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624B1 -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절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절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624B1
KR101361624B1 KR1020117027065A KR20117027065A KR101361624B1 KR 101361624 B1 KR101361624 B1 KR 101361624B1 KR 1020117027065 A KR1020117027065 A KR 1020117027065A KR 20117027065 A KR20117027065 A KR 20117027065A KR 101361624 B1 KR101361624 B1 KR 10136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bile device
adjusting
displaying informatio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988A (ko
Inventor
크리쉬난 라자마니
사미르 솔리만
아툴 수리
시바라마크리쉬나 비리팔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9348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616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1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wer Sour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절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DISPLAY POWER SAVINGS}
본 출원은 2009년 4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169,088호의 이점을 청구하며, 그 내용 전체를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셀 폰 디스플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들(예를 들어, 폰들, 스마트폰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들, MID(Mobile Internet Device)들 등)는 대형 및/또는 보조(secondary)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모니터들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외부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로부터 추가적인 전력 소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추가적인 전력 소비를 상쇄(offset)시킬 필요가 있다.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들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편의상,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여기서 단순히 "일부 양상들"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들 및 장치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각각 여러 양상들을 가지며, 이들 양상들 중 단지 하나만이 그 바람직한 속성들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표현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개시내용의 보다 중요한 특징들이 지금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을 검토한 후, 특히 "상세한 설명"이란 단락을 이해한 후에, 외부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전력 소비를 개선하는 장점들을 기술된 특징들이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 1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 2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적어도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송신기의 일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일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된,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된 전력을 조정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된 전력을 조정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어떤 특정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상들이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가 단지 대표적인 것임이 명백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들 양상들 중 2개 이상이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개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되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의 양상들 이외 또는 이들 양상들에 부가한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되거나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개념들의 일부 개념의 예로서, 일부 양상들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접속들이 무선 프로토콜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채널들은 유선 데이터 송신에 기초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폰들,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들, MID(Mobile Internet Device)들 등)은 통상적으로 크기의 제약들으로 인해 작은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가진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보다 큰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구비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시키려면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전력 소비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기술된다. 이하, 기술된 방법들 및 장치들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는 일부 아키텍처들에 대해 설명한다.
개인 또는 인체 영역 네트워크들은 서로 "페어링(pairing)"된 디바이스들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페어링은 사용자 제어 하에서 디바이스들을 상호 등록시키는 프로세스이다. 일단 페어링되면, 디바이스들은 통상적으로 그들이 범위 내에 있고 활성화될 때마다 페어링 프로세스의 재수행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페어링 전에,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이 발견 메시지(discovery message)들의 교환을 통해 서로 발견하는 발견가능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우선 서로 발견해야 한다. 발견 시에, 디바이스들은 서로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정 디바이스들에 대한 페어링으로 제한하는 보안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은 허가되지 않거나 원치 않는 디바이스들의 페어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패스워드(예를 들어, 종종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조 공장에서 정해진 4자리 숫자)에 응답해야만 하는 패스워드 인증 방식들을 포함할 수 있는 메시지들의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와 같은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있어서, 발견 및 페어링은 별도의 절차들이다. 그러나, 발견 및 페어링은 대부분 종종 함께 수행된다. 일부 무선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이러한 복잡성(예를 들어, 패스워드 입력)은 단지 디바이스들 페어링을 어렵게 하여, 많은 사용자를 번거롭게 한다. 페어링 가능한 상태, 및 선택적으로는 디바이스들의 시간적 및 물리적 코-로케이션(co-location)에 기초하여 페어링 프로세스를 조정함으로써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페어링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 양상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 제어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디바이스 상의 제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페어링 가능한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사용자에 의해 페어링 가능한 상태로 될 있는)로부터 발견 및 페어링 메시지를 수신할 때, 2개의 디바이스들은 추가적인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페어링될 수도 있다. 