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933B1 -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933B1
KR101359933B1 KR1020110064153A KR20110064153A KR101359933B1 KR 101359933 B1 KR101359933 B1 KR 101359933B1 KR 1020110064153 A KR1020110064153 A KR 1020110064153A KR 20110064153 A KR20110064153 A KR 20110064153A KR 101359933 B1 KR101359933 B1 KR 10135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ce
precast concrete
buried
rice pad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100A (ko
Inventor
허권
최홍식
Original Assignee
허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권 filed Critical 허권
Priority to KR102011006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9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Abstract

논과 논의 경계를 이루는 논둑을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조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방법은 수직한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발판부와 매립부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기본블록을 이용하여 매립부가 논둑이 형성될 지중으로 매립되도록 설치하고, 또 다른 기본블록들을 연속해서 끼움결합시켜 논둑으로 구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논의 높낮이가 틀린 논둑의 경우에는 L자블록을 사용할 수 있고, 경지정리가 되지 않아 구불구불한 경우에는 굴곡형블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논둑의 양쪽에는 T형블록 및 ㄱ자블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은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인양고리가 형성되고, 블록들의 하부면상에는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들에 봉이나 파이프와 같은 하강방지수단을 통과시켜 중량체인 블록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Construction method of levee using pre-cast concrete blocks}
본 발명은 논둑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정형화된 콘크리트 블록을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이 콘크리트 블록을 논둑에 설치함으로써, 농민들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장마철 논둑이 터져 피해보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에는 물을 담수시키고 논과 논 사이를 구획함과 동시에 사람이 논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흙을 쌓아올린 논두렁이 형성되어 있다. 흙에 의하여 조성되어 있는 논두렁은 비가 오거나 또는 사람이 왕래할 때 붕괴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잡초의 자생이 용이하여 필요 이상의 잡초들이 자라게 되어 사람이 왕래할 때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농경지의 개간에 따라 논이 넓어지고 논두렁의 조성길이도 길어져, 중간 중간에 논두렁이 붕괴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논두렁을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흙에 비하여 내구성이 좋고 시공이 간편한 플라스틱이나 콘크리트 등을 이용한 논두렁을 조성하는 경우가 많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플라스틱 조립식 논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외주면에 맞춤홈(1-1)이 형성되며, 타단 내주면에는 끼움단(1-2)이 형성된 본체(1)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체(1)를 이용하여 논둑(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각의 본체(1)를 길이방향으로 나열시킨 후에, 하나의 본체(1)에 형성된 맞춤홈(1-1)에 다른 하나의 본체(1)에 형성된 끼움단(1-2)을 삽입시켜 조립함으로써 논둑(2)이 형성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식 논둑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35789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1998-108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35789호에 개시된 논두렁용 블록은, 지면에 묻히는 기부와 그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직립되게 형성된 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의 양측 단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인접한 블럭의 기부와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방벽의 일측면에는 종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편, 반대쪽 측면에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럭의 대향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종방향의 요홈이 형성되어 인접한 블럭들과 서로 맞물려 연결되어 논두렁을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1998-10872호에 개시된 논두렁용 블록은, 논바닥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지지체와, 논바닥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삽입되어진 상기 고정지지체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조립블록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고정지지체 사이에 결합되는 조립블록은 그 양측벽에 상광하협형태의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결합돌기 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부체의 일측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지지체의 상부에는 사각기둥형태의 상부체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체의 상부에는 보강대가 형성되고 그 양측방향으로는 결합요홈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 결합요홈내에 상기 조립블록의 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되면서 논두렁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논둑 조성용 블록은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지금 농촌은 평균 연령이 60~70대의 노인들이 농사를 짓고 있는 실정인데, 이 노인들이 좁은 논두렁 또는 블록위를 걸어 다녀야 하므로 자칫 중심을 잃거나 헛발을 디뎌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블록의 설치에 있어서도 중량물인 블록이 질퍽한 논바닥에서 하중에 의해 자꾸 하강하여 블록들간 높낮이가 틀리게 되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335789호에서는 이러한 수평유지를 위해 블록간 연결에 연결핀을 사용하여 블록들을 서로 묶어주는 수단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블록의 위에서 철편에 의한 단순 결합이 중량체의 하강하려는 힘을 견디지 못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논둑으로 사용될 블록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발판이 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작하고, 중량체인 블록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이웃한 블록들간 높낮이가 차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강방지수단이 마련된 논둑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논과 논의 경계를 이루는 논둑을 조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직한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발판부와 매립부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기본블록을 이용하여 매립부가 논둑이 형성될 지중으로 매립되도록 설치하고, 또 다른 기본블록들을 연속해서 끼움결합시켜 논둑으로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매립부의 하부면상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이 하강방지홈부들에는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하강방지수단이 통과되어 기본블록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본블록과 연결되어 논의 아웃코너를 구축하는 ㄱ형블록을 더 포함하며, ㄱ형블록은 "ㄱ"자 형상을 갖는 수직한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발판부 및 매립부가 형성되고, 매립부의 하부면상에 하강방지홈부가 형성되어 하강방지수단이 통과될 수 있다.
