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408B1 -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408B1
KR101363408B1 KR1020120082971A KR20120082971A KR101363408B1 KR 101363408 B1 KR101363408 B1 KR 101363408B1 KR 1020120082971 A KR1020120082971 A KR 1020120082971A KR 20120082971 A KR20120082971 A KR 20120082971A KR 101363408 B1 KR101363408 B1 KR 10136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ayer
suspension
thin film
acoustic transducer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059A (ko
Inventor
권중학
정호일
최규동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2008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408B1/ko
Priority to EP13003696.5A priority patent/EP2693770B1/en
Priority to CN201310321145.7A priority patent/CN103581804B/zh
Priority to US13/952,919 priority patent/US9277305B2/en
Publication of KR2014001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펜션의 중앙부가 센터 진동판을 대신하며, 진동계의 중량 증가에 따른 음압 저하를 막도록 커버 레이어와 구리 패턴의 일부를 제거한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앙부, 외주부 및 중앙부와 외주부를 연결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 상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도전성 박막 및 도전성 박막 상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커버 레이어 필름을 포함하며,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SUSPENSION FOR A SOUND TRANSDUCER}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FPCB로 이루어져 보이스 코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중앙부는 센터 진동판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모바일 멀티미디어의 음 재생 기술이 발달했고 이에 마이크로스피커의 고성능, 고음질, 고출력 등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에서는 진동판 경량화를 위해 별도의 서스펜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외부전기신호를 보이스 코일에 인가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리드 선을 진동판에 본딩하여 연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서스펜션의 부재에 의해 편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고출력 시 코일의 리드선이 인장력에 의해 단선되는 경우가 잦아 고출력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FPCB 형태의 서스펜션을 사용한 마이크로스피커가 등장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FPCB 형태의 서스펜션을 도시한 것으로, 서스펜션은 열특성이 좋은 PI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10) 위에 구리 등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박막(20)을 형성하고, 도전성 박막(2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레이어(30)가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필름(10), 도전성 박막(20), 커버 레이어(30)는 서로 접착제(41, 42, 43, 44)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서스펜션을 적용한 마이크로스피커에서 서스펜션 적용에 따른 진동계 중량증가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음압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고출력 시 도전성 박막(20)에 크랙이 발생해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음압 저하를 막기 위해 서스펜션의 커버 레이어(30)와 도전성 박막(20)의 형상을 적절히 조절하여 진동부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진동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 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판의 국부적인 진동 모드가 발생하여 음 특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국부적인 진동 모드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 레이어(30)와 도전성 박막(20)의 형상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서스펜션의 중앙부가 센터 진동판을 대신하며, 진동계의 중량 증가에 따른 음압 저하를 막도록 커버 레이어와 구리 패턴의 일부를 제거한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레이어와 구리 패턴의 형상을 조절하여 경량화할 수 있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앙부, 외주부 및 중앙부와 외주부를 연결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 상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도전성 박막 및 도전성 박막 상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커버 레이어 필름을 포함하며,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지지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지지부는 네 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길이가 