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830B1 -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830B1
KR101360830B1 KR1020130142018A KR20130142018A KR101360830B1 KR 101360830 B1 KR101360830 B1 KR 101360830B1 KR 1020130142018 A KR1020130142018 A KR 1020130142018A KR 20130142018 A KR20130142018 A KR 20130142018A KR 101360830 B1 KR101360830 B1 KR 10136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arian
lactic acid
composition
inactivation
ov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문
정준
이기세
Original Assignee
(주)나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나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3014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830B1/ko
Priority to PCT/KR2014/000302 priority patent/WO2015076455A1/ko
Priority to US14/400,489 priority patent/US98445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소 불활화를 위하여 선택 주입한 조성물이 동물의 생육에 하등의 장애를 초래하지 않음은 물론 난소 불활 조성물에 의한 주입 조성물이 식육으로서의 품질이나 안전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 젖산을 이용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젖산 10중량% 내지 90중량%와, 부용제 10중량% 내지 90중량%로 조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난소에 국소적으로 주입하였을 시 난소의 실질 조직이 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개체의 발정억제효과를 가져와 성장률을 향상시키고 식욕을 유지시켜 식육 생산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1회의 미량 주사만으로 난소의 불활이 완성되므로 생체 및 고기 내 젖산의 잔류가 없으며, 본 발명은 난소 불활 조성물의 주입에 따른 휴약기간이 없고 혈중 젖산농도의 증가를 야기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 인증에 적합한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며, 불활 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Ovarian Inactivation Composition for Animal Containing Lactic Acid}
본 발명은 소나 돼지 등 암컷 개체의 난소 기능이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식육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나 돼지 등의 동물에서 난소 기능을 불활화함으로써 개체의 발정억제효과를 가져와 성장률을 향상시키고 식욕을 유지시켜 식육 생산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난소 기능 제거를 위하여 종래에는 암컷 개체의 복부를 절개하여 난소를 제거하였으며, 이 경우 복부에 절개한 수술 자국이 남게 되어 암컷 개체 식육의 상품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소 제거 수술을 받은 개체의 수술 후 회복 관리 및 수술 부위의 염증 발생 방지를 위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수술비용이 과다하여 육류 생산의 경제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란 및 여포 성숙 억제제를 사료와 함께 급이하여 난소기능이 억제되도록 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지속적인 약품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여 경제성이 저하되고 호르몬 성분의 잔류가 불가피하여 친환경 인증을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난소 기능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41658(발명의 명칭: 레이저를 이용한 자궁근종 용해술 시술기구 ;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도 1의 시술기구를 사용하여 암컷개체의 복부를 절개하지 않고 난소의 실질조직에 시술기구의 뾰족하고 날카로운 부분이 침투되도록 하되, 인용발명1에서의 레이저가 아닌 약품을 침투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이 하자면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기구와 함께 시술 시야 확보를 위한 초음파 장비, 카메라 등이 동원되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여러 절차 수행과 장비 활용을 위한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여 식육의 생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어서 적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254705(발명의 명칭: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기구; 이하 '인용발명2'라 함)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카테타의 전방으로 스토퍼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카테타의 후방으로 니들이 구비된 연통관이 삽입되며, 상기 연통관의 내부에 피스톤이 배치되고 연통관의 후단에 멈춤링이 구비되며, 카테타 후단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관 내부의 피스톤과 누름판을 연장간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주입기구를 제안하였다.
