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380B1 -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380B1
KR101361380B1 KR1020127008534A KR20127008534A KR101361380B1 KR 101361380 B1 KR101361380 B1 KR 101361380B1 KR 1020127008534 A KR1020127008534 A KR 1020127008534A KR 20127008534 A KR20127008534 A KR 20127008534A KR 101361380 B1 KR101361380 B1 KR 10136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nitor
elevator
display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605A (ko
Inventor
아야코 나가타
기요야스 마루야마
도모노리 하토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6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signs other than label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여러가지 영상을 표시시킬 때에, 모니터의 화면 조정의 수고를 생략하면서, 화면의 오조정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선택하고,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전환하는 표시 전환 제어부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모니터의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에 기초하여, 표시 전환 제어부에 선택되어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화면 조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DISPLAY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칸 위치나 운행 방향 등의 엘리베이터 정보 영상, 방송 영상, DVD 영상, 방범 카메라 영상 등 여러가지 종류의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에 의해,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게는 쾌적한 환경이 주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영상은 텔레비젼 신호로 모니터에 전송된다. 그리고 각각의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텔레비젼 신호에 기초한 표시를 행하고 있는 모니터를 눈으로 보고 확인하여 영상의 유효 부분과 무효 부분이 판단된다. 이와 같은 판단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의 크기나 표시 위치가 수동으로 조정된다.
이것에 대해서, 텔레비젼 신호를 표시하는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는 영상의 유효 부분과 무효 부분(상하에 부가된 흑대(黑帶) 표시 등)을 자동으로 판별하여, 무효 부분을 표시시키지 않게 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및 2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7-16275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6-22978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텔레비젼 장치의 자동 판별 기능을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적용하면, 예를 들어, 흑의 배경에 백지로 층상명 및 방향등(方向燈)을 표시시킨 엘리베이터 정보 화면을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 배경으로서 표시시키고 싶은 검은 부분까지가 무효 부분으로 판정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여러가지 영상을 표시시킬 때에, 모니터의 화면 조정의 수고를 생략하면서, 화면의 오조정(誤調整)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전환하는 표시 전환 제어부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모니터의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전환 제어부에 선택되어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화면 조정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여러가지 영상을 표시시킬 때에, 모니터의 화면 조정의 수고를 생략하면서, 화면의 오조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한 모니터의 화면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화면 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한 모니터의 화면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화면 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모니터이다. 이 모니터(1)는 고층 빌딩 등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다. 이 모니터(1)는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2는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이다. 이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2)는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반에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2)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나 운행 방향 등,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3은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이다. 이러한 영상 입력 장치(3)는 텔레비젼의 방송 영상, DVD 영상, 방범 카메라 영상, 여러가지 종류의 영상을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4는 표시 제어 장치이다. 이 표시 제어 장치(4)는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2)로부터 입력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 장치(4)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3)로부터 입력된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선택하여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 표시 제어 장치(4)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 제어 장치(4)는 표시 영상 설정부(5), 표시 영상 선택부(6), 표시 전환 제어부(7), 화면 조정부(8)를 구비한다. 표시 영상 설정부(5)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의 종류와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영상의 종류가 대응지어져 설정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표시 영상 설정부(5)는 영상의 종류마다 모니터(1)에 표시시킬 때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가 설정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표시 영상 선택부(6)는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2)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표시 영상 선택부(6)는 입력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대응지어진 영상의 종류에 관한 정보와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 영상 설정부(5)로부터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표시 전환 제어부(7)는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3)로부터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표시 전환 제어부(7)는 표시 영상 선택부(6)가 검출한 영상의 종류에 관한 정보와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추가로, 표시 전환 제어부(7)는 표시 영상 선택부(6)가 검출한 영상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3)로부터 입력된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선택해서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화면 조정부(8)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2)를 구비한다.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는 표시 전환 제어부(7)가 선택한 영상 신호와 당해 영상에 대응한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는 입력된 영상의 영상 유효 영역을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검출된 영상 유효 영역과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는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기억된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aspect ratio)를 산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는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다른 경우에,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를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에 맞추는 기능을 구비한다. 추가로,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는 조정 후의 영상 유효 영역을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덧쓰기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2)는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화면 조정이 필요한 취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기억된 영상 유효 영역의 크기를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화면 조정부(8)에서 모니터(1)의 화면 조정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한 모니터의 화면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례로서,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검출된 영상 유효 영역의 크기가 720px*480px이고,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가 320px*240px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는 3:2이다. 한편,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는 4:3이다. 구체적으로, 영상 유효 영역은 모니터(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길다. 이 경우, 영상 유효 영역은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어스펙트비가 조정된다. 즉, 영상 유효 영역의 수평 방향이 680px로 되도록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유효 영역의 중심이 유지되도록, 영상 유효 영역의 좌우 양측이 20px씩 삭제된다. 이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에 맞게 된다.
