 회전형 니플(12)로 인해 상기 스폰지 롤러(11)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용제 공급관(25)이 꼬이는 현상이나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공급관 파이프(11a)에서 구멍(11')을 통해 스폰지(11d)로 접착용제가 계속 공급되고 상기 스폰지(11d)를 감싸고 있는 도포용 천(11e)으로 인해 스폰지(11d)의 접착용제가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에 일정량씩 고르게 도포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8)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 등의 프레임 구동수단(16)은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이 이송되는 동안 그 양쪽 끝단이 지날 때마다 프레임(15)을 하강시켜, 상기 프레임(15)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는 스폰지 롤러(11)가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에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프레임 구동수단(16)은 스폰지 롤러(11)가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 중 최하단 위치에서도 접할 수 있는 위치까지 상기 프레임(15)을 하강시키게 되며,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 높이 차는 프레임(15)에 설치된 간격 조절부(14)의 완충 스프링(14b)이 흡수하여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 전체에 접착용제가 도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폰지 롤러(11)로 접착용제를 공급하는 접착용제 공급부(20)는 압력유지밸브(24)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의 접착용제를 상기 용제 공급관(25)을 통해 공급하게 된다. 저장용기(21)의 접착용제는 공급펌프(22)에 의해 펌핑되고, 펌핑된 접착용제는 상기 압력유지밸브(24)를 거쳐 용제 공급관(25)으로 유입되며, 상기 용제 공급관(25)에 설치된 전자밸브(23)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로 공급된다.
상기 압력유지밸브(24)는 접착용제가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펌프(22)로부터 과다 공급되는 접착용제를 귀환용 배관(26)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21)로 귀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펌프(22)에 의해 펌핑되는 접착용제의 압력은 압력계(28)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21)를 교체하거나 상기 공급펌프(11)의 이상 등으로 인하여 공급압력이 저하하는 경우에는 보조 공급부(30)의 접착용제가 접착용제 도포부(10)로 공급된다. 즉, 압력감지부(35)에서 감지되는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압력감지부(35)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3)와 경고수단(37)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3)는 보조 저장용기(31)의 에어 실린더(32)에 작동 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실린더(32)에 인가되는 작동압력은 에어 레귤레이터(34)에 의해 균일한 압력으로 조정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실린더(32)에 의해 보조 저장용기(31)의 접착용제가 보조 공급관(36)을 거쳐 상기 용제 공급관(25)으로 공급될 때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부(35)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3)에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경고등이나 부저 등의 경고수단(37)에도 신호를 보내 경고등이 점등되거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저장용기(21)의 교체 또는 공급펌프(22)의 이상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비어 있는 저장용기(21)를 신속하게 교체하거나 공급펌프(22) 이상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용기(21)의 교체나 공급펌프(22)의 이상 등으로 인하여 접착용제가 균일한 압력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보조 공급부(30)에서 접착용제를 균일한 압력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접착용제 도포부(10)에는 항상 균일한 압력으로 접착용제가 공급되어 접착용제의 도포작업이 끊임없이 이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접착용제 도포부
11...스폰지 롤러
11'...구멍 11a...공급관 파이프
11b...제1연결구 11c...제2연결구
11d...스폰지 11e...도포용 천
12...회전형 니플
13, 13'...베어링
14...간격조절부
14a...가이드 축 14b...완충 스프링
14c...간격조절나사 14d...스프링 지지부
15...프레임
16...프레임 구동수단
17...가이드 수단
17a...가이드 블록 17b...가이드 바
18...메인 프레임
20...접착용액 공급부
21...저장용기
22...공급펌프
23...전자밸브
24...압력유지밸브
25...용제 공급관
26...귀환용 배관
27...역지밸브
28...압력계
30...보조 공급부
31...보조 저장용기
32...에어 실린더
33...솔레노이드 밸브
34...에어 레귤레이터
35...압력감지부
36...보조 공급관
37...경고수단
38...압력계
50...트레드 반제품
51...절단면
55...이송 컨베이어

Claims (9)

