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052B1 -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 - Google Patents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052B1
KR101363052B1 KR1020130042201A KR20130042201A KR101363052B1 KR 101363052 B1 KR101363052 B1 KR 101363052B1 KR 1020130042201 A KR1020130042201 A KR 1020130042201A KR 20130042201 A KR20130042201 A KR 20130042201A KR 101363052 B1 KR101363052 B1 KR 10136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astic adhesive
hearing aid
moistur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비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비온
Priority to KR102013004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청기 장착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제거하여 보다 나은 보청기 착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보청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모듈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테두리 부위를 제1 두께로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1 단계; 제1 케이스와 리시버가 연결되는 영역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2 두께로 바르는 제2 단계; 상기 리시버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구멍을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케이스에 상기 제어모듈과 마이크로폰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마이크로폰 사이의 공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공급하는 제4 단계; 상기 제1 케이스에서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리시버를 연결하고, 상기 리시버의 주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3 두께로 추가로 덧칠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METHOD OF MANUFACTURING WIRELESS HEARING AID USING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WIRELESS HEARING AID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청기 장착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귀는 크게 외이, 중이, 내이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사람의 귀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리의 진동이 귓바퀴에 모여져 외이도를 따라 고막으로 전달된다. 외이도는 한쪽이 고막에 의해 막힌 일종의 공명관 형태이고, 고막의 진동은 중이 안에 있는 세 이소골(즉, 망치뼈, 모루뼈, 고리뼈)을 통해 내이로 전달된다. 이소골의 진동이 고리뼈의 족판을 통해 내이 안에 있는 달팽이관에 전달되면 달팽이관 내부의 림프액이 움직이고, 달팽이관의 가운데 층에 있는 수천개의 미세한 유모세포들이 림프액의 진동을 감지하여 그 자극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꾼다. 이후 전기적인 신호가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됨으로써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청각이 저하 또는 상실된 상태에 있는 난청(難聽, impaired hearing) 환자의 경우 보청기의 착용을 필요로 한다. 보청기는 정상인이 들을 수 있는 대역의 음을 증폭 혹은 변형하여 난청자로 하여금 정상인과 같은 정도로 지각하도록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청기에는 폐쇄효과(occlusion effect)를 방지시키기 위한 구멍(vent)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청기가 외이도에 장착되어 정상 동작되는 동안에 구멍(vent)을 통해 보청기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커플링(coupling)됨으로써 피드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피드백 현상을 하울링(howling) 현상이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보청기는 하울링 현상을 통하여 특정한 주파수 성분만을 증폭시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9885호 "귀속형 보청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8612호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 보청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청기 장착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제거하여 보다 나은 보청기 착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은 무선 보청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모듈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테두리 부위를 제1 두께로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1 단계; 제1 케이스와 리시버가 연결되는 영역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2 두께로 바르는 제2 단계; 상기 리시버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구멍을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케이스에 상기 제어모듈과 마이크로폰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마이크로폰 사이의 공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공급하는 제4 단계; 상기 제1 케이스에서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리시버를 연결하고, 상기 리시버의 주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3 두께로 추가로 덧칠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와 제5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4 단계를 거친 제1 케이스와 내부 구성을 3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주성분이 시릴기를 함유한 특수 폴리머인 일액 상온 급속 경화형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습기 경화성 탄성 접착제는 인장강도(kgf/cm2)가 31 내지 60이고, 연신율(%)이 200 내지 380일 수 있다.
