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319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319B1
KR101362319B1 KR1020080009183A KR20080009183A KR101362319B1 KR 101362319 B1 KR101362319 B1 KR 101362319B1 KR 1020080009183 A KR1020080009183 A KR 1020080009183A KR 20080009183 A KR20080009183 A KR 20080009183A KR 101362319 B1 KR101362319 B1 KR 101362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nit
pressure distribution
air conditioner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178A (ko
Inventor
남정현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3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브러쉬조립체로부터 이물질을 흡입유닛에 의하여 균일하고 적정한 압력으로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조립체에 잔여 이물질이 남아 있지 않으므로 작동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09183
브러쉬조립체, 압력분배부, 연통 홀, 압력형성 홀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크게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실내기의 필터를 청소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수집하는 브러쉬조립체와,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이동되어 오면 상기 브러쉬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부와, 상기 흡입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을 흡입할 때 상기 수집부 내에 수집된 이물질이 전체적으로 흡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수집부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유닛에 연통되게 형성된 압력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분배부에는 상기 흡입유닛과 연통되는 연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부와 상기 압력분배부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수집부와 상기 압력분배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형성 홀들은, 상기 연통 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형성 홀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연통 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형성 홀들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연통 홀로부터 멀어질수록 인접하는 압력형성 홀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분배부 및 상기 수집부와 상기 압력형성 홀은 서로 동일한 수평면의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력분배부의 길이는, 상기 압력형성 홀들 중 상기 연통 홀에 가장 가까운 압력형성 홀과 상기 연통 홀에 가장 이격된 압력형성 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분배부의 일단과 끝단은, 상기 격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압력분배부의 일단과 끝단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분배부의 일단 및 타단 중 상기 연통 홀에 가깝게 배치된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곡률반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필터를 탈거하지 않고서도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수집하고, 상기 이물질이 수집된 상기 브러쉬조립체로부터 흡입유닛을 이용하여 적정하고 균일한 흡입압력으로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에서 베이스패널(3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저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이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천장(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즉, 좌우방향)을 도면부호 X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전후방향)을 도면부호 Y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상하방향)을 도면부호 Z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하부의 실내(170) 측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토출시키기 위한 각종 열교환 부품(18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기 케이스(200)의 개구된 저면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300)을 더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에 배치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패널(30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305)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31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305)와 상기 공기 토출구(310)는 X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Y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의 상기 베이스패널(300) 상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 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공기 흡입구(305)의 흡입면과 상기 공기 토출구(310)의 토출면은 실질적으로 수평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흡입구(305) 측에 배치되는 필터(380)와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38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브러쉬조립체(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흡입구(305) 측에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3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380)는 상기 공기 흡입구(305) 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400)에 안착된다.
종래에는 상기 필터(380)에 이물질이 걸러지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상기 필터(380)를 공기조화기로부터 탈거하여 물세척을 하는 등 수동으로 상기 필터(380)를 청소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키가 작은 사용자에게는 천장(100)에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특성 상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불편을 덜기 위하여, 상기 필터(38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38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브러쉬조립체(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조립체(500)는, 상기 필터 하우징(400)에 배치되되, 상기 필터(38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4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조립체(500)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리모컨 키 등을 조작하면 자동으로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38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컨 키 등을 조작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500)가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38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자중방향으로 낙하시켜 수집한다. 다음으로,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에 수집된 이물질은 상기 브러쉬조립체(500)가 상기 필터 하우징(400)의 일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200)에 배치되는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흡입되고, 상기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흡입된 상기 이물질은 상기 흡입유닛(600)과 연통되는 이물질 수집부(700)로 포집되면서 청소 작업이 종료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유닛(600)은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에 수집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5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500)는, 상기 필터(38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부(510)와, 상기 흡입유닛(600)을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을 흡입할 때 상기 수집부(510) 내에 수집된 이물질이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수집부(510)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유닛(600)에 연통되게 형성된 압력분배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510)와 상기 압력분배부(520)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530)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수집부(510)는 상부에 배치된 필터(380)로부터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되어 수집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압력분배부(520)는 소정의 흡입압력을 형성하는 본 발명만의 특별한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써 상기 수집부(510)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브러쉬조립체(500)가 상기 필터 하우징(400)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유닛(600)과 연통될 때에만 상기 압력분배부(520)가 소정의 흡입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차폐되면 족하므로,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상부가 차폐된 상태로 제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압력분배부(520)가 소정의 압력을 형성함에 있어서 외부와의 기밀유지가 중요한 바 처음부터 상기 수집부(510) 외에 상기 압력분배부(520)는 차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조립체(500)는 반드시 일체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510) 및 상기 압력분배부(520)가 형성된 본체부(501)와,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상부를 차폐하는 덮개판(502)을 포함하는 분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압력분배부(520)는, 상기 흡입유닛(600)의 소정의 흡입압력을 제공하면, 상기 수집부(510) 내에 수집된 상기 이물질이 남지 않고 전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집부(510) 내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흡입압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집부(510) 내의 전체 영역에 걸쳐 소정의 흡입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수집부(510) 내에 수집된 이물질이 잔여 이물질이 없이 골고루 흡입되게 되므로 상기 수집부(510) 내에 이물질이 포화상태로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압력분배부(520)는, 상기 수집부(5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과, 상기 흡입유닛(600)과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유닛(600)이 배치된 측으로 돌출되는 연통 홀(522)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형성 홀 들(521A,521B,521C)은 상기 격벽(530)에 형성된다.
