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241B1 -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241B1
KR101364241B1 KR1020120082344A KR20120082344A KR101364241B1 KR 101364241 B1 KR101364241 B1 KR 101364241B1 KR 1020120082344 A KR1020120082344 A KR 1020120082344A KR 20120082344 A KR20120082344 A KR 20120082344A KR 101364241 B1 KR101364241 B1 KR 10136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icrofluidic flow
flow block
resi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943A (ko
Inventor
이경균
이석재
박태정
이태재
김병일
최호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8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2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3/00Assembling of devices or systems from individually processed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36Integrated biosensor, microar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유체 제어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고자 하는 분말 형태의 재료들 위에 접착체를 반복적으로 분사한 후, 접착제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는 재료를 반복적으로 경화시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고, 블러싱(blushing) 및 하드닝(hardening)에 의해 추출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건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양산한다.

Description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Fabrication Method of Microfluidic Floating Block}
본 발명은 미세 유체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고자 하는 분말 형태의 재료들 위에 접착체를 반복적으로 분사한 후, 접착제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는 재료를 반복적으로 경화시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고, 블러싱(blushing) 및 하드링(hardning)에 의해 추출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건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양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미세 전자기계 시스템(Bio-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 Bio-MEMS) 분야에서, 질병의 조기 진단 또는/및 화학 분석 등과 같은 과정을 작은 칩(chip) 상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초미량의 유체를 이송, 정지, 혼합 및 반응시킬 수 있는 미세 유체 제어와 질병에 관련된 바이오마커(biomarker, 예를 들어, 단백질, 디엔에이(DeoxyriboNucleic Acid : DNA) 등)를 고감도로 감지하는 센서가 집적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
바이오 미세 전자기계 시스템 분야에서, 특히 화학 분석 또는/및 질병 조기 진단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시스템, 예를 들어, 바이오 랩온어칩(bio lab on a chip) 분야에서는 소형화, 저가격화, 집적화, 자동화 및 실시간 진단이 가능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범용 시약의 가격이 대체로 고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필요한 최소량의 생체 시료를 사용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오염이 없는 화학 분석을 재현성 있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저렴한 가격의 미세 유체 제어 시스템(microfluidic control system)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이즈, 백혈병 또는 빈혈 등의 질병을 가진 환자들에 대하여 이러한 질병을 진단하고, 질병의 진행 경과를 모니터링하며, 치료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들 환자들의 혈액 중에서 상기 질병들과 관련된 특정 백혈구 또는 적혈구와 같은 체세포를 관찰하고, 그의 개체수를 계수하여 그 분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시료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 예를 들어 체세포 등을 관찰하고, 계수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랩온어칩(Lab-on-a-Chip)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비등방성 에칭으로 형성된 유로를 갖는 유리,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유로의 일측에는 시료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시료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적절한 폭과 높이를 갖는 유로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는 광학 현미경 또는 CCD 카메라 등이 구비된 체세포 및 미세입자 계수장치 등을 이용하여 계수할 수 있다. 즉, 시료 중의 체세포를 형광 염료 등으로 염색한 후,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고, 시료의 상을 촬영하여 형광을 발하는 세포의 개수를 계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랩온어칩은 주로, 정밀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기술과 마이크로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소형의 플라스틱 성형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바이오칩 분야의 경우, 미국의 Micronics사(社)의 Cytometer (WO02/082057)와 같은 경우에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챔버 내에 주입되는 유체 시료의 제어 및 화학 반응을 할 수 있는 구조물을 이용하는 세포 계수용 바이오칩을 예로 들 수있고, 일본의 Hitachi Chemical사(社)의 i-chip과 같은 경우에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 유로 패턴이 에칭된 단일개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기판과, 유체 시료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 역할을 갖는 한 장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이 접착된 형태로 DNA 분석용 바이오칩 제품이 있다. 