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564B1 -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564B1
KR101362564B1 KR1020130025730A KR20130025730A KR101362564B1 KR 101362564 B1 KR101362564 B1 KR 101362564B1 KR 1020130025730 A KR1020130025730 A KR 1020130025730A KR 20130025730 A KR20130025730 A KR 20130025730A KR 101362564 B1 KR101362564 B1 KR 10136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ocket board
socket
base boar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베이스 보드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들과, 중앙부위가 상기 고정 블록들과 힌지 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 보드와 결합되는 소켓 보드를 일단부로 밀어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한 쌍의 레버 블록들 및 각 레버 블록의 일단부들과 반대되는 타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보드로부터 소켓 보드를 손상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Unit for separating a socket board and base board apparatus having the unit}
본 발명은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픽스 보드 검사 장치에서 베이스 보드와 소켓 보드를 분리하기 위한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픽스 보드 검사 장치는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인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와 상기 반도체 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이픽스 보드를 검사한다.
상기 하이픽스 보드 검사 장치는 베이스 보드와 소켓 보드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보드와 소켓 보드는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보드와 소켓 보드는 결합 장력이 높아 수작업으로 분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정 도구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보드와 소켓 보드를 분리한다.
그러나, 상기 특정 도구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보드와 소켓 보드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보드와 소켓 보드에 변형, 파손 등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보드로부터 소켓 보드를 불량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베이스 보드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들과, 중앙부위가 상기 고정 블록들과 힌지 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 보드와 결합되는 소켓 보드를 일단부로 밀어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한 쌍의 레버 블록들 및 각 레버 블록의 일단부들과 반대되는 타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상기 힌지 핀들을 각각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소켓 보드를 밀기 위해 회전된 상기 레버 블록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들 및 상기 고정 블록들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들에 의해 복원되는 레버 블록들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 블록들의 일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스토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상기 레버 블록들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소켓 보드와의 접촉시 상기 소켓 보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보드 장치는 상부면에 소켓 보드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 단자들을 갖는 베이스 보드 및 상기 베이스 보드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상기 소켓 보드를 분리하기 위한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상기 베이스 보드의 일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들, 중앙부위가 상기 고정 블록들과 힌지 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 보드와 결합되는 상기 소켓 보드를 일단부로 밀어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한 쌍의 레버 블록들 및 각 레버 블록의 일단부들과 반대되는 타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힌지 축을 중심으로 레버 블록들의 양단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연결 부재를 눌러 베이스 보드로부터 소켓 보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레버 블록들의 일단부에 구비된 롤러가 상기 소켓 보드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소켓 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고정 블록들의 상부에 상기 레버 블록들의 일단부들을 지지하는 스토퍼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연결 부재를 들어 올려 상기 베이스 부재를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보드 장치는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들이 상부면 양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들을 이용하여 베이스 보드로부터 상기 소켓 보드를 수평한 상태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켓 보드의 분리시 상기 베이스 보드 및 상기 소켓 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 보드 분리 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켓 보드 분리 유닛(100)은 베이스 보드(미도시)로부터 소켓 보드(미도시)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블록(110), 레버 블록(120), 롤러(130), 스프링(140), 스토퍼(150) 및 연결 부재(160)를 포함한다.
고정 블록(110)은 한 쌍이 구비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고정 블록(110)들은 상기 베이스 보드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블록(110)은 상부면에 레버 블록(120)과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 돌기(112)를 갖는다.
레버 블록(120)은 한 쌍이 구비되며, 중앙 부위가 고정 블록(110)과 각각 힌지 결합된다. 레버 블록(12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레버 블록(120)은 하부면 중앙 부위에 고정 블록(110)과의 결합을 위한 제2 결합 돌기(122)를 갖는다. 제1 결합 돌기(112)와 제2 결합 돌기(122)를 힌지 핀(124)이 관통함으로써 고정 블록(110)과 레버 블록(120)이 힌지 결합한다.
