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07B1 -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07B1
KR101359007B1 KR1020120038665A KR20120038665A KR101359007B1 KR 101359007 B1 KR101359007 B1 KR 101359007B1 KR 1020120038665 A KR1020120038665 A KR 1020120038665A KR 20120038665 A KR20120038665 A KR 20120038665A KR 101359007 B1 KR101359007 B1 KR 10135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rame
battery
seat fram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893A (ko
Inventor
박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덕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덕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덕전자
Priority to KR102012003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0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이나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시트프레임의 재질 및 구조를 변경하여 요구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초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제작공정을 단순화하며, 보다 작은 중량에 방열성능이 더욱 우수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 및 배터리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전면시트, 중앙의 스틸(steel) 재질로 된 판상의 중앙시트 및 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후면시트가 겹층된 구조이고, 상기 후면시트는, 상기 메인보드에 실장된 칩이 접촉되는 위치에 칩안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터리안착홀이 각각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INNER FRAM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메인보드 사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패널과 메인보드를 각각 지지하면서 메인보드에 실장된 각종 전자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기술 발전에 의해 통신장비가 소형화되고,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 통신장비의 이동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현대인은 PDA와 휴대전화기 등 통신을 위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의 결합 및 개폐방식에 따라 폴더형(Folder Type), 플립형(Flip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스윙형(Swing Type), 각각의 복합형(Complex Type) 또는 바형(Bar Type) 등의 휴대용 단말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전자기술 및 이동통신기술의 세대(Generation)가 발전할수록 휴대용 단말기는 본래의 용도인 원거리에서의 의사소통수단을 넘어, 소위 내 손안의 컴퓨터로서 다양한 부가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고화질의 디지털카메라를 부착시켜 카메라 기능을 부가하였고, 메모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고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여 엠피쓰리(MP3), 각종 게임 및 영화를 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외 GPS나 온라인 통신 등 복합기능의 휴대폰인 소위 스마트폰 시대가 열렸다.
특히, 터치스크린 기술에 의해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던 복수의 버튼이 구비된 자판이 실종되어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중 바형(Bar Type)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별도의 자판이 필요없는 대신에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패널이 필요하고, 많은 기능의 추가로 인해 CPU 및 각종 칩이 탑재된 메인보드가 커지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내부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내부프레임의 실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는,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와, 상기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31)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각각 결합되는 내부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프레임(3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31),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1) 중 내부프레임(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31)이 안착되고, 후면의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30a)과, 상기 시트프레임(30a)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가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30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프레임(30)은 시대적 흐름상 박형의 휴대용 단말기(1)를 제작하기 위해, 당연히 내부프레임(30) 역시 초박형으로 형성할 수밖에 없고, 또한 박형의 휴대용 단말기(1)라도 낙하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프레임(30)의 강도도 좋아야 한다. 더불어, 내부프레임(30) 중 시트프레임(30a)은 특히 디스플레이패널(31), 각종 칩(32a)이 실장된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접촉 결합되므로 방열성능도 좋아야 한다. 즉, 상기 내부프레임(30)은 초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야 하고, 낙하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강도도 좋아야 하며, 방열성능도 뛰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프레임(30)의 구성 중 테두리프레임(30b)은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시트프레임(30a)을 인서트(insert)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30) 중 시트프레임(30a)의 재질은,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마그네슘(Mg)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철금속 합금(Mg-Al계 합금)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순수 마그네슘은 활성이 매우 높고, 주조, 연마 등의 가공시 발화 위험성이 클뿐 아니라 강도 및 부식성 등의 일반적인 특성이 구조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못하지만, 알루미늄 등과의 합금으로 제공되면 대폭 안정화되는 동시에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진다.
