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41B1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41B1
KR101362241B1 KR1020117030552A KR20117030552A KR101362241B1 KR 101362241 B1 KR101362241 B1 KR 101362241B1 KR 1020117030552 A KR1020117030552 A KR 1020117030552A KR 20117030552 A KR20117030552 A KR 20117030552A KR 101362241 B1 KR101362241 B1 KR 101362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detection
pixel
pixels
imag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146A (ko
Inventor
켄이치로 아마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02B7/365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by analysis of the spatial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43Demosaicing, e.g. interpolating colour pixel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3SSIS architectures incorporating pixels for producing signals other than image signals
    • H04N25/704Pixel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e.g. phase difference pixel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촬영 렌즈를 거쳐 형성된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해서 화상생성용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촬상용 화소와, 복수의 상기 촬상용 화소의 사이에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촬영 렌즈의 동공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동공영역으로부터의 상기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해서 위상차 검출용의 제1 및 제2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가 있는 라인과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가 있는 라인을 갖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의 각 화소의 상기 신호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제1 및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로부터의 상기 위상차 검출용의 신호를 사용하여, 위상차 검출 방식에 의해 초점을 검출하기 위한 초점검출수단; 및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화소들의 신호를 제1의 선별율로 선별 후 판독하는 경우의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와 제 2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조합은, 상기 촬상소자의 각 화소의 신호를 제2의 선별율로 선별후 판독하는 경우의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와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조합과 상이하도록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

Description

촬상장치{IMAGE CAP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상소자(image sensor)내에 배치된 초점검출용 화소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초점검출을 행하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592147호에는, 촬상소자내의 촬상용 화소의 사이에 초점검출용 화소를 이산적으로 구비한 촬상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592147호에 의하면, 2종류의 초점검출용 화소(위상차검출용 화소)를 촬상소자의 화소의 일부에 각각 복수 구비한다. 도 5는, 특정한 행에 초점검출용 화소를 배치한 촬상소자의 화소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R, G 및 B는 각각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가 광선 입사면에 배치된 화소인 것을 나타낸다. Sl 및 S2는, 초점검출용 화소이며, 시야가 광축중심에 대해 대칭이어서, 광학특성이 다르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컬러의 촬상신호를 얻기 위해 R, G 및 B색의 컬러필터를 갖는 화소들 사이에, 초점검출용 화소를 촬상소자 위에 배치한다.
도 6은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S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에서는, 최상부에 마이크로렌즈(501)가 배치된다. 평활층(502)은 상기 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평면을 구성한다. 차광층(503)은, 화소의 광전변환 에어리어의 중심으로부터 한쪽으로 이동된(편심한) 개구부를 갖는다. 차광층(503)은, 입사광을 제한하는 조리개의 효과를 갖는다. 참조번호 504는 광전변환소자다.
도 7은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S2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도 6과 다른 점은, 차광층 603의 개구부가,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차광층 503의 개구부에 대하여, 광축중심을 중심으로 대칭이도록 설치되는 점이다. 이때, 도 6과 마찬가지로, 참조번호 601은 마이크로렌즈, 602는 평활층, 604는 광전변환소자다.
도 5에 있어서,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S1을 포함하는 행과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S2를 포함하는 행은, 화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근사의 화상들을 형성한다. 촬상광학계를 통해서 화소상에 피사체광이 초점이 맞고 있으면,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S1을 포함하는 행의 화상신호와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S2를 포함하는 행의 화상신호와 일치한다. 만약에 피사체광의 초점이 벗어나 있으면,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S1을 포함하는 행의 화상신호와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S2를 포함하는 행의 화상신호와의 사이에는 위상차가 생긴다. 광이 카메라 전방으로 초점을 벗어나고 있는 경우에 생긴 위상 변위는, 광이 카메라 후방으로 벗어나고 있는 경우에 생긴 위상 변위와 반대방향이다.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S1과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S2로부터 촬상광학계를 보았을 경우에, 촬상광학계는, 마치 광학중심에 대하여 동공을 대칭으로 분할한 것처럼 보인다.