특정 디바이스들과의 페어링은, 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가 페어링 가능하게 구성되는 특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페어링 가능한 상태에 기초하여, 또는 특정 거리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페어링을 제한함으로써 또는 이들 조합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02)의 일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02)는 메모리(204)와 통신하는 프로세서(202), 및 선택적으로 무선 링크(106)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2)는 또한 키, 터치 스크린, 또는 다른 적절한 촉각(tactile)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12), 무선 링크(106)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가청 출력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스피커(loudspeaker)(214), 무선 링크(106)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는 신호의 가청 입력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216) 및/또는 디스플레이(2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시각 출력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는 CDMA, GSM, AMPS와 같은 신호들 또는 무선 셀 폰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른 공지된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디스플레이 제어기(224)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프로세서(202)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로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량을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를 턴-온(turn-on)/턴 오프(turn-off)하고, 디스플레이(210)의 명도(brightness)를 조정하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량을 어떻게 조정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02)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이 형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이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로 포워딩(forward)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를 턴-오프함으로써 디스플레이(210)에 의해 사용된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는 예시적인 디바이스(102)가 무선 링크(106)를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임의의 적절한 안테나(미도시), 수신기(220), 송신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는 또한 프로세서(202)의 처리 요건들을 감소시키는 처리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2)는 링크(108)에 의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광역 통신망)를 통해 통신하는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102) 중 하나 이상이 휴대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들에서는 상대적으로 휴대 불가능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는, IEEE 802.11 (a), (b), 또는 (g)를 포함하는 IEEE 802.11 표준,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는 이더넷(IEEE 802.3) 또는 USB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는 또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지털 인터페이스(MDDI)와 같은 적절한 유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또한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와 유사한 제 3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231)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MID(Mobile Internet Device) 또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102)에 통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들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되거나 이들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또는 장치(102)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 소프트웨어, 이들의 일부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것과 일부 다른 방식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낼 수 있는 일련의 상호 관련된 기능 블록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입력 디바이스들(212)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222)는 다른 디바이스(102)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관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송신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20)는,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10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관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은 일부 양상들에서 이들 컴포넌트들이 적절한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이들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은 일부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에 교시된 구조를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이들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기능의 일부 또는 모두를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파선으로 된 박스들로 표현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선택적이다.
도 2는 디바이스(102)의 송신기(222)의 일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도 2의 예시된 블록도에서, 디바이스(102)의 논리 모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계층으로 이루어진 추상적인 설명에 의하여 예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계층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논리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22)는: (i) 송신용 데이터 링크 및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402)에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401), (ii) 애플리케이션 계층(40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물리 계층(404)에 제공하는 MAC 계층(402), 및 (iii) MAC 계층(402)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데이터를 무선 채널(106)을 통해 송신하는 물리(PHY) 계층(4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송신기(222)에서, PHY 계층은 펄스 생성기(406), 코딩 및 변조 블록(408), 및 송신 블록(410)을 포함한다. 위상 고정 루프(PLL; 미도시)는 PHY 계층에 타이밍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펄스 생성기(406)는 가우시안 펄스 파형들과 같은 파형들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송신기(222)는 펄스 생성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코딩 및 변조 블록(408)은 컨벌루션 코딩(convolutional coding), 블록 코딩(block coding) 또는 연접 코딩(concatenated coding)과 같은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MAC 계층(402)에 의해 제공된 정보 신호를 코딩하고, 펄스 위치 변조, 펄스 진폭 변조, 또는 송신된 참조 변조(transmitted reference modulation)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코딩된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변조한다. 송신 블록(410)은 변조된 펄스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블록(410)의 기능은 송신을 위하여 변조된 펄스 신호를 증폭시키고 신호를 안테나에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디바이스(102)의 수신기(220)의 일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도 3의 예시된 블록도에서, 디바이스(102)의 논리 모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계층으로 이루어진 추상적인 설명에 의하여 예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계층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논리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수신기(220)는 애플리케이션 계층(401)과 MAC 계층(402)을 포함한다. 