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11B1 -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11B1
KR101358311B1 KR1020120053278A KR20120053278A KR101358311B1 KR 101358311 B1 KR101358311 B1 KR 101358311B1 KR 1020120053278 A KR1020120053278 A KR 1020120053278A KR 20120053278 A KR20120053278 A KR 20120053278A KR 101358311 B1 KR101358311 B1 KR 10135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nting
coated
coating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998A (ko
Inventor
최승준
김기환
최두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1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기 위한 도장유닛; 및 상기 도장유닛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도장 영역이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피도장면을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도장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장장치{PA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유닛을 이동하면서 피도장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을 수행하는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장장치는 부식이나 손상의 방지, 또는 마찰의 감소 등을 위해 피도장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피도장면에 도장되는 도막의 두께는 피도장면에 걸쳐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일 예로, 선박의 선체 하면에 형성되는 도막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면, 선박이 운항할 때 물과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추진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물과 접하는 선체의 외면, 특히 선체의 하면에는 도막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선체 블록의 하부를 도장하는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13504호는 선체 블록 하부 자동 도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작업자가 피도장면에 도료가 분사될 위치를 개략적으로 예측하여 도장장치를 위치시켜 도장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즉, 작업자는 도장 작업 개시 전 피도장면에 도료가 분사될 정확한 위치를 알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도장면에 균일한 도막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도장의 품질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또한, 도장장치가 이동하면서 도장을 수행할 때, 지면의 높이가 변화될 수 있다.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지면의 높이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지면이 평평하더라도, 예컨대 곡면 형상의 선체 블록의 하부면과 같이, 피도장면이 평면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도 도장장치와 피도장면 사이의 거리 변화로 인해 피도장면에 균일한 도장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1 KR10-2009-0113504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도장면에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도장 수행 전에 도막이 형성될 도장 영역을 피도장면에 미리 표시하여 피도장면의 정확한 영역에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도장장치와 피도장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더라도 피도장면에 균일한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료를 분사하여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기 위한 도장유닛; 및 상기 도장유닛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도장 영역이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피도장면을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도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및 도장 조건에 따라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는 상기 도장 영역이 가변되도록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위치와 방향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조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조정유닛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조정유닛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 조건은, 상기 도장 유닛의 분사 노즐과 상기 피도장면과의 거리와, 상기 분사 노즐의 도장범위각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장치는, 상기 도장 유닛의 분사 노즐과 상기 피도장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유닛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피도장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도장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 1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유닛은 상기 피도장면에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분사유닛 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유닛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도장 영역이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유닛은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이송레일의 선단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장치는, 상기 피도장면에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 2 방향으로의 도장 영역을 표시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 2 레이저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유닛은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도장면에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선단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도장면에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도장면에 도막이 형성될 도장 영역을 도장 수행 전에 확인할 수 있어, 피도장면의 정확한 영역에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장장치와 피도장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더라도 피도장면에 균일한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장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레일의 구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를 구성하는 레이저 조사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도장장치를 이용하여 선체 블록의 하면에 도장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를 구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분사 노즐 축으로부터의 변위에 따른 피도장면의 도장 두께의 변화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피도장면의 위치에 따른 도막 두께의 분포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장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도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10)는 이동대차(100), 이송레일(200), 도장유닛(300), 및 레이저 조사부(700a~f)를 포함한다.
도장유닛(300)은 피도장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장유닛(300)은 이동대차(100) 상에 탑재된 이송레일(200)에 설치되어, 이동대차(1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700a~f)는 도장유닛(300)에 의해 도료가 분사될 피도장면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도장면에는 도장유닛(300)에 의해 도료가 분사될 도장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레이저 조사부(700a~f)로부터 조사되어 피도장면에 가시화된 레이저 빔으로부터, 도장유닛(300)에 의해 도막이 형성될 피도장면의 도장 영역을 도료 분사 개시 이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피도장면에 가시화된 도장 영역을 확인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영역으로 도료가 분사되도록 이동대차(100)를 구동함으로써 도장유닛(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700a~f)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동대차(100)는 몸체부(110), 몸체부(110)의 하부 측에 제공되는 이동바퀴(120) 및 구동모터(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이동바퀴(120) 중 하나 이상의 이동바퀴(120)는 이의 축이 구동모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몸체부(110)에 제공되는 조작핸들(112)로 구동모터(130)의 동작과 이동바퀴(12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대차(100)에서 구동모터(130) 및 조작핸들(112)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몸체부(110)에 제공되는 손잡이(111)를 이용하여 도장장치(10)를 밀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송레일(200)은 이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송레일(200)은 가변레일부재(210) 및 처짐방지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레일부재(210)는 복수 개의 레일부재(211~2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변레일부재(210)는 7개의 레일부재(211~2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송레일(200)에는 7개의 레일부재(211~217)가 제공되지만, 레일부재(211~217)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 레일부재(211~217)는 서로 다른 폭과 높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 1 레일부재(211)에서 제 7 레일부재(217)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그 폭은 좁아지고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이하, 이송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제 1 방향(1),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1 방향(1)에 수직한 방향을 제 2 방향(2), 제 1 방향(1) 및 제 2 방향(2)에 수직한 방향을 제 3 방향(3)이라 한다.