도 8a 및 8b는 디포커스에 의해 생긴 화상의 위상변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S1과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S2를 추상적으로 가깝게 해서 A, B의 점으로 각각 보이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촬상을 위한 R, G 및 B 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아서, 초점검출용 화소들만이 그대로 배열되어 있다. 피사체의 특정 점으로부터의 광은, A점에 대응하는 동공을 거쳐서 A점에 입사되는 광빔ΦLa와, B점에 대응하는 동공을 거쳐서 B점에 입사되는 광빔ΦLb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 2개의 광빔은, 같은 점으로부터 출사된다. 따라서, 촬상광학계의 초점이 촬상소자 위에 있으면, 상기 광빔은,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일 마이크로렌즈의 1점에 도달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거리x만큼 가까운 쪽으로 초점이 이동하면,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빔은, 광 입사각의 변화량만큼 서로 어긋난다. 초점이 거리Ⅹ만큼 먼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광빔은 역방향으로 어긋난다.
이들 이유로, A점의 배열로 형성된 화상신호와 B점의 배열로 형성된 화상신호는, 촬상광학계가 초점이 맞고 있으면 서로 일치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화상신호는 어긋난다. 일본 특허 제3592147호에 기재된 촬상장치는, 상기의 원리에 의거하여 초점검출을 행한다.
그렇지만, 초점검출용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소자는, 정지 화상을 촬상할 때에, 초점검출용 화소의 위치에 해당하는 화소 데이터가 결손하게 된다. 초점검출용 화소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정지 화상용 화상신호로서 사용하는 경우, 시야가 다르기 때문에, 주변의 화소신호와의 연속성이 잃어버려져, 그 화상이 결함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제3592147호에 기재된 촬상장치는, 초점검출용 화소의 위치에 해당하는 화상신호를 주변화소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보간한다. 도 5에 나타낸 촬상소자의 화소배치에 있어서, 본 촬상의 화상신호에 포함된 S1, S2의 부분에는, 주변화소로부터의 보간 데이터가 삽입된다. 도 5에서는, 촬상용의 R, G 및 B 화소가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열되어 있다. 일부의 G화소는, 초점검출용 화소S1, S2로 대체된다. 초점검출용 화소 S1 또는 S2의 존재로 인해 결손이 되는 각 G화소의 데이터 대신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위치된 4개의 인접한 G화소의 데이터로부터 합성 G화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손이 되는 G화소 데이터로서 적용한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등에서는, 액정표시장치등에 화상을 라이브 뷰(view) 표시모드로 표시하여, 촬영자가 광학 뷰파인더를 통해서가 아닌 액정화면을 보는 것으로 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 뷰 표시모드에 있어서는, 화소수가 증가하고 있는 촬상소자의 전체 화소의 화상신호를 판독하는 대신에, 전체 화소의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선별(thinning out)한 후 판독한다. 그 화소의 신호를 선별하면, 그 선별 후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초점검출용 화소를 항상 포함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위상차 검출방식에 의해 초점을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소신호를 선별해서 판독하는 경우에도, 위상차 검출방식에 의해 초점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는, 촬영 렌즈를 거쳐 형성된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해서 화상생성용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촬상용 화소와, 복수의 상기 촬상용 화소의 사이에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촬영 렌즈의 동공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동공영역으로부터의 상기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해서 위상차 검출용의 제1 및 제2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가 있는 라인과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가 있는 라인을 갖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의 각 화소의 상기 신호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제1 및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로부터의 상기 위상차 검출용의 신호를 사용하여, 위상차 검출 방식에 의해 초점을 검출하기 위한 초점검출수단; 및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화소들의 신호를 제1의 선별율로 선별 후 판독하는 경우의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와 제 2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조합은, 상기 촬상소자의 각 화소의 신호를 제2의 선별율로 선별후 판독하는 경우의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와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조합과 상이하도록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a 및 2b는, 초점검출용 화소의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선별 판독을 행하는 경우와 선별 판독을 행하지 않는 경우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선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종래의 초점검출용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소자의 화소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구조도다.