긴 지지부 한 쌍과 길이가 짧은 지지부 한 쌍이 형성되며, 길이가 긴 지지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는 모두 제거되고, 길이가 짧은 지지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중앙부 측의 일부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박막은 중앙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제외하고 전부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도전성 박막과 커버 레이어는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모두 부착되며, 중앙부의 커버 레이어는 일면에 부착된 것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도전성 박막과 커버 레이어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모두 부착되며, 중앙부의 커버 레이어 필름은 각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도전성 박막과 커버 레이어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모두 부착되며, 중앙부의 커버 레이어 필름은 양면에 부착된 것이 모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줄무늬 형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격자 형상이 되도록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피쉬본 형상이 되도록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중앙 제거부와 중앙 제거부와 간격을 두고 중앙 제거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제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에 위치한 도전성 박막은, 중앙부의 긴 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제거된 부분에 의해 고주파 영역에서 분할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은 중앙부에 부착된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하여 진동부를 경량화할 수 있어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은 지지부 한쪽 면의 커버 레이어를 제거함으로써 커버 레이어와 금속 박막의 수축 팽창률의 차이에 기인한 금속 박막의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은 짧은 지지부 상에 부착된 커버 레이어를 중앙부에 인접한 부분만을 제거함으로써 서스펜션 지지력이 저하되어 저음역에서 편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중앙부에 부착된 금속 박막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진동부를 경량화할 수 있어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중앙부에 부착된 금속 박막을 커버 레이어의 제거된 부분에 형상에 대응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분할 모드가 발생하지 않는 패턴으로 형성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분할 모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금속 박막의 하부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중앙부의 상부 커버 레이어가 제거된 단면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 하부 커버 레이어가 모두 제거된 단면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 하부 금속 박막이 부착되지 않은 위치의 상, 하부 커버 레이어가 모두 제거된 단면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금속 박막의 하부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서스펜션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필름(10)의 상, 하부에 금속 박막(20)이 부착되고, 금속 박막(20)을 보호하기 위해 그 위에 커버 레이어(30)가 부착된다. 서스펜션의 베이스 필름(10)은 중앙부(120), 외주부(110) 및 중앙부(120)와 외주부(110)를 연결하는 지지부(131, 132, 133, 134)를 포함한다. 중앙부(120)는 보이스 코일(미도시) 및 사이드 진동판(미도시)의 내주부가 부착되며, 외주부(110)는 중앙부(12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이드 진동판(미도시)의 외주부가 부착되며 프레임(미도시)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지지부(131, 132, 133, 134)는 중앙부(120)가 보이스 코일(미도시)의 진동에 의해 상하로 진동될 때 진동이 상하 방향으로만 일어나도록 진동을 잡아주는 부분이다.
베이스 필름(10: 도 1 참조)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금속 박막(22)은 각각 (+)극과 (-)극을 보이스 코일의 인입선과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한 쌍이 구비된다. 하부 금속 박막(22)은 외주부(110), 지지부(130), 중앙부(120)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외주부(110)의 일 측 상에 외부 장치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과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랜드부(25, 26)가 형성되고, 지지부(130) 또는 중앙부(120)에 보이스 코일의 인입선을 납땜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 랜드부(23, 24)가 형성된다. 