각 레일부재(211~217)는 제 1 방향(1)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레일부재 중 내측의 레일부재는 외측의 레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레일부재(210)는 텔레스코픽의 형태로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각 레일부재(211~217)는 사각형의 관에서 상벽의 중심부분에 제 1 방향(1)을 따라 개방된 개방부(도 2의 도면부호 2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각 레일부재(211~217)의 형상은 상벽이 개방된 사각형 관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관에서 상부가 개방된 형상, 반원형관의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변레일부재(210)의 상면에는 개방부(221)의 양측으로 제 1 방향(1)을 따라 주행면(222)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레일부재(211~217)는 개방부(221)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주행면(222)의 안쪽에는 주행면(222)에 대해 수직한 가이드면(도 2의 도면부호 223)이 제 1 방향(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처짐방지유닛(240)은 가변레일부재(210)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유닛(240)은 이송레일(200)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처짐방지유닛(240)은 각각의 레일부재(211~217)에 하나씩 제공될 수도 있고, 일부의 레일부재에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처짐방지유닛(240)은 고정부재(241) 및 지지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41)는 이의 상단이 레일부재(211~217)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245)는 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지지부재(245)는 내측지지관(247) 및 외측지지관(246)을 포함하는 이중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내측지지관(247)은 외측지지관(246)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장 작업 시, 지지부재(245)를 이용하여 가변레일부재(210)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세팅할 수 있다.
외측지지관(246)의 상단은 고정부재(241)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측지지관(247)의 하단에는 바퀴(248)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지지관(247)의 상단에는 바퀴(248)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손잡이(249)가 연결될 수 있다. 바퀴(248)는 도장장치(10)의 이동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캐스터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레일(200)은 회전지지장치(250)에 의해 이동대차(10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지지장치(250)는 수직축(252) 및 회전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축(252)은 이동대차(1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251)는 수직축(2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송레일(200)은 그 하면이 회전부재(251)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레일(200)을 도장 작업 위치에 세팅할 때, 이송레일(200)의 위치 조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도장유닛(300)은 도장캐리지(310), 위치조절유닛(320) 및 분사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장캐리지(310)는 이송레일(200)의 주행면(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장캐리지(310)는 몸체(311), 몸체(3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판(312), 주행롤러(313a) 및 안내롤러(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롤러(313a)는 이송레일(200)의 주행면(222)을 주행가능하게 몸체(311)의 네 모서리 각각에 2개씩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311)의 네 모서리 측면에는 각각 롤러지지체(315)가 이의 회동축(315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주행롤러(313a)는 롤러지지체(315)의 회동축(315a)을 기준으로 양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주행롤러(313a)는 그 사이의 롤러지지체(315)에 의해 회동축(315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몸체(31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장캐리지(310)가 하나의 레일부재(211)에서 다음 레일부재(212)로 이동할 때, 2개의 주행롤러(313a)가 롤러지지체(315)의 회동축(315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되므로 레일부재들(211,212) 사이의 단차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안내롤러(313b)는 몸체부(110)의 네 모서리 쪽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안내롤러(313b)는 그 원주면이 가이드면(223)에 접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장캐리지(310)는 이송레일(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위치조절유닛(320)은 분사유닛(3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조절유닛(320)은 이동부재(321) 및 이동유닛(3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321)는 분사유닛(330)을 제 2 방향(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321)는 제 1 지지레일(322)과 제 1 이동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레일(322)은 제 2 방향(2)으로 제공되며, 상판(312)에서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지지레일(322)은 후술되는 전장박스(360)의 외면에 고정되거나, 상판(312)에서 제 3 방향(3)으로 제공되는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이동체(323)는 제 1 지지레일(3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유닛(325)은 제 2 지지레일(326) 및 제 2 이동체(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레일(326)은 제 3 방향(3)으로 제공되며, 제 1 이동체(32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이동체(327)는 제 2 지지레일(3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사유닛(330)은 도장캐리지(310)에 탑재되어 상부의 피도장면으로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유닛(330)은 이동유닛(325)의 제2 이동체(327)에 고정될 수 있다. 분사유닛(330)은 노즐지지부재(331) 및 분사노즐(33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지지부재(331)는 제 2 방향(2)으로 제공되며, 제 2 이동체(327)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지지부재(331)에는 제 2 방향(2)을 따라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332)이 제공될 수 있다.
