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51B1 -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51B1
KR101359551B1 KR1020120089588A KR20120089588A KR101359551B1 KR 101359551 B1 KR101359551 B1 KR 101359551B1 KR 1020120089588 A KR1020120089588 A KR 1020120089588A KR 20120089588 A KR20120089588 A KR 20120089588A KR 101359551 B1 KR101359551 B1 KR 10135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burner
cooling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2008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8Cooling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6Protecting flame and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적열에 의한 버너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예혼합 버너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혼합 버너는,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가 중첩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중 일부 플레이트(210c~210k)의 몸체 일부를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에 의해 염공(212c~212k)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Premixed burner having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가 절개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중첩하여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에 냉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버너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나 온수기 등의 연소기기에 사용되는 가스 버너는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는 방식에 따라 분젠(Bunsen) 버너와 예혼합(Pre-mixed) 버너로 구분할 수 있다.
분젠 버너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부에서 연소에 필요한 최소한의 1차 공기를 공급하고, 화염이 형성되는 부위에 과잉 2차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연소를 실현시키는 버너로서, 연소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2차 공기에 의해 화염이 형성되므로 화염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예혼합 버너는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혼합실에서 미리 혼합한 예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낮은 공기비로의 운전이 가능하여 고효율, 고부하 연소가 가능하며, 전체적인 화염의 길이를 줄여주는 동시에 화염의 온도를 낮추어서 일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 등의 공해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분젠 버너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공해물질의 발생을 줄이고 연소실을 소형화하기 위해 예혼합 버너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예혼합 방식의 가스 버너는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가스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연소용 가스가 버너몸체 내부에서 예혼합되어 그 상측에 구비된 버너 염공부로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버너 염공부는 평판이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판재에 염공을 천공한 구조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구조는 열응력에 의해 버너 연소면이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염공이 손상되어 불완전 연소와 역화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버너 염공부 구조에 의하면, 연소시 버너 표면의 적열로 인해 열 팽창이 누적되어 버너를 고정시키는 구조물에 큰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구조물이 취약해져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7297호에는, 일부가 절개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중첩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이웃하는 플레이트 간에 절개된 부분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혼합가스 유로 및 염공을 형성시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10-2011-0127297에 개시된 예혼합 버너에 의하면, 적열 모드에서 운전시 플레이트에 많은 열이 축열되어 과열로 인한 불완전 연소와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첩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적열에 의한 버너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예혼합 버너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혼합 버너는,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가 중첩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중 일부 플레이트(210c~210k)의 몸체 일부를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에 의해 염공(212c~212k)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냉각장치는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복수의 냉각파이프(230a~230f)를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관통시켜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양단부는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양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제1유로캡(251) 및 제2유로캡(252)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캡(251)과 제2유로캡(252)에는 상기 냉각수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지는 유입구(251c)와 유출구(252c)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중 양측단에 위치한 플레이트(220a,220n)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각각 밀착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각파이프(230a~230f) 길이방향과 나란한 측부에는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의 몸통부(261a,262a)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양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의 가장자리부(261b,262b)는 상기 엔드플레이트(241,242)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는,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는 제1플레이트(210a~210m)와,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보다 높이가 낮아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지 않는 제2플레이트(220a~220n)로 이루어져 연료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는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 외부를 거친 후 상기 염공(212c~212k)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와 제2플레이트(220a~220n)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는, 상기 염공(212c~212k)이 형성된 복수의 제1플레이트(210c~210k)와, 상기 제1플레이트(210c~210k)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의 제1플레이트(210a,210b)와 타측의 제1플레이트(210l,210m)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염공(212c~212k)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210c~210k)의 개수가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플레이트(210a,210b,210l,210m)의 개수보다 더 많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염공(212c~212k)은,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된 혼합가스유입염공(212-1c~212-1k)과, 상기 혼합가스유입염공(212-1c~212-1k)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화염을 생성시키는 측에 형성된 화염형성염공(212-2c~212-2k)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c~210k)의 양측에 인접한 제2플레이트(220c~220l)의 높이와 상기 화염형성염공(212-2c~212-2k)의 높이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 내부에는 난방수 또는 온수가 흐르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냉각 파이프가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버너를 냉각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적열에 의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예혼합 버너가 구비된 보일러를 보여주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예혼합 버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예혼합 버너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염공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예혼합 버너에서 혼합가스의 유동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예혼합 버너가 구비된 보일러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예혼합 버너가 구비된 보일러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100)로부터 공급된 혼합가스를 연소함과 아울러 냉각장치가 구비된 버너(200), 상기 버너(200)에서 생성된 화염에 의해 상기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300), 상기 연소실(300)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한 연소가스와 내부를 흐르는 난방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400), 상기 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후드(500)와 배기덕트(600)로 이루어진다.