도 7은, 종래의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구조도다.
도 8a 및 8b는, 디포커스(defocus)에 의한 화상의 위상 변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에 있어서, 촬상장치(100)는, 피사체를 결상하는 렌즈(촬영 렌즈)(101)와, 상기 렌즈의 초점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제어부(102)와, 입사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103)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피사체상(object image)을 광전변환하는 CMOS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진 촬상소자(104)를 구비한다. 촬상소자(104)는, R, G 및 B의 컬러필터가 수광면 위에 설치되어 촬상용의 화상신호의 취득에 사용되는 화상생성용의 화소로 이루어진 촬상용 화소군(105)을 구비한다. 또한, 촬상소자(104)는, 광학구조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며 이산적으로 배치되면서 복수의 초점검출 영역에 존재하는, 초점검출에 사용되는 복수조의 초점검출용 화소(위상차 검출용 화소)로 이루어진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을 구비한다. 또한, 촬상소자(104)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1쌍의 초점검출용 화소에 대하여 촬영 렌즈의 동공영역을 대칭으로 분할한 것 같이 입사광을 제한하여 입사시키는 동공분할 광학계(107)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에 있어서의 광학구조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2종류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위상 변위량에 의거하여 초점을 검출하는 초점검출부(108)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촬상용 화소군(105) 중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이하, 근린 화소군이라고 칭한다)로 이루어진 화상신호의 고주파성분의 강도를 검출하는 공간주파수 검출부(109)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을 사용한 초점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화소보간부(112)에 의한 보간처리나, 또는 공간주파수 검출부(109)를 사용해서 고주파성분의 강도에 의거한 화소보간부(112)에 의한 보간처리를 선택하는 판정 전환부(110)를 구비한다.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광층(503, 603)에 의해 시야가 제한되어 있다. 상기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은, 광 입사면에 컬러필터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화상신호의 레벨은, 촬상용 화소군(105) 중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이하, 근린 화소군이라고 칭한다)로 이루어진 화상신호의 레벨과 다르다. 이 때문에, 촬상장치(100)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화상신호의 레벨을 근린화소군의 화상신호의 레벨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게인(gain)을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111)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판정 전환부(110)의 판정에 의거하여,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위치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촬상소자(104)로부터 얻어진 촬상용 화소군(105)의 화상신호에 의거한 보간에 의해 생성하는 화소보간부(112)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촬상용 화소군(105)으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에 대해 감마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리샘플링(resampling), 소정의 화상 압축 코딩등을 행하는 화상처리부(113)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화상처리부(113)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14)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115)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조작자의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116)와, 촬상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117)를 구비한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117)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으로부터 얻어진 화상신호의 위상차를 사용한 위상차 검출방식에 의해 오토 포커싱을 행한다.