상기 연통 홀(522)은 상기 흡입유닛(600)과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흡입유닛(600)이 제공하는 흡입압력을 상기 압력분배부(520)에 그대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흡입압력을 제공받은 상기 압력분배부(520)는 다시 상기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에 의하여 상기 수집부(510)와 연통되고, 상기 압력분배부(520)로부터 제공받은 소정의 흡입압력을 상기 수집부(510) 내에 균일하게 분산하여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집부(510) 내에 균일한 흡입압력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521A,521B,521C)의 위치 및 크기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내부 중 상대적으로 상기 연통 홀(522)에 가깝게 배치된 부분은 흡입압력이 크나 상기 연통 홀(522)에서 점점 멀어지는 부분은 상기 흡입압력이 점점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은 그 단면적이 상기 연통 홀(522)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 중 상기 연통 홀(522)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압력형성 홀(521A)의 흡입 단면적은 가장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521A,521B,521C) 중 상기 연통 홀(522)에 가장 멀리 배치되는 압력형성 홀(521C)의 흡입 단면적은 가장 크게 형성된다. 상기 압력분배부(520)는, 상기 흡입유닛(600)이 소정의 흡입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수집부(510) 내에 수집된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시작하면, 상기 압력형성 홀(521A,521B,521C) 중 상기 연통 홀(522)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압력형성 홀(521A)을 통과하는 이물질은 상기 압력형성 홀(521A)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흡입 단면적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통과하면서 저압을 형성한다. 반면 상기 압력형성 홀(521A,521B,521C) 중 상기 연통 홀(522)에 가장 멀리 배치되는 압력형성 홀(521C)을 통과하는 이물질은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통과하면서 고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통 홀(522)로부터 멀리 배치된 상기 수집부(510) 내에는 상대적으로 고압의 흡입압력이, 상기 연통 홀(522)로부터 가깝게 배치된 상기 수집부(510) 내에는 상대적으로 저압의 흡입압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기 수집부(510) 내에 흡입압력을 분산시켜 상기 수집부(510) 내부에 수집된 상기 이물질을 전체적으로 남는 이물질이 없이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술한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의 단면적 크기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결국,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의 본 발명에서의 역할은 상기 수집부(510) 내부에 균일한 흡입압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있는 바,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의 단면적 크기는 상기 연통 홀(522)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수집부(510) 내부에 균일한 흡입압력을 형성하는 한 반드시 상기 연통 홀(522)과의 이격거리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은, 상기 연통 홀(522)로부터의 이격거리에 관계없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이 때에는 상기 수집부(510) 내부에 균일한 흡입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의 단면적의 크기를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 후 각각의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수집부(510) 내부에 균일한 흡입압력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에는 인접하는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연통 홀(52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바닥면 및 상기 수집부(510)의 바닥면과, 상기 압력형성 홀은 상기 이물질이 상기 수집부(510)에서 상기 압력형성 홀(521A,521B,521C) 및 상기 압력분배부(520)를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흡입유닛(600)으로 간섭 없이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동일한 수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5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길이는, 상기 압력형성 홀들(521A,521B,521C) 중 상기 연통 홀(522)에 가장 가까운 압력형성 홀(521A)과 상기 연통 홀(522)에 가장 이격된 압력형성 홀(52C)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일단(도 6의 도면부호 523A 참조)은, 상기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521A,521B,521C) 중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의 일단(500A)과 가장 가까운 압력형성 홀(521A)의 일단에, 그리고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타단(도 6의 도면부호 523B)은,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의 타단(500B)과 가장 가까운 압력형성 홀(521C)의 타단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일단(523A)과 타단(523B)은 상기 압력분배부(520) 내에 형성된 흡입압력이 그 내부에서 저감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압력형성 홀(521A,521B,521C), 즉 상기 격벽(530)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일단(523A)과 끝단(523B) 사이의 이격거리가 점점 좁아지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510)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압력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연통 홀(522)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된 상기 압력분배부(520)의 일단(523A)은 타단(523B)보다 곡률반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조립체(500)는, 상기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의 흡입이 시작되면 상기 수집부(510)에 수집된 이물질이 전체적으로 잔여 이물질이 없이 흡입되므로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에 배치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흡입구 측에 배치된 필터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0: 실내