그러나 이대로는 조정 후의 영상 유효 영역이 모니터(1)의 표시 영역보다 크다. 그래서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2)에 의해, 조정 후 영상 유효 영역의 크기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후 영상 유효 영역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이 동일한 비율로 축척된다. 이에 의해, 영상은 홀쭉해지거나 퍼지지 않고 올바르게 모니터(1)에 표시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화면 조정부(8)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화면 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 S1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이 검출되고, 단계 S2로 진행된다.
단계 S2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의해 검출된 영상 유효 영역이 기억되고, 단계 S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비교되고, 단계 S4로 진행된다. 단계 S4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양자의 어스펙트비가 다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양자의 어스펙트비가 동일한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서, 영상 유효 영역의 비율이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비율보다 세로로 긴 경우는 단계 S5로 진행된다. 단계 S5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에 맞도록 수직 방향의 영상 유효 영역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유효 영역의 상하가 삭제된다. 그 후, 단계 S6으로 진행되어,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기억된 영상 유효 영역이 갱신되고,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 S4에서 영상 유효 영역의 비율이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비율보다 가로로 긴 경우는 단계 S7로 진행된다. 단계 S7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에 맞도록 수평 방향의 영상 유효 영역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유효 영역의 좌우가 삭제된다. 그 후, 단계 S6으로 진행되어,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기억된 영상 유효 영역이 갱신되고, 동작이 종료된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표시 제어 장치(4)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 S11에서,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2)에 의해 엘리베이터 정보가 송신되고, 단계 S12로 진행된다. 단계 S12에서는 표시 영상 선택부(6)에 의해,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영상의 설정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고, 단계 S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3에서는 표시 영상 선택부(6)에 의해,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영상이 결정되고, 단계 S14로 진행된다. 단계 S14에서는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의해,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전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영상을 전환하는 경우는 단계 S15로 진행된다. 단계 S15에서는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의해, 결정된 영상에 대응한 영상 입력 장치(3)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모니터(1)에 출력되도록 전환되고, 단계 S1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6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가 판단된다.
화면 조정이 필요한 경우는 단계 S17로 진행된다. 단계 S17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이 검출된 후, 영상 유효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조정이 행해지고, 단계 S18로 진행된다. 단계 S18에서는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2)에 의해, 조정 후 영상 유효 영역의 크기를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확대ㆍ축소 처리가 이루어지고, 단계 S19로 진행된다. 단계 S19에서는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2)에 의해, 확대ㆍ축소 처리 후의 영상이 모니터(1)에 출력된다.