도 2a 및 2b는, 초점검출용 화소의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선별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R화소와 G화소의 위치에서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페어(pair)들을 사용하여 초점검출을 행한다. 이 경우, R화소의 위치에 배치된 초점검출용 화소가 S1에 해당하고, G화소의 위치에 배치된 초점검출용 화소가 S2에 해당한다. 초점검출용 화소가 배치되는 위치는, 본 실시예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R화소 및 G화소의 위치에, 각각 초점검출용 화소의 S1 및 S2에 해당하는 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선별을 행하는 경우에는, 선별한 후에 남아 있는 R화소와 G화소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초점검출용 화소의 페어를 사용하여, 초점검출을 행한다. 본 실시예는, 3라인마다 선별을 실행한다. 상기 화상 데이터가 초점검출용 화소를 포함하도록 상기 선별을 행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조작부(116)의 조작 입력으로부터 AF명령이 발생할 때 단계S301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AF명령 전에, 미리 노출 제어가 이루어진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단계S301에서, AF명령이 발생하면, 촬상소자(104)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에 전하를 축적한다. 축적 완료후, 촬상소자(104)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화상신호를 초점검출부(108)에 출력한다. 이 출력 후, 초점검출부(108)는,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에 있어서의 S1, S2의 배열간의 화상 변위량에 의거하여 디포커스량을 산출하고, 그 디포커스량에 따라 렌즈(101)의 초점위치를 이동하도록 렌즈 제어부(102)에 명령한다. 렌즈 제어부(102)는, 그 명령을 받아서 렌즈(101)의 초점위치를 이동시킨다. 도 4는, S1, S2의 화소 페어의 선택을 나타낸다. 그 이동 후, 피사체상의 디포커스 상태의 변화로 인해 노출 조건이 변화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새로운 초점위치에서 노출 제어를 다시 행동하고, 단계S302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에서, 촬상소자(104)로부터 화소신호를 선별해서 판독하는 경우와, 선별하지 않고 화소신호를 판독하는 경우의 초점검출용 화소S1, S2의 선택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AF동작은, 촬상소자(104)에서 순차로 얻어진 화상을 순차로 표시부(114)에 표시하는 라이브 뷰 모드에서 행해진다. 이 라이브 뷰 모드에서는, 표시부(114)에는, 촬상소자(104)의 화소를 선별해서 보다 적은 수의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화소를 선별하지 않고 촬상소자(104)의 화소신호를 판독한다. 그 화상 데이터는, 처리에 의해 나중에 상기 데이터량을 감소시킨 후 상기 표시부(114)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AF처리의 단계에서 화소를 선별할지 선별하지 않을지를 선택한다. 도 4에 나타낸 동작으로 초점검출용 화소의 페어를 선택한다.
도 4의 단계S4000에서는, 선별을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선별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4010에서는, 선별하지 않고 화상에 대한 초점검출용 화소의 페어를 선택한다(도 2a 참조). 한편, 선별을 행하는 경우에는, 단계S4020에서는, 선별 화상에 대한 초점검출용 화소의 페어를 선택한다(도 2b 참조). 이 선별 화상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초점검출용 화소를 포함하도록 선별이 이루어진다. 추가로, 가장 근접한 화소끼리 쌍을 이룬다. 그 후에, 단계S4030에서는, 상기 선택된 화소를 사용하여, 상관 연산을 행한다. 단계S4040에서는, 초점검출 처리를 행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S302에서는, 카메라 제어부(117)가 조작부(116)의 조작 입력으로부터 촬상명령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301의 AF후, 촬상명령의 조작 입력을 행한 경우, 단계S303의 처리로 진행된다. 촬상명령의 조작 입력을 행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S302의 판단을 행한다. 단계S303에서는, 촬상소자(104)의 촬상용 화소군(105) 및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에 전하를 축적한다. 축적 완료하였을 때, 촬상소자(104)는, 촬상용 화소군(105)의 화상신호를 공간주파수 검출부(109)와 화소보간부(112)에 출력하고, 초점검출용 화소군(106)의 화상신호를 초점검출부(108)와 게인 조정부(111)에 출력한다. 이 출력 후, 단계S3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304에서는, 촬상 화면상의 측거점마다 화소보간부(112)에서 보간처리를 행하기 위한 카운터를 초기화한다. 카운터의 수치n은 대응한 측거점을 지시한다. 단계S304에서는, n의 초기값으로서 "1"이 대입되어, 처음에 제1의 측거점에 대하여 상기 보간처리를 행하도록 설정된다. 그 설정 후, 단계S300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3000에서는, 주목 화소 근방의 주변 동일색 화소의 표준편차σ를 연산한다. 단계S3010에서는, 주변 동일색 화소의 평균치a를 연산한다. 단계S3020에서는, σ/a에 의거하여 게인 비율P, 보간보정의 비율Q(=1-P)를 결정한다. P는 σ/a에 비례한다(0≤P≤1일 경우). σ가 작을 때(=공간주파수가 낮을 경우에 상당)에는, 게인 보정의 비율이 낮고, 보간보정의 비율이 높다. 반대로, σ가 클 때(=공간주파수가 높을 경우에 상당)에는, 게인 보정의 비율이 높고, 보간보정의 비율이 낮다. 추가로, 평균치a가 클 때(=공간주파수가 낮을 경우에 상당)에는, 게인 보정의 비율이 낮고, 보간보정의 비율이 높다. 반대로, 평균치a가 작을 때(=공간주파수가 높을 경우에 상당)에는, 게인 보정의 비율이 높고, 보간보정의 비율이 낮다.