물리(PHY) 계층(404)은 MAC 계층(402)과 통신한다. 수신기의 PHY 계층(404)은 복조 및 디코딩 블록(508), 및 수신 블록(510)을 포함한다. 수신 블록(510)은 안테나, 전력 증폭기, 및 다른 적절한 수신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블록(510)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 블록(508)에 제공하며, 복조 및 디코딩 블록(508)은 신호를 복조하고 디코딩하여 MAC 계층(402)에 수신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수신기(220) 및 송신기(222)는 다양한 무선 물리 계층 방식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220) 및 송신기(222)의 물리 계층(404)은 CDMA, TDMA, OFDM, OFDMA, 또는 다른 변조 및 다중화 방식들 중 일부 형태를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된,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디스플레이(210)를 가진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는 디스플레이(608)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간섭 측정(interferometric) 변조 MEMS 디바이스들, LCD들, OLED들, CRT들, DLP들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들(210 및 608)은 보기(viewing) 위한 적절한 레벨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어레이(array)를 조명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는 액정들로 채워진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과 결합하여, 광 가이드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어레이에 걸쳐 광을 분배하기 위하여 광원에 근접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광 가이드들은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후방에 있는, 예를 들어 백라이트(backlight), 또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전방에 있는, 예를 들어 프론트라이트(frontlight)와 같이,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에 대해 다양한 방향들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원은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들의 백라이트는 광 가이드 슬래브(slab)를 포함하는데: 이는 광 생성기(예를 들어, LED, 여기서 LED로부터의 광은 광 가이드 슬래브의 에지(edge)를 따라 주입된다)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광 가이드 슬래브를 따라 광을 안내하며, 디바이스를 향해 광의 방향을 변경하여 방사한다. 따라서, 백라이트는 휘도(luminance) 또는 채도(chromatic) 대비(contrast)로 패턴들, 그래픽들, 또는 이미지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을 수 있는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 송신 및 반사 특성들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원은 형광 생성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원은 백열광 생성기, LED, 또는 다른 타입의 광 생성기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원은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된 후 광원에 도달하는 광의 실질적인 부분을 반사 또는 방사하는 실질적인 반사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반사 표면상으로의 입사광은, 예를 들어 태양으로부터의 광과 같은 자연광 또는 주변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은 다수의 상태들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신호(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기(224), 다른 제어기, 프로세서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신호에 응답하여, 광원은 턴-온 및 턴-오프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원은, 예를 들어, 상이한 명도(brightness) 레벨들 또는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광과 같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광을 방사하도록 변경함으로써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은 제 1 선택된 명도를 갖는 광을 방사하는 것으로부터 제 1 선택된 명도와 상이한 제 2 선택된 명도를 갖는 광을 방사하는 것으로 변경함으로써 신호에 응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원은 제 1 선택된 색상을 갖는 광을 방사하는 것으로부터 제 1 선택된 색상과 상이한 제 2 선택된 색상을 갖는 광을 방사하는 것으로 변경함으로써 신호에 응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는 다수의 상태들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신호(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기(224), 다른 제어기, 프로세서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신호에 응답하여, 픽셀들은 예를 들어 광원으로부터의 다소의 광이 사용자에게 도달하도록 상태들을 변경할 수 있다. 어레이 내 각 픽셀의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이미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예를 들어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8)와 같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는 유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는 접속될 때 이들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접속(108)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와 모바일 디바이스(102)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접속(108)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접속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210)는 파워-온(power-on)될 수 있어서 백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고 픽셀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10)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디바이스의 GUI와 같은 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접속(108)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접속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접속(108)을 검출하고, 디스플레이(608) 상에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정보를 전송한다. 디스플레이(608)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로부터의 이러한 정보를 포맷한 후 전송하는 것은 대량의 전력 소비를 유발하는 처리를 필요로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접속(108)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접속될 때 디스플레이(210)의 전력 소비를 조정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접속(108)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접속될 때 디스플레이(210)의 백라이트로의 전력을 턴-오프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의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를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 및 백라이트로의 전력을 턴-오프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의 백라이트의 명도 레벨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벽 충전기(wall charger)와 같은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10)의 전력 소비를 조정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1) 내에 잔류하는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10)의 전력 소비를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배터리(231) 내에 잔류하는 충전 레벨이 배터리(231)의 최대 충전 레벨의 50% 미만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210)의 전력 소비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0)는 N개의 상이한 명도 