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693B1 -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 Google Patents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693B1
KR101359693B1 KR1020120002380A KR20120002380A KR101359693B1 KR 101359693 B1 KR101359693 B1 KR 101359693B1 KR 1020120002380 A KR1020120002380 A KR 1020120002380A KR 20120002380 A KR20120002380 A KR 20120002380A KR 101359693 B1 KR101359693 B1 KR 10135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ube
coupling member
grinding
appl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418A (ko
Inventor
김동환
손태식
윤천재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주) 메디컬그룹베스티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메디컬그룹베스티안 filed Critical (주) 메디컬그룹베스티안
Priority to KR102012000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6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8Automatic or computerized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2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mechanical forces; Stirring; Trituration; Comminu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9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세포나 인체 조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상, 창상, 백반증 등의 피부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는, 분쇄된 조직 파쇄물이 수용되는 분쇄튜브와; 분쇄튜브 내에 수용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소정 세포군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여과된 세포군을 수용하는 분무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CELL HARVESTING APPARATUS FOR CELL PROCESSING AND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세포나 인체 조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상, 창상, 백반증 등의 피부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창상, 탈색소 된 피부 등과 같이 피부조직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수술이나 치료 후 흉터가 남거나 색소 이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창상, 백반증 등의 피부 결함 발생시, 바셀린이 주성분으로 된 연고를 적신 가제(Gaze)로 피부를 감싸서 치료하고,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페니실린, 설파민제 등 항생제를 추가로 복용한다. 또한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치료 방식은 치료에 소요되는 기간이 짧게는 2 내지 3주에서 길게는 세 달 정도의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비용도 상당하였으며, 피부 결함 부위가 광범위한 경우는 치료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피부 결함 치료의 다른 방식으로, 화상의 경우 자가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가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효소 처리를 통하여 특정 세포를 채취하고, 상기 채취한 세포를 수 일 동안 배양하여 생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세포치료제는 세포의 배양 시간이 오래 걸려, 화상 등 피부 결함의 정도가 심각하고 긴급하게 치료를 요하는 환자의 경우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부결함 치료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출원인은 획득된 피부결함치료에 적용될 대상조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조직이나 인체조직으로부터 피부결함 부위에 분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피부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에 대해 2011년 10월 4일자로 특허 출원(특허출원번호 10-2011-0100913호)한 바 있다.
본 발명은 획득된 피부결함치료에 적용될 대상조직을 실시간으로 수득하여 조직이나 인체조직으로부터 피부결함 부위에 분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피부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는, 분쇄된 조직 파쇄물을 수용하는 분쇄튜브와; 상기 분쇄튜브 내에 수용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세포군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상기 세포군을 수용하는 분무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쇄튜브에 록킹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분쇄튜브의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튜브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호 마주하는 일 면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록킹부재가 더 포함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세포군을 여과 후, 상기 분쇄튜브와 상기 분무튜브를 분리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분무튜브에서 분리되어 분쇄튜브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무튜브는 상기 필터부를 덮으며, 상기 분무튜브를 보호하는 제1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쇄튜브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분쇄튜브의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덮으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1보호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호캡과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며, 외력에 의하여 절단되는 복수의 브릿지가 상기 제2보호캡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무튜브는, 상기 세포군을 수용하는 내부 수용공간 및 상기 세포군을 분무하는 분무구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 가능한 분무튜브본체와; 상기 분무구를 덮도록, 상기 분무튜브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보호캡과; 상기 분무튜브본체의 수용공간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무튜브는, 상기 분무구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는 분쇄유닛에서 분쇄된 상태로 분쇄튜브 내에 수용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세포군을 획득하고 분무유닛에 장착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세포군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획득된 세포군이 외부 환경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세포 수득장치가 적용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의 분쇄 과정 후의 수득장치의 분쇄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의 분쇄튜브 결합관계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의 분쇄튜브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와 노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와 노즐이 결합된 상태에서 분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의 필터부가 분쇄튜브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세포 수득장치가 적용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1)은 본체(100)와, 본체(100)에 마련되며 소정 대상조직(20)을 분쇄하는 분쇄유닛(200)과, 분쇄유닛(200)에서 분쇄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세포군(도 3의 25)을 획득하는 수득장치(300)와, 수득장치(300)에서 획득된 세포군(25)을 세포처리 대상 부위에 분무하는 분무유닛(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상조직(20)은 분쇄용 비드(30)와 함께 분쇄튜브(10) 내에 수용되어 제공되며, 이 대상조직(20)으로부터 획득되는 세포군(25)은 각질형성세포, 멜라닌색소세포 및 섬유세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1)은 본체(100)에 마련되며, 분쇄유닛(200)에서 분쇄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획득된 세포군(25)을 검사하는 검사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1)은 본체(100) 상에 마련되어, 소정 대상조직(20)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기 위한 흡입건(suction gun; 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소정 대상조직(20)을 분쇄튜브(10)에 수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110), 분쇄유닛(200)이 설치되는 분쇄유닛 장착부(130), 검사유닛(500)이 설치되는 검사유닛 장착부(150), 및 분무유닛(400)이 설치되는 분무유닛 장착부(17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 및 본 시스템의 설치 공간 등을 고려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본 시스템의 설치 공간 등을 고려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쇄유닛 장착부(130)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작업부(110)가 마련되고 타측에 검사유닛 장착부(150)와 분무유닛 장착부(170)가 마련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일련의 시술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선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100)의 분쇄유닛 장착부(130)에는 분쇄유닛(200) 이외에 수득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수득장치(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유닛 장착부(130)에 마련된 장착공간(130)에 장착되거나 본체(100)와는 별도로 마련된 용기(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분쇄유닛 장착부(130)에는 본 시스템의 분쇄유닛(200) 및 검사유닛(500)을 포함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조작패널(OPE; Operational Panel Equipment, 700)이 장착될 수 있다.
