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708B1 - 미생물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708B1
KR101359708B1 KR1020120035113A KR20120035113A KR101359708B1 KR 101359708 B1 KR101359708 B1 KR 101359708B1 KR 1020120035113 A KR1020120035113 A KR 1020120035113A KR 20120035113 A KR20120035113 A KR 20120035113A KR 101359708 B1 KR101359708 B1 KR 10135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e container
microorganisms
contain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603A (ko
Inventor
김준형
박규하
류광춘
박인철
Original Assignee
글로벌광통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광통신 (주) filed Critical 글로벌광통신 (주)
Priority to KR102012003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708B1/ko
Priority to PCT/KR2012/003168 priority patent/WO2013151204A1/ko
Priority to US14/387,649 priority patent/US20150064777A1/en
Publication of KR2013011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 G01N33/48735Investigating suspensions of cells, e.g. measuring microbe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04Handling flow, e.g. hydrodynamic foc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29Signal processing
    • G01N15/1433Signal processing using image recog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biomass, e.g. colony counters or by turbid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기 위한 측정대상 시료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된 시료 수용용기와,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미생물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시료 수용용기에 설치된 전극부와,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인가 조절부와, 시료 수용용기에 수용된 시료를 촬상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된 영상처리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미생물 검출장치에 의하면, 전기적 자극에 의해 살아있는 미생물의 개체수의 확인이 용이하며, 전기적 자극 전후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생물 검출장치{microorganism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미생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된 미생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개체수를 확인하기 위해 용기에 시료를 담은 상태에서 현미경을 통해 육안으로 보면서 숫자를 카운트 하고, 이 중 살아 있는 미생물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미생물에 자극을 주어 움직이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런데, 이러한 현미경에 의한 미생물 개체수 확인 방법은 작업자가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해야하며 미생물에 자극을 주는 과정이 번거로워 살아 있는 미생물의 계수작업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살아있는 미생물의 개체수의 카운트 작업을 전기적 자극에 위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미생물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이있는 미생물의 전기적 자극 유무에 따른 위치 이동을 영상 처리방식에 의해 카운트 할 수 있는 미생물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는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기 위한 측정대상 시료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된 시료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미생물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설치된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인가 조절부와;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수용된 시료를 촬상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된 영상처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료 수용용기의 상기 수용공간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과 타단이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를 형성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유로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기 유로 내로 연장되되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전극;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료 수용용기의 상기 수용공간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과 타단이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를 형성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유로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전극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시료 수용용기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류인가 조절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전극부는 상기 시료 수용용기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수평 투명전극과;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 투명전극과 함께 메트릭스 형태를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 투명전극과; 상기 수평투명전극과 상기 수직 투명전극을 상기 전류 인가 조절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처리기는 상기 시료수용용기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전류인가조절부를 제어하며, 상기 전류 인가 조절부에 의해 상기 시료수용용기에 전류를 인가하기 이전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과, 상기 전류 인가 조절부에 의해 상기 시료수용용기에 전류를 인가한 이후에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상호 비교하여 위치가 변동된 미생물의 수를 카운트 하고, 카운트 된 활성 개체수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처리하는 비젼인식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에 의하면, 전기적 자극에 의해 살아있는 미생물의 개체수의 확인이 용이하며, 전기적 자극 전후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료수용용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미생물 검출장치의 제어계통 블록도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료수용용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료수용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료수용용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미생물 검출장치의 제어계통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시료수용용기(110), 전극부(120), 전류인가 조절부(130), 영상처리기(150)를 구비한다.
시료수용용기(110)는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기 위한 측정대상 시료가 수용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수용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시료 수용용기(110)의 수용공간(112)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113)과 타단(114)이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116)를 형성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료 수용용기(110)의 수용공간(112)이 지그재그 형태로 유로(116)를 형성시키면 유로(116)의 폭은 좁게 하면서 연장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미생물의 유동에 대해 유로의 폭방향으로는 폭 길이 만큼 제한함으로써 유로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어 후술되는 전기적 자극의 유무에 따른 미생물의 위치 이동에 대한 파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극부(120)는 수용공간(112)에 수용된 시료의 미생물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시료 수용용기(110)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부(120)는 유로(116)의 일단(113)과 타단(114)에 각각 유로(112) 내로 연장된 제1 및 제2전극(121)(122)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전극(121)은 시료수용용기(110)의 유로(116)의 일단(113)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1접속단자(121a)로부터 수용공간(112)내로 일정길이 돌출된 제1접촉부(121b)를 갖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전극(121)은 수용공간(112)에 투입된 시료와 접촉이 유지될 수 있게 수용공간(112)내에 노출되게 제1접촉부(121b)가 설치되면 되고 유로(116)의 일단(113)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노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112)내로 돌출시키는 경우 제1접촉부(121b)의 돌출 길이는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제2전극(122)은 시료수용용기(110)의 유로(116)의 타단(114)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2접속단자(122a)로부터 수용공간(112)내로 일정길이 돌출된 제2접촉부(122b)를 갖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전극(122)과 제2전극(122)은 유로(116) 따라 상호 이격되어 후술되는 전류인가 조절부(130)에 의해 인가된 전위를 유로(116) 내의 시료를 통해 인가한다.