분사유닛(330)은 이동부재(321)에 의해 제 2 방향(2)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유닛(330)은 이동유닛(325)에 의해 제 3 방향(3)으로 이동가능하여, 피도장면과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이동유닛(325)을 직접 상판(312)에 고정시키고 이동부재(321)를 이동유닛(325)에 고정시키고, 분사유닛(330)을 이동부재(32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구동유닛(340)은 도장캐리지(31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유닛(340)은 제 1 윈치(341) 및 제 2 윈치(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윈치(341) 및 제 2 윈치(342)는 제 1 레일부재(211)의 후단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윈치(341)에는 제 7 레일부재(217)의 전단에 설치된 지지롤러(343)를 통해 도장캐리지(310)에 연결된 제 1 로프(L1)가 감겨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윈치(342)에는 도장캐리지(310)에 연결된 제 2 로프(L2)가 감겨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윈치(341)가 제 1 로프(L1)를 감아서 당겨주고 제 2 윈치(342)가 제 2 로프(L2)를 풀어주면 도장캐리지(31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윈치(342)가 제 2 로프(L2)를 감아서 당겨주고 제 1 윈치(341)가 제 1 로프(L1)를 풀어주면 도장캐리지(31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장캐리지(310)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주행롤러(313a)를 구동시킴으로써 주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레일(200)의 길이가 늘어날 때에는, 제 1 윈치(341) 또는 제 2 윈치(342)가 각각 제 1 로프(L1) 또는 제 2 로프(L2)를 풀어줄 수 있다. 이송레일(200)의 길이가 줄어들 때에는, 제 1 윈치(341) 또는 제 2 윈치(342)가 각각 제 1 로프(L1) 또는 제 2 로프(L2)를 감아줄 수 있다.
도장캐리지(310)에는 전장박스(360)가 탑재될 수 있다. 전장박스(360)는 도장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도장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레일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송레일(2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송레일(200)이 신장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또한, 각각의 레일부재의 전방 쪽 단부를 전단이라 하고, 그 반대 편을 후단이라 한다.
레일구동장치(510)의 일단은 제 1 레일부재(211)의 하부에 연결되고, 레일구동장치(510)의 타단은 제 2 레일부재(212)의 전단 쪽에 연결될 수 있다. 레일구동장치(510)는 로드부(511) 및 유압실린더(512)를 구비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512)는 로드부(511)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부재(212)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레일부재(212)는 전단 쪽에 제공되는 제 1 도르래(521) 및 후단 쪽에 제공되는 제 2 도르래(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동와이어(W1)의 양단은 제 2 레일부재(212)의 제 1 도르래(521)를 통해 제 1 레일부재(211)의 전단과 제 3 레일부재(213)의 후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레일부재(212)의 제 1 도르래(521)는 제 1 레일부재(211)의 전단 및 제 3 레일부재(213)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부재(21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제 3 레일부재(213)도 제 1 연동와이어(W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연동와이어(W2)의 양단은 제 2 레일부재(212)의 제 2 도르래(522)를 통해 제 1 레일부재(211)의 전단 및 제 3 레일부재(213)의 후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레일부재(212)의 제 2 도르래(522)는 제 1 레일부재(211)의 전단 및 제 3 레일부재(213)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부재(212)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 3 레일부재(213)도 제 2 연동와이어(W2)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3 레일부재(213) 내지 제 6 레일부재(216)의 전단 및 후단에도 제 1 도르래(521) 및 제 2 도르래(522)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제 2 레일부재(212) 내지 제 7 레일부재(217)는 제 1 연동와이어(W1) 및 제 2 연동와이어(W2)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에 위치되는 제 7 레일부재(217)에는 제 1 도르래(521) 및 제 2 도르래(522)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제 7 레일부재(217)는 제 6 레일부재(216)에 제공되는 제 1 도르래(521) 및 제 2 도르래(522)를 통해 제 5 레일부재(21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부재(212) 내지 제 7 레일부재(217)는 하나의 레일구동장치(510)에 의해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각 레일부재(211~217)는 각각 별도의 레일구동장치(510)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레일부재는 구동 모터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레일부재는 랙과 피니언으로 연결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10)에는 커버어셈블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어셈블리(400)는 복수의 커버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커버부재(410)는 하우징(421), 회전체(422), 커버(423) 및 실링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21)은 회전체(422) 및 커버(423)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421)은 그 길이 방향이 제 2 방향(2)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421)의 길이는 주행면(222)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421)은 사각형 기둥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421)의 형상은 다각형 기둥 또는 원기둥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421)의 외면에는 제 1 브라킷(427)이 제공된다. 