이에 의하여 인용발명2는 별도의 기구나 초음파 장비 없이 실린지 니들이 안전하게 난소 실질조직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실현가능한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기구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인용발명2는 난소의 실질조직에 정확하게 도달하는 시점까지 니들이 카테타 내부에 몰입되어 있으며, 실질조직에 정확히 도달한 이후 간단한 조작으로 니들이 돌출되어 난소의 실질조직에 침투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판을 누름으로써 난소 기능 불활 약제가 주입되며, 이어서 간단하게 니들을 후퇴시키고 카테타 전체를 탈거함으로써 시술을 안전하고 간편하며 경제적으로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인용발명2는 개체의 발정억제효과를 가져와 성장률을 향상시키고 식욕을 유지시켜 식육 생산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특히 복부절개의 결과와 같은 식육의 품질저하나 막대한 시술 비용부담 및 개체의 시술 후의 관리 부담이 없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란 및 여포 성숙 억제제를 장기 급여함에 따른 비용부담이나 잔류로 인한 친환경 인증의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인용발명2는 시술이 안전하며 신속하고 각종 기구나 초음파 시설이 불필요하게 되어 식육 생산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용발명2의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 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난소 불활 조성물이 확보되어야 하는 바, 식육으로서의 안전을 보장하고 품질 저하의 방지를 보장할 수 있는 동물용 난소 불활 조성물은 현재 까지 알려진 바 없으므로, 인용발명2를 활용하기 위한 안전하며, 우수한 품질의 식육 생산이 가능한 난소 불활 조성물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41658(발명의 명칭: 레이저를 이용한 자궁근종 용해술 시술기구) 2.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254705(발명의 명칭: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인용발명2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난소의 실질조직에 주입할 수 있는 난소 불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난소 불활화를 위하여 선택 주입한 조성물이 동물의 생육에 하등의 장애를 초래하지 않음은 물론 난소 불활 조성물에 의한 주입 조성물이 식육으로서의 품질이나 안전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 젖산을 이용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젖산 10중량% 내지 90중량%와, 10 중량% 내지 90중량%의 부용제(adjuvant)로 조성된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난소에 국소적으로 주입하였을 시 난소의 실질 조직이 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개체의 발정억제효과를 가져와 성장률을 향상시키고 식욕을 유지시켜 식육 생산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젖산을 함유한 조성물로 된 주사액 미량을 1회 주사하는 것만으로 난소의 불활이 완성되므로 생체 및 고기 내 젖산의 잔류가 없으며, 본 발명은 난소 불활 조성물의 주입에 따른 휴약기간이 없고 혈중 젖산농도의 증가를 야기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 인증에 적합한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레이저를 이용한 자궁근종 용해술 시술기구를 보인 설명도.
도2는 본 출원인에 의한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기구 구조를 보인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은 난소 조직에 직접 주사하여 주입되는 것으로 주사액을 충전하기 위하여 연통관(200)의 후단의 누름판(402)을 잡고 후방으로 당겨 줌으로써 연통관(200)이 카테타(100)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통관(200) 전단에 끼워진 니들(203)이 카테타(100) 내부로 몰입되게 하며, 실린지를 분리하여 주사액을 충전시키고, 그 하단이 연통관(200)에 다시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실린지(400)의 누름판(402)을 눌러 연통관(200)과 니들(203)의 내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실린지(400)의 주사액이 난소(500)의 실질조직에 정확하게 주입되도록 하여야 하는바, 소나 돼지 등 동물의 직장(501)과 자궁의 난소(500) 및 질(202)이 근접되어 있으며 이들은 손끝의 감각으로 쉽게 구분 감지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시술자가 암컷 개체의 직장(501)으로 손을 넣고, 손끝으로 하방을 누르면 단단한 느낌을 주는 엄지손가락 크기의 난소(500)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손바닥을 오므리듯 하여 잡고 바깥으로 당겨 내면서 하방으로 누르면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손가락과 직장(501)벽 그리고 난소(500) 및 질벽이 밀접 배치되는 상황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테타(100)를 질(202)로 삽입하고 카테타(100)의 전방 끝을 상방으로 들어 주면 난소(500)의 직하방에 카테타(100)의 전방이 도달함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은 카테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통관(200) 후방을 눌러 줌으로써 연통관(200)이 카테타(10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단에 있는 니들(203)의 주연부(202)가 스토퍼(101)에 닿아 멈추면서 니들(203)이 적정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카테타(100)의 전방으로 니들(203)이 돌출되면서 질벽을 통과하여 난소(500)의 실질조직에 침투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지(400)의 누름판(402)을 눌러 실린지(400)에 충전된 주사액이 연통관(200)을 거쳐 니들(203)로 분사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난소(500)의 실질조직에 주사액이 주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실린지(400)에 충전된 주사액이 난소(500)의 실질조직에 주입되고 나면 카테타(100)를 잡고 기구를 질(502) 외부로 뽑아 낸 후 시술자의 손을 직장(501) 밖으로 빼냄으로써 시술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난소의 실질조직에 주사액을 주사하여 난소 기능 불활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본 발명은 상기 주사액으로 젖산 10중량% 내지 90중량%와, 부용제 10중량% 내지 90중량%로 조성된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이 수소이온지수 pH 1 ~ pH 5를 유지하여 주사액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상기한 과정에서 주사액으로 젖산 20중량% 부용제인 인산완충액 80중량%로 조성되고, pH 2인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5㎖을 난소 실질 조직에 주사하였다.