  1. 트레드 압출장치에서 압출된 후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트레드 반제품(50)의 끝단 절단면(51)에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접착용제 도포부(10)와;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로 접착용제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접착용제 공급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는,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내부의 접착용제를 도포하는 스폰지 롤러(11)와,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용제를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형 니플(12)과, 상기 스폰지 롤러(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13)(13')과, 상기 베어링(13)(13')에 연결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11)를 탄성 지지하는 프레임(15)과, 상기 프레임(15)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수단(16) 및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17)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17)은, 상기 프레임(15)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17a)과, 상기 프레임(15)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7a)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5)이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제 도포부(10)는, 상기 스폰지 롤러(11)와 프레임(15)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 조절부(14)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절부(14)는, 상기 베어링(13)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15)을 관통하여 그 상측으로 돌출된 타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 축(14a)과, 상기 베어링(13)과 프레임(15)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어링(13)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가이드 축(14a)이 삽입되어 상기 스폰지 롤러(11)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14b)과, 상기 가이드 축(14a)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15)과 스폰지 롤러(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나사(14c)와, 상기 가이드 축(14a)이 관통하도록 상기 프레임(15)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스프링(14b)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1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 롤러(11)는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접착용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11')이 천공된 공급관 파이프(11a)와, 외부에 베어링(13)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니플(1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의 일단에 부착되는 제1연결구(11b)와, 외부에 베어링(13)이 설치되고 외측이 막혀 있으며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의 타단에 부착되는 제2연결구(11c)와,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 파이프(11a)로부터 배출되는 접착용제를 분산시켜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 표면에 도포하는 원통 형상의 스폰지(1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 롤러(11)는, 상기 스폰지(11d)를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폰지(11d)에 흡수된 접착용제가 상기 트레드 반제품(50)의 절단면(51) 표면에 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용 천(11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는, 접착용제가 저장되는 저장용기(21)과, 상기 저장용기(21)의 접착용제를 상기 회전형 니플(12)로 압송하는 공급펌프(22)와, 상기 회전형 니플(12)과 공급펌프(22)를 연결하는 용제 공급관(25)에 설치되어 접착용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23)와, 상기 공급펌프(22)와 전자밸브(23)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압력 이상의 접착용제를 귀환용 배관(26)을 통해 상기 저장용기(21)로 복귀시키는 압력유지밸브(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제 공급부(20)는 상기 용제 공급관(25)을 통해 공급되는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인 경우 보조 저장용기(31)의 접착용제를 보조 공급관(36)을 통해 상기 용제 공급관(25)으로 공급하는 보조 공급부(30)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공급부(30)는 상기 보조 저장용기(31)의 접착용제가 상기 보조 공급관(36)을 통해 용제 공급관(25)에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저장용기(31)의 에어 실린더(32)에 작동 압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3)와, 상기 에어 실린더(32)에 인가되는 작동 압력을 균일화시키는 에어 레귤레이터(34)와, 상기 압력유지밸브(24)의 전방에서 접착용제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3)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압력감지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공급부(30)는, 상기 압력감지부(35)에 의해 감지된 접착용제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35)의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경고수단(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용기(31)로부터 용제 공급관(25)으로 공급되는 접착용제가 공급펌프(22) 또는 저장용기(21)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상기 보조 공급관(36)과 용제 공급관(25)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압력유지밸브(24) 사이에 역지 밸브(2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KR1020120089890A 2012-08-17 2012-08-17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KR10136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90A KR101364427B1 (ko) 2012-08-17 2012-08-17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90A KR101364427B1 (ko) 2012-08-17 2012-08-17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427B1 true KR101364427B1 (ko) 2014-02-17

Family

ID=5027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90A KR101364427B1 (ko) 2012-08-17 2012-08-17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8847A (zh) * 2021-06-09 2021-10-08 广东粤港澳大湾区黄埔材料研究院 一种容胶量可控的立面粘接工艺
CN116713162A (zh) * 2023-07-21 2023-09-08 联亚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带状降噪件端部截面的涂胶装置、涂胶方法及涂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5538A (ja) 2007-08-17 2009-03-05 Samansa Japan Kk 塗布装置
KR20110064077A (ko) * 2009-12-07 2011-06-1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서비서의 접착제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5538A (ja) 2007-08-17 2009-03-05 Samansa Japan Kk 塗布装置
KR20110064077A (ko) * 2009-12-07 2011-06-1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서비서의 접착제 도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8847A (zh) * 2021-06-09 2021-10-08 广东粤港澳大湾区黄埔材料研究院 一种容胶量可控的立面粘接工艺
CN113478847B (zh) * 2021-06-09 2023-11-03 广东粤港澳大湾区黄埔材料研究院 一种容胶量可控的立面粘接工艺
CN116713162A (zh) * 2023-07-21 2023-09-08 联亚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带状降噪件端部截面的涂胶装置、涂胶方法及涂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427B1 (ko) 스폰지 롤러를 이용한 트레드 접착용제 도포장치
KR20180067326A (ko)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원터치 볼트 윤활유 자동 분사장치
KR101725674B1 (ko) 고무 호스를 절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67185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0225842B1 (ko) 정량토출장치 및 정량토출방법
KR20190066099A (ko) 크레인 레일의 그리스 도유장치
CN203901739U (zh) 一种包胶辊筒在线修复的装置
CN206327626U (zh) 润滑油包装箱输送装置
CN111886079A (zh) 用于在包装站处理插入和装配辅助件内表面的润滑剂喷洒设备和润滑剂施用方法
CN210651146U (zh) 一种木板涂胶机
CN103398277A (zh) 一种铁路车辆轴承用注脂机
KR20160005835A (ko) 휠 전용 소핑머신
CN1932121B (zh) 用于纤维热处理机的密封头
CN112476151B (zh) 轧辊支撑方法及用于支撑轧辊的中心架系统
JP5505115B2 (ja) アイドルギア・シャフト組付装置
CN210481209U (zh) 一种玄武岩纤维的浸润设备
JP2002045758A (ja) 塗布装置
KR20170011378A (ko) 백업링 컷팅장치의 백업링 자동 공급장치
CN217140874U (zh) 一种往复式自动喷涂设备
JP2004098192A (ja) 自動液体塗布装置
CN215044380U (zh) 一种卷材包装机
CN113499901B (zh) 管内壁喷涂润滑脂的设备
JP2020028841A (ja) 塗工装置とそれを用いた塗工方法
US20230201859A1 (en) Automatic wood flooring boards repar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476214Y1 (ko) 사출 성형기의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