레벨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상이한 범위들의 배터리(231) 충전 레벨(예를 들어, 레벨 1은 충전 레벨 0%-20%에 대응하고, 레벨 2는 충전 레벨 21%-51%에 대응하며, 레벨 3은 충전 레벨 52%-100%에 대응함)에 대하여 상이한 명도 레벨로 디스플레이(210)를 세팅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들은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특정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10)의 전력 소비를 어떻게 조정할지를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러한 선호도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메모리(204),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호도들은 디스플레이(608) 및/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들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접속될 때, 선호도 파일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전력을 조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8)에 접속될 때, 선호도 파일은 디스플레이(210)가 턴-오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그와 연관된 고유의 선호도 파일을 가질 수 있어, 접속될 때 선호도 파일에 따라 조정한다. 특정 디폴트 세팅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접속될 때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시키는)을 구비한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해 디폴트 선호도 파일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0)가 터치 스크린이고, 디스플레이(608)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선호도는 디스플레이(210)가 턴-오프되며,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제어가 터치 스크린(608)에 의해 수신된 입력을 통해 달성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10)의 전력 소비를 어떻게 조정할지를 선택한다. 사용자 입력은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입력(212),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2)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와 인터페이싱하는 일부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저장된 선호도들을 편집하는데 이용될 수 있어서, 초기 조정 후, 사용자는 디바이스들(102 및 606)이 접속될 때마다 디폴트 세팅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은 디폴트 세팅들을 오버라이드(override)하도록 단지 한번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디스플레이(210)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할지, 턴-오프 할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 롤러볼(rollerball), 펜 및 스타일러스(stylus), 마우스, 또는 음성 인식 시스템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또한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의 프롬프트(prompt)들에 응답할 수 있다. 문자 또는 그래픽 정보는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접속(108)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에 초기에 접속될 때, 디스플레이(608)는 접속 직전에 디스플레이(210) 상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한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즉,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동일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608)는 스타트업(startup) 스크린을 보여주기 위하여 구동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접속(108)을 형성할때 사용자에게 동일한 초기 시각 정보가 항상 제시되도록 스타트업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 사이의 접속(108)이 끊어질때, 디스플레이(210)는 접속이 끊어지기 직전에 디스플레이(608) 상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한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동일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0)는 스타트업 스크린을 보여주기 위하여 구동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접속(108)이 끊어질 때 사용자에게 동일한 초기 시각 정보가 항상 제시도록 스타트업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606)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근접성으로 인해, 디바이스들은 자동적으로 페어링되어, 접속(108)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여, 어떻게 디스플레이(210)를 조정할지를 자동적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에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606)의 능력들(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비-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질의된다. 사용자에게는 또한 사용자의 선호도들(예를 들어, 백라이트를 턴-오프하는 것, 백라이트를 "온"으로 유지하는 것)에 대해 질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상에서 질의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또는 일부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606)는, 디바이스들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또는 디바이스들 간의 유선을 접속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606) 상의 입력을 통해 접속(108)을 개시한다.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전송된 전력을 조정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 7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다른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단계 710로 계속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접속된 디바이스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접속된 디바이스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프로세스(700)는 종료한다. 만일 접속된 디바이스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고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프로세스(700)는 단계 715로 계속된다. 단계 715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디스플레이(210)를 조정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도 4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210)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된 전력을 조정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다른 흐름도이다. 단계 8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다른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단계 810로 계속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접속된 디바이스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6))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접속된 디바이스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종료한다. 만일 접속된 디바이스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고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15로 계속된다. 단계 815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접속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디스플레이(210)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단계 81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25로 계속된다. 만일 단계 81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20로 계속된다. 또한, 단계 820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메모리(204)로부터 디스플레이(210)를 어떻게 조정할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판독한다.
