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958B1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958B1
KR101361958B1 KR1020080072513A KR20080072513A KR101361958B1 KR 101361958 B1 KR101361958 B1 KR 101361958B1 KR 1020080072513 A KR1020080072513 A KR 1020080072513A KR 20080072513 A KR20080072513 A KR 20080072513A KR 101361958 B1 KR101361958 B1 KR 10136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substrate
light emitting
connection electrode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48A (ko
Inventor
모성호
배효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958B1/ko
Priority to CN2009101402082A priority patent/CN101635296B/zh
Priority to US12/506,027 priority patent/US8323065B2/en
Publication of KR2010001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48A/ko
Priority to US13/679,737 priority patent/US90300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29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re-treatment
    • H01L21/0230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re-treatment formation of intermediate layers, e.g. buffer layers, layers to improve adhesion, lattice match or diffusion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7Polyamine or polyimide
    • H01L2924/07025Polyi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기판,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스페이서, 제1 및 제2 기판들, 연결 전극,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다수의 도전볼들을 포함한 제1 실런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 실런트, 콘택 스페이서, 구동 소자, 접촉 불량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달로 인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 높은 발광효율, 넓은 시야각등의 많은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급상승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가 단일 기판에 형성된 구조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단일 기판에 구동 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동시에 형성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구동 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각각 서로 상이한 기판들에 형성하는 구조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에 구동 소자(2)가 형성되고, 제2 기판(3)에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가 형성된다. 또한, 구동 소자(2)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구동 소자(2)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 사이에 콘택 스페이서(5)가 배치된다. 게다가, 제1 및 제2 기판들(1, 3)을 합착하기 위해, 제1 및 제2 기판들(1, 3)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실런트(6)가 배치된다. 실런트(6)에 의해 제1 및 제2 기판들(1, 3)이 합착된다.
제1 및 제2 기판들(1, 3)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감소시켜 콘택 스페이서(5)가 구동 소자(2)에 접촉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동 소자(2)에서 공급된 신호가 콘택스페이서(5)를 경유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로 공급된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는 구동 소자(2)에서 공급된 신호에 의해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시간적인 경과에 따라 제1 및 제2 기판들(1, 3) 사이의 공간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 증가로 인해 콘택 스페이서(5)와 구동 소자(2) 간에 이격되어, 콘택 스페이서(5)와 구동 소자(2) 간에 접촉이 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구동 소자(2)의 신호가 콘택 스페이서(5)로 공급되지 않게 되어, 결국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가 발광되지 않게 되어 암점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최근의 대형화 추세에 맞추어 유기발광 표시장치 또한 대형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형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고가의 제조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대형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그 면적에 비추어 암점 불량의 발생 빈도가 많아지게 되어, 결국 암점 불량으로 인해 고가의 대형화 패널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비용 손실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판들(1, 3) 사이의 저압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5)가 구동 소자(2)에 단순히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실런트(6)를 통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존재하여, 이러한 산소나 수분 침투에 의해 구동 소자(2)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의 성능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는 산소나 수분에 매우 취약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4)가 산소나 수분에 접촉되는 경우, 재료 특성이 변질되어 휘도 저하나 컬러 쉬프트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택 스페이서와 구동 소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 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 소자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가 외부의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스페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다수의 도전볼들을 포함한 제1 실런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은,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콘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상에 제1 실런트 물질과다수의 도전볼들이 혼합 분산된 필름 형상을 갖는 실런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필름 상에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에 제1 열과 압 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실런트 필름을 녹이고, 상기 녹인 실런트 필름을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우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에 제2 열을 소정 공정 시간 동안 인가하여 상기 녹인 실런트 필름을 경화시켜 제1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은,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콘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상에 제1 실런트 물질과 다수의 도전볼들이 혼합 분산된 액상 형상을 갖는 실런트 액상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액상 상에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에 제1 열과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실런트 액상을 녹이고, 상기 녹인 실런트 액상을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우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에 제2 열을 소정 공정 시간 동안 인가하여 상기 녹인 실런트 액상을 경화시켜 제1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소자와 상기 구 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스페이서;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다수의 도전볼들을 포함한 제1 실런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은,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콘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콘택 스페이서 상에 제1 실런트 물질과 다수의 도전볼들이 혼합 분산된 액상 형상을 갖는 실런트 액상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액상 상에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에 제1 열과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실런트 액상을 녹이고, 상기 녹인 실런트 