또는, 기본블록과 연결되어 논두렁의 양쪽에 설치되는 T형블록을 더 포함하며, T형블록은 "T"자 형상을 갖는 수직한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발판부 및 매립부가 형성되고, 매립부의 하부면상에 하강방지홈부가 형성되어 하강방지수단이 통과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논과 논의 높낮이가 다른 곳에는, "L"자 형상을 갖는 수직한 몸체의 상부에 발판부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L형블록을 이용하여 L형블록의 하부가 높은쪽 논의 지중으로 매립되도록 설치하고, 또 다른 L형블록들을 연속해서 끼움결합시켜 논둑으로 구축하고, L형블록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가 형성되어 이 하강방지홈부들에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하강방지수단이 통과됨으로써, L자블록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은, 경지정리가 되지 않아 논둑이 구불구불한 곳에는 굴곡진 수직한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발판부 및 매립부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굴곡형블록을 이용하여 매립부가 논둑이 형성될 지중으로 매립되도록 설치하고, 또 다른 굴곡형블록들을 연속해서 끼움결합시켜 논둑으로 구축하며, 굴곡형블록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가 형성되어 이 하강방지홈부들에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하강방지수단이 통과됨으로써, 굴곡형블록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블록들의 발판부 상부면상에는 그 내부의 철근과 일체로 된 인양고리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본블록, L형블록 및 굴곡블록 중 어느 한 블록의 중앙부에는 앞뒤로 뚫린 개폐공이 형성되고, 이 개폐공의 내측에는 논물의 입출을 제어하는 차단판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논둑 조성방법에 따르면, "I"자 형상의 기본블록에 의해 하부의 넓은면이 지중으로 들어가 튼튼한 기초역할을 하게 되고, 상부의 넓은면이 사용자의 발판 역할을 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블록들의 하부에 결착되도록 설치되는 하강방지수단에 의해 블록들이 자중에 의해 개별적으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추가적 형상으로 "T"자, "L"자 굴곡형 등을 사용하여 농지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블록의 상부에 내부의 철근과 일체화된 인양고리를 노출시켜 블록을 들어 논둑을 형성할때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논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방법에 의해 구축된 논둑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본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블록에 수문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블록의 하부에 하강방지수단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논둑의 교차에 사용될 "T"자형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논둑의 교차에 사용될 "ㄱ"자형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높낮이가 틀린 논둑에 사용될 "L"자형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L"자형 블록에 의해 구축된 논둑의 예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0은 경지정리가 되지 않은 논둑에 사용될 굴곡형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논과 논의 사이에 프리캐스팅 성형된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해서 설치하여 구축된다. 이때,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으로는 단면의 형상이 "I"자 형상을 갖는 기본블록(10)과, 기본블록(10)의 단면형태를 취하면서 "T"자 형상을 갖는 T형블록(20)과, 기본블록(10)의 단면형태를 취하면서 "ㄱ"자 형상을 갖는 ㄱ형블록(30)과,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본블록(10)의 단면형태를 취하면서 "L"자 형상을 갖는 블록 및 굴곡형 블록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진다.
먼저, 기본블록(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한 몸체(11)의 상부와 하부에 몸체(11)보다 폭이 더 넓은 매립부(12) 및 발판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본블록(10)은 공장에서 프리캐스팅되어 제작된 후, 현장으로 이동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철근이 배근되고, 발판부의 상부면상에는 내부의 철근과 일체로 결합된 인양고리(16)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인양고리(16)는 기중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록을 들어올려 논둑으로 구축할때에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발판부(13)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좋다. 즉, 인양고리(16)가 돌출되면 설치시에는 편리할지 모르지만 구축된 후에 이 발판부(13)를 딛고 걸어다닐때에는 걸리적 거리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블록(10)은 그 일단 및 타단에 연속해서 서로 끼움결합되기 위한 끼움부(14)와 끼움홈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본블록(10)의 하부면상 중앙부에는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된다.
