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22B1 -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 Google Patents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22B1
KR101362922B1 KR1020120117725A KR20120117725A KR101362922B1 KR 101362922 B1 KR101362922 B1 KR 101362922B1 KR 1020120117725 A KR1020120117725 A KR 1020120117725A KR 20120117725 A KR20120117725 A KR 20120117725A KR 101362922 B1 KR101362922 B1 KR 10136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late
blood collection
lever
cap
lock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상
Original Assignee
최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상 filed Critical 최인상
Priority to KR102012011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22B1/ko
Priority to US14/437,330 priority patent/US20150282837A1/en
Priority to PCT/KR2013/009407 priority patent/WO201406555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94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 A61B5/150709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semi-automatically removed, i.e. before puncturing the protection is removed by a mechanism initiated by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가 형성된 캠플레이트; 캠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 돌기 및 보호캡이 걸리는 캡암이 형성된 캡레버; 및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 돌기 및 채혈침몸체가 걸리는 몸체암이 형성된 콜릿레버를 포함하고, 캠플레이트가 제1 지점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콜릿레버는 캡레버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보호캡이 채혈침몸체에서 분리되고, 캠플레이트가 제2 지점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채혈침몸체가 전진 가능하도록, 캡레버 및 콜릿레버는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캡레버, 콜릿레버 등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캠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형의 채혈장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캠플레이트, 캡레버 및 콜릿레버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보호캡이 채혈침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재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MODULE FOR LAUNCHING BLOOD LANCET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채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의 채혈장치의 제조에 적합하고 사용이 편리한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으로 체내의 당을 검사하기 위해, 채혈 장치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채혈 후 복원하도록 구비된다.
즉, 채혈 장치의 캡을 분리한 후 별도의 채혈침을 삽입구에 삽입하고 채혈침의 보호캡을 제거한 다음, 채혈장치의 캡을 재조립하여 채혈 장치 내의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의 구동에 의해 채혈침 하강하게 되어 체내로 삽입된다.
이 후 채혈 장치의 캡을 분리한 후 채혈침의 보호캡을 재조립한 다음에 채혈침을 삽입구에서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채혈 장치와 채혈침은 항상 함께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또한, 수동으로 채혈침을 삽입구에 삽입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177260호는 "자동 채혈장치"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채혈침 가이드 부재를 통해 채혈침을 삽입홈으로 안내하고 안내된 채혈침을 삽입홈에 삽입하며 채혈침 고정 부재를 통해 삽입된 채혈침을 하방향으로 이송하여 고정한 후 채혈하고, 채혈 완료 후 소정 각도로 이송하는 채혈침 배출 부재에 의해 채혈침을 삽입홈에서 이탈하여 채혈 완료된 채혈침을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자동으로 채혈침이 삽입된 후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채혈을 용이하게 실행하여 채혈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채혈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필요시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성이 매우 중요한 것인데, 한국등록특허 제10-1177260호에 따른 자동 채혈장치는 채혈침 가이드 부재, 채혈침 고정 부재, 채혈침 배출 부재 등이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도록 이루어져, 회전부재의 직경을 소형화할 수 없어 채혈장치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소형, 특히 슬림한 형태의 채혈장치의 제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채혈장치는, 사용자가 채혈침에서 보호캡을 분리한 후 채혈장치에 삽입하고 채혈이 완료된 후 채혈침을 꺼내 보호캡을 재조립하여 제거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 매우 큰 불편함이 있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채혈침으로부터 보호캡을 분리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보호캡을 채혈침에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채혈장치의 소형화, 특히 슬림한 형태의 채혈장치의 제조에 적합하여 휴대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가 형성된 