난방소요처에서 열교환을 마친 난방환수는 상기 열교환기(400)에 연결된 유입구(710)를 통해 열교환기(40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기(4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연결관(720)을 통해 냉각장치가 구비된 버너(200)로 유입된다.
상기 버너(200)로 유입된 난방수는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버너(200)를 냉각시킨 후 유출구(730)를 통해 배출되어 난방소요처로 공급된다. 이 경우 난방수는 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버너(200)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 번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보일러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버너(200) 자체는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과열이 방지되고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200)의 냉각장치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난방수로 하였으나, 온수기의 경우 열교환기를 통과한 온수를 버너(20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예혼합 버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예혼합 버너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염공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예혼합 버너에서 혼합가스의 유동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예혼합 버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예혼합 버너(200)는,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가 중첩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중 일부 플레이트(210c~210k)의 몸체 일부를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에 의해 염공(212c~212k)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적열 모드에서 운전시 플레이트에 많은 열이 축열되어 과열로 인한 불완전 연소와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에 열이 축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열로 인한 불완전 연소 및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0a~210m,220a~220n)는, 상기 냉각장치로 기능하는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도록 냉각파이프 관통구멍(211a~211m)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210a~210m)와,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와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보다 높이가 작은 제2플레이트(220a~220n)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는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만 관통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220a~220n)는 관통하지 않고 그 위로 지나가도록 구비된다.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 내부에는 난방수가 흐르도록 되어 있어 상기 난방수에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와 제2플레이트(220a~220n)의 열이 전달되어 상기 플레이트(210a~210m, 220a~220n)를 냉각시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는, 염공(212c~212k)이 형성된 복수의 제1플레이트(210c~210k)와, 상기 복수의 제1플레이트(210c~210k)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의 제1플레이트(210a,210b)와 타측의 제1플레이트(210l,210m)로 이루어진다. 즉, 예혼합 버너의 좌우 측단에는 염공이 형성되지 않는 복수의 제1플레이트(210a,210b,210l,210m)를 배치시켜 상기 염공(212c~212k)에서 생성된 화염이 연소실(300) 벽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염공(212c~212k)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210c~210k)의 개수가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플레이트(210a,210b,210l,210m)의 개수보다 더 많게 함으로써 예혼합 버너(200)에서 일정 이상의 열량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플레이트(210a)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a)는,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진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는 복수의 냉각파이프 관통구멍(2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를 상기 냉각파이프 관통구멍(211a)에 결합하게 되면 그 내부의 난방수와 상기 제1플레이트(210a)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 상기 제1플레이트(210a)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제1플레이트(210a)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제1플레이트(210b,201l,210m)의 경우에도 동일한 형상 및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염공(212c)을 구비한 제1플레이트(210c)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c)에는 상기 복수의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는 복수의 냉각파이프 관통구멍(211c)과, 화염을 형성시키기 위한 염공(21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염공(212c)은 상기 제1플레이트(210c) 몸체 하단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것으로,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된 혼합가스유입염공(212-1c)과 상기 혼합가스유입염공(212-1c)보다 폭이 더 넓게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화염형성염공(212-2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제1플레이트(210c)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제1플레이트(210c~210k)의 경우에도 동일한 형상 및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220a)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220a)는 상기 제1플레이트보다 낮은 높이의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는 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를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에 관통결합시키면 상기 제2플레이트(220a)의 상측을 지나가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220a)의 높이(A)는 상기 제1플레이트(210c)의 화염형성염공(212-2c)의 높이(B)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 및 