이러한 주사 전의 난소 모습을 <사진1>로 도시하였다.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1
<사진1> 소 난소의 모습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주사액은 상기한 과정으로 난소 실질 조직에 바늘이 침투한 상태를 <사진2>로 나타내었고, 주사액이 바늘을 통하여 난소 조직에 분사, 침투된 상태를 <사진3>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2
<사진2> 난소에 바늘이 침투한 상태를 보인 사진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3
<사진3> 주사액이 바늘을 통하여 난소 조직에 분사, 침투된 상태
이러한 과정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주사액이 난소 조직에 주사하고 30일이 경과된 후 도축하여 난소 조직을 절취하였던 바, 소 난소 조직의 색이 대조구에 대비하여 <사진4>와 같이 색상코드#CC3D3D색에서 색상 코드#CCA63D으로 변색이 발생되었다.
대조군 색상 코드 #CC3D3D
RGB 204 61 61
변색후 색상 코드#CCA63D.
RGB 204 166 61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4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5
<사진4> 대조구 난소(좌) 및 시험구 주사 후의 난소(우)
아울러, 본 실시예에 의한 주사액이 주입된 난소 조직은 대조군에서 26㎜이었던 것에 비하여 주사한 소의 난소 조직은 21.3㎜가 되어 18% 부피가 감소하였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성에 의한 상기 주사액을 아래와 같이 14두의 시험구에 주사하였던 바, 다음의 <표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13두에서 3개월이 경과한 시점까지 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1두만이 발정하였다.
이와 같이 암컷 개체의 발정 주기가 평균 21일임을 감안하면 주사액 투여 일인 2013. 07. 30. 이후 3개월 이상 지난 현재까지 시험구 1두만을 제외한 시험구 13두의 발정이 전혀 없음을 볼 때 불활화율이 93%에 이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분 개체번호 생년월일 시험체중 특이사항
대조구 300722735 2012-09-06 250 발정 주기 21일 반복 
대조구 300699598 2012-08-23 260  
대조구 300722743 2012-09-09 233  
대조구 300014294 2012-06-09 289  
대조구 082784030 2012-11-30 193  
대조구 082784048 2012-12-20 165  
대조구 300717339 2012-11-02 223  
대조구 300717347 2012-11-07 200  
대조구 300722794 2012-10-26 203  
대조구 075364894 2012-03-04 458  
대조구 300014059 2012-04-14 432  
대조구 075364886 2012-03-01 417  
대조구 075364843 2012-02-21 417  
대조구 300013912 2012-03-25 416  
대조구 075364992 2012-03-10 410  
시험구 300699580 2012-08-17 254 2013.11월까지 미발정 
시험구 300699602 2012-08-23 279
시험구 300699571 2012-08-20 282
시험구 300699547 2012-08-16 236
시험구 300719424 2012-08-27 273
시험구 300699539 2012-08-19 270
시험구 300014286 2012-05-29 330
시험구 300014219 2012-06-01 312
시험구 300014018 2012-04-10 374
시험구 300014260 2012-05-16 336
시험구 300014042 2012-04-11 370
시험구 300013904 2012-03-24 391
시험구 75365008 2012-03-09 388 8/17 발정
시험구 300014075 2012-04-08 396 2013.11월까지 미발정  
●상기 시험구는 2013. 07. 30. 젖산 함량 20중량%의 주사액을 투여하였음.
이러한 젖산 조성물 주사하지 않은 대조구의 소 난소 조직을 영구표본으로 만들어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촬영하였던 바, <사진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장 중에 있는 다층판일차난포(multilaminar primary follicle) 또는 난포동이전난포(preantral follicle)로 불리며 아직 난포액(liquor folliculi)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형태로 된 난소 난포( Ovarian follicular)를 보여주고 있으며, 난포 세포들의 유사분열의 결과로 증식된 과립 세포들(Granulosa cells)을 보여주고 있고 아직은 내난포막(Theca interna)만이 보여지고 있다.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6
<사진5> 정상적인 대조구 소 난소 조직의 모습 (H-E 염색)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7
<사진6> 정상적인 소 난소 조직에서의 성장 중인 난포의 모습 (H-E 염색)
(Granulosa cell; 과립세포, Theca interna; 내난포막, Zona pellucida; 투명대, Red blood cell; 적혈구)
이러한 <사진 5,6>에서 볼 수 있는 소 난소 조직은 젖산 처리를 실시한 시험구 소를 도살하여 난소 조직을 절취하였을 시 <사진 7,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조직학적인 부분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발생하였으며,
가장 큰 차이점은 세포의 일정한 형태들을 찾기가 어려운 점을 들 수가 있다 (<사진7> 참조 ). 난포강의 경우 과립 세포들의 핵을 찾아 볼 수 없었으며 난포강 주변세포들의 세포막 경계도 분간하기가 어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난소 조직에서 발생 중인 난포세포들의 정상적인 모습들을 관찰할 수가 없었는데, 이러한 모습을 토대로 젖산의 처리가 난소 조직 세포의 괴사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8
<사진 7> 젖산 처리한 난소 조직의 모습 (H-E 염색)
Figure 112013105970279-pat00009
<사진 8> 사진 7을 10배 축소한 젖산 처리한 난소 조직의 모습 (H-E 염색)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상기한 과정에서 주사액으로 젖산40중량% 증류수완충액 60중량%로 조성되고, pH 1.4인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4㎖을 난소 실질 조직에 주사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주사액은 상기한 과정으로 난소 실질 조직에 침투하였을 시 <사진9>로 보인 바와 같이 색상코드 #F15F5F색에서 색상 코드#F2CB61으로 변색이 발생되었다.