단계S3030에서는, 게인 보정량Tp를 결정한다. 이것은, 주목 화소에 소정의 게인량α을 곱하여 얻어진다. 단계S3040에서는, 보간보정량Tq를 결정한다. 이것은, 상기 주변 동일색 화소의 평균치로부터 얻어진다. 단계S3050에서는, 단계S3020에서 얻어진 게인 보정의 비율P와 보간보정의 비율Q에 따라, Tp×P+Tq×Q를 전체 보정량으로서 연산한다.
단계S313에서는, 카메라 제어부(117)가 모든 측거점에 대하여 화소보간부(112)에서 보간처리를 행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모든 측거점에 대하여 보간처리를 아직 행하지 않고 있으면, 단계S314에서는, 다음 측거점에 대해 상기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카운터의 값n을 1씩 늘리고, 단계S3000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모든 측거점이 처리된 경우, 단계S31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315에서는, 화상처리부(113)가, 보간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감마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리샘플링, 및 소정의 화상압축 코딩을 행한다. 화상처리부(113)는, 감마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및 표시용의 리샘플링이 실행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14)에 출력한다. 이 출력 후, 촬상된 화상을 유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14)는 상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화상처리부(113)는, 감마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기록용의 리샘플링, 및 화상압축 코딩이 실행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부(115)에 출력한다. 이 출력 후, 기록부(115)는 이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초점검출용 화소를 포함하도록 선별을 행하고, 상관 연산을 행하는 화소의 페어를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화상선별시에도, 적절한 화소 페어를 사용하여 상관 연산을 행하고, 초점검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9년 5월 25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09-125849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3)

  1. 촬영 렌즈를 거쳐 형성된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해서 화상생성용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촬상용 화소와, 복수의 상기 촬상용 화소의 사이에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촬영 렌즈의 동공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동공영역으로부터의 상기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해서 위상차 검출용의 제1 및 제2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가 있는 라인과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가 있는 라인을 갖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의 각 화소의 상기 신호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제1 및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로부터의 상기 위상차 검출용의 신호를 사용하여, 위상차 검출 방식에 의해 초점을 검출하기 위한 초점검출수단; 및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화소들의 신호를 제1의 선별율로 선별 후 판독하는 경우의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와 제 2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조합은, 상기 촬상소자의 각 화소의 신호를 제2의 선별율로 선별후 판독하는 경우의 제1의 초점검출용 화소와 제2의 초점검출용 화소의 조합과 상이하도록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화소들의 신호를 선별한 후 판독하는 경우에, 상기 신호가 상기 초점검출용 화소를 포함하도록 상기 화소들의 신호를 선별해서 판독하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화소들의 신호를 선별한 후 판독하는 경우에, 선별되지 않고 남은 화소 중에서, 가장 근접한 초점검출용 화소들의 조합이 상기 초점검출수단에 의한 초점검출에 사용하도록, 상기 초점검출용 화소들의 조합을 전환하는, 촬상장치.