금속 박막(22)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레이어(32)가 금속 박막(22) 상부에 부착되나, 터미널 랜드부(25, 26)와 보이스 코일 랜드부(23, 24) 상에는 납땜을 위해 커버 레이어(32)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하부 금속 박막(22)은 중앙부(120)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132, 134; 131, 133)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박막(22)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일반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음향변환장치는, 진동판, 서스펜션, 자기 회로 등의 구성 요소가 모두 장방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긴 변과 한 쌍의 짧은 변을 갖게 되며, 지지부(131, 132, 133, 134) 역시 긴 변에 형성되는 긴 지지부(131, 132)와 짧은 변에 형성되는 짧은 지지부(133, 134)를 갖게 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긴 지지부(131, 132)와 짧은 지지부(133, 134) 상에 형성된 금속 박막(22)이 서로 연결된다. 긴 지지부(131, 132)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박막(22)과 짧은 지지부(133, 134)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박막(22)을 연결하는 하부 금속 박막(22)은 외주부(110)와 중앙부(120)에 모두 형성된다. 이때, 중앙부(120)에 위치한 긴 지지부(131, 132)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박막(22)과 짧은 지지부(133, 134)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박막(22)을 연결하는 하부 금속 박막(22)이 중앙부(120)의 긴 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금속 박막(22)이 중앙부(120)의 긴 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중앙부(120)에 부착된 커버 레이어를 제거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중앙부(120)의 분할 진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100)은 베이스 필름(10; 도 5 참조)의 상부에도 외주부(110)를 따라서 상부 금속 박막(2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금속 박막(21)을 보호하기 위해 상부 금속 박막(21)의 상부에 상부 커버 레이어(31; 도 5 참조)가 부착된다. 이때, 상부 금속 박막(21)은 서스펜션(100)의 외주부(110)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중앙부(120)나 지지부(130)의 위치에 부착된 상부 커버 레이어(31; 도 5 참조)는 무게를 저감하기 위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부(120)나 지지부(130)는 중앙부(120)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미도시)가 진동할 때 함께 진동하게 되는 진동부이며, 중앙부(120)는 특히 센터 진동판의 역할을 대신하는 부분이므로, 진동부의 무게를 저감하는 것이 음압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 3에는 상부 커버 레이어(31; 도 5 참조)를 제거한 부분이 빗금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중앙부(120)의 중앙에 상부 커버 레이어(31; 도 5 참조)가 제거된 중앙부 제거부(120a)가 있으며, 상부 커버 레이어(31; 도 5 참조)가 제거되지 않은 장앙부 잔존부(120b)가 있다. 또한 지지부(130)에 위치한 상부 커버 레이어(31; 도 5 참조) 중에 긴 지지부(131, 132) 상에 부착된 상부 커버 레이어는 모두 제거되고, 짧은 지지부(133, 134) 상에 부착된 상부 커버 레이어는 중앙부(120)에 인접한 일부는 제거부(133a, 134a)가 되고, 외주부(110)에 인접한 일부(133b, 134b)는 잔존부(133b, 134b)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중앙부의 상부 커버 레이어를 제거한 단면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 하부 커버 레이어가 모두 제거된 단면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 하부 금속 박막이 부착되지 않은 위치의 상, 하부 커버 레이어가 모두 제거된 단면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베이스 필름(10)의 상부와 하부에 접착제(41, 42)에 의해 상부 금속 박막(21)과 하부 금속 박막(22)이 부착되고, 상부 금속 박막(21)의 상에 접착제(43)에 의해 상부 커버 레이어(31)가 하부 금속 박막(22) 상에 접착제(44)에 의해 하부 커버 레이어(32)가 부착된다. 이때, 상부 금속 박막(21)은 서스펜션(100)의 외주부(110)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중앙부(120)에 부착된 하부 커버 레이어(32)는 무게를 저감하기 위해 제거할 수 있다. 중앙부(120)나 지지부(130)는 중앙부(120)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미도시)가 진동할 때 함께 진동하게 되는 진동부이며, 진동부의 무게를 저감하는 것이 음압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중앙부(120)에 부착되는 하부 금속 박막(220)은 중앙부(120)의 긴 변의 외주부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중앙부(120)에 부착된 하부 커버 레이어(32)는 진동부의 무게를 저감하기 위해서 하부 금속 박막(220)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부(120)의 중앙에 상부 커버 레이어(31)가 제거된 부분인 중앙부 제거부(120a; 도 3 참조)의 경우, 베이스 필름(10)의 상, 하부에 상, 하부 도전성 박막(21, 22)과 상, 하부 커버 레이어(31, 32)가 모두 제거된 도 5의 우측과 같은 형태가 된다. 반면, 외주부(110)의 경우, 베이스 필름(10)의 상, 하부에 도전성 박막(21, 22)과 상, 하부 커버 레이어(31, 32)가 모두 부착되어 잔존하는 도 5의 좌측과 같은 형태의 단면을 보이게 된다.
또한, 지지부(130)에서 상부 커버 레이어(31)가 제거된 부분(131, 132, 133a, 134a)는, 베이스 필름(10) 상에 하부 금속 박막(22)과 하부 커버 레이어(32)는 잔존하며, 상부 금속 박막(21)과 상부 커버 레이어(31)는 제거된 도 4의 우측과 같은 형태가 된다. 또한 지지부(130)에서 상부 커버 레이어(31)가 잔존하는 부분(133b, 134b)는 베이스 필름(10) 상에 하부 금속 박막(22)과 하부 커버 레이어(32)와, 상부 커버 레이어(31)가 부착된 도 4의 좌측과 같은 형태가 된다.