이것에 대해서, 단계 S16에서 화면 조정이 불필요한 경우는 단계 S17 및 S18을 경유하지 않고, 단계 S19로 진행된다. 즉, 이 경우는 영상 유효 영역의 검출이나 조정, 모니터(1)의 표시 영역에 맞춘 확대ㆍ축소 처리를 하지 않고, 표시 전환 제어부(7)가 출력한 영상이 그대로 모니터(1)에 출력된다. 또한, 단계 S14에서 영상을 전환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9에서 현상의 영상이 모니터(1)에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복수의 영상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기초하여,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선택되어 모니터(1)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가 판단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배경으로서 표시시키고 싶은 검은 부분까지를 무효 부분으로 판정해 버린다고 하는 오조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모니터(1)에 여러가지 영상을 표시시킬 때에, 모니터(1)의 화면 조정의 수고를 생략하면서, 화면의 오조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영상 입력 장치(3)에 대한 화면 조정 결과를 파라미터로서 기억해 둘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메모리의 절약으로도 연결된다. 추가로, 화면 조정의 수고를 생략하여 유연한 설정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영상 입력 장치(3)의 변경이나 표시 내용의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추가로,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다른 경우는 영상 유효 영역의 가장자리부가 삭제되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모니터(1)의 어스펙트비가 맞도록 조정된다. 이 때문에, 홀쭉해지거나 퍼져 있지 않은 올바른 영상을 모니터(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선택된 영상의 영상 유효 영역에 관한 조정의 필요 여부 및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선택된 영상을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조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선택된 영상의 영상 유효 영역에 관한 조정의 필요 여부 및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선택된 영상을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조정의 필요 여부 중 적어도 일방을 판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한 모니터의 화면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영상 유효 영역의 가장자리부를 삭제하여,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를 모니터(1)의 어스펙트비에 맞추도록 하고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영상 유효 영역의 가장자리부에 대(帶)를 부가하여,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를 모니터(1)의 어스펙트비에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검출된 영상 유효 영역의 크기가 720px*480px이고,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가 320px*240px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는 3:2이다. 한편,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는 4:3이다. 구체적으로, 영상 유효 영역은 모니터(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길다.
이 경우, 영상 유효 영역은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어스펙트비가 조정된다. 즉, 영상 유효 영역의 수직 방향이 540px로 되도록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유효 영역의 상하 양측에 30px의 대가 부가된다. 이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에 맞게 된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화면 조정부(8)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화면 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 S21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이 검출되고, 단계 S22로 진행된다.
단계 S22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의해, 검출된 영상 유효 영역이 기억되고, 단계 S23으로 진행된다. 단계 S23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비교되고, 단계 S24로 진행된다. 단계 S24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양자의 어스펙트비가 다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양자의 어스펙트비가 동일한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서, 영상 유효 영역의 비율이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비율보다 세로로 긴 경우는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S25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에 맞도록 수평 방향의 영상 유효 영역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유효 영역의 좌우에 대가 부가된다. 그 후, 단계 S26으로 진행되어,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기억된 영상 유효 영역이 갱신되고,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 S24에서 영상 유효 영역의 비율이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비율보다 가로로 긴 경우는 단계 S27로 진행된다. 단계 S27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에 맞도록 수직 방향의 영상 유효 영역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유효 영역의 상하에 대가 부가된다. 그 후, 단계 S26으로 진행되어,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10)에 기억된 영상 유효 영역이 갱신되고,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다른 경우는 영상 유효 영역의 가장자리부에 대가 부가되어,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모니터(1)의 어스펙트비가 맞도록 조정된다. 이 때문에, 홀쭉해지거나 퍼져 있지 않은 올바른 영상을 모니터(1)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화면 조정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는 어떤 처리도 행해지지 않은 영상을 모니터(1)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표시 전환 제어부(7)가 영상을 선택할 때마다, 필요에 따라서 영상 유효 영역의 조정이 행해진 영상에 대해서,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3)는 화면 조정부(8)가 아니라, 영상 전환 제어부(7)와 모니터(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3)는 영상 전환 제어부(7)에 선택된 영상에 대해서,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표시 제어 장치(4)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 S31에서,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2)에 의해 엘리베이터 정보가 송신되고, 단계 S32로 진행된다. 단계 S32에서는 표시 영상 선택부(6)에 의해,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영상의 설정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고, 단계 S3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3에서는 표시 영상 선택부(6)에 의해,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영상이 결정되고, 단계 S34로 진행된다. 단계 S34에서는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의해, 모니터(1)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전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영상을 전환하는 경우는 단계 S35로 진행된다. 단계 S35에서는 표시 전환 제어부(7)에 의해, 결정된 영상에 대응한 영상 입력 장치(3)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모니터(1)에 출력되도록 전환되고, 단계 S36으로 진행된다. 단계 S36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가 판단된다.
