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105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105B1
KR101363105B1 KR1020120084330A KR20120084330A KR101363105B1 KR 101363105 B1 KR101363105 B1 KR 101363105B1 KR 1020120084330 A KR1020120084330 A KR 1020120084330A KR 20120084330 A KR20120084330 A KR 20120084330A KR 101363105 B1 KR101363105 B1 KR 10136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pillow
support
sound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365A (ko
Inventor
조재경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1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베개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의 전면 하단부의 중심에 위치하며,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와, 상기 목지지부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고, 전면의 끝부위에 각각 귀가 들어갈 수 있는 귀홈과 소리가 잘 통과할 수 있는 소리홈이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 귀지지부로 구성되어 똑바로 누워 사용할 수도 있고, 옆으로 누워 사용할 경우 귀가 눌리지 않고, 옆으로 누워 TV 시청 등을 할 때 소리가 작고 답답하게 들리리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옆으로 누워서 자는 사람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귀가 눌리지 않도록 귀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소리도 잘 들을 수 있도록 소리홈을 설치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베개는 옆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할 경우 귀가 눌리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베개를 베고 옆으로 누워서 TV를 시청할 경우, 귀가 베개에 파묻혀 소리가 잘 들리지 않고, 베개를 통과하여 들리는 소리는 작고 답답하게 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 사람마다 선호하는 베개의 높이가 다른데, 일반적인 베개로는 높이 조절의 한계가 있고,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베개를 세워서 베거나 접어서 사용할 경우 베개가 쉽게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09-00337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베개 높이가 조절되고, 옆으로 누워 베개를 벨 경우, 귀가 눌리지 않고, 소리가 정확하게 잘 들릴 수 있도록 하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세히는 귀가 들어갈 수 있는 귀홈을 만들고, 귀홈과 연결되어 소리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소리홈을 만들어 베개를 베고 옆으로 누웠을 때, 귀가 눌리지않고 소리가 잘 들릴 수 있도록 하는 베개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베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베개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 상기 머리지지부의 전면 하단부의 중심에 위치하며,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및 상기 목지지부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목지지부보다 높게 구성되고, 전면의 끝부위에 각각 귀가 들어갈 수 있는 귀홈과, 소리가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바깥 측면 쪽으로 뚫려 있는 소리홈이 차례로 형성되되, 상기 귀홈이 소리홈 보다 더 깊숙하게 함몰 형성되는 귀지지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다.
삭제
또, 상기 머리지지부의 후면에 밀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높이조절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베개에 의하면, 똑바로 누워 사용할 수도 있고, 옆으로 누워 사용할 경우 귀가 눌리지 않고, 옆으로 누워 TV 시청 등을 할 때 소리가 작고 답답하게 들지리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여러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맞추어 사용이 가능하여 베개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접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없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는 머리지지부(3)와 목지지부(2) 및 귀홈(1a)과 소리홈(1b)이 있는 귀지지부(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머리지지부(3)는 종래의 베개와 비슷한 크기와 모양으로 후면에는 높이조절판(4)이 밀착되고, 전면에는 귀지지부(1)와 목지지부(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목지지부(2)는 상기 머리지지부(3)의 전면 하단부의 중심에 위치하며,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귀지지부(1)는 목지지부(2)의 양쪽으로 하나씩 설치하며, 목지지부(2)보다 크고, 높은 원기둥 형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귀지지부(1)가 목지지부(2)보다 높게 구성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베개를 벤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 신체 구조상 어깨가 바닥에 닿아 바로 누울 때보다 머리부가 높아진다. 그런데 종래의 베개를 사용하여 옆으로 누울 경우, 높이가 맞지않아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베개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접어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베개를 사용할 경우, 베개의 쿠션감이 떨어지고, 쉽게 닳아 오래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귀지지부(1)를 목지지부(2)보다 높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귀지지부(1)는 귀홈(1a)과 소리홈(1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귀홈(1a)은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으로 귀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원형의 구멍으로 구성한다. 이때, 귀홈(1a)은 귀지지부(1)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리홈(1b)은 귀홈(1a)과 연결되어 있는 홈으로 바깥의 소리를 잘 전달하기 위해 귀지지부(1)의 바깥 측면 쪽으로 뚫려있다. 이때, 소리홈(1b)은 가로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판(4)은 머리지지부(3)의 후면에 밀착되어 탈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높이조절판(4)과 머리지지부(3)는 벨크로를 이용하거나, 지퍼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탈부착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아이가 사용할 때는 상기 높이조절판(4)을 떼어내고 사용하고, 어른이 사용할 때는 상기 높이 조절판(4)을 한 개 또는 여러 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베개는 이어폰을 사용하여 음악을 들으며 취침하는 사용자에게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종래의 베개의 경우,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고 잠이 들면, 이어폰 줄 자국이 얼굴에 남게 되고, 이어폰과 귀가 함께 눌려, 다음날 일어났을 때, 통증이 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베개를 사용한다면, 이어폰을 착용한 귀가 귀홈(1a)에 들어가게 되어 귀와 이어폰이 함께 눌릴 일이 없고, 이어폰 줄은 소리홈(1b)으로 들어가게 되어 얼굴에 줄이 닿을 일이 없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a : 귀홈 1b : 소리홈
1 : 귀지지부 2 : 목지지부
3 : 머리지지부 4 : 높이조절판