또한 중앙부(120)에서 상부 커버 레이어(31)가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는 잔존부(120b; 도 3 참조)는 도 6의 우측과 같은 형태로, 베이스 필름(10)의 상, 하부에 상, 하부 커버 레이어(31, 32)가 부착된 형태이다. 그러나 중앙부(120)의 외주부에 하부 금속 박막(22) 형성된 부분은, 베이스 필름(10) 상에 하부 금속 박막(22)과 하부 커버 레이어(32)와, 상부 커버 레이어(31)가 부착된 도 4의 좌측과 같은 형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2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 제거부(220a)와 중앙부 잔존부(220b)를 구비하나, 중앙부 제거부(220a)의 크기가 제1 실시예보다 크다는 차이가 있다. 하부 도전성 박막(22; 도 2 참조)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부(120; 도 2 참조)에 하부 도전성 박막(22)이 아예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110; 도 2 참조)와 지지부(130; 도 2 참조)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커버 레이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잔존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 제거부(320a)와 중앙부 잔존부(320b)를 구비하나, 중앙부 제거부(320a)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중앙부 제거부(320b)는 서스펜션(300)의 짧은 변에 평행한 줄무늬 형태로,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하부 도전성 박막(22; 도 2 참조)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부(120; 도 2 참조)에 하부 도전성 박막(22)이 아예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110; 도 2 참조)와 지지부(130; 도 2 참조)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커버 레이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잔존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4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 제거부(420a)와 중앙부 잔존부(420b)를 구비하나, 중앙부 제거부(420a)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중앙부 제거부(420b)는 서스펜션(400)의 긴 변에 평행한 줄무늬 형태로,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하부 도전성 박막(22; 도 2 참조)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앙부(120; 도 2 참조)의 외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부(120; 도 2 참조)에 하부 도전성 박막(22)이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110; 도 2 참조)와 지지부(130; 도 2 참조)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커버 레이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잔존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5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 제거부(520a)와 중앙부 잔존부(520b)를 구비하나, 중앙부 제거부(520a)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중앙부 제거부(520b)는 제거된 부분의 형태가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도전성 박막(22; 도 2 참조)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앙부(120; 도 2 참조)의 외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부(120; 도 2 참조)에 하부 도전성 박막(22)이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110; 도 2 참조)와 지지부(130; 도 2 참조)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커버 레이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잔존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6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 제거부(620a)와 중앙부 잔존부(620b)를 구비하나, 중앙부 제거부(620a)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중앙부 제거부(620b)는 피쉬 본(fish bone) 형태로 형성된다. 즉, 서스펜션(600)의 긴 변에 평행한 형태의 선형으로 제거된 부분을 서스펜션(600)의 짧은 변에 평행한 형태로 제거된 부분이 가로지르도록 복수 개 형성된다. 하부 도전성 박막(22; 도 2 참조)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앙부(120; 도 2 참조)의 외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부(120; 도 2 참조)에 하부 도전성 박막(22)이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110; 도 2 참조)와 지지부(130; 도 2 참조)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커버 레이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잔존시킬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부 커버 레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7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 제거부와 중앙부 잔존부를 구비하나, 중앙부 제거부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중앙부 제거부는 내측 제거부(720a)와 내측 제거부(720a)와 간격을 두고 내측 제거부(720a)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제거되는 외측 제거부(720a')를 포함한다. 잔존부 또한 내측 제거부(720a)와 외측 제거부(720a') 사이의 내측 잔존부(720b')와 외측 제거부(720a') 외측의 외측 잔존부(720b)를 포함한다. 하부 도전성 박막(22; 도 2 참조)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앙부(120; 도 2 참조)의 외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부(120; 도 2 참조)에 하부 도전성 박막(22)이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110; 도 2 참조)와 지지부(130; 도 2 참조)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커버 레이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잔존시킬 수도 있다.

Claims (13)

  1. 중앙부, 외주부 및 중앙부와 외주부를 연결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 상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도전성 박막 및 도전성 박막 상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커버 레이어 필름을 포함하며,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네 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길이가 긴 지지부 한 쌍과 길이가 짧은 지지부 한 쌍이 형성되며, 길이가 긴 지지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는 모두 제거되고, 길이가 짧은 지지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중앙부 측의 일부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4.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박막은 중앙부의 외주부 일부를 제외하고 전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5.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박막과 커버 레이어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모두 부착되며, 중앙부의 커버 레이어 필름은 일면에 부착된 것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6.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박막과 커버 레이어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모두 부착되며, 중앙부의 커버 레이어 필름는 각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7.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박막과 커버 레이어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모두 부착되며, 중앙부의 커버 레이어 필름 중 일면에 부착된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8.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9.