KR1020117030552A 2009-05-25 2010-04-22 촬상장치 KR101362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5849 2009-05-25
JP2009125849A JP5361535B2 (ja) 2009-05-25 2009-05-25 撮像装置
PCT/JP2010/057643 WO2010137444A1 (en) 2009-05-25 2010-04-22 Image captur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146A KR20120016146A (ko) 2012-02-22
KR101362241B1 true KR101362241B1 (ko) 2014-02-12

Family

ID=4322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552A KR101362241B1 (ko) 2009-05-25 2010-04-22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90994B2 (ko)
EP (1) EP2435879A4 (ko)
JP (1) JP5361535B2 (ko)
KR (1) KR101362241B1 (ko)
CN (1) CN102449548B (ko)
WO (1) WO2010137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3728A1 (ja) * 2010-11-30 2012-06-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合焦位置検出方法
JP5655543B2 (ja) * 2010-12-20 2015-01-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147515A1 (ja) * 2011-04-28 2012-11-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404693B2 (ja) * 2011-05-18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それを具備した撮像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5888914B2 (ja) * 2011-09-22 2016-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793457B1 (en) * 2011-12-13 2019-05-08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747124B2 (ja) * 2012-06-01 2015-07-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5529928B2 (ja) * 2012-06-14 2014-06-2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6021544B2 (ja) * 2012-09-20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
JP5775918B2 (ja) * 2013-09-27 2015-09-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410431B2 (ja) * 2014-01-30 2018-10-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KR20150096224A (ko) 2014-02-14 2015-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 촬상 소자, 전자기기 및 오토 포커싱 방법
JP5792349B2 (ja) * 2014-04-17 2015-10-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6009043A (ja) * 2014-06-24 2016-01-18 ソニー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演算方法、および電子装置
WO2017068652A1 (ja) * 2015-10-20 2017-04-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取得方法、画像取得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8010213A (ja) * 2016-07-15 2018-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11863884B2 (en) * 2021-09-16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mage sen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9858A (ja) * 2007-08-22 2009-03-05 Canon Inc 撮像装置
JP2009089144A (ja) * 2007-10-01 2009-04-23 Nikon Corp 電子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2147B2 (ja) 1998-08-20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915126B2 (ja) * 2006-04-10 2012-04-11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
JP4802993B2 (ja) * 2006-11-15 2011-10-26 株式会社ニコン 相関演算方法、相関演算装置、焦点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321579B2 (ja) 2006-11-28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9020031A1 (en) 2007-08-06 2009-0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JP5194688B2 (ja) * 2007-10-01 2013-05-08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装置
US7989745B2 (en) * 2007-10-01 2011-08-02 Nikon Corporation Solid-state imaging device with focus detection and electronic camera with focus adjustment
JP5002412B2 (ja) 2007-10-24 2012-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9858A (ja) * 2007-08-22 2009-03-05 Canon Inc 撮像装置
JP2009089144A (ja) * 2007-10-01 2009-04-23 Nikon Corp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5879A4 (en) 2013-04-03
CN102449548A (zh) 2012-05-09
JP5361535B2 (ja) 2013-12-04
US20120057057A1 (en) 2012-03-08
JP2010271670A (ja) 2010-12-02
WO2010137444A1 (en) 2010-12-02
US8890994B2 (en) 2014-11-18
CN102449548B (zh) 2014-10-22
KR20120016146A (ko) 2012-02-22
EP2435879A1 (en)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41B1 (ko) 촬상장치
US974298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7303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76959B2 (ja)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US861173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EP2179581B1 (en) Image-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of
US8933995B2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5507764B2 (ja) 撮像装置
WO2013046973A1 (ja) 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及び合焦制御方法
US940781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system
WO2013105383A1 (en) Image generation method, image generation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948540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WO2013047110A1 (ja) 撮像装置及び位相差画素の感度比算出方法
JP2008177903A (ja) 撮像装置
CN103843318A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7025758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58179B2 (ja) 焦点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23857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703264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00092489A1 (en) Optica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019442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234097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