단계 825로 계속하면,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접속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디스플레이(210)를 턴-오프하도록 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단계 82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를 턴-오프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35로 계속된다. 만일 단계 82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를 턴-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30으로 계속된다. 또한, 단계 830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를 턴-오프시키고, 단계 855로 진행한다.
단계 835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접속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디스플레이(210)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하도록 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단계 83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45로 계속된다. 만일 단계 83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40으로 계속된다. 또한, 단계 840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단계 855로 진행한다.
단계 845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접속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디스플레이(210)의 밝기를 낮추도록 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단계 84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의 밝기를 낮추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55로 계속된다. 만일 단계 84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210)의 밝기를 낮추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24)가 결정하면, 프로세스(800)는 단계 850로 계속된다. 또한, 단계 850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24)는 디스플레이(210)의 밝기를 낮추고, 단계 855로 진행한다.
단계 85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디스플레이용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들 중 하나 이상의 도면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은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유사하게 지정된 기능을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일련의 상호 관련된 기능 모듈들로 표현된다.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디스플레이 유닛(905), 조정 유닛(910), 및 검출 유닛(91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905)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대응할 수 있다. 조정 유닛(91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또는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 검출 장치(915)는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7의 모듈들의 기능은 본 명세서의 교시들과 일관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들 블록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예를 들어, ASIC)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모듈들의 기능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것과 일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과 같은 지시어를 사용한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 부호는 일반적으로 이들 엘리먼트들의 수량이나 순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서 이들 지시어들은 2개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엘리먼트의 예들 간을 구별하기 위한 편리한 방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의 참조 부호는 단지 2개의 엘리먼트만이 이용될 수 있거나, 일부 방식에서 제 1 엘리먼트가 반드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들 엘리먼트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가 본 발명의 특정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펨토 셀(femto cell)들과 매크로 셀(macro cell)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언급하지만, 다른 토폴로지(topology)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하고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앞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입자, 광학계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교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앞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기술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통신과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과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알고리즘들 또는 방법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어서,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 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별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ROM,EEPROM,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반송(carry)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또는 특별한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제시된 예들에 대한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8)

  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어레이(pixel array)에 대한 전력을 턴-오프(turn-off)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턴-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명도 레벨(brightness level)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파워-온(powered-on)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지 아니면 비-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처음으로 접속될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처음으로 분리될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제 2 상태와 상이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제 2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5.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처리 회로; 및
    적어도 상기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어레이에 대한 전력을 턴-오프 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턴-오프 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명도 레벨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3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적어도 상기 외부 전원과의 접속이 검출된 경우, 파워-온(powered-on)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3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지 아니면 비-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처음으로 접속될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상태로 세팅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처음으로 분리될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상태로 세팅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 3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제 2 상태와 상이한,