하우징(421)은 제 1 브라킷(427)에 의해 도장유닛(300) 또는 가변레일부재(21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423)는 그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423)의 폭은 하우징(421)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423)의 일단은 회전체(42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423)의 타단은 하우징(421)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제 2 브라킷(428)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브라킷(428)은 그 길이가 커버(423)의 폭에 대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회전체(422)는 하우징(421)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422)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회전체(4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23)는 회전체(422)에 감긴 상태로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 브라킷(428)은 하우징(42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421)의 개구에는 제 2 방향(2)을 따라 실링부재(424)가 제공될 수 있다. 실링부재(424)의 일단은 하우징(421)에 고정되고 타단은 개구를 출입하는 커버(423)의 일면에 접할 수 있다. 실링부재(424)는 커버(423)가 하우징(421)의 내부공간으로 말려 들어갈 때 커버(423)의 표면을 닦아내어, 커버(423) 표면의 이물질이 하우징(4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423)는 그 표면이 테프론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테프론은 안정된 화합물로 화학적으로 비활성이고 마찰계수가 낮다. 따라서, 커버(423)가 테프론 재질로 제공되면, 커버(423)에 떨어진 도료가 커버(423)에 고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커버부재(410a)는 제 7 레일부재(217)의 전단에 결합되고, 제 2 커버부재(410b)는 도장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커버부재(410b)는 도장캐리지(31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커버부재(410a)의 커버(423)와 제 2 커버부재(410b)의 커버(423)는 제 2 브라킷(428)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커버부재(410a) 및 제 2 커버부재(410b)는 전방커버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3 커버부재(410c)는 제 1 레일부재(211)의 후단에 결합되고, 제 4 커버부재(410d)는 도장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 4 커버부재(410d)는 도장캐리지(310)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커버부재(410c)의 커버(423)와 제 4 커버부재(410c)의 커버(423)는 제 2 브라킷(428)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커버부재(410c) 및 제 4 커버부재(410d)는 후방커버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커버부재(410a) 내지 제 4 커버부재(410d)는 각각 실링부재(424)가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커버어셈블리(400)에서 전방커버어셈블리 또는 후방커버어셈블리는 하나의 커버부재(410)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재(410)의 일단은 도장캐리지(310)의 전단에 결합되고, 커버부재(410)의 타단은 제 7 레일부재(217)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410)의 일단은 도장캐리지(310)의 후단에 결합되고, 커버부재(410)의 타단은 제 1 레일부재(211)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커버어셈블리(400)는 전방커버어셈블리 또는 후방커버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만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커버부재(410)는 두 개의 하우징(421)과 두 개의 회전체(4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423)의 양단은 모두 회전체(42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21)은 각각 도장캐리지(310)의 전단 및 제 7 레일부재(217)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21)은 도장캐리지(310)의 후단 및 제 1 레일부재(211)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를 구성하는 레이저 조사부의 사시도이다. 레이저 조사부(700)는 레이저 다이오드(740), 및 조정유닛(710,7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피도장면을 향해 직선 라인 모양의 레이저 빔(741)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나타낸 레이저 빔(741)의 모양은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도 7에 나타낸 레이저 빔(741)의 모양을 출사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레이저 다이오드(740)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빔(741)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조정유닛(710,720)은 도장 조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740)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도장면에 표시되는 레이저 빔(741)은 도장 조건에 따라 그 위치 및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조정유닛은 제 1 조정유닛(720)과, 제 2 조정유닛(710), 그리고 제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조정유닛(720)은 레이저 다이오드(740)의 회전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제 2 조정유닛(710)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이동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제1 조정유닛(720)과 제2 조정유닛(7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조정유닛(72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조정유닛몸체(721), 조정유닛몸체(721)에 내장되는 모터(723), 및 모터(72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스테이지(7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테이지(722)의 회전 축은 레이저 다이오드(740)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는 모터(72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 1 조정유닛(720)은 제 2 조정유닛(71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 2 조정유닛(710)은 상부면에 가이드홈(712)이 형성된 가이드몸체(711), 조정유닛몸체(721)의 하부와 고정된 가이드부재(713), 로드(731)를 구동하여 가이드부재(713)를 가이드홈(712)을 따라 이동시키는 실린더(7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 1 조정유닛(720)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으로 구성하고, 제 2 조정유닛(710)의 일 측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스크류축에 