170: 실내 180: 열교환 부품
200: 케이스 300: 베이스패널
305: 공기 흡입구 310: 공기 토출구
380: 필터 400: 필터 하우징
500: 브러쉬조립체 510: 수집부
520: 압력분배부 530: 격벽
600: 흡입유닛 700: 이물질 수집부

Claims (7)

  1.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수집하는 브러쉬조립체와;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이동되어 오면 상기 브러쉬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부와;
    상기 흡입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을 흡입할 때 상기 수집부 내에 수집된 이물질이 전체적으로 흡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수집부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유닛에 연통되게 형성된 압력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분배부에는 상기 흡입유닛과 연통되는 연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부와 상기 압력분배부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수집부와 상기 압력분배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압력형성 홀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형성 홀들은,
    상기 연통 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형성 홀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연통 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형성 홀들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연통 홀로부터 멀어질수록 인접하는 압력형성 홀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점점 작아지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배부 및 상기 수집부와 상기 압력형성 홀은 서로 동일한 수평면의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력분배부의 길이는, 상기 압력형성 홀들 중 상기 연통 홀에 가장 가까운 압력형성 홀과 상기 연통 홀에 가장 이격된 압력형성 홀 사이의 거리에 대응 되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배부의 일단과 끝단은, 상기 격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압력분배부의 일단과 끝단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배부의 일단 및 타단 중 상기 연통 홀에 가깝게 배치된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곡률반경이 작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80009183A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6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83A KR101362319B1 (ko)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83A KR101362319B1 (ko)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78A KR20090083178A (ko) 2009-08-03
KR101362319B1 true KR101362319B1 (ko) 2014-02-12

Family

ID=4120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83A KR101362319B1 (ko)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3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1206A (ja) * 2004-09-03 2006-03-1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6145208A (ja) * 2003-03-04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6214720A (ja) * 2004-10-27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5208A (ja) * 2003-03-04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6071206A (ja) * 2004-09-03 2006-03-1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6214720A (ja) * 2004-10-27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78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175B1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987080B1 (ko) 공기 조화 장치
AU2015304178B2 (en) Robot cleaner
KR20070072829A (ko)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실내 유닛을 구비한공기 조화기
KR20100096246A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RU2005109276A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EP2083225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JP2007309584A (ja) 空気調和機
KR2009008536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7309581A (ja) 空気調和機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6231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662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8903807B (zh) 一种反向吹风及抖动式海帕自清洁吸尘器
CN108888171B (zh) 一种反向吹风式自清洁吸尘器
CN106322478B (zh) 烟机空调室内机及烟机空调
CN115153368A (zh) 集尘基站
KR10141215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60716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JP4763574B2 (ja) 空気調和機
CN220713838U (zh) 一种污水箱及清洁设备
CN213395619U (zh) 一种可有效避免灰尘堆积的空调滤尘装置
CN216880788U (zh) 一种除尘器
KR101459629B1 (ko) 공기조화기
KR100966075B1 (ko) 레인지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