이와 유사한 형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일의 Ibidi사(社)의 마이크로 슬라이드 제품 (WO03/029788) 역시 미세패턴이 에칭된 하나의 플라스틱 기판(110)과 덮개 역할을 하는 한 장의 필름(120)이 접착된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존의 소형 플라스틱 성형 제품 또는 플라스틱 기판(110)과 한 장의 필름(120)이 접착된 형태의 제품은 정밀하고 미세한 패턴이 구현 가능한 금형 제작 및 플라스틱 성형 제조 기술이 필요하며, 주입된 시료의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기판(110)과 필름(120) 간의 고밀도 접착 기술 또한 요구된다. 즉, 종래의 랩온어칩(10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이종 재질, 다시 말해서 플라스틱 기판(110)과 필름(120) 간의 접착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가공 비용 또한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플라스틱 기판(110)의 금형 제작에 있어 정밀하고 미세한 패턴의 제작 기술이 상당한 수준의 기술을 요하며, 이로 인한 한계에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고자 하는 분말 형태의 재료들 위에 접착체를 반복적으로 분사한 후, 접착제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는 재료를 반복적으로 경화시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고, 블러싱(blushing) 및 하드링(hardning)에 의해 추출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건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대량 생산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미세 유체를 유동시키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맞춤식 형태로 다양하게 제조함으로써, 다수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으로 이루어진 미세 유체 유동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은,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로 구성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하는 단계; (2)상기 3차원 도면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복수개의 2차원 평면 도면으로 분리하는 단계; (3)블럭을 구성하고자 하는 재료를 분말 형태로 상기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분산시키는 단계; (4)상기 분말 형태의 재료들 위에, 상기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접착체를 뿌리는 단계; (5)상기 접착제와 블럭 구성 재료를 경화하는 단계; (6)상기 (3)내지 (5)단계를 상기 블럭의 최상부에 이를 때까지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는 단계; (7)상기 제작된 블럭을 블러싱(blushing)하여, 미접착된 분말들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8)상기 분리된 블럭을 경화제에 넣고 경화시키는 단계; 및 (9)상기 경화된 블럭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은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로 구성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하는 단계; (2)상기 3차원 도면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복수개의 2차원 평면 도면으로 분리하는 단계; (3)광경화성 재료를 액상 형태로 챔버 내에 준비하는 단계; (4)상기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상기 액상 형태의 광경화성 재료의 최상부 층의 원하는 위치에 빛을 쪼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5)상기 경화층을 액상재료의 표면 아래에 위치시켜, 상기 경화층의 상부에 경화시키고자 하는 액상층이 존재하도록 하는 단계; (6)상기 (4)내지 (5)단계를 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최상부까지 경화될 때까지 반복하여, 최종적인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는 단계; (7)상기 제작된 블럭을 액상 재료 내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8)상기 분리된 블럭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은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를 포함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하는 단계; (2)상기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상층부의 금형을 제조하는 단계; (3)상기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하층부의 금형을 제조하는 단계; (4)상기 상층부의 금형에 액상의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5)상기 고분자 수지가 경화된 후, 상기 상층부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층부를 생성시키는 단계; (6)상기 하층부의 금형에 액상의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7)상기 고분자 수지가 경화된 후, 상기 하층부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하층부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8)상기 상층부와 하층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고자 하는 분말 형태의 재료들 위에 접착체를 반복적으로 분사한 후, 접착제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구성하는 재료를 반복적으로 경화시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고, 블러싱(blushing) 및 하드링(hardning)에 의해 추출된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건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유체를 유동시키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맞춤식 형태로 다양하게 제조함으로써, 다수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으로 이루어진 미세 유체 유동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제 2 효과를 준다.
도 1은 종래의 랩온어칩(Lab On a Chip)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과정에 따른 구성의 변화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은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로 구성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를 생성시키는 일련의 제조방법으로. 일예로, 먼저,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한다(S10).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2단계는 3차원 도면을 컴퓨터를 이용해 하부에서부터 복수개의 2차원 평면 도면으로 분리시킨다(S20).