캠플레이트;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 돌기 및 보호캡이 걸리는 캡암이 형성된 캡레버; 및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 돌기 및 채혈침몸체가 걸리는 몸체암이 형성된 콜릿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제1 지점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콜릿레버는 상기 캡레버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캡이 상기 채혈침몸체에서 분리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제2 지점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채혈침몸체가 전진 가능하도록, 상기 캡레버 및 콜릿레버는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걸림부 뒤쪽으로 제3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3 돌기 및 발사장치가 걸리는 발사암이 형성된 발사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채혈침몸체가 상기 발사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채혈침몸체는 상기 발사장치와 함께 전진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전단에서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1 경사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후단에서 뒤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2 경사부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캡레버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회동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1 경사부 및 상기 제2-1 경사부 후단에서 뒤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2 경사부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 걸림부는,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3 경사부 및 상기 제3 경사부 후단에서 뒤쪽으로 형성된 제3 직선부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에서 상기 캠플레이트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3 걸림부는 상기 캠플레이트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순서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 및 제3 걸림부가 형성되는 면쪽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캠플레이트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캡레버, 콜릿레버 등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캠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형의 채혈장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캠플레이트, 캡레버 및 콜릿레버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보호캡이 채혈침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재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캠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이 베이스플레이트(7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캠플레이트(1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오른쪽을 앞쪽, 왼쪽을 뒤쪽으로 정하고, 도면 앞을 위쪽, 도면 뒤를 아래쪽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은, 혈당의 검사를 위해 채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채혈장치를 구성한다. 특히,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은 채혈침이 결합된 채혈침몸체(62)에서 보호캡(61)을 분리하고 채혈침을 발사한 후 다시 결합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 부분이며, 채혈장치에서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을 제외한 부분은 통상의 채혈장치에서와 같은 구조 및 작용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은 캠플레이트(10), 캡레버(20), 콜릿레버(30) 및 발사레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채혈침몸체(62)와 보호캡(61)이 결합된 상태를 채혈침조립체(60)로 칭하며, 채혈침몸체(62) 앞쪽으로 뾰족한 채혈침(미도시)이 결합되고, 보호캡(61)은 이러한 채혈침을 수용하면서 채혈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채혈침몸체(62)와 결합된다. 보호캡(61)의 뒤쪽(61a)은 앞쪽에 비해 직경이 감소된 형태로 형성되고, 채혈침몸체(62)는 중간 부분(62a)이 직경이 감소된 형태로 형성된다.
캠플레이트(10)는 대체로 납작하고 긴 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12), 제3 걸림부(13) 및 랙기어(14)가 형성된다. 채혈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캠플레이트(10)는 베이스플레이트(70)에 결합되며, 베이스플레이트(70)의 일측에 치우친 상태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캠플레이트(10)가 베이스플레이트(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쪽 면에는 상기 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12), 제3 걸림부(13) 및 랙기어(14)가 형성되며, 랙기어(1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1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캡레버(20), 콜릿레버(30) 및 발사레버(40)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이에 따라 채혈침몸체(62)와 보호캡(61)의 분리 및 결합, 발사장치(50)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캠플레이트(10)가 납작한 판형태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채혈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캠플레이트(10)의 크기, 두께 및 