액상을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우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에 제2 열을 소정 공정 시간 동안 인가하여 상기 녹인 실런트 액상을 경화시켜 제1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실런트들에 의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구동 소자나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접촉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실런트가 콘택 스페이서와 연결 전극에 부착되고 경화됨에 따라, 제1 실런트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와 연결 전극이 강제로 접촉되어, 콘택 스페이서와 연결 전극 간의 접촉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기판들, 연결 전극,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연결 전극, 콘택 스페이서 및 제2 실런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1 실런트가 채워지게 되어 더 이상 제1 및 제2 기판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제1 및 제2 기판들 사이에 압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콘택 스페이서와 연결 전극 간의 접촉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기판들, 연결 전극,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콘택 스페이서 및 제2 실런트에 제1 실런트가 강제로 부착되게 되어, 구조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실런트에 포함된 도전볼들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와 연결 전극 사이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므로, 콘택 스페이서와 연결 전극 간의 접촉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볼들에 의해 접촉 불량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소자(12)와 구동 소자(12)에 연결된 연결 전극(18)을 포함하는 제1 기판(10)과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를 포함하는 제2 기판(3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기판들(10, 30)은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는 화소 영역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동 방식인 경우, 즉 제2 기판(30)을 통해 외부로 광이 지나가는 경우, 제1 기판(10)은 불투명한 물질, 예컨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 기판(30)은 투명한 물질, 예컨대 유리 물질이나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소자(12)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는 콘택 스페이서(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는 제1실런트(50)가 배치된다. 제1 실런트(50)는 랜덤하게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도전볼들(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볼(50')은 내부의 코어부와 코어부의 외면에 코팅된 도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고, 도전부는 Au, Ag, Cu와 같은 저 저항의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런트(50)는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연결 전극(18),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및 제2 실런트(52)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실런트(50)는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연결 전극(18),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지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실런트(50)에 의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의 침 투가 충분히 차단되는 경우, 제2 실런트(5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제2 실런트(52) 없이 제1 실런트(50)에 의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의 침투가 차단되고,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사이의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콘택 스페이서(46)의 상면과 연결 전극(18)의 상면 사이에는 제1 실런트(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런트(50)는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에 강하게 부착되게 되므로, 이러한 제1 실런트(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을 강하게 연결시켜 준다. 특히, 제1 실런트(50)에 포함된 다수의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택 스페이서(46)의 측면 및 상면 그리고 연결 전극(18)의 모든 상면에 제1 실런트(50)가 강하게 부착됨에 따라, 제1 실런트(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연결 상태가 강제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실런트(50)에 포함된 다수의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런트(50)는 필름 타입의 실런트 물질이나 액상 타입의 실런트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나중에 제조 공정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기판들(10, 30)은 제2 실런트(52)에 의해 합착된다. 제2 실런트(52)는 제1 및 제2 기판들(10, 30)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실런트(52)와 더불어, 제1 실런트(50)가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연결 전극(18),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지게 되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구동 소자(12)나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38)에 접촉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런트(50)가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에 부착되고 경화됨에 따라, 제1 실런트(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강제로 접촉되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간의 접촉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연결 전극(18),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1 실런트(50)가 채워지게 되어 더 이상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사이에 압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간의 접촉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연결 전극(18),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제1 실런트(50)가 강제로 부착되게 되어, 구조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실런트(50)에 포함된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사이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므로,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간의 접촉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볼들(50')에 의해 접촉 불량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실런트들(50, 52)은 열경화성 물질 또는 광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실런트들(50, 52)은 에폭시(epoxy) 계열, 아크릴(acryl) 계열, 이미드(imide) 계열 및 실레인(silane) 계열에서 선택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런트들(50, 52)은 서로 동일한 물질이나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런트(50)는 이미드 계열로 이루어지고, 제2 실런트(52)는 에폭시 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기판(10)에는 구동 소자(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기판(10)에는 도시되지 않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화소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구동 소자(12)는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게이트 라인의 게이트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캐패시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경유한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여 1 프레임 동안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캐패시터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동 전류는 콘택 스페이서(46)를 경유하여 제2 기판(30)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로 공급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는 구동 트랜지스터에서 공급된 구동 전류에 상응하는 휘도를 갖는 광을 발광한다.