화면 조정이 필요한 경우는 단계 S37로 진행된다. 단계 S37에서는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9)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이 검출된 후, 영상 유효 조정부(11)에 의해 영상 유효 영역의 조정이 행해지고, 단계 S38로 진행된다. 단계 S38에서는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3)에 의해, 조정 후 영상 유효 영역의 크기를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확대ㆍ축소 처리가 이루어지고, 단계 S39로 진행된다. 단계 S39에서는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3)에 의해, 확대ㆍ축소 처리 후의 영상이 모니터(1)에 출력된다.
이것에 대해서, 단계 S36에서 화면 조정이 불필요한 경우는 단계 S37을 경유하지 않고, 단계 S38로 진행된다. 단계 S38에서는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3)에 의해, 무조정의 영상 유효 영역의 크기를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확대ㆍ축소 처리가 이루어지고, 단계 S39로 진행된다. 단계 S39에서는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3)에 의해, 확대ㆍ축소 처리 후의 영상이 모니터(1)에 출력된다. 또한, 단계 S34에서 영상을 전환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9에서 현상의 영상이 모니터(1)에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표시 전환 제어부(7)가 영상을 선택할 때마다, 화면 조정부(8)가 필요에 따라서 영상 유효 영역의 조정을 행한 영상에 대해서, 모니터(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조정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영상 유효 영역의 조정을 행하는 기기가 고장나도, 적절한 크기의 영상을 모니터(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 3에 있어서는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의 판단을 복수의 영상마다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의 판단을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3)마다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방범 카메라 A ~ F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카메라 A 및 B에 대해서는 화면 조정을 필요로 하고, 카메라 C ~ F에 대해서는 화면 조정을 불필요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의 판단을 엘리베이터의 동작마다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주행 중에는 화면 조정을 필요로 하고, 엘리베이터의 정지 중에는 화면 조정을 불필요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추가로,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12, 13)는 영상의 크기가 임의의 크기로 되도록 조정해도 좋다. 특히, 표시 전환 제어부(7)가 복수의 영상을 선택하고, 화면 조정부(8)가 복수의 영상이 동시에 모니터(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복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 대해서 보다 많은 정보를 동시에 줄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하면, 승강장이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모니터,
2 엘리베이터 정보 관리부,
3 영상 입력 장치,
4 표시 제어 장치,
5 표시 영상 설정부,
6 표시 영상 선택부,
7 표시 전환 제어부,
8 화면 조정부,
9 영상 유효 영역 검출부,
10 영상 유효 영역 기억부,
11 영상 유효 영역 조정부,
12, 13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

Claims (9)

  1.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특정의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전환하는 표시 전환 제어부와,
    상기 표시 전환 제어부에 선택된 영상의 영상 유효 영역에 관한 조정의 필요 여부 및 상기 표시 전환 제어부에 선택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조정의 필요 여부 중 적어도 일방을 판단하는 화면 조정부와,
    상기 표시 전환 제어부가 영상을 선택할 때마다, 상기 화면 조정부가 상기 화면 조정의 필요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영상 유효 영역의 조정을 행한 영상에 대해서, 상기 모니터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는 조정을 행하는 영상 확대ㆍ축소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조정부는 상기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aspect ratio)와 상기 모니터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다른 경우는, 상기 영상 유효 영역의 가장자리부를 삭제하여, 상기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를 상기 모니터의 어스펙트비에 맞추는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조정부는 상기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와 상기 모니터의 표시 영역의 어스펙트비가 다른 경우는, 상기 영상 유효 영역의 가장자리부에 대(帶)를 부가하여, 상기 영상 유효 영역의 어스펙트비를 상기 모니터의 어스펙트비에 맞추는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조정부는 상기 표시 전환 제어부가 복수의 영상을 선택한 경우는, 상기 표시 전환 제어부에 선택된 복수의 영상이 상기 모니터의 표시 영역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상기 선택된 복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7008534A 2009-12-15 2009-12-15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KR101361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70903 WO2011074073A1 (ja) 2009-12-15 2009-12-15 エレベータの表示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605A KR20120059605A (ko) 2012-06-08