결합시킴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을 통해 제 2 조정유닛(71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750)는 도장 조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740)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조건은 도장 유닛의 분사 노즐(332)과 피도장면과의 거리(이하, '도장 거리'로 칭함), 및 분사 노즐(332)의 도장범위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도장 거리는 분사유닛(330)의 상부면 일 측에 설치되는 거리센서(80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다만, 거리센서(800)의 설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거리센서(800)는 분사 노즐(332)과 피도장면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설치 위치나 형상 등에 제한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사 노즐(332)의 도장범위각은 분사 노즐 제조사에 의해 사전에 알 수 있다. 작업자는 입력장치(760)를 이용하여 분사 노즐(332)의 도장범위각을 제어부(750)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거리센서(800)에 의해 측정된 도장 거리 및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분사 노즐(332)의 도장범위각으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740)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 1 조정유닛(720)의 모터(723) 및 제 2 조정유닛(710)의 실린더(7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이로부터의 레이저 빔(741)이 도장 거리 및 도장범위각에 따른 정확한 도장 영역을 피도장면에 표시하도록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700)는 도장장치(10)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부(700)는 6개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레이저 조사부(700)의 설치 개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반 도장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도장장치(10)에 레이저 조사부(700)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제어부(750)를 이용하여 각 레이저 조사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50)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레이저 조사부(700a~f)는 피도장면에 제 1 방향(1)으로의 도장 영역을 표시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와, 피도장면에 제 2 방향(2)으로의 도장 영역을 표시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제 2 조정유닛(710)에 의해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의 경우, 제 1 조정유닛(720)의 회전 스테이지(722)의 회전축은 제 1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제 1 조정유닛(720)에 의해 회전 스테이지(7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2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제 1 조정유닛(720) 또는 제 2 조정유닛(710)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로부터의 레이저 빔(741)은 제 2 방향을 따라 평행 이동될 수 있다.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제 2 조정유닛(710)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의 경우, 제 1 조정유닛(720)의 회전 스테이지(722)의 회전축은 제 2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제 1 조정유닛(720)에 의해 회전 스테이지(7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는 제 1 조정유닛(720) 또는 제 2 조정유닛(710)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로부터의 레이저 빔(741)은 제 1 방향을 따라 평행 이동될 수 있다.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 중에서 전방 측의 레이저 조사부(700c~d)는 이송레일(200)의 선단 측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부(700c~d)는 제 1 커버부재(410a)의 제 2 방향 양쪽 끝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커버어셈블리(4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레이저 조사부(700c~d)는 가변레일부재(210) 선단 측의 제 2 방향 양쪽 끝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변레일부재(210)의 확장시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각도가 틀어질 수 있는데, 작업자는 레이저 조사부(700c~d)로부터의 레이저 빔에 의해 가시화되는 피도장면의 도장 영역을 확인하여 이송레일(200)의 가변레일부재(210)가 정확한 도장 위치로 확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가변레일부재(210)의 레일 확장시 이송레일(200)의 선단 측이 정확한 도장 위치에서 틀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짐방지유닛(240)의 바퀴(248)를 이용하여 이송레일(200)의 가변레일부재(210)의 선단 측을 정확한 도장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장장치(10)를 정확한 위치에 셋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도장면에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 중에서 후방 측의 레이저 조사부(700a~b)는 분사유닛(330)의 노즐지지부재(331)의 상부면의 제 2 방향 양쪽 끝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700a~b)는 분사유닛(330)에 의하여 도료가 분사될 도장 영역을 피도장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장유닛(300)이 전방으로 주행하면서 도장을 수행할 때 레이저 조사부(700a~b)에 의해 피도장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으로부터 피도장면의 도장 영역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도장 거리 또는 도장범위각이 증가할수록,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d)에 의해 피도장면에 표시되는 도장 영역의 제 2 방향으로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도장 거리 또는 도장범위각이 증가할수록,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에 의해 피도장면에 표시되는 도장 영역의 제 1 방향으로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이저 조사부(700a)와 레이저 조사부(700c)는 두 레이저 조사부(700a,c)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제 