폭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캠플레이트(10)의 이동시 차지하는 면적 또한 줄일 수 있으므로, 채혈장치의 크기를 감소시켜 슬림한 형태의 채혈장치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12) 및 제3 걸림부(13)는 캠플레이트(10)의 앞쪽에서 뒤쪽방향으로 순서대로 형성되고, 각각 캡레버(20), 콜릿레버(30) 및 발사레버(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걸림부(11), 제2 걸림부(12) 및 제3 걸림부(13)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패여 홈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레버(20), 콜릿레버(30) 및 발사레버(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11)는 제1-1 경사부(11a), 제1 직선부(11b) 및 제1-2 경사부(11c)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제1 직선부(11b)는 캠플레이트(1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제1-1 경사부(11a)는 제1 직선부(11b)의 전단에서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2 경사부(11c)는 제1-1 직선부의 후단에서 뒤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2 경사부(11c)는 제1-1 직선부를 중심으로 제1-2 경사부(11c)와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한 제1 돌기(21)의 원활한 가이드를 위하여, 제1 직선부(11b)는 제1-1 경사부(11a) 및 제1-2 경사부(11c)보다 함몰 정도가 깊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걸림부(12)는 제2-1 경사부(12a) 및 제2-2 경사부(12b)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제2-1 경사부(12a)는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2 경사부(12b)는 제2-1 경사부(12a) 후단에서 뒤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1 경사부(12a)는 제1-1 경사부(11a)와 길이, 크기 및 경사방향이 동일하거나 상응하게 이루어지고, 제 2-2 경사부는 제1-2 경사부(11c)와 길이, 크기 및 경사방향이 동일하거나 상응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 걸림부(13)는 제3 경사부(13a) 및 제3 직선부(13b)로 구분된다. 제3 경사부(13a)는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 직선부(13b)는 제3 경사부(13a) 후단에서 뒤쪽으로 길게 형성되고 캠플레이트(1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3 경사부(13a)는 제1-1 경사부(11a) 및 제2-1 경사부(12a)와 길이, 크기 및 경사방향이 동일하거나 상응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3 직선부(13b)는 제1 직선부(11b)보다 길게 형성되며, 대체로 제1 직선부(11b)의 2배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레버(20)는 상술한 캠플레이트(1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회동축(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돌기(21), 캡암(22) 및 회동홈부(23)가 형성된다. 캡레버(20)는 회동축(A)을 기준으로 완전히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아래쪽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왕복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돌기(21)는 제1 걸림부(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1 경사부(11a), 제1 직선부(11b) 및 제1-2 경사부(11c)에 꼭 맞게 삽입되어 제1-1 경사부(11a), 제1 직선부(11b) 및 제1-2 경사부(11c)를 따라 이동한다. 제1 돌기(21)가 제1-1 경사부(11a), 제1 직선부(11b) 및 제1-2 경사부(11c)에 삽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캡레버(20)는 회동축(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캡암(22)은 캡레버(20)가 회동축(A)에 결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1 돌기(21)와 대체로 반대쪽에 형성되고, 보호캡(61)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보호캡(61)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캡암(22)에서 보호캡(6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보호캡(61)은 캡암(22)에 걸려지게 된다.
회동홈부(23)는 콜릿레버(30) 쪽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술할 제2 돌기(31)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동홈부(23)에는 캠플레이트(1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에 제2 돌기(31)가 삽입된다.
콜릿레버(30)는 회동축(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돌기(31) 및 몸체암(32)이 형성된다. 콜릿레버(30) 또한 회동축(A)을 기준으로 완전히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아래쪽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왕복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돌기(31)는 제2 걸림부(1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2-1 경사부(12a) 및 제2-2 경사부(12b)에 꼭 맞게 삽입되어 제2-1 경사부(12a) 및 제2-2 경사부(12b)를 따라 이동한다. 제2 돌기(31)가 제2-1 경사부(12a) 및 제2-2 경사부(12b)에 삽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콜릿레버(30)는 회동축(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몸체암(32)은 콜릿레버(30)가 회동축(A)에 결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2 돌기(31)의 대체로 반대쪽에 형성되고, 채혈침몸체(62)가 걸려지게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채혈침몸체(62)에는 중간 부분에서 직경이 감소하는 부분이 형성되고, 이러한 부분에 몸체암(32)의 단부가 삽입되어 채혈침몸체(62)가 걸리게 된다.
