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298B1 -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 Google Patents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298B1
KR101358298B1 KR1020120092205A KR20120092205A KR101358298B1 KR 101358298 B1 KR101358298 B1 KR 101358298B1 KR 1020120092205 A KR1020120092205 A KR 1020120092205A KR 20120092205 A KR20120092205 A KR 20120092205A KR 101358298 B1 KR101358298 B1 KR 10135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isplay
unit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구
문호림
강상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기계식 버튼부와; 상기 기계식 버튼부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계식 버튼부상에 설치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계식 버튼부는 복수의 버튼들이 동시에 조작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버튼부상에 화면 표시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버튼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편리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터치스크린의 단점인 사용자 피드백을 기계식으로 제공하여, 버튼조작의 시작과 끝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보다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구성을 하나의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에 적용함으로써 인간기계 연계 시스템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으로 여러가지 조작을 표시하고 입력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Multi-purpose button with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구성과 정보를 하나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중요한 동작에 대해 여러번 누르는 등의 오조작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경우 상황에 따라 버튼을 누르는 동작의 피드백이 느리게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중요한 조작에 대해서는 기계식 버튼이 선호된다. 그러나, 기계식 버튼의 경우, 다양한 상황에 공통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정보 표시나 버튼 구성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식 버튼을 적용하되 기계식 버튼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은, 기계식 버튼부와; 상기 기계식 버튼부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계식 버튼부상에 설치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계식 버튼부는 복수의 버튼들이 동시에 조작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은, 기계식 버튼부와; 상기 기계식 버튼부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계식 버튼부상에 설치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화면 표시부는 복수의 표시장치가 이음새 없이 기계식 버튼부상에 설치되거나, 유연성을 갖는 하나의 표시장치가 복수의 기계식 버튼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버튼부상에 화면 표시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버튼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편리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터치스크린의 단점인 사용자 피드백을 기계식으로 제공하여, 버튼조작의 시작과 끝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보다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구성을 하나의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에 적용함으로써 인간기계 연계 시스템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으로 여러가지 조작을 표시하고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1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1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2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2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1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1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2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의 제2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은 기계식 버튼을 적용하되 기계식 버튼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100)은, 크게 기계식 버튼부(110) 및 화면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계식 버튼부(110)는 전자기기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일정한 압력을 인가하여 사용하는 통상의 버튼이다.
상기 화면 표시부(120)는 LCD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로서, 상기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기계식 버튼부(110)와 관련된 정보나 조작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화면 표시부(120)는 복수의 표시장치가 이음새 없이 상기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설치되거나, 유연성을 갖는 하나의 표시장치가 복수의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화면 표시부(120)를 별도로 구비하여, 기계식 버튼부(110)와 관련된 정보나 조작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버튼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100)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 표시부(120)에 표시된 기본정보를 보면서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100)을 누르게 되면, 버튼(100)이 눌러지면서 조작정보 등이 화면 표시부(120)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100)의 기계식 버튼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들이 동시에 조작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버튼들이 하나의 기계식 동작을 갖는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버튼들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버튼처럼 동작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버튼에 화면 표시부를 각각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하나의 버튼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게 되면, 다양한 구성의 버튼을 하나의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으로 구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1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 표시부(120)에 표시된 기본정보를 확인하면서 복수의 버튼들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100)을 누르게 되면, 복수의 버튼들이 동시에 눌러지면서 조작정보 등이 화면 표시부(120)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버튼상에 화면 표시장치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버튼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편리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터치스크린의 단점인 사용자의 피드백을 기계식으로 제공하여, 조작의 시작과 끝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보다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구성을 하나의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에 적용함으로써 인간기계 연계 시스템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으로 여러가지 조작을 표시하고 입력받을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110 : 기계식 버튼부
120 : 화면 표시부

Claims (3)

  1. 삭제
  2. 버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정보표시 버튼(100)으로서,
    기계식 버튼부(110)와;
    상기 기계식 버튼부(110)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설치되는 화면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계식 버튼부(110)는 복수의 버튼들이 동시에 조작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3. 버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정보표시 버튼(100)으로서,
    기계식 버튼부(110)와;
    상기 기계식 버튼부(110)의 관련정보나 조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설치되는 화면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화면 표시부(120)는 복수의 표시장치가 이음새 없이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설치되거나, 유연성을 갖는 하나의 표시장치가 복수의 기계식 버튼부(110)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KR1020120092205A 2012-08-23 2012-08-23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KR10135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05A KR101358298B1 (ko) 2012-08-23 2012-08-23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05A KR101358298B1 (ko) 2012-08-23 2012-08-23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298B1 true KR101358298B1 (ko) 2014-02-07

Family

ID=5026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205A KR101358298B1 (ko) 2012-08-23 2012-08-23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2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34Y1 (ko) 2002-09-14 2002-12-20 김민정 다국어용 키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34Y1 (ko) 2002-09-14 2002-12-20 김민정 다국어용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47736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39879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38917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52079S1 (e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MX2008008909A (es) Terminal movil.
USD721729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MY158377A (en) Electronic ticket system and program
MX2015010598A (es) Metodo para controlar la exhibicion de multiples objetos dependiendo de una entrada relacionada con la operacion de una terminal movil y una terminal movil para el mismo.
CN104539768A (zh) 一种带辅助触控屏的智能平板手机
WO2010044579A3 (en)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three-dimensional gestures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8086073A8 (en) Syste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date and time information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EP2407872A3 (en) Coordinated virtual input system
EP2787450A3 (en)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ink text data
JP2016126740A (ja) 保護ケース及びこの保護ケースを備える電子装置
JP2011233004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補助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入力補助装置を有する入力装置
CN202330513U (zh) 一种显示装置
KR20160019762A (ko) 터치 스크린 한손 제어 방법
KR101358298B1 (ko) 다목적 정보표시 버튼
JP6115421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システム
WO2010119713A1 (ja) 携帯端末
JP5526537B2 (ja) 超音波診断装置
CN101976041A (zh) 具有触摸屏的电子装置及腕戴式电子装置
CN110543248B (zh) 电子装置
CN204203892U (zh) 具有背部按键的平板设备
JP6253945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