전류 인가조절부(130)는 전극부(120)의 제1 및 제2전극(121)(122)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류인가 조절부(130)는 후술되는 영상처리기(150)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 전극(121)(122)를 통해 인가되는 전위 또는 임피던스 조절에 의해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영상 처리기(150)는 시료 수용용기(110)의 수용공간(112)에 수용된 시료를 촬상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고, 카운트된 개체수를 표시부(155)를 통해 표시한다.
영상 처리기(150)는 카메라(151), 조작부(153), 표시부(155), 비젼인식 처리부(157)를 구비한다.
카메라(151)는 본체(101)의 베이스 프레임(103)에 안착된 시료수용용기(110)의 수용공간(112)을 이격된 위치에서 촬상할 수 있도록 본체(101)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151)는 미생물을 식별할 수 있는 배율을 갖는 것을 적용한다.
조작부(153)는 미생물 개체수 카운트를 실행하는 실행키, 인가하고자 하는 전류값 설정조작키 등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작동을 조작하기 위해 지원되는 키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55)는 비젼인식 처리부(157)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전류인가 조절부(159)는 비젼인식 처리부(157)에 제어되어 전극부(120)를 통해 인가할 전류를 제어한다.
비젼인식 처리부(157)는 조작부(153)로부터 실행키가 조작되면, 시료수용용기(110)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료수용용기를 카메라(151)를 통해 촬상한 비전류 인가상태의 영상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설정된 전류가 시료수용용기(110)를 통해 인가되게 전류인가조절부를 제어한 후 시료수용용기(110)를 카메라(151)를 통해 촬상한 전류 인가상태의 영상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시료수용용기(1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이전의 카메라(151)에 의해 촬상된 영상과, 전류 인가 조절부(130)에 의해 시료수용용기(110)에 전류를 인가한 이후에 카메라(151)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상호 비교하여 위치가 변동된 미생물의 수를 카운트 하고, 카운트 된 활성 개체수를 표시부(155)를 통해 표시처리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수용용기(110)에 설치되는 전극부(220)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유로(116)를 따라 연장되게 띠 형태로 설치된 투명 전극(225)과, 투명전극(225)의 양단으로부터 시료 수용용기(110) 외부로 연장되어 전류인가 조절부(130)와 접속하기 위해 유로의 일단(113)(114)에서 각각 외부로 연장된 두 개의 접속단자(221)(223)를 갖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전극은 ITO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320)는 시료 수용용기(210)의 사각 형태로 인입되게 형성된 수용공간(212) 내에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수평 투명전극(315a)과, 제1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수평 투명전극(315)과 함께 메트릭스 형태를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 투명전극(316)과, 수평투명전극(315)과 수직 투명전극(316)을 전류 인가 조절부(130)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321)(323)을 갖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투명전극(315)과 수직투명전극(316)이 상호 교차되는 부분은 전기적 통전이 가능하게 접합된다.
이러한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시료수용용기(110)(210)에 측정대상 시료 예를 들면, 해수를 주입한 후 작동시키면 앞서 설명된 과정을 통해 전기적 자극 이전과 자극 이후의 미생물의 위치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 개체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110, 210: 시료수용용기 120: 220, 320: 전극부
130: 전류인가 조절부 150: 영상처리기

Claims (5)

  1. 삭제
  2. 미생물 검출장치에 있어서,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기 위한 측정대상 시료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된 시료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미생물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설치된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인가 조절부와;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수용된 시료를 촬상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된 영상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 수용용기의 상기 수용공간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과 타단이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를 형성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유로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기 유로 내로 연장되되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3. 미생물 검출장치에 있어서,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기 위한 측정대상 시료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된 시료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미생물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설치된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인가 조절부와;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수용된 시료를 촬상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된 영상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 수용용기의 상기 수용공간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과 타단이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를 형성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유로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전극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시료 수용용기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류인가 조절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4. 미생물 검출장치에 있어서,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기 위한 측정대상 시료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된 시료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시료의 미생물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설치된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인가 조절부와;
    상기 시료 수용용기에 수용된 시료를 촬상하여 살아 있는 미생물의 개체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된 영상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시료 수용용기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수평 투명전극과;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 투명전극과 함께 메트릭스 형태를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 투명전극과;