1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이저 조사부(700b)와 레이저 조사부(700d)는 두 레이저 조사부(700b,d)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제 1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는 분사유닛(330)과 인접한 전장 박스(360)의 상부면의 제 2 방향 중심 측과, 이송레일(200)의 선단 측의 제 2 방향 중심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의 설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f)에 의해 피도장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으로부터 도막의 형성이 개시되는 부분과 도막의 형성이 종료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도장장치를 이용하여 선체 블록의 하면에 도장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선체 블록의 하면을 도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장 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자는 이송레일(200)의 길이가 단축된 상태에서 도장장치(10)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장장치(10)가 선체 블록(B)의 하부에 위치되면, 작업자는 분사유닛(330) 측에 설치된 제 1 레이저 조사부(700a,b)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700e)로부터 조사되어 선체 블록(B)의 저면에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하여 도료가 분사될 도장 영역을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이동대차(10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이때, 각 레이저 조사부(700a,b,e)은 레이저 다이오드(740)로부터의 레이저 빔(741)이 도장 거리 및 도장범위각에 기초하여 제어부(75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정되므로, 선체 블록(B)의 하부면에 정확한 도장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료 및 도막 두께에 따른 도장 거리나 도장범위각 등의 다양한 도장 조건에 적응적으로 피도장면에 도막이 형성될 도장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대차(100)의 위치 정렬이 수행되면, 작업자는 레일구동장치(510)를 동작시켜 이송레일(200)을 연장시키고, 처짐방지유닛(240)를 조절하여 이송레일(200)의 주행면(222)이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이송레일(200) 선단 측의 제 1 레이저 조사부(700c~d)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700f)로부터 조사되어 선체 블록(B)의 저면에 표시되는 레이저 빔을 통하여 이송레일(200)의 각도가 틀어지는지를 확인하여, 만약 이송레일(200)의 선단 측이 정확한 도장 위치에서 틀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송레일(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분사노즐(332)을 도료공급장치(600)와 관(P)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장장치(10)의 세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장유닛(300)을 동작시켜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장유닛(300)은 이송레일(200)을 따라 주행하면서, 분사장치(330)로 선체 블록(B)의 하면으로 도료를 분사한다.
이때, 작업자는 레이저 조사부(700a~b)에 의해 피도장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으로부터 선체 블록(B)의 저면에 도막이 형성되는 도장 영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장치를 구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피도장면의 도장 영역은 분사 노즐(332)의 도장범위각이 클수록, 그리고 도장 거리가 멀수록 넓어진다. 즉, 도장 거리와 도장범위각과 같은 도장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피도장면에 도막이 형성되는 도장 영역도 변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장치는 제어부(750)에서 도장 거리와 도장범위각을 이용하여 도장 영역을 산출하고, 산출된 도장 영역을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레이저 조사부의 레이저 다이오드(7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레이저 조사부(700)로부터 피도장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정확한 도장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분사 노즐 축으로부터의 변위에 따른 피도장면의 도장 두께의 변화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피도장면의 위치에 따른 도막 두께의 분포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피도장면의 도막 두께는 분사 노즐의 축을 중심으로 분사 노즐의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피도장면의 제 1 도장 영역에 대한 도장 작업을 수행한 후, 피도장면의 제 2 도장 영역에 도장 작업을 수행할 때, 제 2 도장 영역의 일부를 제 1 도장 영역과 겹쳐지도록 설정하면 도 11에 나타낸 최종 도장 패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도장면에 균일한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여러 개로 분산된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대차 110: 몸체부
111: 손잡이 112: 조작핸들
200: 이송레일 210: 가변레일부재
300: 도장유닛 310: 도장캐리지
320: 위치조절유닛 330: 분사유닛
400: 커버어셈블리 410: 커버부재
700: 레이저 조사부 710: 제 2 조정유닛
720: 제 1 조정유닛 730: 실린더
740: 레이저 다이오드 750: 제어부
760: 입력장치 800: 거리센서

Claims (10)

  1. 삭제
  2. 도료를 분사하여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기 위한 도장유닛; 및
    상기 도장유닛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도장 영역이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피도장면을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및
    도장 조건에 따라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는 상기 도장 영역이 가변되도록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위치와 방향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조정유닛을 포함하는 도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조정유닛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조정유닛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조건은,
    상기 도장 유닛의 분사 노즐과 상기 피도장면과의 거리와, 상기 분사 노즐의 도장범위각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장치는,
    상기 도장 유닛의 분사 노즐과 상기 피도장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는 도장장치.