제1 기판(10)에는 구동 소자(12)를 보호하기 위해 구동 소자(12) 상에 보호막(14)이 배치된다. 보호막(14)은 구동 소자(12)가 노출된 콘택홀(16)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홀(16)에 의해 구동 소자(12)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이 노출될 수 있다.
보호막(14)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과 콘택홀을 통한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 전극(18)이 배치된다.
연결 전극(18)은 콘택 스페이서(46)와 전기적인 접촉이 되는데, 콘택 스페이서(46)의 쉬프트 마진을 고려하여 콘택 스페이서(46)의 면적보다 적어도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30) 상에 유기발광다이오도 소자(38)가 화소 영역별로 배치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는 제2 기판(30) 상에 제1 전극(32), 유기발광층(34) 및 제2 전극(3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32)은 제2 기판(3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32)은 각 화소 영역에 배치된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에 모두 연결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32)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32)은 ITO, IZO 또는 ITZO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화소 영역의 경계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전극(32) 상에 버퍼 패턴(40)이 배치된다. 버퍼 패턴(4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 패턴(40)은 산화실리콘이나 질화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 패턴(40) 상에 세퍼레이터(48)가 배치된다. 세퍼레이터(48)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38)가 각 화소 영역별로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세퍼레이터(48)에 의해 각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가 각 화소 영역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48)는 테이퍼(또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32) 상에 유기발광층(34)이나 제2 전극(36)이 형성될 때, 유기발광층(34)이 제2 전극(36)이 세퍼레이터(48)에 의해 분리되어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 패턴(40) 상에 돌기 부재(42)가 배치된다. 돌기 부재(42)는 이후 설명될 콘택 스페이서(46)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이다. 돌기 부재(42)는 정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 부재(42)가 정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돌기 부재(42) 상에 배치될 콘택 전극(44)이 돌기 부재(42)의 상면과 측면에 모두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전극(32) 상에 유기발광층(34)이 배치된다. 유기발광층(34)은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적색 유기발광층,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녹색 유기발광층, 청색을 표시하는 청색 유기 물질 및 백색을 표시하는 백색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청색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유기발광층들은 각 화소 영역의 제1 전극(3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층(34)과 동일한 유기 물질이 돌기 부재(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유기발광층(34)은 돌기 부재(42)에는 배치되지 않고 각 화소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된 각 유기발광층(34) 상에 제2 전극(36)이 배치된다. 제2 전극(36) 또한 유기발광층(34)과 마찬가지로 각 화소 영역별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36)은 제1 전극(32)에 비해 일함수가 낮은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36)은 유기발광층(34)에서 생성된 광을 제2 기판(30)을 향해 반사시키기 위해, 광 반사율이 뛰어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36)은 Ag, Cu, Au, Li, Ca, Ba 및 H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막일 수 있다. 제2 전극(36)은 Ag, Cu, Au, Li, Ca, Ba 및 Hg 중에서 선택된 적층막 또는 합금일 수 있다 제2 전극(36)은 Li/Al의 이중막, Ca/Al의 이중막, Ba/Al의 이중막, A1/Ag/Ca의 삼중막 및 Al/Ca/Ag의 삼중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전극(36)은 Mg 및 Al의 합금 및 Li와 Al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36)과 동일한 도전 물질이 돌기 부재(42)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34) 상에 형성되어 콘택 전극(44)이 된다. 콘택 전극(44)은 화소 영역에 배치된 제2 전극(3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콘택 전극(44)은 돌기 부재(42)의 상면과 측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 부재(42)와 콘택 전극(44)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가 형성된다. 콘택 스페이서(46)의 콘택 전극(44)으로 공급된 구동 전류는 화소 영역에 배치된 제2 전극(36)으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콘택 전극(44)과 제2 전극(36)은 단선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원발명은 돌기 부재(42)를 정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기 부재(42)의 상면과 측면에 배치된 콘택 전극(44)이 단 선되지 않게 된다.