분쇄유닛(200)은 본체(100) 상의 분쇄유닛 장착부(130)에 마련되며, 분쇄용 비드(30)와 함께 분쇄튜브(10) 내에 수용되어 제공되는 소정 대상조직(20)을 분쇄한다.
수득장치(300)는 분쇄유닛(200)에서 분쇄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세포군(도 3의 21)을 획득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시스템의 수득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의 분쇄 과정 후의 분쇄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분쇄튜브(10)는 분쇄용 비드(30)와 함께 분쇄 대상조직(도 1의 20)이 수용되고, 분쇄튜브캡(15)을 통하여 개구가 닫힌 상태로 분쇄유닛(200)에 제공된다.
분쇄 과정 후의 분쇄튜브(10)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조직이 조직 파쇄물(21)로 분쇄된 상태로 분쇄튜브(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조직 파쇄물(21)은 세포군(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세포군(25)은 각질형성세포, 멜라닌색소세포 및 섬유세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수득장치(300)를 통하여 수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의 분쇄튜브 결합관계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300)는 분쇄튜브(10)와, 분쇄튜브(10) 내에 수용된 조직 파쇄물(21)로부터 세포군(25)을 여과하는 필터부(310)와, 여과된 세포군(25)을 수용하는 분무튜브(320)를 포함한다.
필터부(310)는 분쇄튜브(10)의 결합부(13)에 록킹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311)와, 결합부재(311)에 의하여 분쇄튜브(10)의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부재(3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쇄튜브(10)와 결합부재(311)의 상호 마주하는 일 면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록킹부재(17, 313)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록킹부재로서 분쇄튜브(10)에 록킹돌기(17)를 마련하고, 결합부재(311)에 록킹홈(313)을 형성한 것을 예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록킹돌기(17)는 그 상면이 일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록킹홈(313)이 형성된 결합부재(311)를 분쇄튜브(10)에 소정 방향으로 나사결합 함에 있어서, 결합부재(311)가 분쇄튜브(10)에 결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록킹돌기(17)가 그 경사면을 타고 록킹홈(313)에 삽입되면서 상호 록킹된다. 이 상태에서 분쇄튜브(10)에 대해 분무튜브(320)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는 결합부재(311)는 록킹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필터부(310)가 세포군(25)을 여과 후, 분쇄튜브(10)와 분무튜브(320)를 분리시, 결합부재(311) 및 필터부재(315)가 분무튜브(320)에서 분리되어 분쇄튜브(10) 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쇄튜브(10)에 록킹돌기(17)를 마련하고, 결합부재(311)에 록킹홈(313)을 형성한 것을 예로 나타내었으나, 록킹부재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분쇄튜브(10)에 록킹홈이 형성되고, 결합부재(311)에 록킹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거나, 분쇄튜브(10)와 결합부재(311) 양측에 록킹돌기를 형성하는 구성 등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무튜브(320)는 제1보호캡(3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보호캡(317)은 필터부(310) 및 분무튜브(320)의 개구를 덮도록, 분무튜브(3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보호캡(317)을 더 포함함으로써, 분무튜브(320)의 내부 수용공간(323)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과, 필터부(31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무튜브(320)는 분무튜브본체(321)와, 피스톤부(327) 및 제2보호캡(350)을 포함한다. 분무튜브본체(321)는 세포군(25)을 수용하는 내부 수용공간(323) 및 세포군(25)을 분무하는 분무구(325)를 가진다. 이 분무튜브본체(321)는 초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에 필터부(310) 및 제1보호캡(317)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내부에 세포군(25)을 수용한 상태의 분무튜브본체(321)는 제1보호캡(317) 및 필터부(310)가 제거된 상태이다.