상기 제1 두께는 3 내지 4 mm이고, 상기 제2 두께는 2mm이며, 상기 제3 두께는 1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보청기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외부에 걸쳐서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소리를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증폭 및 필터링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외부에 걸쳐서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보청기이고, 상술한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필터; 상기 대역 필터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제어부; 상기 음량 제어부에 제어된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상기 리시버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의 최종 출력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원 버튼에 의해서 전원이 온되는 경우 상기 음량 제어부의 음량을 일정 수준까지 올릴 수 있는 펄스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는 보청기의 마이크로폰 및 리시버에 구비된 구멍과 마이크로폰 및 리시버와 케이스 간의 공간을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거나 접착함으로써, 보청기 장착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보다 나은 보청기 착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청력과 주변의 소리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음량 증폭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청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음량을 크게하는 일정 양의 펄스를 발생시킴으로 사용자가 음량 조절 버튼을 여러번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일정 수준의 음량으로 세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보청기 케이스의 외부잭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양쪽 귀에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보청기 케이스 내부에 안착된 제어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5f는 도 4의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보청기 상에서 발생되는 하울링(howl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무선 보청기를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접착 강도가 15㎏/㎠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상온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습기와 반응하여 경화하는 일액(一液)형 탄성 접착제일 수 있다. 이러한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탄성을 가지므로 진동이나 충격에 매우 강하며 공기가 유출입으로 인한 접점 부위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접착제에 해당된다.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주요 성분이 시릴기 함유 특수 폴리머인 물질로서, 점도(P)는 대략 1000이고, 비중은 1.39이며, 불휘발분(%)은 98인 성질을 가진다. 또한,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인장강도(kgf/cm2)가 31 내지 6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인장강도(kgf/cm2)가 31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의 변형률이 높아져 접착기능이 저하되고, 60을 초과한 경우에는 접착제의 높은 강도로 인하여 탄성력이 저하되며, 이를 통하여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연신율(%)이 200 내지 38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연신율(%)이 200 미만인 경우에는 탄성력이 저하되어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약해질 수 있고, 연신율(%)이 380을 초과한 경우에는 높은 변형률로 인하여 접착기능이 저하되고, 이를 통하여 제품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보청기 케이스의 외부잭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양쪽 귀에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무선 보청기 케이스 내부에 안착된 제어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100)는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케이스(110), 마이크로폰(120), 제어모듈(300) 및 리시버(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보청기(100)는 마이크로폰(120) 및 리시버(130), 제어모듈(300)이 안착되어 있는 제1 케이스(111)에 제2 케이스(112)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마이크로폰(120)을 통해서 입력되는 소리가 케이스(110) 내부의 제어모듈(300)에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증폭되어 증폭된 소리가 리시버(130)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무선 보청기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딱딱한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무선 보청기의 형상이 유지되고,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1)의 내외부에 걸쳐 마이크로폰(120)과 리시버(130)가 설치되고, 마이크로폰(120)과 리시버(130)는 제1 케이스(111) 내부에 설치된 제어모듈(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폰(120)은 그 테두리 부위가 제1 케이스(111)의 하면에 걸쳐 설치될 수 있고, 리시버(130)는 제1 케이스(11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폰(120) 및 리시버(130)가 설치된 제1 케이스(111)의 부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마이크로폰(120)의 테두리 부위와, 제1 케이스(111)에 안착된 마이크로폰(120)과 제1 케이스(111) 사이의 공간에는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가 공급되어 밀봉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폰(120)의 테두리 부위와, 제1 케이스(111)에 안착된 마이크로폰(120)과 제1 케이스(111) 사이의 공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공하여 밀봉함으로써, 상온에서도 습기와 반응하여 경화되어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접점 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하울링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1)의 측면에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102)과, 리시버(1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의 증폭 정도를 조절하는 음량 조절 버튼(101)과, 외부의 스피커(210) 및 단자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이어폰(200)이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음량 조절 버튼(101)은 업/다운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업 버튼에 의하여 음량을 한 단계씩 올리는 것이 가능하며 다운 버튼에 의하여 음량을 한 단계식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자부(104)는 외부의 이어폰(200)이 연결되는 경우 제어모듈(300)에서 증폭된 소리가 리시버(130) 이외에 이어폰(200)의 스피커(210)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양쪽 귀에서 듣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자부(104)는 보청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지(380)에 전원을 충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104)는 외부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오디오 입력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단자부(104)는 마이크로폰(120)에서 입력되는 소리가 증폭되어 리시버(130)를 통해 출력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외부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모듈(300)에 공급하여 제어모듈(300)을 통하여 증폭한 후 리시버(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음향기기는 