고정 블록(110)과 레버 블록(120)이 힌지 결합함에 따라 레버 블록(120)이 힌지 핀(1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힌지 핀(124)을 중심으로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레버 블록(120)의 상기 타단부에 힘을 가해 하강시키면, 레버 블록(120)이 힌지 핀(12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일단부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일단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베이스보드와 결합된 소켓 보드를 밀어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상기 소켓 보드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소켓 보드가 분리될 때, 레버 블록(120)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소켓 보드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소켓 보드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소켓 보드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소켓 보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롤러(130)들이 레버 블록(120)들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가 상승할 때,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가 아닌 롤러(130)가 상기 소켓 보드와 접촉한다. 또한,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롤러(130)가 상기 소켓 보드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소켓 보드가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레버 블록(120)이나 롤러(13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롤러(130)는 전체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표면 일부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롤러(130)와 상기 소켓 보드의 접촉으로 인해 의해 상기 소켓 보드가 손상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롤러(130)를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에 구비하기 위해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가 분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버 블록(120)은 대략 ‘Y’자 형태를 갖는다. 그러므로,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에 롤러(130)를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140)들은 힌지 핀(140)들을 각각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링(140)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140)은 상기 소켓 보드를 밀어 분리하기 위해 회전된 레버 블록(1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소켓 보드를 분리하기 이해 레버 블록(120)을 회전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 블록(12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예를 들면, 레버 블록(120)의 타단부를 하강시키던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 블록(120)의 타단부는 상승하게 되고, 레버 블록(120)의 일단부는 하강하게 된다.
스토퍼(150)들은 고정 블록(110)들의 상부면에 각각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스토퍼(150)들은 스프링(140)들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레버 블록(120)들의 일단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블록(120)들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150)들은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지만, 레버 블록(120)들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부재(160)는 각 레버 블록(120)들의 타단부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160)는 대략 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160)를 통해 한 쌍의 레버 블록(120)들이 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160)를 눌러 하강시킴으로써 레버 블록(120)들의 타단부를 동시에 하강시킬 수 있고, 또한, 레버 블록(120)들의 일단부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블록(110)들이 상기 베이스 보드에 고정되는 경우, 작업자가 연결 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보드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연결 부재(160)를 들어올려 레버 블록(120)들의 타단부에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스토퍼(150)들이 레버 블록(120)들의 일단부를 지지하므로, 레버 블록(120)들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 보드를 들어올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보드 장치(200)는 베이스 보드(210) 및 한 쌍의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보드(210)는 대략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에 다수의 연결 단자(212)들을 갖는다. 연결 단자(212)들은 소켓 보드(미도시)와의 연결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단자(212)들은 상기 소켓 보드의 하부면에 구비된 다수의 소켓들과 결합된다. 연결 단자(212)들과 상기 소켓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은 베이스 보드(21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소켓 보드 분리 유닛(10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은 힌지 축을 중심으로 레버 블록들의 양단이 상하 이동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 보드(210)의 상부면에 상기 소켓 보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의 연결 부재를 눌러 베이스 보드(210)로부터 상기 소켓 보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이 베이스 보드(2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두 손으로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의 연결 부재를 각각 눌러 베이스 보드(210)로부터 상기 소켓 보드를 수평한 상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켓 보드의 수평이 틀어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단자(212)들이나 상기 소켓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소켓 보드의 분리에 별도의 도구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소켓 보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은 베이스 보드 장치(200)를 이송할 때 손잡이로 작용한다. 즉, 작업자가 소켓 보드 분리 유닛(220)들을 이용하여 베이스 보드 장치(200)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이용하여 별도의 도구없이 베이스 보드로부터 소켓 보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켓 보드의 분리시 상기 베이스 보드 및 상기 소켓 보드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소켓 보드 분리 유닛 110 : 고정 블록
120 ; 레버 블록 130 : 롤러
140 : 스프링 150 : 스토퍼
160 : 연결 부재

Claims (4)

  1. 베이스 보드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들;
    중앙부위가 상기 고정 블록들과 힌지 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 보드와 결합되는 소켓 보드를 일단부로 밀어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한 쌍의 레버 블록들; 및
    각 레버 블록의 일단부들과 반대되는 타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보드 분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들을 각각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소켓 보드를 밀기 위해 회전된 상기 레버 블록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들; 및
    상기 고정 블록들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들에 의해 복원되는 레버 블록들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 블록들의 일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스토퍼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보드 분리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블록들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소켓 보드와의 접촉시 상기 소켓 보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보드 분리 유닛.