발사레버(40)는 회동축(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돌기(41) 및 발사암(42)이 형성된다. 발사레버(40) 또한 회동축(A)을 기준으로 완전히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아래쪽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왕복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3 돌기(41)는 제3 걸림부(13)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3 경사부(13a) 및 제3 직선부(13b)에 꼭 맞게 삽입되어 제3 경사부(13a) 및 제3 직선부(13b)를 따라 이동한다. 제3 돌기(41)가 제3 경사부(13a) 및 제3 직선부(13b)에 삽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발사레버(40)는 회동축(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발사암(42)은 캡레버(20)가 회동축(A)에 결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3 돌기(41)와 대체로 반대쪽에 형성되고, 발사장치(50)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발사장치(50)는 채혈침몸체(62)와 결합하여 앞쪽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발사장치(50) 후단에는 압축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52)이 구비되며, 발사장치(50)의 전진을 저지하는 수단이 배제된 경우 탄성력에 의해 발사장치(50)가 앞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발사장치(50)의 전단은 채혈침몸체(62)의 후단(62b)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발사장치(50)의 전단은 탄성변형 가능한 형태(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로 형성되고, 특히 일부가 절개되어 채혈침몸체(62) 후단이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고정(마찰력에 의해)되고, 또한 채혈침몸체(62)가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발사장치(50)의 일측(51)은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발사암(42)이 삽입되면서 걸려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채혈장치의 작동 전, 제1 돌기(21)는 제1 직선부(11b)의 후단 부분에 위치하고, 제2 돌기(31)는 제1 걸림부(11)의 중앙인 제2-1 경사부(12a) 및 제2-2 경사부(12b) 사이에 위치하고, 제3 돌기(41)는 제3 직선부(13b)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 입력에 따라 채혈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가 회전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미도시)가 회전한다.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14)에 의해 캠플레이트(10)는 후진하게 된다. 즉, 캠플레이트(10)가 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 및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그리고 캠플레이트(10)는 영점 위치에서(P0) 우선 제1 지점(P1)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지점(P1)은 영점(P0)의 후방에 위치하는 지점으로서 캠플레이트(10)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거리값이며, 바람직하게는 제1 직선부(11b)에 상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캠플레이트(10)가 제1 지점(P1)까지 이동함에 따라 제1 돌기(21)는 제1 직선부(11b)의 전단까지 이동하고 제3 돌기(41)는 제3 직선부(13b)의 전단까지 이동한다. 한편, 제2 돌기(31)는 캡레버(20)의 회동홈부(23)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2 돌기(31)가 제2-1 경사부(12a)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제2-1 경사부(12a) 및 제2-2 경사부(12b) 사이에 위치한 채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캠플레이트(10) 및 콜릿레버(30)는 제1 직선부(11b)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캠레버 및 발사레버(4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보호캡(61)은 멈춰 있는 상태에서 채혈침몸체(62)가 뒤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보호캡(61)과 채혈침몸체(62)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채혈침몸체(62)의 후단은 발사장치(50)의 전단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구동모터가 더욱 회전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가 회전하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14)에 의해 캠플레이트(10)는 더욱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플레이트(10)가 제2 지점(P2)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지점(P2)은 제1 지점(P1)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지점으로서 캠플레이트(10)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거리값이며, 바람직하게는 제1-1 경사부(11a), 제2-1 경사부(12a) 또는 제3 경사부(13a)의 수평방향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캠플레이트(10)가 제2 지점(P2)까지 이동함에 따라 제1 돌기(21)는 제1-1 경사부(11a)의 전단까지 이동하고 제3 돌기(41)는 제3 경사부(13a)의 전단까지 이동한다. 한편, 제2 돌기(31)는 캡레버(20)의 회동홈부(23)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있고 회동부홈 또한 캡레버(20)와 함께 회동하게 되므로 제2 돌기(31)는 제2-1 경사부(12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캡레버(20), 콜릿레버(30) 및 발사레버(40)는 모두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호캡(61)이 걸려진 캡레버(20)는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콜릿레버(30)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채혈침몸체(62)의 걸림이 해제되며, 발사레버(40)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발사장치(50)의 걸림이 해제되게 된다.
결국, 채혈침몸체(62)는 발사장치(50)와 함께 앞쪽으로 전진하여 채혈장치 외부로 채혈침이 노출되면서 채혈이 이루어진다.
채혈이 완료된 후 채혈침이 결합된 채혈침몸체(62)는 채혈장치 내부로 회수되며, 채혈침몸체(62)와 보호캡(61)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설명한다.