핸드폰,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 각종 음향기기 등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외부 소리뿐 아니라 각종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불편함 없이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112)의 전면에는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된 충전지(38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 버튼(102), 음량 조절 버튼(101), 단자부(104) 및 LED 표시부(103) 등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케이스(110)의 부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모듈(300)은 제1 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마이크로폰(120)에 입력된 소리를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증폭 및 필터링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300)은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310), 증폭기(31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필터(320), 대역 필터(320)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제어부(330), 음량 제어부(330)에서 제어된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리시버(130)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340), 전력 증폭기(340)의 최종 출력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250),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381), 외부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00)은 전원 버튼(102)에 의해서 전원이 온되는 경우 음량 제어부(330)의 음량을 일정 수준까지 올릴 수 있는 펄스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어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60)는 전원 버튼(102)의 이벤트를 감지하여 제어모듈(300) 전체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 한편, 통상 음량 제어부(330)에서 조절할 수 있는 음량 범위는 -32 에서 +32까지이며, 평균적인 청각 장애인이 보청기를 통해 불편함 없이 들을 수 있는 음량은 +25정도이므로, 바람직하게 제어부(360)는 전원 온과 동시에 음량을 높이는 펄스 25개의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전원 온과 동시에 제어부(360)에서 25개의 음량을 높이는 25개의 펄스 신호를 자동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음량 조절 버튼(101)을 25번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는 전원 온오프시에 리시버(130)를 통하여 해당 신호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청기의 동작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는 전원 제어부(370)를 통해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LED 표시부(103)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의 제어모듈(300)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각각 별개의 칩 또는 전자소자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130)는 제1 케이스(111)의 내외부에 걸쳐서 구비되어, 제어모듈(30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한다. 상기 리시버(130)는 일측이 제1 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모듈(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어모듈(300)이 구현된 기판 상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제1 케이스(111)의 외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시버(130)의 타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 개의 구멍(예를 들면, 팁 또는 환기구)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1 케이스(111)와 리시버(130)가 연결되는 영역, 리시버(130)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구멍, 제1 케이스(111) 상에서의 리시버(130)의 주위 영역(즉, 상기 제어모듈(300)의 기판 상에 결합된 리시버(130)의 주위 영역)에는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가 공급되어 밀봉되거나 접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케이스(111)와 리시버(130)가 연결되는 영역, 리시버(130)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구멍, 제1 케이스(111) 상에서의 리시버(130)의 주위 영역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공하여 밀봉함으로써, 상온에서도 습기와 반응하여 경화됨으로써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접점 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하울링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도 4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a 내지 5g는 도 4의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5g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의 도면부호를 병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은 제어모듈(300)에 연결된 마이크로폰(120)의 테두리 부위를 제1 두께로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1 단계(S10); 제1 케이스(111)와 리시버(130)가 연결되는 영역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2 두께로 바르는 제2 단계(S20); 상기 리시버(130)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구멍을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3 단계(S30); 상기 제1 케이스(111)에 제어모듈(300)과 마이크로폰(120)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케이스(111)와 마이크로폰(120) 사이의 공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공급하는 제4 단계(S40); 상기 제1 케이스(111)에서 제어모듈(300)과 리시버(130)를 연결하고, 리시버(130)의 주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3 두께로 추가로 덧칠하는 제5 단계(S50); 및 상기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를 결합하는 제6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300)에 연결된 마이크로폰(120)의 테두리 부위를 제1 두께로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두께는 3 내지 4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으로 마이크로폰(120)의 테두리 부위에 존재하는 여분의 공간을 통하여, 마이크로폰(120)이 장착된 무선 보청기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시 귀속 내부와 외부간에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 소리의 유출입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단계(S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1)와 리시버(130)가 연결되는 영역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2 두께로 원형(circle) 방향으로 바르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2 두께는 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케이스(111)와 리시버(130)가 연결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여분의 공간을 통하여, 제1 케이스(111)와 리시버(130)의 조립이 완료된 무선 보청기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시 귀속 내부와 외부간에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 소리의 유출입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단계(S3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130)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구멍을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으로 리시버(130)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멍(예를 