  4. 상부면에 소켓 보드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 단자들을 갖는 베이스 보드; 및
    상기 베이스 보드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상기 소켓 보드를 분리하기 위한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보드 분리 유닛은 상기 베이스 보드의 일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들, 중앙부위가 상기 고정 블록들과 힌지 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 보드와 결합되는 상기 소켓 보드를 일단부로 밀어 상기 베이스 보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한 쌍의 레버 블록들 및 각 레버 블록의 일단부들과 반대되는 타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보드 장치.
KR1020130025730A 2013-03-11 2013-03-11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 KR10136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730A KR101362564B1 (ko) 2013-03-11 2013-03-11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730A KR101362564B1 (ko) 2013-03-11 2013-03-11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564B1 true KR101362564B1 (ko) 2014-02-13

Family

ID=5027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730A KR101362564B1 (ko) 2013-03-11 2013-03-11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5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66A (ko) * 1999-05-03 2000-12-05 정문술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의 번인보드 센터링장치
KR20010028005A (ko) * 1999-09-17 2001-04-06 정문술 테스트 핸들러의 소켓 콘택장치
KR20070074179A (ko) * 2006-01-06 2007-07-12 주식회사 파이컴 회로기판 연결 유닛 및 그것을 갖는 평판표시패널 검사장치
KR20100005567U (ko) * 2010-05-03 2010-05-31 (주)지디티 딤 소켓 로드 및 언로드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66A (ko) * 1999-05-03 2000-12-05 정문술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의 번인보드 센터링장치
KR20010028005A (ko) * 1999-09-17 2001-04-06 정문술 테스트 핸들러의 소켓 콘택장치
KR20070074179A (ko) * 2006-01-06 2007-07-12 주식회사 파이컴 회로기판 연결 유닛 및 그것을 갖는 평판표시패널 검사장치
KR20100005567U (ko) * 2010-05-03 2010-05-31 (주)지디티 딤 소켓 로드 및 언로드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242B1 (ko) 검사용 접촉장치 및 전기적 검사소켓
KR101392399B1 (ko) 테스트용 번인 소켓
KR101671798B1 (ko) 커넥터 연결을 위한 검사용 가압 지그
US8616907B2 (en) Test socket for tes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memory module
JP2014179379A (ja) ウエハ検査装置及び該装置の整備方法
KR101030227B1 (ko) Ssd용 운반-시험 겸용 트레이
KR101444787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TW201839416A (zh) 半導體裝置檢查用插座
KR101776810B1 (ko)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KR101362564B1 (ko) 소켓 보드 분리 유닛 및 이를 갖는 베이스 보드 장치
KR101316826B1 (ko) 소형 전자부품 검사용 프로브장치
TWI708448B (zh) 電性零件用插座
KR20120015013A (ko)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KR100795490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1053462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소켓
KR101279019B1 (ko) 소켓 어댑터
JP4734187B2 (ja) 半導体検査装置
KR20130124824A (ko) 컨택트핀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장착용 소켓
KR101367926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KR101557150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
KR101067004B1 (ko)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
KR20210013822A (ko) 단자 및 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핀 블록구조
KR20100002988A (ko) 클립 소켓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검사장치
KR100570200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US10274535B2 (en) Electric component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