KR101361380B1 true KR101361380B1 (ko) 2014-02-10

Family

ID=4416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534A KR101361380B1 (ko) 2009-12-15 2009-12-15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14701B1 (ko)
JP (1) JP5375973B2 (ko)
KR (1) KR101361380B1 (ko)
CN (1) CN102639423B (ko)
WO (1) WO2011074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7638A (zh) * 2012-10-22 2013-01-30 苏州奔一机电有限公司 电梯轿门运行控制装置
DE112016006581B4 (de) * 2016-03-14 2022-04-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71A (ja) * 1995-06-22 1997-01-10 Sony Corp 画像出力装置
JP2008143684A (ja) 2006-12-13 2008-06-2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情報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564B2 (ja) 1993-10-14 2001-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の特徴検出装置、画像調整システム、字幕編集システム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549156B1 (ko) * 2001-07-23 2006-02-0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표시 장치
JP2005119842A (ja) * 2003-10-20 2005-05-12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映像音声配信装置
JP2006229781A (ja) 2005-02-18 2006-08-31 Sharp Corp 映像変換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2007329700A (ja) * 2006-06-08 2007-12-20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101052646B1 (ko) * 2006-12-11 2011-07-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감시 시스템
JP2008216343A (ja) * 2007-02-28 2008-09-18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289091A (ja) * 2007-05-21 2008-11-27 Canon Inc 画像表示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71A (ja) * 1995-06-22 1997-01-10 Sony Corp 画像出力装置
JP2008143684A (ja) 2006-12-13 2008-06-2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情報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073A1 (ja) 2011-06-23
JPWO2011074073A1 (ja) 2013-04-25
CN102639423A (zh) 2012-08-15
EP2514701A1 (en) 2012-10-24
EP2514701A4 (en) 2015-10-07
JP5375973B2 (ja) 2013-12-25
KR20120059605A (ko) 2012-06-08
EP2514701B1 (en) 2021-08-18
CN102639423B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1006B2 (ja) 自動追尾カメラ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自動追尾カメラシステム
CN102455575B (zh) 投影型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070121012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17223458A (ja) 画像処理センサ、画像処理方法
US20030202102A1 (en) Monitoring system
US20110019066A1 (en) Af frame auto-tracking system
JP6566626B2 (ja) 撮像装置
US8363108B2 (en) Autofocus system
JP2005114905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による画面の投射方法
JP2013098862A (ja) 携帯機器
US20120105660A1 (en) Image producing apparatus
KR101361380B1 (ko)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장치
JP2007194741A (ja) フリッカ映像検出装置、フリッカ映像検出プログラム、映像表示装置、不適正輝度画素数算出方法及びフリッカ検出方法
KR20130023787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889278B2 (en) Display apparatus that displays image and sub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224025A (ja) 画像処理センサ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1129068A (ja) 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7936382B2 (en) Image pickup device, projector including the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JP2006195771A (ja) 画像表示装置
JP4458945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ビデオ処理装置およびその文字表示方法
KR101315298B1 (ko)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서의 osd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모니터에서의 osd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EP3800881A1 (en) Operation apparatus, multi-apparatus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JP4495561B2 (ja) 撮像装置
JP2002207469A (ja) 画像表示装置の保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