들면, 팁 또는 환기구)을 통하여, 리시버(130)가 장착된 무선 보청기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시 귀속 내부와 외부간에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 소리의 유출입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 단계(S4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1)에 제어모듈(300)과 마이크로폰(120)을 안착시키고, 제1 케이스(111)와 마이크로폰(120) 사이의 공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모듈(300)과 마이크로폰(120)이 안착된 제1 케이스(111)와 마이크로폰(120) 사이에 존재하는 여분의 공간을 통하여, 제어모듈(300)과 마이크로폰(120)이 안착된 제1 케이스(111)와 마이크로폰(120)의 조립이 완료된 무선 보청기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시 귀속 내부와 외부간에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 소리의 유출입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 단계(S40) 이후에는 제4 단계(S40)를 거친 제1 케이스(111)와 내부 구성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구성들간을 밀봉 또는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한 습기 경화성 탄성 접착제를 상온에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습기와 반응할 수 있는 시간동안 방치하여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그런 다음에 제1 케이스(111)와 리시버(130)의 연결 부위를 밀봉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5 단계(S50)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1)에서 제어모듈(300)과 리시버(130)를 연결하고, 리시버(130)의 주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3 두께로 추가로 덧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3 두께는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리시버(130)를 통하여 출력된 소리가 사용자의 귀속 내부에서 피드백 되지 않도록 리시버(130)의 주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추가 덧칠하여 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하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6 단계(S60)는,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를 결합하여 무선 보청기의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무선 보청기는 사용자의 귓 속에 착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청기의 마이크로폰(120) 및 리시버(130)에 구비된 구멍과 마이크로폰(120) 및 리시버(130)와 케이스(110) 간의 공간을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거나 접착함으로써, 보청기 장착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보다 나은 보청기 착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무선 보청기 101: 음량 조절 버튼
102: 전원 버튼 103: LED 표시부
104: 단자부 110: 케이스
111: 제1 케이스 112: 제2 케이스
120: 마이크로폰 130: 리시버
200: 이어폰 210; 스피커
220: 단자 연결부 300: 제어모듈
310: 증폭기 320: 대역 필터
330: 음량 제어부 340: 전력 증폭기
350: 자동 이득 제어부 360: 제어부
370: 전원 제어부 380: 충전지
381: 충전 제어부

Claims (8)

  1. 무선 보청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모듈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테두리 부위를 제1 두께로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1 단계;
    제1 케이스와 리시버가 연결되는 영역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2 두께로 바르는 제2 단계;
    상기 리시버의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구멍을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로 밀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케이스에 상기 제어모듈과 마이크로폰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마이크로폰 사이의 공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공급하는 제4 단계;
    상기 제1 케이스에서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리시버를 연결하고, 상기 리시버의 주위에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제3 두께로 추가로 덧칠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와 제5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4 단계를 거친 제1 케이스와 내부 구성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는 주성분이 시릴기를 함유한 특수 폴리머인 일액 상온 급속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경화성 탄성 접착제는 인장강도(kgf/cm2)가 31 내지 60이고, 연신율(%)이 200 내지 3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3 내지 4 mm이고, 상기 제2 두께는 2mm이며, 상기 제3 두께는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42201A 2013-04-17 2013-04-17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 KR10136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01A KR101363052B1 (ko) 2013-04-17 2013-04-17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01A KR101363052B1 (ko) 2013-04-17 2013-04-17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052B1 true KR101363052B1 (ko) 2014-02-14

Family

ID=5027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01A KR101363052B1 (ko) 2013-04-17 2013-04-17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0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5077A (ja) * 1995-05-02 1999-05-11 テプホルム・ウント・ウエステルマン・アンパートールスカーブ 正常な音の大きさに調整されるようにプログラム可能な又はプログラム制御される補聴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5077A (ja) * 1995-05-02 1999-05-11 テプホルム・ウント・ウエステルマン・アンパートールスカーブ 正常な音の大きさに調整されるようにプログラム可能な又はプログラム制御される補聴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572B2 (en) Hearing aid including a vibrator touching a pinna
DK2510708T3 (en) Individually customized in-ear headset
US7076076B2 (en) Hearing aid system
US9350837B2 (en)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transducer to apply bending vibration to a contact member
KR101457928B1 (ko) 현장맞춤형 히어링 이퀄라이저
US10791390B2 (en) Flex-fit ear tip for headphones
US20110026721A1 (en) Bone conduction device fitting
US20140169596A1 (en) Configurable hearing instrument
JP2017521021A (ja) カスタマイズ可能な耳挿入具
KR101620371B1 (ko) 맞춤형 이어폰
CN111954142A (zh) 一种听力辅助装置
CN111669691B (zh) 包括传感器配置检测器的听力装置
JP2010537558A (ja) オープンイヤー骨伝導聴取デバイス
JP2015023495A (ja) イヤホンマイク
CN109479169A (zh) 一种改装听力保护器的方法和听力保护器
KR102023456B1 (ko) Rit를 사용한 귀걸이형 보청기
JP2013078116A (ja) 音声伝達装置
JP2021034775A (ja) イヤホン
US11146884B2 (en) Transducer apparatus for high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y environments
CN109069299A (zh) 听力保护器和制造听力保器的方法
JP2008521320A (ja) インイヤ式ヘッドホン
CN105163257A (zh) 带语音交流的发箍骨传导助听器
KR101363052B1 (ko) 탄성 접착제를 이용한 무선 보청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선 보청기
KR102102604B1 (ko) 청각장애 치료 기능을 갖는 이어폰
CN208424716U (zh) 骨传导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