한편, 논둑에는 논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수문의 형성이 필요한 바, 기본블록(10)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수문의 형성을 위해 기본블록(10)의 중앙부 상부에서부터 중간까지 사각형상의 개폐공(18)을 형성하고, 이 개폐공(18)의 내측에는 수문으로 사용될 차단판(도시되지 않음)이 상,하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가이드(19)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기본블록(10)은 철근과 콘크리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중량이 상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중에 의해 지중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본블록(10)들간의 결합에서는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매립부(12)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하강방지홈부(17)들을 통과하도록 하강방지수단(60)을 배근함이 더욱 좋다. 하강방지수단(60)은 철봉이나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T형블록(20)은 논두렁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된 수직한 몸체(11)의 상부 및 하부에 몸체(11)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발판부(13) 및 매립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T형블록(20)은 기본블록(10)과 마찬가지로 기본블록(10)들과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14) 및 끼움홈부(15)가 형성되고, 인양고리(16)가 형성되며, 그 하부면상에는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ㄱ형블록(30)은 논두렁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T형블록(20)이 이웃한 논과의 경계에 있다면 ㄱ형블록(30)은 하나의 논의 아웃코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ㄱ형블록(3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블록(10)과 마찬가지로 수직한 몸체(11)의 상부 및 하부에 발판부(13) 및 매립부(12)가 형성되고, 끼움부(14) 및 끼움홈부(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인양고리(16)가 형성되며,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L형블록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블록(10)과 마찬가지로 수직한 몸체(11)의 상부면상에 발판부(13)가 형성되고, 끼움부(14) 및 끼움홈부(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인양고리(16)가 형성되며,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된다. 그리고 L형블록(40)에는 수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L형블록(40)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웃한 논과의 높낮이가 크게 차이나는 논두렁에 사용되는 것으로, 위쪽의 논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단순히 수직하게만 형성된 기본블록(10)만으로는 버티지를 못하기 때문에 위쪽논의 바닥쪽으로 깊숙이 박히도록 "L"자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L자블록(40)은 T형블록(20)이나 ㄱ형블록(30)들과는 달리 기본블록(10)과 마찬가지로 둑 자체가 되는 블록인 것이다. 그리고 L형블록(40)은 하부가 지중으로 매립되기 때문에 다른 블록들처럼 별도의 매립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경지정리가 되지 않은 논에서는 아직도 논두렁이 반듯하지 않고 구불구불하게 되어 있는 곳이 많다. 이처럼 구불구불하게 된 논두렁을 구축하기 위한 블록이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은 굴곡형블록(50)이다. 이 굴곡형블록(50)은 기본블록(10)과 직성형태이냐 굴곡된 형태이냐의 차이만 있을뿐 그 형상이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굴곡형블록(50)에도 몸체, 매립부, 발판부, 끼움부, 끼움홈부, 인양고리, 수문, 하강방지홈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본블록 11 : 몸체
12 : 매립부 13 : 발판부
14 : 끼움부 15 : 끼움홈부
16 : 인양고리 17 : 하강방지홈부
18 : 개폐공 19 : 가이드
20 : T형블록 30 : ㄱ형블록
40 : L형블록 50 : 굴곡형블록
60 : 하강방지수단

Claims (8)

  1. 논과 논의 경계를 이루는 논둑 조성구조에 있어서,
    수직한 몸체(11)의 상부와 하부에 발판부(13)와 매립부(12)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기본블록(10)을 이용하여 상기 매립부(12)가 논둑이 형성될 지중으로 매립되도록 설치하고, 또 다른 기본블록(10)들을 연속해서 끼움결합시켜 논둑으로 구축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으로서,
    상기 매립부(12)의 하부면상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17)가 각각 형성되며, 이 하강방지홈부(17)들에는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하강방지수단(60)이 통과되어 상기 기본블록(1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록(10)과 연결되어 논의 아웃코너를 구축하는 ㄱ형블록(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ㄱ형블록(30)은 "ㄱ"자 형상을 갖는 수직한 몸체(11)의 상부 및 하부에 발판부(13) 및 매립부(12)가 형성되고, 매립부(12)의 하부면상에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되어 상기 하강방지수단(60)이 통과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록(10)과 연결되어 논두렁의 양쪽에 설치되는 T형블록(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T형블록(20)은 "T"자 형상을 갖는 수직한 몸체(11)의 상부 및 하부에 발판부(13) 및 매립부(12)가 형성되고, 매립부(12)의 하부면상에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되어 상기 하강방지수단(60)이 통과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논과 