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줄무늬 형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10.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격자 형상이 되도록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11.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피쉬본 형상이 되도록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12.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 레이어 필름은, 제거된 부분이 내측 제거부와 내측 제거부와 간격을 두고 내측 제거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제거되는 외측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한 도전성 박막은, 중앙부의 긴 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커버 레이어 필름의 제거된 부분에 의해 고주파 영역에서 분할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KR1020120082971A 2012-07-30 2012-07-30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KR10136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971A KR101363408B1 (ko) 2012-07-30 2012-07-30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EP13003696.5A EP2693770B1 (en) 2012-07-30 2013-07-23 Suspension for a sound transducer
CN201310321145.7A CN103581804B (zh) 2012-07-30 2013-07-26 声换能器的悬件
US13/952,919 US9277305B2 (en) 2012-07-30 2013-07-29 Suspension for a sound transdu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971A KR101363408B1 (ko) 2012-07-30 2012-07-30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059A KR20140017059A (ko) 2014-02-11
KR101363408B1 true KR101363408B1 (ko) 2014-02-18

Family

ID=4890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971A KR101363408B1 (ko) 2012-07-30 2012-07-30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77305B2 (ko)
EP (1) EP2693770B1 (ko)
KR (1) KR101363408B1 (ko)
CN (1) CN1035818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93B1 (ko) * 2012-09-25 2014-06-23 주식회사 에스제이앤에스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US10448165B2 (en) * 2014-04-17 2019-10-15 Nokia Technologies Oy Audio transduce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9712921B2 (en) 2014-08-25 2017-07-18 Apple Inc. High aspect ratio microspeaker having a two-plane suspension
KR101673297B1 (ko) * 2015-06-19 2016-11-08 주식회사 비에스이 스피커용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US10321235B2 (en) 2016-09-23 2019-06-11 Apple Inc. Transducer having a conductive suspension member
US10555085B2 (en) * 2017-06-16 2020-02-04 Apple Inc. High aspect ratio moving coil transducer
US20190349689A1 (en) * 2018-05-09 2019-11-14 Bose Corporation Efficiency of Miniature Loudspeak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499A (ja) * 1996-11-29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419914B1 (ko) 2003-03-17 2004-02-25 주식회사 진영음향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110111191A (ko) * 2010-04-02 2011-10-10 주식회사 성주음향 진동판과 서스펜션이 일체화된 진동 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마이크로 스피커
KR20120054868A (ko)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비에스이 마이크로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3734B2 (en) * 2002-05-20 2005-02-08 Joseph Y. Sahyoun Audio speaker damper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paths thereon to carry voice coil signals and a method therefore
US6700988B2 (en) * 2002-07-15 2004-03-02 George K. Wu Speaker spider with integral lead wire arrang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147272A1 (en) * 2004-01-07 2005-07-07 Adire Audio Speaker suspension element
DK1878305T3 (da) * 2005-03-28 2013-01-14 Knowles Electronics Llc Akustisk arrangement til en transducer
WO2009118895A1 (ja) * 2008-03-28 2009-10-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響変換器用振動板、および音響変換器
WO2012023709A2 (ko) * 2010-08-18 2012-02-23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499A (ja) * 1996-11-29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419914B1 (ko) 2003-03-17 2004-02-25 주식회사 진영음향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110111191A (ko) * 2010-04-02 2011-10-10 주식회사 성주음향 진동판과 서스펜션이 일체화된 진동 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마이크로 스피커
KR20120054868A (ko)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비에스이 마이크로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7305B2 (en) 2016-03-01
EP2693770A2 (en) 2014-02-05
EP2693770B1 (en) 2020-12-02
US20140029784A1 (en) 2014-01-30
KR20140017059A (ko) 2014-02-11
EP2693770A3 (en) 2014-02-19
CN103581804A (zh) 2014-02-12
CN103581804B (zh)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408B1 (ko) 음향변환장치의 서스펜션
CN102065357B (zh) 电磁扬声器件
CN104125529B (zh) 用于声换能器的悬置件
EP2770752A2 (en) Inner ring magnet type microspeaker
KR101351893B1 (ko) 고출력 마이크로 스피커용 서스펜션 및 이를 구비하는 고출력 마이크로 스피커
CN1933680A (zh) 电容传声器及其封装方法
JP2007251516A (ja) スピーカ
CN103209377A (zh) 多功能扬声器
WO2016173276A1 (zh) 扬声器模组
EP2725820B1 (en) Vibration module for sound transducer
JP2004214796A (ja) 圧電振動板およびこの圧電振動板を用いた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CN105848073A (zh) 具有刚度提高的膜片的受话器
CN104469628A (zh) 薄型扬声器及其制造方法
KR101807272B1 (ko) 다중 진동막 스피커
WO2014024551A1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203193868U (zh) 多功能扬声器
KR20140097487A (ko) 음향 발생기
JP2006166151A (ja) ステレオ用スピーカ
CN113556656B (zh) 一种发声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9266713B2 (en) MEMS backplate, MEMS microphone comprising a MEMS back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S microphone
KR101480937B1 (ko) 압전 스피커
JP2015089010A (ja) マイクロホン装置およびマイクロホン装置を備えたイヤホン装置
WO2013165142A1 (ko) 음향변환장치용 진동판
KR101475341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US20180139540A1 (en) Deep-drawn foil-based miniature diaphragm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