채혈침몸체(62)가 결합된 발사장치(50)는 별도의 수단(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채혈장치 내부로 다시 유입되고 채혈침몸체(62)가 발사되는 순간의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구동모터는 앞서 이루어진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14)에 의해 캠플레이트(10)는 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캠플레이트(10)가 제1 지점(P1)까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보호캡(61)은 캡암(22)에 의해 걸리고, 채혈침몸체(62)는 몸체암(32)에 의해 걸리고, 발사장치(50)는 발사암(42)에 의해 걸린 상태가 된다. 여기서 채혈침몸체(62)와 보호캡(61)은 분리된 상태이다.
구동모터가 더욱 회전하여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14)에 의해 캠플레이트(10)는 더욱 전진하게 되며 최초 위치(P0)까지 이동한다. 이때, 보호캡(61)은 캡암(22)에 의해 걸리고, 채혈침몸체(62)는 몸체암(32)에 의해 걸리고, 발사장치(50)는 발사암(42)에 의해 걸린 상태가 가 유지되면서, 채혈침몸체(62)와 보호캡(61)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캠플레이트(1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캡레버(20), 콜릿레버(30) 등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캠플레이트(1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형의 채혈장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캠플레이트(10), 캡레버(20) 및 콜릿레버(30)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보호캡(61)이 채혈침몸체(62)로부터 분리되고 재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에서는 채혈침이 사용된 후(채혈침이 채혈장치 외부로 노출된 후) 재사용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채혈장치에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재사용이 이루어질 경우 채혈침몸체(62) 및 보호캡(61)의 배출 없이 상술한 과정이 다시 반복되게 되며, 이하에서는 채혈침이 배출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한 배출 신호 입력에 따라 채혈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가 회전하고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14)에 의해 캠플레이트(10)는 전진하게 된다. 즉, 캠플레이트(10)가 전진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 및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캠플레이트(10)는 전진하여 제3 지점(P3)까지 이동하고, 캠플레이트(10)가 전진함에 따라 제1 돌기(21)는 제1-2 경사부(11c)의 후단까지 이동하고 제3 돌기(41)는 제3 직선부(13b)의 후단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제2 돌기(31)는 캡레버(20)의 회동홈부(23)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동홈부(23)에 구속되어 제2-2 경사부(12b) 후단까지 이동한다.
이에 따라 캡레버(20) 및 콜릿레버(30)는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보호캡(61) 및 채혈침몸체(62)는 걸림이 해제되고, 발사장치(50)는 발사레버(40)에 의해 걸림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결국, 채혈침몸체(62) 및 보호캡(6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채혈침조립체(60)는 채혈장치 내부에서 다른 구성에 의한 구속이 없어지며 별도의 배출수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10 : 캠플레이트
11 : 제1 걸림부 11a : 제1-1 경사부
11b : 제1 직선부 11c : 제1-2 경사부
12 : 제2 걸림부 12a : 제2-1 경사부
12b : 제2-2 경사부 13 : 제3 걸림부
13a : 제3 경사부 13b : 제3 직선부
14 : 랙기어 20 : 캡레버
21 : 제1 돌기 22 : 캡암
23 : 회동홈부 30 : 콜릿레버
31 : 제2 돌기 32 : 몸체암
40 : 발사레버 41 : 제3 돌기
42 : 발사암
50 : 발사장치
60 : 채혈침조립체 61 : 보호캡
62 : 채혈침몸체
70 : 베이스플레이트
A : 회동축
P0 : 영점 P1 : 제1 지점
P2 : 제2 지점 P3 : 제3 지점

Claims (9)

  1.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가 형성된 캠플레이트;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 돌기 및 보호캡이 걸리는 캡암이 형성된 캡레버; 및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 돌기 및 채혈침몸체가 걸리는 몸체암이 형성된 콜릿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제1 지점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콜릿레버는 상기 캡레버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캡이 상기 채혈침몸체에서 분리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제2 지점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채혈침몸체가 전진 가능하도록, 상기 캡레버 및 콜릿레버는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걸림부 뒤쪽으로 제3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 걸림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3 돌기 및 발사장치가 걸리는 발사암이 형성된 발사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채혈침몸체가 상기 발사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채혈침몸체는 상기 발사장치와 함께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전단에서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1 경사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후단에서 뒤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2 경사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레버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회동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1 경사부 및 상기 제2-1 경사부 후단에서 뒤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2 경사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림부는, 앞쪽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3 경사부 및 상기 제3 경사부 후단에서 뒤쪽으로 형성된 제3 직선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3 걸림부는 상기 캠플레이트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순서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 및 제3 걸림부가 형성되는 면쪽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캠플레이트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을 포함하는 채혈장치.