예컨대, 마그네슘 합금에 알루미늄이 첨가되면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Mn이 첨가되면 내식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함량만큼 Fe, Cu, Ni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으며, Ag를 첨가하면 내열 강도를 개선시키게 되고, Zn이 첨가되면 내식성과 강도가 개선되며, Si가 첨가되면 크리프 강도가 개선되며, Zr이 첨가되면 결정립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마그네슘에 희토류 원소가 첨가되면 주조 특성을 향상시키고, 용해와 주조시 산화를 방지하며, 이때 희토류 원소들은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각종 원소들이 첨가된 마그네슘 합금은 주조성이 우수하여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다소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합성수지에 비해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상기 내부프레임(30)의 구성 중 시트프레임(30a)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 재질의 시트프레임(30a)을 정밀주조방법인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한 후, 제작된 시트프레임(30a)을 인서트로 하여 합성수지재인 테두리프레임(30b)를 인서트 사출성형함으로써 내부프레임(30)을 일체로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시트프레임(30a)을 마그네슘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할 시, 희토류 원소나 기타 비철금속 등을 첨가하여 합금을 형성하는데 생산비용이 너무나 고가이고, 더욱이 시트프레임(30a)을 아무리 초박형으로 제작하더라도 최소한의 요구강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그 두께가 0.8mm는 되어야 하므로 그 이하로 두께를 줄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시트프레임(30a)의 제작상 문제를 해결하고자 SUS(Stainless Use Steel) 재질을 사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즉, 스틸재질은 마그네슘 합금보다는 생산비용을 확연히 줄일 수 있고, 훨씬 얇은 두께로도 최소한의 요구강도를 맞출 수 있으며, 마그네슘 합금보다는 못하지만 금속재질로서 방열성능도 확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30a)을 스틸재질로 형성하여 보다 초박형으로 제작하고, 생산비용을 낮추면서 요구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방열성능도 갖추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틸재질의 시트프레임(30a) 역시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는데, 첫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32)의 각종 칩(32a)이 접촉되는 칩함몰홈(30a-1)이나 배터리(33)가 접촉되는 배터리함몰홈(30a-2) 등을 형성하기 위해 화학약품에 의한 식각공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또 다른 공정의 추가와, 최근 메인보드(32)에 실장되는 각종 칩(32a)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열로 인한 방열성능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와 함께, 마그네슘 합금보다 박형으로 제작되지만 그 중량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이나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시트프레임의 재질 및 구조를 변경하여 요구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초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제작공정을 단순화하며, 보다 작은 중량에 방열성능이 더욱 우수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 및 배터리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전면시트, 중앙의 스틸(steel) 재질로 된 판상의 중앙시트 및 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후면시트가 겹층된 구조이고, 상기 후면시트는, 상기 메인보드에 실장된 칩이 접촉되는 위치에 칩안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터리안착홀이 각각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시트는, 상기 후면시트를 바라보는 면에 환상으로 된 복수의 리벳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는, 상기 전면시트의 리벳돌기가 각각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복수의 리벳결합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면시트,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는, 상호 간 프레싱에 의해 겹층되면서 상기 리벳돌기 각각이 상기 리벳결합홀에 삽입된 후 각각 리벳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시트의 배터리안착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앙시트의 상기 후면시트를 바라보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외측 둘레를 고정하도록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상기 중앙시트에 용접결합되는 스틸재질로 된 배터리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면시트,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를 겹층하여 제작한 후, 상기 시트프레임을 인서트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기 중앙시트의 두께를 0.2mm로 하고, 상기 전면시트 및 후면시트 각각을 0.1mm로 하여 총 두께가 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이나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시트프레임의 재질 및 구조를 전면시트,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의 겹층구조로 변경하여 스틸재질로 된 중앙시트를 통해 요구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마그네슘 합금에 비해 