3단계는 블럭을 구성하고자 하는 재료를 분말 형태로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분산시킨다(S30).
여기서, 분말형태의 블럭 구성 재료는 황산칼슘(CaSO4), 나일론 계열의 물질, 고분자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임에 유의한다.
4단계는 분말 형태의 재료들 위에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접착체를 뿌리는 형태로 분사한다(S40).
접착제는 멜라민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레졸시놀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염화비닐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부타디엔고무계, 니트릴고무계, 부틸고무계, 실리콘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및 폴리아미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단계는 접착제와 블럭 구성 재료를 경화시킨다(S50).
6단계는 (3)내지 (5)단계를 블럭의 최상부에 이를 때까지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블럭의 형상을 제작한다(S60).
7단계는 제작된 블럭을 블러싱(blushing)하여 미접착된 분말들로부터 분리한다(S70).
8단계는 분리된 블럭을 경화제에 넣고 경화시킨다(S80).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계열, 아민계열 및 폴리아미드계열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9단계는 경화된 블럭을 건조함에 따라, 소정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생성시킨다(S9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은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로 구성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를 생성시키는 일련의 제조방법으로. 다른 일예로, 먼저,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한다(S10').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2단계는 3차원 도면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복수개의 2차원 평면 도면으로 분리시킨다(S20').
3단계는 광경화성 재료를 액상 형태로 챔버 내에 준비한다(S30').
여기서, 광경화성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비닐에테르, 에폭시, 벤조인 에테르 및 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에 유의한다.
4단계는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액상 형태의 광경화성 재료의 최상부 층의 원하는 위치에 빛을 쪼여 경화층을 형성시킨다(S40').
5단계는 경화층을 액상재료의 표면 아래에 셋팅하여 경화층의 상부에 경화시키고자 하는 액상층이 존재하도록 한다(S50').
6단계는 (4)내지 (5)단계를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최상부까지 경화될 때까지 반복 실시하여 최종적인 블럭의 형상을 제작한다(S60').
7단계는 제작된 블럭을 액상 재료 내에서 분리한다(S70').
마지막, 8 단계는 분리된 블럭을 건조함에 따라, 소정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생성시킨다(S8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은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를 포함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를 생성시키는 일련의 제조방법으로. 또 다른 일예로, 먼저,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한다(S1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에 따른 2단계는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상층부의 금형을 제조한다(S20").
3단계는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하층부의 금형을 제조한다(S30").
4단계는 상층부의 금형에 액상의 고분자 수지를 주입한다(S40").
여기서, 고분자 수지는 스틸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프로필렌계 수지, 실리콘 고무, 아크릴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에 유의한다.
5단계는 고분자 수지가 경화된 후, 상층부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층부를 생성시킨다(S50").
6단계는 하층부의 금형에 액상의 고분자 수지를 주입한다(S60").
7단계는 고분자 수지가 경화된 후, 하층부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하층부를 생성시킨다(S70").
8단계는 상층부와 하층부를 결합시킬 경우, 상층부와 하층부의 결합부위에 열을 가하여 부분적으로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과정을 실시한다(S8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은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를 포함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를 생성시키는 일련의 제조방법으로. 또 다른 일예로, 먼저,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한다(S1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에 따른 2단계는 3차원 도면을 이용해 제 1 공작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상층부를 제작한다(S20"').
3단계는 3차원 도면을 이용해 제 2 공작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하층부를 제작한다(S30"').
여기서, 2단계 및 3단계의 가공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정밀하게 제어되고, 와이어 전극과 제 1 및 제 2 공작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가공하는 과정임에 유의한다.
또한, 제 1 공작물과 제 2 공작물은 금속이나 고분자 수지 물질임에 유의한다.
마지막으로, 4단계는 상층부와 하층부를 결합시킴에 따라, 소정의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을 생성시킨다(S40"').