KR1020120117725A 2012-10-23 2012-10-23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KR101362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25A KR101362922B1 (ko) 2012-10-23 2012-10-23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US14/437,330 US20150282837A1 (en) 2012-10-23 2013-10-22 Module for adjusting launch of lancet, lancet depth adjustment device, and lancing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3/009407 WO2014065558A1 (ko) 2012-10-23 2013-10-22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과 채혈침 깊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25A KR101362922B1 (ko) 2012-10-23 2012-10-23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922B1 true KR101362922B1 (ko) 2014-02-12

Family

ID=5027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725A KR101362922B1 (ko) 2012-10-23 2012-10-23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343A1 (ko) 2020-04-02 2021-10-07 주식회사 아티큐 자동 신체 침습 장치
KR20230127382A (ko) 2022-02-24 2023-09-01 주식회사 에어스 메디컬 채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922A (ja) * 1994-12-05 1996-06-18 Nikon Corp 採血装置
KR20050018651A (ko) * 2002-04-02 2005-02-23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통합형 샘플 시험 측정계
KR20090096076A (ko) * 2008-03-07 2009-09-10 이준기 카트리지형 랜싱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란셋카트리지
KR20100008421A (ko) * 2008-07-16 2010-01-26 (주)신원사이언스 랜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922A (ja) * 1994-12-05 1996-06-18 Nikon Corp 採血装置
KR20050018651A (ko) * 2002-04-02 2005-02-23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통합형 샘플 시험 측정계
KR20090096076A (ko) * 2008-03-07 2009-09-10 이준기 카트리지형 랜싱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란셋카트리지
KR20100008421A (ko) * 2008-07-16 2010-01-26 (주)신원사이언스 랜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343A1 (ko) 2020-04-02 2021-10-07 주식회사 아티큐 자동 신체 침습 장치
KR20230127382A (ko) 2022-02-24 2023-09-01 주식회사 에어스 메디컬 채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5462A1 (en) Intracorneal Lens Insertion System
ES2557466T3 (es) Manguito para lanceta extraíble de dispositivo de punción
KR100904106B1 (ko) 천자구 및 천자침 카트리지
WO2015125905A1 (ja) 眼内レンズ用インジェクタ
ES2808176T3 (es) Dispositivo para recoger al menos una muestra de tejido
US201801687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rking a location of a tissue biopsy
KR101362922B1 (ko) 채혈침 발사조절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채혈장치
RU201411255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сбора проб цервикальной клеточной ткани
CA2644482A1 (en) Dry powder inhaler
CN105105765B (zh) 皮肤穿透装置
RU2014111175A (ru) Система удаления картриджа
KR20090021378A (ko)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CN101959459B (zh) 穿刺装置
KR102134469B1 (ko) 절단 생검기구
KR102215655B1 (ko) 절단 생검기구
KR102117014B1 (ko) 절단 생검기구
CN109394243B (zh) 可单手使用的采血器
US20150282837A1 (en) Module for adjusting launch of lancet, lancet depth adjustment device, and lancing device comprising same
CN212281441U (zh) 活检针
WO2007014904A1 (en) Automatic biopsy gun
EP2220999A1 (en) Puncture device
KR101513687B1 (ko) 멀티란셋 카트리지
KR101362923B1 (ko) 채혈침 깊이 조절장치
KR101340324B1 (ko) 채혈침 조립체
EP2851003B1 (en)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