생산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초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종래의 시트프레임보다 보다 알루미늄 재질로 된 전면시트 및 후면시트를 통해 작은 중량에도 방열성능은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 전면시트,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의 겹층에 따른 결합과정을 프레싱에 의한 리벳결합을 통해 이루어냄으로써 대량생산에 적합한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특히, 스틸재질의 배터리고정구를 중앙시트에 용이하게 용접결합하기 위하여 후면시트를 제작할 때 미리 배터리안착홀을 관통 형성하여 두고, 그와 동시에 메인보드의 칩이 접촉되는 칩안착홀을 함께 관통 형성함으로써, 종래 수행하던 식각공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내부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내부프레임의 실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배면도로서 시트프레임에 배터리고정구가 용접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 중 시트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시트프레임의 겹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서 시트프레임의 프레싱에 의한 리벳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서 시트프레임을 인서트로 하여 테두리프레임을 사출성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서 시트프레임에 배터리고정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은, 도 6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0), 테두리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배터리고정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100)은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30)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휴대용 단말기(1)의 일 구성으로서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31)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100)과,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 및 후면케이스(20)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1)의 각 구성인 전면케이스(10), 후면케이스(20), 디스플레이패널(31), 메인보드(32), 배터리(33) 및 내부프레임(30) 중에서 본 발명은 내부프레임(30)에 관한 것이고, 특히 내부프레임(30)의 구성 중 시트프레임(100) 및 테두리프레임(200) 중에서도 시트프레임(100)의 재질 및 구조 변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의 내부프레임(30) 중 시트프레임(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전면시트(110), 중앙의 스틸(steel) 재질로 된 판상의 중앙시트(120) 및 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후면시트(130)가 겹층된 구조이다. 시트프레임(100) 중 중앙의 중앙시트(120)는 스틸 재질로 제작되어 요구강도를 확보하고,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30)는 디스플레이패널(31),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와 각각 접촉하여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프레임(100)을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의 겹층구조로 제작하더라도 저중량의 초박형 구조를 가지면서도 방열성능이 우수해진다. 예컨대, 종래 마그네슘 합금의 경우 요구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0.8mm의 두께를 가지며, 단일의 스틸재질의 경우 0.4mm 정도의 두께만으로도 요구강도를 확보할 수 있지만 중량이 커지고, 방열성능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0)의 경우 중앙시트(120)의 두께를 0.2mm로 하고, 상기 전면시트(110) 및 후면시트(130) 각각을 0.1mm로 하여 총 두께가 0.4mm의 초박형으로 제작한다. 그에 따라, 중앙시트(120)를 통해 요구강도를 확보하면서도 전면시트(110) 및 후면시트(120)를 통해 중량을 줄이면서 방열성능이 더욱 우수해지는 것이다.
이때, 시트프레임(100)의 내부로 도 2에 도시된 상기 메인보드(32)의 칩(32a)이나 배터리(33)가 침입하게 되는데, 이는 휴대용 단말기(1)의 박형화 및 접촉에 따른 방열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시트프레임(100)의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결합되는 면에는 메인보드(32)의 칩(32a)이나 배터리(33)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홈이 필요하다. 종래 이러한 함몰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단일의 스틸재질인 경우 화학약품에 의한 식각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0)은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의 겹층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결합되는 후면시트(130)에 홈가공이 아닌 관통홀을 미리 형성하면, 상기 메인보드(32) 및 배터리(33)가 안착되는 함몰홈이 형성되는 것과 같다. 즉, 도 7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시트(130)는 상기 메인보드(32)에 실장된 칩(32a)이 접촉되는 위치에 칩안착홀(13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33)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터리안착홀(132)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그에 따라, 메인보드(32)의 칩(32a)은 후면시트(130)의 칩안착홀(131)의 내부로 침입하여 중앙시트(120)에 접촉하고, 배터리(33) 역시 후면시트(130)의 배터리안착홀(132)의 내부로 침입하여 중앙시트(120)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프레임(100)의 겹층구조를 형성할 때, 공정을 단순화시켜 대량생산에 적합한 결합형태가 필요하다. 