Claims (3)

  1.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
    상기 머리지지부의 전면 하단부의 중심에 위치하며,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및
    상기 목지지부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목지지부보다 높게 구성되고, 전면의 끝부위에 각각 귀가 들어갈 수 있는 귀홈과, 소리가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바깥 측면 쪽으로 뚫려 있는 소리홈이 차례로 형성되되, 상기 귀홈이 소리홈 보다 더 깊숙하게 함몰 형성되는 귀지지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삭제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의 후면에 밀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높이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1020120084330A 2012-08-01 2012-08-01 베개 KR10136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30A KR101363105B1 (ko) 2012-08-01 2012-08-01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30A KR101363105B1 (ko) 2012-08-01 2012-08-01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65A KR20140017365A (ko) 2014-02-11
KR101363105B1 true KR101363105B1 (ko) 2014-02-13

Family

ID=5026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30A KR101363105B1 (ko) 2012-08-01 2012-08-01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1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952A (ja) * 1997-08-07 1999-02-23 Shinko Kigyo Kk
JP2001504015A (ja) 1996-11-12 2001-03-27 スラメック,ロジャー 調節可能頚部美容まくら
JP3124454U (ja) * 2006-06-07 2006-08-17 義信 原津 高さ調整式安眠枕
KR20070078695A (ko) * 2006-01-27 2007-08-01 임영신 안락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4015A (ja) 1996-11-12 2001-03-27 スラメック,ロジャー 調節可能頚部美容まくら
JPH1146952A (ja) * 1997-08-07 1999-02-23 Shinko Kigyo Kk
KR20070078695A (ko) * 2006-01-27 2007-08-01 임영신 안락 베개
JP3124454U (ja) * 2006-06-07 2006-08-17 義信 原津 高さ調整式安眠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65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0956A3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286092B1 (ko)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1363105B1 (ko) 베개
CN207543306U (zh) 带眼罩的耳麦
CN201365754Y (zh) 一种保健枕
KR101491029B1 (ko) 다기능 베개
KR101776463B1 (ko) 머리에 씌는 베개
CN207604719U (zh) 一种六项可调节枕芯
KR100931478B1 (ko) 기능성 베개
CN202553201U (zh) 多功能睡枕
CN107928872A (zh) 多功用睡觉器
JP2019187472A (ja) 側頭部装着枕
CN218922244U (zh) 一种热敷音乐枕头控制组件
CN211795429U (zh) 具有主动降噪助眠功能的u型枕
CN208973214U (zh) 一种水星宝贝婴幼儿侧睡枕
CN204635791U (zh) 具有调节耳机长短功能的新型环形枕
CN204425575U (zh) 耳机和音箱可切换的头戴式蓝牙耳机及配合使用的颈枕
CN201822436U (zh) 带有保护耳朵用洞穴的枕头
CN218500327U (zh) 午睡枕
CN203243491U (zh) 耳机
CN210354153U (zh) 一种智能午睡小憩枕头
JP6435444B2 (ja) 首の痛みを解消できる複合枕
CN212939192U (zh) 一种睡眠监测的智能枕
CN211673571U (zh) 一种圆环枕
CN207574961U (zh) 一种可降温音乐睡眠u型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