    모바일 디바이스.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제 2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
  2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 회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9. 장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상기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어레이에 대한 전력을 턴-오프 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턴-오프 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명도 레벨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3. 삭제
  34. 코드들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검출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컴퓨터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무선 접속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어레이에 대한 전력을 턴-오프 시키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시 레이트를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제 34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턴-오프 시키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 34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명도 레벨을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8. 삭제
KR1020117027065A 2009-04-14 2010-04-14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361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08809P 2009-04-14 2009-04-14
US61/169,088 2009-04-14
US12/580,983 2009-10-16
US12/580,983 US8238979B2 (en) 2009-04-14 2009-10-16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display power savings
PCT/US2010/031016 WO2010120868A2 (en) 2009-04-14 2010-04-14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display power sav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88A KR20120013988A (ko) 2012-02-15
KR101361624B1 true KR101361624B1 (ko) 2014-02-11

Family

ID=4293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065A KR101361624B1 (ko) 2009-04-14 2010-04-14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절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238979B2 (ko)
EP (1) EP2420103B1 (ko)
JP (2) JP5485372B2 (ko)
KR (1) KR101361624B1 (ko)
CN (1) CN102396291A (ko)
BR (1) BRPI1013779B1 (ko)
DK (1) DK2420103T3 (ko)
ES (1) ES2582796T3 (ko)
HU (1) HUE027600T2 (ko)
PL (1) PL2420103T3 (ko)
PT (1) PT2420103T (ko)
SI (1) SI2420103T1 (ko)
TW (1) TWI423705B (ko)
WO (1) WO20101208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1964B2 (en) * 2004-02-27 2007-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LCD backlight duration proportional to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LCD display screen
US9081573B2 (en) * 2010-02-19 2015-07-1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painting an external display during transitioning to a low power state
EP2605413B1 (en) * 2010-08-13 2018-10-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system compris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2020864A1 (ko) * 2010-08-13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530869B (zh) * 2011-02-15 2016-04-21 英特爾公司 用以自動地再繪製外部顯示器之方法及設備、及電腦可讀取媒體
JP5445599B2 (ja) * 2011-03-23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装置、および機器連携システム
US9369820B2 (en) 2011-08-23 2016-06-14 Ht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pplication interface switching method
US10152294B2 (en) 2011-08-23 2018-12-11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two platform systems or applications thereon
EP2757951B1 (en) * 2011-09-23 2016-11-09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sensor data
TWI568134B (zh) * 2011-10-24 2017-01-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充電控制方法
JP5504247B2 (ja) * 2011-12-07 2014-05-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およびタイマ時刻設定方法
KR20130101629A (ko) * 2012-02-16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실행 환경 지원 휴대단말에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GB2504455A (en) * 2012-05-31 2014-02-05 Denso Corp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an in-vehicle apparatus
CN103513747A (zh) * 2012-06-27 2014-01-15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设备、智能信号传输系统及其省电控制方法
KR20140003151A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RU2523040C2 (ru) 2012-10-02 2014-07-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Регулировка яркости экран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256316B2 (en) * 2013-05-04 2016-02-09 Nvidia Corporation Power gating a display of a data processing device during cloning thereof across an external display while retaining touch-sensibility thereof
CN103226458B (zh) * 2013-05-09 2018-03-2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移动设备的多屏显示控制方法
JP6257336B2 (ja) * 2014-01-14 2018-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9538316B2 (en) * 2014-07-25 2017-01-03 Hann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Smart monitor system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5278716A (zh) * 2014-07-25 2016-01-27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型监视系统及手持式电子装置
US11314313B2 (en) 2016-10-19 2022-04-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reen casting
WO2018144027A1 (en) * 2017-02-06 2018-08-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rroring of screens
CN111201507B (zh) * 2017-10-10 2023-11-03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
JP7013850B2 (ja) * 2017-12-22 2022-0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610689A (zh) * 2019-09-20 2019-12-24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显示器接口的电压分配方法、装置及显示设备
WO2024029259A1 (ja) * 2022-08-05 2024-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87A (ja) * 2001-05-14 2002-11-29 Nec Saitama Ltd 携帯電話無線機