주사 전:#F15F5F
RGB 241 95 95
주사 후: #F2CB61
RGB 242 203 97
Figure 112013105970279-pat00010
Figure 112013105970279-pat00011
<사진9> 대조구 난소(좌) 및 시험구 주사 후 난소(우)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주사액이 주입된 난소 조직은 주사 실시 전에 24㎜이었던 것에 비하여 17.3㎜가 되어 약 28%부피가 감소하였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성에 의한 상기 주사액을 아래와 같이 5두의 시험구에 주사하였던 바, 다음의 <표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5두에서 3개월이 경과한 시점까지 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암컷 개체의 발정 주기가 평균 21일임을 감안하면 주사액 투여 후 3개월 이상 지난 현재까지 시험구 5두의 발정이 전혀 없음을 볼 때 불활화율이 100%에 이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분 개체번호 생년월일 시험체중 특이사항
시험구 300014333 2012-08-07 287 2013년 11월까지 미발정
시험구 300014405 2012-08-11 283
시험구 300014294 2012-06-11 282
시험구 070764039 2012-02-05 398
시험구 075364851 2012-02-21 389
●상기 시험구는 2013. 07. 30. 주사액 투여하였음.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액으로 젖산칼슘 30중량%, 부용제로 단백질완충액 70중량%로 조성되고, pH 2.8인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4㎖을 난소 실질 조직에 주사하였던 바, 주사액이 주입된 난소 조직은 주사 실시 전에 22㎜이었던 것에 비하여 14.3㎜가 되어 35%부피가 감소하였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성에 의한 상기 주사액을 아래와 같이 4두의 시험구에 주사하였던 바, 다음의 <표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4두에서 9개월이 경과하여 도축된 시점까지 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암컷 개체의 발정 주기가 평균 21일임을 감안하면 주사액 투여 후 9개월 이상 지난 도축시점까지 시험구 4두의 발정이 전혀 없음을 볼 때 불활화율이 100%에 이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조구 군과 비교하였을 때 난소 처리한 시험구군의 체중 증량이 대조구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 개체번호 생년월일 시험체중 도축체중 증가체중 특이사항
대조구 000150169631 2000-02-19 489 568 79 2013.3.5. 도축시까지 정기적 발정
대조구 000195287477 2006-08-23 586 634 48
대조구 000195286517 2006-03-10 550 590 40
시험구 000155733861 2000-03-01 396 542 146 2013.3.5. 도축시까지 미발정
시험구 000150163576 2000-08-15 533 676 143
시험구 002008358812 2007-08-19 428 530 102
시험구 000150163691 2000-08-13 416 512 96
●상기 시험구는 2012. 07. 05. 주사액 투여하였음.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젖산을 함유한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을 주사하였을 시 난소 실질 조직에 침투하여 조직 세포를 괴사시킨 후 산화되는 것이며, 주입된 젖산 잔량은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므로 별다른 독성을 내지 않는 것이어서 안전한 식육의 생산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내지 3에서는 pH 안정화를 위하여 부용제로서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멸균 증류수(Deionized water), 단백질 완충액(Protein buffer)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타 다양한 성분의 부용제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불활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젖산을 함유한 조성물에 의하여 난소의 실질 조직에 주사하여 난자 불활화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젖산 10중량% 내지 90중량%와, 부용제 10중량% 내지 90중량%로 조성되며, 수소이온지수 pH 1 ~ pH 5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2. 젖산나트륨 10중량% 내지 90중량%와, 부용제 10중량% 내지 90중량%로 조성되며, 수소이온지수 pH 1 ~ pH 5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3. 젖산칼슘 10중량% 내지 90중량%와, 부용제 10중량% 내지 90중량%로 조성되며, 수소이온지수 pH 1 ~ pH 5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부용제는 인산 완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부용제는 증류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부용제는 단백질 완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을 이용한 난소 불활 조성물.