제2보호캡(350)은 상기한 상태에서, 분무튜브(320)의 개구를 덮을 수 있도록,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튜브본체(321)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부(327)는 분무튜브본체(321)의 수용공간(323)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서, 스프레이 건의 가압부(도 8의 415)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공간(323) 내부로 진입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세포군(25)을 노즐 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6a 내지 도 6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득장치와 분쇄튜브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분무튜브(320)의 개구에 결합부재(311) 및 필터부재(315)가 장착된 상태로, 분쇄튜브(10)에 결합된다. 이때, 분쇄튜브(10)와 결합부재(311) 각각에 마련된 록킹부재(17)(313)를 통하여, 결합부재(311) 및 필터부재(315)는 분쇄튜브(10)에 록킹 결합된다.
도 6b는 도 6a의 결합 상태에서, 분쇄튜브(10) 내에 수용된 비드(30), 조직파쇄물(21) 및 세포군(25) 가운데 세포군(25)이 필터부재(315)를 투과하여 분무튜브(320)의 수용공간(323)으로 이동 수용함으로써, 세포군(25)을 수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세포군(25)을 수득한 상태에서 분쇄튜브(10)를 제거하면, 필터부재(315) 및 결합부재(311)가 분쇄튜브(10)와 함께 분리되면서, 분무튜브(320)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튜브(320)의 개구에 제2보호캡(350)을 결합하는 것으로, 세포군(25)의 수득이 완료된다.
도 7 및 도 8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득장치와 노즐이 결합된 상태에서 분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즐(450)은 노즐본체(451)와, 노즐본체(451)의 단부에 송곳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주입관(453)을 포함한다. 주입관(453)은 제2보호캡(350)을 관통하여, 분무튜브(3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분무튜브(3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323)에 비하여 목이 좁은 분무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입관(453)의 단부가 분무구에 삽입된다. 여기서, 수용공간(323) 내부의 세포군(25)이 분무구와 주입관(45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무구에 설치되는 가스켓(3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노즐(450)의 주입관(453)이 분무튜브(3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부(415)에 의하여 피슨톤부(327)를 수용공간(323) 내부로 가압하면, 수용공간(323) 내부에 수용된 세포군(25)이 노즐 방향으로 진입하며, 노즐을 통하여 분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분쇄유닛에서 분쇄된 상태로 분쇄튜브 내에 수용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세포군을 획득하고 분무유닛에 장착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세포군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다. 이에 따라 수득 된 세포군이 외부 환경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수득장치의 필터부가 분쇄튜브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포 수득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수득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필터부(330)의 구성을 변경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득장치와 실질상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수득장치의 필터부(330)는 분쇄튜브(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31)와, 결합부재(331)에 의하여 분쇄튜브(10)의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부재(335) 및 제1보호캡(337)을 포함한다. 제1보호캡(337)은 결합부재(331)와 필터부재(335)를 덮도록 결합부재(331)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결합부재(331)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위하여, 필터부(330)는 제1보호캡(337)과 결합부재(331)를 연결하며, 외력에 의하여 절단되는 복수의 브릿지(339)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브릿지(339)는 제1보호캡(337)과 결합부재(331)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필터부(330)를 분쇄튜브(10)에 체결한 상태에서, 소정 힘을 가하면 절단되면서 제1보호캡(337)이 결합부재(33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필터부(330)는 제1보호캡(337), 필터부재(335), 결합부재(331) 및 브릿지(339)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분쇄튜브 20: 대상조직
25: 세포군 30: 비드
100: 본체 200: 분쇄유닛
300: 수득장치 320: 분무튜브
400: 분무유닛 500: 검사유닛
600: 흡입건 700: 조작패널

Claims (8)

  1.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에 있어서,
    분쇄된 조직 파쇄물이 수용되는 분쇄튜브와;
    상기 분쇄튜브 내에 수용된 조직 파쇄물로부터 세포군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상기 세포군을 수용하는 분무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쇄튜브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분쇄튜브의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덮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1보호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호캡과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며, 외력에 의하여 절단되는 복수의 브릿지가 상기 분무튜브 보호캡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쇄튜브에 록킹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분쇄튜브의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튜브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호 마주하는 일 면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록킹부재가 더 포함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세포군을 여과 후, 상기 분쇄튜브와 상기 분무튜브를 분리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분무튜브에서 분리되어 분쇄튜브측에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튜브는,
    상기 필터부를 덮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무튜브를 보호하는 제1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튜브는,