  6. 도료를 분사하여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기 위한 도장유닛; 및
    상기 도장유닛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도장 영역이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피도장면을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장유닛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피도장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도장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 1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도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유닛은 상기 피도장면에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분사유닛 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유닛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도장 영역이 상기 피도장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도장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유닛은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도장면에 도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이송레일의 선단 측에 설치되는 도장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피도장면에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 2 방향으로의 도장 영역을 표시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한 제 2 레이저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도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유닛은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도장면에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선단 측에 각각 설치되는 도장장치.
KR1020120053278A 2012-05-18 2012-05-18 도장장치 KR10135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78A KR101358311B1 (ko) 2012-05-18 2012-05-18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78A KR101358311B1 (ko) 2012-05-18 2012-05-18 도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98A KR20130128998A (ko) 2013-11-27
KR101358311B1 true KR101358311B1 (ko) 2014-02-07

Family

ID=4985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278A KR101358311B1 (ko) 2012-05-18 2012-05-18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151B1 (ko) * 2017-09-07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하부 도장 장비 및 그 직진 주행 보조 시스템
KR102389397B1 (ko) * 2020-09-09 2022-04-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소차 거치형 블록외판 전처리 자동화 장치
KR102412070B1 (ko) * 2020-10-21 2022-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센서배치를 갖는 선박의 고소차 거치형 블록외판 전처리 자동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146A (ja) * 1993-11-19 1995-06-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墨出し線装置
JPH081552A (ja) * 1994-06-20 1996-01-09 Shinryo Corp 自律移動型墨出しロボット
JPH08192096A (ja) * 1995-01-18 1996-07-30 Sekisui Chem Co Ltd 塗装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塗装ガイド装置
JP2001289638A (ja) 2000-04-11 2001-10-19 Sumitomo Densetsu Corp 自走式作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146A (ja) * 1993-11-19 1995-06-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墨出し線装置
JPH081552A (ja) * 1994-06-20 1996-01-09 Shinryo Corp 自律移動型墨出しロボット
JPH08192096A (ja) * 1995-01-18 1996-07-30 Sekisui Chem Co Ltd 塗装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塗装ガイド装置
JP2001289638A (ja) 2000-04-11 2001-10-19 Sumitomo Densetsu Corp 自走式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98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0052206B4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dreidimensionalen Objekten
KR101358311B1 (ko) 도장장치
US20170056908A1 (en) System for treating a surface
US11946268B2 (en) System for treating a surface
KR20170105541A (ko) 고압 워터블래스팅 노즐 조종기 장치
KR20120066314A (ko) 상,하향 도장장치
KR101456847B1 (ko) 관체 외주면 도장 시스템
US9878398B2 (en) Automated dynamic laser peening system
KR101351307B1 (ko)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KR101281483B1 (ko) 자동 도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39892B2 (en) Cavity cleaning and coating system
KR101390326B1 (ko) 도장장치
KR20120071063A (ko) 도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1518615B1 (ko) 듀얼헤드 빔프리 오버레이 용접장치
KR101390330B1 (ko) 도장장치
JP7009999B2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KR100835367B1 (ko) 저수조의 자동 코팅처리장치
KR101245763B1 (ko) 도장 장치
KR101280329B1 (ko) 론지 도장용 캐리지
KR101476338B1 (ko) 다 자유도를 가진 고효율 자동화 도장 장치
US20080185455A1 (en) Asphalt release agent automated spray system
KR100588080B1 (ko) 숍프라이머 자동 분사장치
KR200486053Y1 (ko) 론지 하부 도장 장치
JP6543552B2 (ja) 樹脂コーティング装置
KR20190086894A (ko) 반자동 블라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