시트프레임(100)의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는 한번 결합되면 영구히 결합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여러가지 결합방법이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딩,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이 있겠지만, 각 시트가 초박판인 것을 감안하여 결합 후 열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고, 결합과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레싱에 의한 리벳결합을 통해 각 시트를 일체화시킨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시트(110)는 상기 후면시트(130)를 바라보는 면에 환상으로 된 복수의 리벳돌기(1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는 상기 전면시트(110)의 리벳돌기(111)가 각각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복수의 리벳결합홀(125)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의 제작시 미리 리벳돌기(111) 및 리벳결합홈(125)이 형성된 상태로 제작한다. 이후,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는 상호 간 프레싱에 의해 겹층되면서 상기 리벳돌기(111) 각각이 상기 리벳결합홈(125)에 삽입된 후 각각 리벳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의 리벳결합에 의한 겹층구조를 가진 시트프레임(100)을 제작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된 시트프레임(100)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프레임(200)이 결합된다. 상기 테두리프레임(200)의 결합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상기 테두리프레임(200)은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를 겹층하여 제작한 후, 상기 시트프레임(100)을 인서트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프레임(100)에 테두리프레임(200)을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내부프레임(30)이 만들어진다.
한편, 시트프레임(100)의 배터리안착홀(132)에 안착되는 배터리(33)를 고정시키기 위해 배터리고정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고정구(300)가 알루미늄(Al) 재질이라면 후면시트(130)에 곧바로 용접결합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재질의 경우 강도가 약하고, 쉽게 변형하므로 배터리(33)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재질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부터 배터리(33)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고정구(300)는 스틸재질로 제작된다. 그렇다면, 배터리고정구(300)는 스틸재질로 된 중앙시트(120)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상술한 후면시트(130)에 미리 배터리안착홀(13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도 7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고정구(300)는 스틸재질로서 상기 후면시트(130)의 배터리안착홀(132)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앙시트(120)의 상기 후면시트(130)를 바라보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33)의 외측 둘레를 고정하도록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310)를 통해 상기 중앙시트(120)에 용접결합된다. 따라서 동일한 재질의 배터리고정구(300)와 중앙시트(120)의 용접결합은 쉽게 이루어질 것이고, 이때 배터리고정구(300)의 하단에 플랜지(310)를 통해 중앙시트(120)와 용접결합된다. 다만, 협소한 공간에서 박판의 용접 결합시 스폿용접을 통해 배터리고정구(300)의 플랜지(310)와 중앙시트(12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스폿용접부(315)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의 내부프레임(30)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이나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시트프레임의 재질 및 구조를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의 겹층구조로 변경하여 스틸재질로 된 중앙시트(120)를 통해 요구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마그네슘 합금에 비해 생산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초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단일의 스틸재질로 제작되던 종래의 시트프레임보다 보다 알루미늄 재질로 된 전면시트(110) 및 후면시트(130)를 통해 작은 중량에도 방열성능은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프레임(100)을 제작하기 위해 전면시트(110), 중앙시트(120) 및 후면시트(130)의 겹층에 따른 결합과정을 프레싱에 의한 리벳결합을 통해 이루어냄으로써 대량생산에 적합한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특히, 스틸재질의 배터리고정구(300)를 중앙시트(120)에 용이하게 용접결합하기 위하여 후면시트(130)를 제작할 때 미리 배터리안착홀(132)을 관통 형성하여 두고, 그와 동시에 메인보드(32)의 칩(32a)이 접촉되는 칩안착홀(131)을 함께 관통 형성함으로써, 종래 수행하던 식각공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휴대용 단말기
10 : 전면케이스
20 : 후면케이스
30 : 내부프레임 31 : 디스플레이패널
32 : 메인보드 32a : 칩
33 : 배터리
100 : 시트프레임
110 : 전면시트 111 : 리벳돌기
120 : 중앙시트 125 : 리벳결합홀
130 : 후면시트
131 : 칩안착홀 132 : 배터리안착홀
200 : 테두리프레임
300 : 배터리고정구
310 : 플랜지 315 : 스폿용접부

Claims (5)

  1.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이 고정 결합되며, 후면에 메인보드 및 배터리가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전면시트, 중앙의 스틸(steel) 재질로 된 판상의 중앙시트 및 후방의 알루미늄(Al) 재질로 된 판상의 후면시트가 겹층된 구조이고,