도 6은 도 2의 순서에 따라 유동 블럭이 제조되는 과정을 블럭 구성의 형성 과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나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유체 유동 통로 4개가 하층부에서 상층부를 따라 차례대로 형성되고, 유입구 또는 배출부 역시 하층부에서 상층부 순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a)는 최하부에 형성된 레이어이고, (b)는 가장 하층부에 존재하는 첫번째 유체 유동 통로가 형성된 것이며, (c)는 두번째, (d), (e)는 각각 세번째, 네번째 유체 유동 통로로, 이들은 모두 하층에서 상층으로 차례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유체 유동통로의 형성과 함께, 유체의 유입 또는 배출구가 함께 형성되는데, 단차가 있는 오른쪽 유입 또는 배출구들은 하층부의 형성부터 차례대로 형성되고, 단차가 없는 동일한 수직 평면 위치에 존재하는 왼쪽 유입 또는 배출구들은 동시에 모두 형성되게 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외에도 블럭간의 결합부나 측명부의 유입, 배출구 등을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 랩온어칩 110 : 플라스틱 기판
120 : 필름

Claims (12)

  1.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로 구성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를 생성시키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 제조방법에 있어서,
    (1)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하는 단계;
    (2)상기 3차원 도면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복수개의 2차원 평면 도면으로 분리하는 단계;
    (3)블럭을 구성하고자 하는 재료를 분말 형태로 상기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분산시키는 단계;
    (4)상기 분말 형태의 재료들 위에, 상기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접착제를 뿌리는 단계;
    (5)상기 접착제와 블럭 구성 재료를 경화하는 단계;
    (6)상기 (3)내지 (5)단계를 상기 블럭의 최상부에 이를 때까지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는 단계;
    (7)상기 제작된 블럭을 블러싱(blushing)하여, 미접착된 분말들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8)상기 분리된 블럭을 경화제에 넣고 경화시키는 단계; 및
    (9)상기 경화된 블럭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형태의 블럭 구성 재료는 황산칼슘(CaSO4), 나일론 계열의 물질, 고분자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멜라민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레졸시놀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염화비닐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부타디엔고무계, 니트릴고무계, 부틸고무계, 실리콘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및 폴리아미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계열, 아민계열 및 폴리아미드계열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5.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로 구성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하는 단계;
    (2)상기 3차원 도면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복수개의 2차원 평면 도면으로 분리하는 단계;
    (3)광경화성 재료를 액상 형태로 챔버 내에 준비하는 단계;
    (4)상기 2차원 평면 도면에 따라, 상기 액상 형태의 광경화성 재료의 최상부 층의 원하는 위치에 빛을 쪼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5)상기 경화층을 액상재료의 표면 아래에 위치시켜, 상기 경화층의 상부에 경화시키고자 하는 액상층이 존재하도록 하는 단계;
    (6)상기 (4)내지 (5)단계를 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최상부까지 경화될 때까지 반복하여, 최종적인 블럭의 형상을 제작하는 단계;
    (7)상기 제작된 블럭을 액상 재료 내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8)상기 분리된 블럭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비닐에테르, 에폭시, 벤조인 에테르 및 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7.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를 포함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하는 단계;
    (2)상기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상층부의 금형을 제조하는 단계;
    (3)상기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하층부의 금형을 제조하는 단계;
    (4)상기 상층부의 금형에 액상의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5)상기 고분자 수지가 경화된 후, 상기 상층부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층부를 생성시키는 단계;
    (6)상기 하층부의 금형에 액상의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7)상기 고분자 수지가 경화된 후, 상기 하층부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하층부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8)상기 하층부 위에 상기 상층부를 위치시키고, 서로 접하는 부위에 열을 가하여 부분적으로 용융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스틸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프로필렌계 수지, 실리콘 고무, 아크릴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9. 삭제
  10. 바디(body)부, 결합부, 유체 유동부 및 실링(sealing)부를 포함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구조를 3차원 도면으로 설계하는 단계;
    (2)상기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제 1 공작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상층부를 제작하는 단계;
    (3)상기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제 2 공작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하층부를 제작하는 단계; 및
    (4)상기 하층부 위에 상기 상층부를 위치시키고, 서로 접하는 부위에 열을 가하여 부분적으로 용융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작물과 제 2 공작물은 금속이나 고분자 수지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및 (3)단계의 가공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정밀하게 제어되고, 와이어 전극과 제 1 및 제 2 공작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가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유체 유동 블럭(block)의 제조방법.