JP2009049669A (ja) * 2007-08-20 2009-03-05 Hitachi Ltd モバイル機器、画像表示装置、画像インタフェース及びクレードル
KR20090049669A (ko) * 2007-11-14 2009-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엘이디 헤드램프 드라이버의 온도보상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482B2 (ja) * 1998-07-29 2005-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US7194085B2 (en) * 2000-03-22 2007-03-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US7113811B2 (en) * 2003-06-17 2006-09-26 Ager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in a mobile station
CN100521487C (zh) * 2003-06-25 2009-07-29 三菱电机株式会社 变频器装置中的省功率效果显示装置
EP1560101A1 (en) * 2004-01-27 2005-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apparatus, computers and related methods
JP2005252511A (ja) * 2004-03-03 2005-09-15 Nec Corp Tv電話画像及び音声転送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tv電話画像及び音声転送方法
US7389432B2 (en) * 2004-11-10 2008-06-17 Microsoft Corporation Advanced power management for computer displays
US7873974B2 (en) * 2005-09-19 2011-01-18 Sony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using a portable wireless device
US7344084B2 (en) * 2005-09-19 2008-03-18 Sony Corporation Portable video programs
KR100581057B1 (ko) 2005-10-19 2006-05-16 (주)드림투리얼리티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외부디스플레이장치간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US7885690B2 (en) * 2005-12-28 2011-02-08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Methods for driving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and processing audio messages
KR100816286B1 (ko) * 2006-05-18 2008-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CN101076159A (zh) * 2006-05-19 2007-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省电的移动通讯终端及方法
TW200806029A (en) * 2006-07-14 2008-01-16 Asustek Comp Inc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657227B2 (en) * 2006-08-03 2010-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display connectivity based on configuration information via RFID tag
US7937113B2 (en) * 2006-08-11 2011-05-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Graphical display
KR100842570B1 (ko) * 2006-11-03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JP2008182570A (ja) * 2007-01-25 2008-08-07 Nec Electronics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TWI362612B (en) * 2007-09-05 2012-04-21 Htc Corp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023975B2 (en) * 2009-03-23 2011-09-20 T-Mobile Usa, Inc. Secondary status display for mobile device
EP2360665A3 (en) * 2009-11-26 2012-03-28 LG Electronic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87A (ja) * 2001-05-14 2002-11-29 Nec Saitama Ltd 携帯電話無線機
JP2009049669A (ja) * 2007-08-20 2009-03-05 Hitachi Ltd モバイル機器、画像表示装置、画像インタフェース及びクレードル
KR20090049669A (ko) * 2007-11-14 2009-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엘이디 헤드램프 드라이버의 온도보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96291A (zh) 2012-03-28
US20100261506A1 (en) 2010-10-14
BRPI1013779A2 (pt) 2016-11-16
BRPI1013779A8 (pt) 2019-01-29
JP2014089743A (ja) 2014-05-15
PL2420103T3 (pl) 2016-10-31
SI2420103T1 (sl) 2016-08-31
BRPI1013779B1 (pt) 2021-08-31
HUE027600T2 (en) 2016-10-28
EP2420103B1 (en) 2016-05-18
JP5485372B2 (ja) 2014-05-07
WO2010120868A3 (en) 2011-01-13
EP2420103A4 (en) 2013-08-07
WO2010120868A2 (en) 2010-10-21
PT2420103T (pt) 2016-07-19
ES2582796T3 (es) 2016-09-15
EP2420103A2 (en) 2012-02-22
TW201136387A (en) 2011-10-16
WO2010120868A8 (en) 2011-12-08
US8238979B2 (en) 2012-08-07
JP2012524472A (ja) 2012-10-11
DK2420103T3 (en) 2016-07-18
TWI423705B (zh) 2014-01-11
KR20120013988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62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절전 시스템 및 방법
US86305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 wireless connection
CN105379315B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发送内容的设备和方法
US9100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group profil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KR102266730B1 (ko) 전자 장치
TW201242281A (en) Electronic apparatus, proximity network system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TW20113629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s
CN110675838B (zh) 亮度调节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JP2011216066A (ja) 情報処理装置
WO2019015457A1 (zh) 盲检测参数获取方法、相关设备及系统
WO2015078145A1 (zh) 放大显示字体的方法和装置
CN114598401B (zh) 射频测试方法、蓝牙设备、电子设备及射频测试系统
US20160112988A1 (en) Method for indicating alarm by portable terminal and accessory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the same
KR20220086630A (ko) 세컨더리 셀(Scell) 휴면 지시 처리 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기기
US11065457B2 (en) Method for waking up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from a dormant state, implantable medical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suc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KR101638050B1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422712A (zh) 音频反馈和对光功能和设置的依赖性
WO2021197123A1 (zh) 休眠行为处理方法、指示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160039831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3894B1 (ko) 휴대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031086A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콘텐츠 공유
KR102055783B1 (ko) 휴대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5413340A (zh) 用于产生指令集的表示的输出部件的操作
US20080125034A1 (en) Method of executing control mode of radio frequency unit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TW201022983A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working state of a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