측판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양단부는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양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제1유로캡(251) 및 제2유로캡(252)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는, 판재로 이루어진 몸체(241a)와, 상기 몸체(241a)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241b)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41a)에는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구멍(24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242)는, 판재로 이루어진 몸체(242a)와, 상기 몸체(242a)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242b)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42a)에는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구멍(24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는 상기 결합구멍(241c,242c)에 끼워진 후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유로캡(251)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와의 사이에 공간(251d)을 형성시키도록, 몸체(251a)와 상기 몸체(251a)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가장자리부(251b)와 상기 연결관(720)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251a)로부터 돌출되어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51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유로캡(251)의 상기 가장자리부(251b)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a)의 몸체(241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되면 상기 공간(251d)과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251c)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난방수)는 상기 공간(251d)을 경유하여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유로캡(252)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242)와의 사이에 공간(252d)을 형성시키도록, 몸체(252a)와 상기 몸체(252a)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가장자리부(252b)와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여 온 냉각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25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유로캡(252)의 상기 가장자리부(252b)가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242a)의 몸체(242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되면 상기 공간(252d)과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 내부를 유동하여 온 냉각수는 상기 공간(252d)을 경유하여 상기 유출구(252c)를 통해 유출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중 양측단에 위치한 플레이트(220a,220n)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연소가스가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연소실(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각파이프(230a~230f)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측부에는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의 몸통부(261a,262a)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양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의 가장자리부(261b,262b)는 상기 엔드플레이트(241,242)의 몸체(241a,242a)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플레이트(210a~210m)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 양측에 제2플레이트(220a~220n)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는 높이가 높게 되어 있고, 상기 제2플레이트(220a~220n)는 낮은 높이로 되어 있다. 냉각파이프(230)는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20a~220n) 상측을 지나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의 하단부에는 염공(212c~212k)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염공(212c~212k)의 좌우 양측에는 제2플레이트(220c~220l)가 상기 염공(212c~212k)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어, 상측으로부터 유동하여 온 혼합가스가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염공(212c~212k)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 제1유로캡(251)과 제2유로캡(252),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의 각 결합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측에 구비된 제1플레이트(210a,210b)와 제2플레이트(220a,220b,220c)는 상호 밀착되어 있어 그 사이에 염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타측에 구비된 제1플레이트(210l,201m)와 제2플레이트(220l,220m,220n)도 상호 밀착되어 있어 그 사이에 염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9를 참조하여 혼합가스의 유동경로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교대로 배치하게 되면, 송풍기(100)에서 공급된 혼합가스는 이웃하는 제1플레이트(210f~210i)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한 후 제2플레이트(220g,220h,220i)의 상단에 가로막혀 제1플레이트(210f,210g,210h,210i)의 혼합가스유입염공(212-1f ~ 212-1i)으로 유입된 후 화염형성염공(212-2f ~ 212-2i)을 통해 분출되면서 연소가 이루어져 화염을 형성시킨다. 또한 혼합가스는 폭이 좁은 혼합가스유입염공(212-1f ~ 212-1i)으로 유입되어 폭이 더 넓은 화염형성염공(212-2f ~ 212-2i)으로 분출되므로 혼합가스의 유동속도가 증가하여 연소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예혼합 버너에 의하면, 버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냉각 파이프가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버너를 냉각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적열에 의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송풍기 200 : 버너
210a~210m : 제1플레이트 211a~211m : 냉각파이프 관통구멍
212c~212k : 염공 212-1c~212-1k : 혼합가스유입염공
212-2c~212-2k : 화염형성염공 220a~220n : 제2플레이트
230a~230f : 냉각파이프 241 : 제1엔드플레이트
242 : 제2엔드플레이트 251 : 제1유로캡
252 : 제2유로캡 261 : 제1측판
262 : 제2측판 300 : 연소실
400 : 열교환기 500 : 배기후드
600 : 배기덕트

Claims (10)