KR1020120082344A 2012-07-27 2012-07-27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KR10136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44A KR101364241B1 (ko) 2012-07-27 2012-07-27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44A KR101364241B1 (ko) 2012-07-27 2012-07-27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943A KR20140015943A (ko) 2014-02-07
KR101364241B1 true KR101364241B1 (ko) 2014-02-18

Family

ID=5026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344A KR101364241B1 (ko) 2012-07-27 2012-07-27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2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63B1 (ko) 2006-07-12 2008-01-03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유로 형성물 및 미세유체소자 제조방법
JP2010029747A (ja) 2008-07-25 2010-02-12 Jsr Corp マイクロ流路ユニット、マイクロ流路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2011020004A (ja) 2009-07-13 2011-02-03 Kri Inc 微小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マイクロリアクター
KR20120079503A (ko) * 2011-01-05 2012-07-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다층 미세 채널을 가진 필름형 마이크로 반응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63B1 (ko) 2006-07-12 2008-01-03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유로 형성물 및 미세유체소자 제조방법
JP2010029747A (ja) 2008-07-25 2010-02-12 Jsr Corp マイクロ流路ユニット、マイクロ流路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2011020004A (ja) 2009-07-13 2011-02-03 Kri Inc 微小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マイクロリアクター
KR20120079503A (ko) * 2011-01-05 2012-07-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다층 미세 채널을 가진 필름형 마이크로 반응기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943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238B1 (ko) 마이크로 입자 계수용 플라스틱 마이크로 칩과 그 제조방법
KR101348655B1 (ko) 미세유체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Bong et al. Hydrodynamic focusing lithography
Wang et al. Rapid fabrication of multilayer microfluidic devices 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based stereolithography 3D printing system
US20100075109A1 (en) Microchip, Molding Die and Electroforming Master
KR100961850B1 (ko) 친수성 필름을 이용한 무동력 미세 유체 칩
KR101810941B1 (ko) 다중 분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7574B1 (ko) 공압 구동 방식의 세포 농축기, 이를 이용한 세포 농축방법, 미세유체 채널의 제조방법 및 공압 밸브의 제조방법
TWI295273B (en) Mikrofluidik-chip
KR101364241B1 (ko) 미세 유체 유동 블럭의 제조방법
US20120258529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target molecules and method of separating target molecules by using the same
KR101113727B1 (ko) 수직 적층식 마이크로 믹서 및 그 제조방법
CN202191912U (zh) 膜动聚合物微流控芯片
KR101176175B1 (ko) 마이크로 믹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51221B1 (ko) 마이크로 채널을 가진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구조물
CN106415266A (zh) 塑料微芯片
WO2015090339A1 (en) Fluidic micro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60115429A (ko) 다층 필름 구조의 랩온어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5537B1 (ko) 나노 캡슐 대량 생산 시스템
JP2020168611A (ja) クロスフローろ過装置の作製方法
TWI637159B (zh) 具有歧管之微流體裝置及相關方法
Glick et al. Fabrication of Double-Sided Microfluidic Structures Via 3D Printed Transfer Molding
US9535036B2 (en) Multiple discri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JP7417294B2 (ja) クロスフローろ過装置
Gao et al. Mold Embossing-Based Soft Lithography for Fabrication of Complex Non-rectangular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