    상기 수평투명전극과 상기 수직 투명전극을 상기 전류 인가 조절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기는
    상기 시료수용용기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전류인가조절부를 제어하며, 상기 전류 인가 조절부에 의해 상기 시료수용용기에 전류를 인가하기 이전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과, 상기 전류 인가 조절부에 의해 상기 시료수용용기에 전류를 인가한 이후에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상호 비교하여 위치가 변동된 미생물의 수를 카운트 하고, 카운트 된 활성 개체수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처리하는 비젼인식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KR1020120035113A 2012-04-04 2012-04-04 미생물 검출장치 KR10135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13A KR101359708B1 (ko) 2012-04-04 2012-04-04 미생물 검출장치
PCT/KR2012/003168 WO2013151204A1 (ko) 2012-04-04 2012-04-25 미생물 검출장치
US14/387,649 US20150064777A1 (en) 2012-04-04 2012-04-25 Apparatus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13A KR101359708B1 (ko) 2012-04-04 2012-04-04 미생물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03A KR20130112603A (ko) 2013-10-14
KR101359708B1 true KR101359708B1 (ko) 2014-02-10

Family

ID=4930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13A KR101359708B1 (ko) 2012-04-04 2012-04-04 미생물 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64777A1 (ko)
KR (1) KR101359708B1 (ko)
WO (1) WO2013151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018A (zh) * 2017-08-22 2018-01-26 甘肃农业大学 一种食品微生物快速检测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75A (ja) * 1995-06-27 1997-01-28 Becton Dickinson & Co 標本容器
JP2007216123A (ja) 2006-02-15 2007-08-30 Ymc Co Ltd マイクロチャネルチップ
JP2008196860A (ja) 2007-02-08 2008-08-28 Ario Techno Kk 微粒子検出装置及び微生物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065A (en) * 1988-11-03 1990-09-11 Kaler Karen V I S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dynamic dielectric levitation
GB9208357D0 (en) * 1992-04-16 1992-06-03 British Tech Group Apparatus for separating a mixture
US6270641B1 (en) * 1999-04-26 2001-08-07 San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ample dispersion in turns and junctions of microchannel systems
CA2511331A1 (en) * 2002-12-20 2004-07-1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smear analysis
US7169282B2 (en) * 2003-05-13 2007-01-30 Aura Biosystems Inc. Dielectrophoresis apparatus
KR100598375B1 (ko) * 2003-08-09 200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이오 물질의 특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7390387B2 (en) * 2004-03-25 2008-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sorting cells in series
KR101200536B1 (ko) * 2010-05-26 2012-1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 물질을 검출하는 빔 스캐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75A (ja) * 1995-06-27 1997-01-28 Becton Dickinson & Co 標本容器
JP2007216123A (ja) 2006-02-15 2007-08-30 Ymc Co Ltd マイクロチャネルチップ
JP2008196860A (ja) 2007-02-08 2008-08-28 Ario Techno Kk 微粒子検出装置及び微生物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4777A1 (en) 2015-03-05
KR20130112603A (ko) 2013-10-14
WO2013151204A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1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link
ES2827485T3 (es) Evaluación de la sensibilidad visual de bajo contraste
CN104697938B (zh) 一种试纸读取方法及使用该方法进行验孕和排卵的测试方法
US116123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ee of conjunctival hyperemia by using same
CN106133503B (zh) 球状体评价方法以及球状体评价装置
JP2012502670A5 (ko)
EP3144689A3 (en) Electrical isolation for a camera in a test and measurement tool
DE112016006066T5 (de) Analyse von umgebungslicht zur blickverfolgung
Wertz et al. Nonlinear integration of binocular optic flow by DNOVS2, a descending neuron of the fly
Zhao et al. The temporal structure of the inner retina at a single glance
CN104780837B (zh) 改进的电生理学分析系统
KR101359708B1 (ko) 미생물 검출장치
TWI577796B (zh) 精子品質檢測裝置
JP2012514814A (ja) バイアルおよび他の容器上のキャップの存在および種類の自動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422034A3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quantitative conductivity mapping by using quantitative susceptibility mapping
Hopp et al. Subcellular mapping of dendritic activity in optic flow processing neurons
JP7232424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Bogler et al. Orientation pop-out processing in human visual cortex
US10168314B2 (en) Live cell analysis apparatus, method for analyzing live cells, system for analyzing live cells and non-transitory data storage medium
CN112926473B (zh) 基于图像识别的蜂螨识别方法及设备
KR20170093450A (ko) 다중 광원을 이용한 표면측정장치 및 표면측정방법
Jastorff et al. Acting alters visual processing: flexible recruitment of visual areas by one's own actions
CN109859840B (zh) 脉象感知位置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chreyer et al. Nonlinearities in retinal bipolar cells shape the encoding of artificial and natural stimuli
KR20170133612A (ko) 세포자극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자극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