KR1020130142018A 2013-11-21 2013-11-21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KR10136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018A KR101360830B1 (ko) 2013-11-21 2013-11-21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PCT/KR2014/000302 WO2015076455A1 (ko) 2013-11-21 2014-01-10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US14/400,489 US9844523B2 (en) 2013-11-21 2014-01-10 Lactic acid-containing composition for inducing animal ovarian dys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018A KR101360830B1 (ko) 2013-11-21 2013-11-21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830B1 true KR101360830B1 (ko) 2014-02-11

Family

ID=5027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018A KR101360830B1 (ko) 2013-11-21 2013-11-21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44523B2 (ko)
KR (1) KR101360830B1 (ko)
WO (1) WO20150764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15B1 (ko) * 2021-08-03 2022-03-15 이희운 대동물 난포액 흡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3696A (ja) 1998-02-19 2002-02-05 ソーン バイオサイエンス, エルエルシー 雌ブタにおける発情期および排卵の調節
WO2009142727A2 (en) 2008-05-19 2009-11-26 Vasogenix Pharmaceuticals, Inc. Sequence modified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s (cgrp)
JP2013500273A (ja) 2009-07-28 2013-01-07 マルセロ ヴィヴァクア 哺乳動物の雄における不妊化およびリビドー抑制のための化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9234C2 (de) * 1979-04-13 1986-06-19 Philips Roxane, Inc., St. Joseph, Mo. Chemische Kastration
US4879285A (en) * 1986-08-22 1989-11-07 Royal North Shore Hospital And Area Health Service Fertility control
US7189406B1 (en) * 1999-06-23 2007-03-13 Dennis Gross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KR20070041658A (ko) 2005-10-15 2007-04-19 이경용 레이저를 이용한 자궁근종 용해술 시술기구
KR100666595B1 (ko) * 2005-10-17 2007-01-10 의료법인마리아의료재단 사람 난자의 체외성숙 및 체외수정을 위한연속합성배양액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KR101254705B1 (ko) 2012-10-08 2013-04-15 (주)나비바이오텍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3696A (ja) 1998-02-19 2002-02-05 ソーン バイオサイエンス, エルエルシー 雌ブタにおける発情期および排卵の調節
WO2009142727A2 (en) 2008-05-19 2009-11-26 Vasogenix Pharmaceuticals, Inc. Sequence modified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s (cgrp)
JP2013500273A (ja) 2009-07-28 2013-01-07 マルセロ ヴィヴァクア 哺乳動物の雄における不妊化およびリビドー抑制のための化学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15B1 (ko) * 2021-08-03 2022-03-15 이희운 대동물 난포액 흡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6455A1 (ko) 2015-05-28
US20160271084A1 (en) 2016-09-22
US9844523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4270B1 (en) Sampling needle
KR101360830B1 (ko) 젖산을 함유한 동물의 난소 기능 불활 조성물
Candappa et al. A preliminary study on the suitability of Cervidil® to induce cervical dil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in ewes
Hinrichs et al. A colpotomy procedure to increase oocyte recovery rates on aspiration of equine preovulatory follicles
Sterzik et al. Ultrasonically guided follicle aspiration for oocyte retrieval in an in vitro fertilization program: further simplification
Schaftenaar Delayed postpartum fetotomy in an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KR101254705B1 (ko)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기구
KR101005022B1 (ko) 실험동물의 정액 채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공수정 방법
RU2568364C1 (ru) Способ для кастрации самцов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Scott et al. Application of lumbosacral spinal anesthesia for ovine Caesarian surgery and for vasectomy under field conditions
RU2426563C2 (ru) Способ проводниковой анестезии
Rech et al. Ultrasonography‐guided oocyte recovery in owl monkeys (aotus azarai infulatus)
RU2337704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рыб после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вмешательства
Cech et al. The introduction of a double-channel system for the intrafollicular treatment of cattle.
Andrlikova et al. Intrafollicular oocyte transfer in cattle–a technical report
Gandini et al. Field caesarean section in seven miniature horses and ponies (2009-2012)
Okuyama et al. A transvaginal endoscopy-based technique for performing ovarian examinations in sows
Johnson Routine Camelid Procedures
Majeed et al. Exteriorization of genital system of Awassi ewes with laparotomy in standing position
Abou et al. Efficacy of different anti-bacterial medicaments for treatment of equine endometritis.
Saharan et al. Surgical management of large chronic integumentary abscesses in five Murrah buffaloes.
NL1041300B1 (en) Double cannula.
Jones Anaesthesia in cattle (II): Regional and local analgesia
CN112603576A (zh) 一种建立神经损伤性勃起功能障碍模型的装置与方法
Dascanio Epidu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