    상기 세포군을 수용하는 내부 수용공간 및 상기 세포군을 분무하는 분무구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 가능한 분무튜브본체와;
    상기 분무구를 덮도록, 상기 분무튜브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보호캡과;
    상기 분무튜브본체의 수용공간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튜브는,
    상기 분무구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KR1020120002380A 2012-01-09 2012-01-09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KR10135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80A KR101359693B1 (ko) 2012-01-09 2012-01-09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80A KR101359693B1 (ko) 2012-01-09 2012-01-09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418A KR20130081418A (ko) 2013-07-17
KR101359693B1 true KR101359693B1 (ko) 2014-02-10

Family

ID=4899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380A KR101359693B1 (ko) 2012-01-09 2012-01-09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57A (ko) 2019-06-11 2020-12-21 재단법인 베스티안재단 피부치료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피부치료제
KR20210009575A (ko) 2019-07-17 2021-01-27 (주)리젠케어 변형가능한 세포배양 스캐폴드와 이를 이용한 치료제의 제조방법
KR20210156009A (ko) * 2020-06-17 2021-12-24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 잉크 제조를 위한 조직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이오 잉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3959B2 (en) * 2001-06-13 2003-09-23 Ethico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ell harvesting
KR20070018726A (ko) * 2005-08-10 2007-02-14 알자 코포레이션 무바늘 분사 주사 약물 전달 장치
JP2009038998A (ja) 2007-08-07 2009-02-26 Olympus Corp 細胞分離装置
KR20100028061A (ko) * 2007-05-31 2010-03-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미생물학적 분석을 위해 샘플을 수집 및 농축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3959B2 (en) * 2001-06-13 2003-09-23 Ethico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ell harvesting
KR20070018726A (ko) * 2005-08-10 2007-02-14 알자 코포레이션 무바늘 분사 주사 약물 전달 장치
KR20100028061A (ko) * 2007-05-31 2010-03-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미생물학적 분석을 위해 샘플을 수집 및 농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9038998A (ja) 2007-08-07 2009-02-26 Olympus Corp 細胞分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57A (ko) 2019-06-11 2020-12-21 재단법인 베스티안재단 피부치료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피부치료제
KR20210009575A (ko) 2019-07-17 2021-01-27 (주)리젠케어 변형가능한 세포배양 스캐폴드와 이를 이용한 치료제의 제조방법
KR20210156009A (ko) * 2020-06-17 2021-12-24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 잉크 제조를 위한 조직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이오 잉크
KR102422646B1 (ko) 2020-06-17 2022-07-18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 잉크 제조를 위한 조직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이오 잉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418A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693B1 (ko)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수득장치
EP2145636B1 (de) Absaugpumpeneinheit
AR045181A2 (es) Fibras unidas con un componente que contiene cation polivalente
DE202006018986U1 (de) Applikator für eine Wasserstrahleinrichtung, insbesondere zur Behandlung von Wunden und Geschwüren
KR101548124B1 (ko) 피부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
EP3771525B1 (de) Anordnung zum schutz gegen unautorisierten eingriff mit einem arbeitshandschuh in ein containment
DE102017100192A1 (de) Permanente Wundauflage mit Plasmaelektrode
CN110049785A (zh) 用于处理医疗设备的机器
CN205462125U (zh) 药物合成装置
KR101359702B1 (ko)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세포 분무장치
DE102008059585A1 (de) Absaugvorrichtung für Schleifgeräte
KR101328561B1 (ko) 피부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자가피부세포치료제의 제조방법
CN205268587U (zh) 一种化疗药物自动配置器
KR101359695B1 (ko) 세포처리 및 적용 시스템용 조직 분쇄장치
EP2895125B1 (de) Klebeverband
CN117046154B (zh) 一种动物组织渗出液萃取装置
EP3771526B1 (de) Handschuhvorrichtung zum geschützten eingriff in ein containment
Krkic-Dautovic et al. Acute renal insufficiency and toxic hepatitis following scorpions sting
WO2007100892A3 (en) Trojan horse immunotherapy
Zhao et al. Influence of tongxinluo on microvascular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an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expression in rat brain ischemia-reperfusion model
DE10355810B4 (de) System zur Reinigung eines Prozessraumes eines Isolators
DE102012005178B4 (de) Medizinisches oder kosmetisches Bearbeitungsgerät
EP2684655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längerung der Nutzungsdauer eines Ärmelteils eines Handschuhkastens oder Isolators
CN105342852A (zh) 一种化疗药物自动配置器
WO2017121517A1 (de) Verband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handeln einer wu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