제1 전극(32)은 그라운드 접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화소 영역의 제2 전극(36)으로 공급된 상이한 구동 전류에 의해 각 화소 영역에 배치된 각 유기발광층(34)의 발광 휘도가 상이해지게 되어, 계조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유기발광층(34)은 제2 전극(36)으로 공급된 구동 전류에 의해 정공(hole)과 전자(electron)의 재결함(recombination)에 의해 광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세퍼레이터(48) 상에 유기발광층(34)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더미 유기발광층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세퍼레이터(48) 상에 더미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세퍼레이터(48) 상의 더미 유기발광층의 배치 여부는 유기발광층(34)을 형성하는 쉐도우 마스크의 형태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유기발광층(34)을 형성하기 위한 쉐도우 마스크가 세퍼레이터(48)를 노출할 경우, 세퍼레이터(48) 상에 더미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쉐도우 마스크가 세퍼레이터(48)를 노출시키지 않는 경우, 세퍼레이터(48) 상에 더미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콘택 스페이서(46)는 제1 기판(10)에 배치되어 구동 소자(12)에 연결된 연결 전극(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 소자(12)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류는 콘택 스페이서(46)를 경유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로 공급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가 발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를 구동 소자(12)가 배치된 제1 기판(10)에 배치하는 대신에 제2 기판(30)에 배치함으로써, 구동 소자(12)로 인한 개구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개구율에 관계없이 구동 소자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 구동 소자의 설계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전극(32) 및 유기발광층(34) 사이에 제1 전하 주입층 및 제1 전하 수송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34) 및 제2 전극(36) 사이에 제2 전하 수송층 및 제2 전하 주입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은 제1 실런트(50)가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연결 전극(18),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부착되게 되어, 구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실런트(50)가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에 부착되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을 강제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그 연결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간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실런트(50)에 포함된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실런트(52) 뿐만 아니라 제1 실런트(50)를 추가하여,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구동 소자(12)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런트(50)는 필름 타입 실런트 물질이나 액상 타입 실런트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30)이 마련된다. 제2 기판(30)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세퍼레이터(48), 콘택 스페이서(46) 등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기판(30) 상에 실런트 필름(50a)이 배치되고, 제2 기판(30)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제2 실런트 물질(52a)이 도포된다. 실런트 필름(50a)은 제1 실런트 물질(50")에 다수의 도전볼들(50')이 혼합 분산되어 필름 형태로 형성된 부재이다.
실런트 필름(50a)과 제2 실런트 물질(52a) 상에 제1 기판(10)이 배치되어 제1 기판(10)이 제2 기판(30)에 합착된다. 제1 기판(10)에는 구동 소자(12) 등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기판(10, 30)의 상세한 구성 요소들은 도 2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10, 30)에 60℃ 내지 100℃의 열(heat)과 0.2Pa 내지 3MPa의 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열과 압력에 의해 제1 기판(10)은 제2 기판(30)으로 가압되는 한편,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사이에 배치된 실런트 필름(50a)은 녹아 제1 및 제2 기판들(10, 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실런트 필름(50a)은 녹으면서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 물질(52a)에 접촉되게 된다.
이때, 제1 기판(10)에 인가되는 열과 압력은 제1 기판(10)의 연결 전극(18)이 제2 기판(30)의 콘택 스페이서(46)에 접촉될 때가지 지속된다.
이어서, 80℃ 내지 120℃의 열이 0.5hr 내지 3hr 동안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10, 30)에 인가되어 녹인 실런트 필름이 경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은 100℃이고, 시간은 3hr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런트 필름(50a)은 녹은 후 경화되어 제1 실런트(50)가 되고, 제2 기판(30)의 가장자리 영역에 도포된 제2 실런트 물질(52a)은 경화되어 제2 실런트(52)가 된다. 경화된 제1 실런트(50)는 강한 부착력을 가지고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부착된다.
특히, 제1 실런트(50)에 포함된 다수의 도전볼들(50')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볼들(50')은 콘택 스페이서(46)의 상면과 구동 소자(12)에 연결된 연결 전극(18)의 상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의 상면과 연결 전극(18)의 상면이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촉되게 된다.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사이에 배치된 도전볼들(50')은 도전볼들(50') 주변에 형성된 제1 실런트(50)가 경화됨에 따라, 경화된 제1 실런트(50)에 의해 도전볼들(50')이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전볼들(50')이 움직이지 않게 되어,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 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런트(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강한 접촉력으로 접촉되게 되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간의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런트(50)가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짐으로써, 제2 실런트(52)를 통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침투된다 하더라도 제1 실런트(50)에 의해 산소나 수분의 침투가 차단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구동 소자(12)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가 보호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실런트(50)가 강한 부착력을 가지고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부착됨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조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제조 공정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런트가 액상 타입의 실런트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30)이 마련된다. 제2 기판(30)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세퍼레이터(48), 콘택 스페이서(46) 등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기판(30) 상에 실런트 액상(50b)이 도포되고, 제2 기판(30)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제2 실런트 물질(52a)이 도포된다. 실런트 액상(50b)은 제1 실런트 물질(50'')에 다수의 도전볼들(50')이 혼합 분산되어 액상 형태로 형성된 부재이다.