  1.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가 중첩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중 일부 플레이트(210c~210k)의 몸체 일부를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에 의해 염공(212c~212k)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장치는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복수의 냉각파이프(230a~230f)를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관통시켜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는,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는 제1플레이트(210a~210m)와,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보다 높이가 낮아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가 관통하지 않는 제2플레이트(220a~220n)로 이루어져 연료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는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 외부를 거친 후 상기 염공(212c~212k)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와 제2플레이트(220a~220n)는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양단부는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의 양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제1유로캡(251) 및 제2유로캡(252)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캡(251)과 제2유로캡(252)에는 상기 냉각수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지는 유입구(251c)와 유출구(252c)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중 양측단에 위치한 플레이트(220a,220n)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241)와 제2엔드플레이트(242)에 각각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파이프(230a~230f) 길이방향과 나란한 측부에는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의 몸통부(261a,262a)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a~210m,220a~220n) 양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1측판(261)과 제2측판(262)의 가장자리부(261b,262b)는 상기 엔드플레이트(241,242)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210a~210m)는, 상기 염공(212c~212k)이 형성된 복수의 제1플레이트(210c~210k)와, 상기 제1플레이트(210c~210k)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의 제1플레이트(210a,210b)와 타측의 제1플레이트(210l,210m)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염공(212c~212k)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210c~210k)의 개수가 염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플레이트(210a,210b,210l,210m)의 개수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공(212c~212k)은,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된 혼합가스유입염공(212-1c~212-1k)과, 상기 혼합가스유입염공(212-1c~212-1k)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화염을 생성시키는 측에 형성된 화염형성염공(212-2c~212-2k)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210c~210k)의 양측에 인접한 제2플레이트(220c~220l)의 높이와 상기 화염형성염공(212-2c~212-2k)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230a~230f) 내부에는 난방수 또는 온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 버너.
KR1020120089588A 2012-08-16 2012-08-16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 KR10135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88A KR101359551B1 (ko) 2012-08-16 2012-08-16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88A KR101359551B1 (ko) 2012-08-16 2012-08-16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551B1 true KR101359551B1 (ko) 2014-02-12

Family

ID=5027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588A KR101359551B1 (ko) 2012-08-16 2012-08-16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6851U (ko) * 1976-02-12 1977-08-15
JPH10510912A (ja) * 1994-12-20 1998-10-20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加熱装置、特に湯沸かし器のためのガスバーナ
KR2004003537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냉각용 수관을 갖는 예혼합 가스연소 버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6851U (ko) * 1976-02-12 1977-08-15
JPH10510912A (ja) * 1994-12-20 1998-10-20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加熱装置、特に湯沸かし器のためのガスバーナ
KR2004003537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냉각용 수관을 갖는 예혼합 가스연소 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0304B2 (ja) ガスボイラー用バーナー
CA2535674C (en) Boiler and low-nox combustion method
JP4704900B2 (ja) 燃焼加熱器
US20140186784A1 (en) Burner
CN106152480A (zh) 燃气热水器
US9068760B2 (en) Heating appliance for air heating
TWI551824B (zh) 燃燒裝置的燃燒控制方法
CN111594833A (zh) 一种环形面冷焰超低氮燃烧器
JP5936400B2 (ja) 管状火炎バーナ及びラジアントチューブ式加熱装置
TWI494527B (zh) Fuel burners, combustible solid fuel burner units and combustible solid fuel boilers
KR101911162B1 (ko) 가스 터빈 연소기
KR101359551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혼합 버너
WO2023185107A1 (zh) 一种燃烧装置和燃气热水器
EP4001758A1 (en) Ported burner
KR20120045250A (ko) 예혼합 연소버너의 냉각장치
CN208349298U (zh) 燃烧器和燃气热水器
CA2827393C (en) Top-firing hot blast stove
JP3946574B2 (ja) エアヒートバーナ
JP2010276299A (ja) バーナ及びそれを用いた燃焼器
KR20080002348U (ko) 가스버너용 연소기
CN212746465U (zh) 一种水冷全预混平面燃烧器及其燃烧面板、燃烧系统
WO2018058928A1 (zh) 燃气热水器
KR100976032B1 (ko) 콘덴싱 가스 보일러
JP5749856B2 (ja) ガスバーナーシステム
CN210320025U (zh) 一种全预混燃烧器及具有其的燃气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