논의 높낮이가 다른 곳에는, "L"자 형상을 갖는 수직한 몸체(11)의 상부에 발판부(13)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L형블록(40)을 이용하여 L형블록(40)의 하부가 높은쪽 논의 지중으로 매립되도록 설치하고, 또 다른 L형블록(40)들을 연속해서 끼움결합시켜 논둑으로 구축하고, L형블록(40)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되어 이 하강방지홈부(17)들에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하강방지수단(60)이 통과됨으로써, 상기 L형블록(4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경지정리가 되지 않아 논둑이 구불구불한 곳에는 굴곡진 수직한 몸체(11)의 상부 및 하부에 발판부(13) 및 매립부(12)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굴곡형블록(50)을 이용하여 상기 매립부(12)가 논둑이 형성될 지중으로 매립되도록 설치하고, 또 다른 굴곡형블록(50)들을 연속해서 끼움결합시켜 논둑으로 구축하며, 상기 굴곡형블록(50)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하강방지홈부(17)가 형성되어 이 하강방지홈부(17)들에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하강방지수단(60)이 통과됨으로써, 상기 굴곡형블록(5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구조.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10, 20, 30, 40, 50)의 발판부(13) 상부면상에는 그 내부의 철근과 일체로 된 인양고리(16)가 노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구조.
  8.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10, 40, 50) 중 어느 한 블록의 중앙부에는 앞뒤로 뚫린 개폐공(18)이 형성되고, 이 개폐공(18)의 내측에는 논물의 입출을 제어하는 차단판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19)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구조.
KR1020110064153A 2011-06-30 2011-06-30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 KR10135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53A KR101359933B1 (ko) 2011-06-30 2011-06-30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53A KR101359933B1 (ko) 2011-06-30 2011-06-30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00A KR20130003100A (ko) 2013-01-09
KR101359933B1 true KR101359933B1 (ko) 2014-02-12

Family

ID=4783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53A KR101359933B1 (ko) 2011-06-30 2011-06-30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348A (ko) * 2018-08-20 2020-02-28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193A (ko) 2020-09-09 2022-03-16 차창고 급배수가능한 논두렁 블럭과 이를 이용한 블럭조립형 논두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04U (ko) * 1995-03-06 1996-10-24 김완규 조립식 논둑 블럭
KR200250242Y1 (ko) * 2001-07-05 2001-11-16 배완섭 논둑용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04U (ko) * 1995-03-06 1996-10-24 김완규 조립식 논둑 블럭
KR200250242Y1 (ko) * 2001-07-05 2001-11-16 배완섭 논둑용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348A (ko) * 2018-08-20 2020-02-28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2159375B1 (ko) * 2018-08-20 2020-09-23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00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58B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ES2808178T3 (es) Módulo y conjunto para gestionar el flujo de agua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6578333B1 (en) Integrated precast footings
KR101359933B1 (ko) 프리캐스팅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논둑 조성방법
KR101661320B1 (ko) 조립식 투과형 체크댐
KR101259860B1 (ko) 수지재의 조립형 원형수로관 및 그 시공방법
KR102255652B1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JP2008175036A (ja) 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材と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接続用部材の接続によるべた基礎の構築方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2159375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N206337566U (zh) 基坑竖向预应力锚杆支撑结构
KR101231177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0748607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101960500B1 (ko) 조립 축조형 에코 필라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100910550B1 (ko) 다용도 슬릿구
KR20070104111A (ko) 말뚝기둥 일체형 교량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4382987B2 (ja) 管状構造物
KR0180072B1 (ko) 비탈면 시공방법
KR200408863Y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장치
KR20110070384A (ko) 하부 철근 보강형 집수정
KR100793684B1 (ko)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35789Y1 (ko) 논두렁 구축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