실런트 액상(50b)과 제2 실런트 물질(52a) 상에 제1 기판(10)이 배치되어 제1 기판(10)이 제2 기판(30)에 합착된다. 제1 기판(10)에는 구동 소자(12) 등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기판(10, 30)의 상세한 구성 요소들은 도 2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10, 30)에 60℃ 내지 100℃의 열(heat)과 0.2Pa 내지 3MPa의 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열과 압력에 의해 제1 기판(10)은 제2 기판(30)으로 가압되는 한편,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사이에 배치된 실런트 액상(50b)은 녹아 제1 및 제2 기판들(10, 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실런트 액상(50b)은 녹으면서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 2 실런트 물질(52a)에 접촉되게 된다.
이때, 제1 기판(10)에 인가되는 열과 압력은 제1 기판(10)의 연결 전극(18)이 제2 기판(30)의 콘택 스페이서(46)에 접촉될 때가지 지속된다.
이어서, 80℃ 내지 120℃의 열이 0.5hr 내지 3hr 동안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10, 30)에 인가되어 녹인 실런트 액상이 경화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런트 액상(50b)은 녹은 후 경화되어 제1 실런트(50)가 되고, 제2 기판(30)의 가장자리 영역에 도포된 제2 실런트 물질(52a)은 경화되어 제2 실런트(52)가 된다. 경화된 제1 실런트(50)는 강한 부착력을 가지고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부착된다.
특히, 제1 실런트(50)에 포함된 다수의 도전볼들(50')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볼들(50')은 콘택 스페이서(46)의 상면과 구동 소자(12)에 연결된 연결 전극(18)의 상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의 상면과 연결 전극(18)의 상면이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촉되게 된다.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사이에 배치된 도전볼들(50')은 도전볼들(50') 주변에 형성된 제1 실런트(50)가 경화됨에 따라, 경화된 제1 실런트(50)에 의해 도전볼들(50')이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전볼들(50')이 움직이지 않게 되어,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런트(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강한 접촉력으로 접촉되게 되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간의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런트(50)가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짐으로써, 제2 실런트(52)를 통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침투된다 하더라도 제1 실런트(50)에 의해 산소나 수분의 침투가 차단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로부터 구동 소자(12)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가 보호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실런트(50)가 강한 부착력을 가지고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38), 연결 전극(18), 콘택 스페이서(46) 및 제2 실런트(52)에 부착됨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조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는 제2 실런트(52)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1 실런트(50)가 외부의 산소나 수분을 충분히 차단시킬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제2 실런트(5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런트(50)는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에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런트(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강하게 접촉되며, 제1 실런트(50)에 포함된 도전볼들(50')에 의해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제1 실런트(50)를 제1 및 제2 기판들(10, 30) 사이의 모든 영역에 형성하지 않고, 콘택 스페이서(46)와 연결 전극(18) 사이의 영영에 국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실런트 재료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기판 12: 구동 소자
14: 보호막 18: 연결 전극
30: 제2 기판 32: 제1 전극
34: 유기발광층 36: 제2 전극
38: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40: 버퍼 패턴
42: 돌기 부재 44: 콘택 전극
46: 콘택 스페이서 48: 세퍼레이터
50: 제1 실런트 50a: 실런트 필름
50b: 실런트 액상 50” : 제1 실런트 물질
50': 도전볼 52: 제2 실런트
52a: 제2 실런트 물질

Claims (21)

  1. 구동 소자, 상기 구동 소자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소자가 노출되는 콘택홀을 갖는 보호막 및 상기 보호막상에 배치되며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구동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기판 중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제2 기판 중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 사이의 공간에 빈틈없이 채워치며, 다수의 도전볼들을 포함한 제1 실런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상기 구동소자, 연결 전극,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콘택 스페이서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 전극의 상부 전면은 상기 제1 실런트 또는 상기 도전볼들과 접촉하며, 상기 콘택 스페이서는 상기 연결 전극 중 임의의 한 부분과 전기적인 접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는, 제1 전극, 유기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 스페이서는, 돌기 부재 및 콘택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 전극은 상기 제2 전극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도전볼들을 매개로 하여 상기 콘택 스페이서의 상기 콘택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된 제2 실런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삭제
  8. 삭제
  9.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콘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상에 제1 실런트 물질과 다수의 도전볼들이 혼합 분산된 필름 형상을 갖는 실런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필름 상에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배치하여 상기 제2 기판을 제1 기판에 합착하는 단계;
    상기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에 제1 열과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실런트 필름을 녹이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우는 단계;
    상기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에 제2 열을 소정 공정 시간 동안 인가하여 상기 녹인 실런트 필름을 경화시켜 제1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0.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콘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상에 제1 실런트 물질과 다수의 도전볼들이 혼합 분산된 액상 형상을 갖는 실런트 액상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액상 상에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배치하여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1 기판에 합착하는 단계;