    상기 후면시트는,
    상기 메인보드에 실장된 칩이 접촉되는 위치에 칩안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터리안착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면시트는,
    상기 후면시트를 바라보는 면에 환상으로 된 복수의 리벳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는,
    상기 전면시트의 리벳돌기가 각각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복수의 리벳결합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면시트,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는,
    상호 간 프레싱에 의해 겹층되면서 상기 리벳돌기 각각이 상기 리벳결합홀에 삽입된 후 각각 리벳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시트의 배터리안착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앙시트의 상기 후면시트를 바라보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외측 둘레를 고정하도록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상기 중앙시트에 용접결합되는 스틸재질로 된 배터리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면시트, 중앙시트 및 후면시트를 겹층하여 제작한 후, 상기 시트프레임을 인서트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기 중앙시트의 두께를 0.2mm로 하고, 상기 전면시트 및 후면시트 각각을 0.1mm로 하여 총 두께가 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KR1020120038665A 2012-04-13 2012-04-1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KR10135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65A KR101359007B1 (ko) 2012-04-13 2012-04-1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65A KR101359007B1 (ko) 2012-04-13 2012-04-1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93A KR20130115893A (ko) 2013-10-22
KR101359007B1 true KR101359007B1 (ko) 2014-02-07

Family

ID=4963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665A KR101359007B1 (ko) 2012-04-13 2012-04-13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672A (ko) * 2015-06-24 2017-09-29 광동 제너스 인텔리전트 그룹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자 장치 하우징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479A1 (ko) * 2013-11-21 2015-05-28 천진엠앤씨전자유한공사 이동통신단말기용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007A (ko) * 2005-03-22 2006-09-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조립체
JP2008182600A (ja) * 2007-01-25 2008-08-07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007A (ko) * 2005-03-22 2006-09-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조립체
JP2008182600A (ja) * 2007-01-25 2008-08-07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672A (ko) * 2015-06-24 2017-09-29 광동 제너스 인텔리전트 그룹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자 장치 하우징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7974B1 (ko) 2015-06-24 2018-11-12 광동 제너스 인텔리전트 그룹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자 장치 하우징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93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425B2 (en) Cellular phone housing
JP7346702B2 (ja) ミドルフレーム、バッテリカバー及び電子デバイス
EP2943049B1 (en) Electronic device
TWI384931B (zh) 應用於通訊裝置之外蓋以及製造該外蓋之方法
KR1014983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US2015028031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erged rear housing and antenna
KR1013590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EP3090469A1 (en) Nfc antenna assembly
US8456824B2 (en) Hous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155052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286602A1 (en) Heat conductor
CN104078193A (zh) 电感器和该电感器的制造方法
KR101264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프레임
WO2018036564A1 (en) Mobile terminal, housing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90296327A1 (en)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CN109348611B (zh) 电池保护板
JP2019160852A (ja) ヒートシンクの製造方法
CN203039754U (zh) 锌合金注塑手机外壳及具有该外壳的手机
CN202014423U (zh) 便携式终端
CN209626263U (zh) 一种动力电池顶盖以及动力电池
US10602642B2 (en) Back cover unit applied to portable device and having heat conduction function
CN216673051U (zh) 一种高可靠性手机中框结构及手机
CN112350499A (zh) 马达、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217362726U (zh) 一种vcm马达、相机及移动终端装置
TWI818718B (zh) 散熱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