    상기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에 제1 열과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실런트 액상을 녹이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우는 단계;
    상기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에 제2 열을 소정 공정 시간 동안 인가하여 상기 녹인 실런트 액상을 경화시켜 제1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배치하기 전에,
    제2 실런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제2 실런트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은 60℃ 내지 100℃의 범위이고, 상기 압력은 0.2Pa 내지 3MPa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은 80℃ 내지 120℃의 범위이고, 상기 공정 시간은 0.5hr 내지 3hr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 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런트 물질은 상기 제1 실런트 물질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런트 물질은 상기 제1 실런트 물질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런트 물질들은 에폭시(epoxy) 계열, 아크릴(acryl) 계열, 이미드(imide) 계열 및 실레인(silane) 계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7. 구동 소자, 상기 구동 소자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소자가 노출되는 콘택홀을 갖는 보호막 및 상기 보호막상에 배치되며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구동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스페이서;
    상기 콘택 스페이서의 상면과 상기 연결 전극의 모든 상면에 배치되고, 다수의 도전볼들을 포함한 제1 실런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8.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콘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콘택 스페이서 상에 제1 실런트 물질과 다수의 도전볼들이 혼합 분산된 액상 형상을 갖는 실런트 액상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액상 상에 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을 배치하여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1 기판에 합착하는 단계;
    상기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에 제1 열과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실런트 액상을 녹이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상기 콘택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우는 단계;
    상기 합착된 제1 및 제2 기판들에 제2 열을 소정 공정 시간 동안 인가하여 상기 녹인 실런트 액상을 경화시켜 제1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런트가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실런트에 포함된 상기 도전볼들에 의해 상기 콘택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배치하기 전에,
    제2 실런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제2 실런트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은 60℃ 내지 100℃의 범위이고, 상기 압력은 0.2Pa 내지 3MPa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은 80℃ 내지 120℃의 범위이고, 상기 공정 시간은 0.5hr 내지 3hr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072513A 2008-07-22 2008-07-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513A KR101361958B1 (ko) 2008-07-25 2008-07-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009101402082A CN101635296B (zh) 2008-07-22 2009-07-07 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US12/506,027 US8323065B2 (en) 2008-07-22 2009-07-20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3/679,737 US9030095B2 (en) 2008-07-22 2012-11-16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513A KR101361958B1 (ko) 2008-07-25 2008-07-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48A KR20100011348A (ko) 2010-02-03
KR101361958B1 true KR101361958B1 (ko) 2014-02-11

Family

ID=4208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513A KR101361958B1 (ko) 2008-07-22 2008-07-25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338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01851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06304A (ko) * 2006-07-12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338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01851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US20080018245A1 (en) 2006-06-30 2008-01-24 Lg.Philips Lcd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80006304A (ko) * 2006-07-12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48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5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7478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4180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0001021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573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314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860036B1 (ko) 씨오지 타입 플렉서블 유기발광소자
KR102574483B1 (ko) 표시 장치
US903009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105475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209215A (ja)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203787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81134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50068191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2010000980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20110119428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CN108615820B (zh) Oled显示装置
KR10208886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709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200925268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2009231192A (ja)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6195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741046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10039776A (ko) 듀얼패널 타입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8288034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