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150B1 -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50B1
KR101357150B1 KR1020110147658A KR20110147658A KR101357150B1 KR 101357150 B1 KR101357150 B1 KR 101357150B1 KR 1020110147658 A KR1020110147658 A KR 1020110147658A KR 20110147658 A KR20110147658 A KR 20110147658A KR 101357150 B1 KR101357150 B1 KR 101357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heat exchanger
pressure
outle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622A (ko
Inventor
이근형
Original Assignee
이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형 filed Critical 이근형
Priority to KR102011014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냉방의 기능과 난방의 기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을 감지하여 밸브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기;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팽창변; 상기 팽창변과 연결되는 제2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1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1 방향전환밸브;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2 방향전환밸브; 상기 압축기 입구 측에 설치되어,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압축기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 상기 제1 방향전환밸브 및 상기 제2 방향전환밸브의 유로 변경에 의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작동하되,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측정값이 일정 이상인 경우 모드 변경을 지연하고 일정 이하인 경우 모드 변경을 수행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방시스템과 난방시스템이 하나의 사이클로 구성되어 있어서, 압축기의 입구 및 출구의 압력차에 따른 모드 변경이 용이하게 하여, 냉방 및 난방을 필요에 따라 가동시키기 때문에 구조를 간편하게 제공하여 전기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 of electronics vehicle}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냉방의 기능과 난방의 기능을 만족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압축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을 감지하여 밸브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히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압축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축기 구동의 불량을 검출하여 제어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기술은 한국공개공보 2009-0089988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위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외기온도와 고압의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와,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유입되어 주변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자동차용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입구와 출구에는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압력센서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연결되어 압축기의 냉매 유입압력과 배출압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표시부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기의 입구 및 출구의 냉매압력과 기입력된 냉매압력을 비교하여, 기입력된 냉매압력보다 전달받은 냉매압력이 낮을 경우에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경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과 난방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므로 설치비가 증가될 뿐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난방시스템의 경우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가동시키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는 압축기의 입구 및 출구의 압력차를 비교하여 단순히 공조장치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능동적으로 압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방향전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드변경시 밸브의 작동은 히트펌프 시스템에 설치된 압축기 입구측 압력센서와 압축기 출구측 압력센서에 의해 양측의 압력을 감지하여, 효율적인 냉방 및 난방을 실현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기;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팽창변; 상기 팽창변과 연결되는 제2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1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1 방향전환밸브;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2 방향전환밸브; 상기 압축기 입구 측에 설치되어,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압축기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 상기 제1 방향전환밸브 및 상기 제2 방향전환밸브의 유로 변경에 의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작동하되,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일정 이상인 경우 모드변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일정 압력 이하인 경우 모드 변경을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냉매는 압축기, 제1 열교환기, 팽창변, 제2 열교환기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냉매는 압축기, 제2 열교환기, 팽창변,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상기 팽창변과 상기 제1 열교환기 사이;및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상기 제2 방향전환밸브 사이에 제3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방시스템과 난방시스템이 하나의 사이클로 구성되어 있어서, 냉방 및 난방을 가동시키기 때문에 구조를 간편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의 입구 및 출구의 압력차에 따른 모드 변경이 용이하여 효율적인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에어컨 진단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시스템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향전환밸브의 냉방시스템 작동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향전환밸브의 난방시스템 작동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전환밸브의 냉방시스템 작동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향전환밸브의 난방시스템 작동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시예]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100), 압축기(100)와 제1 열교환기(20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1 방향전환밸브(500), 압축기(100)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기(200), 팽창변(300)과 제1 열교환기(200) 사이 및 제1 압력센서(700)와 제2 방향전환밸브(600)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열교환기(900), 제1 열교환기(200)와 연결되는 팽창변(300), 팽창변(300)과 연결되는 제2 열교환기(400), 제2 열교환기(400)와 압축기(10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2 방향전환밸브(600)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압축기(100)의 입출구 측에는 제1 압력센서(700) 및 제2 압력. 온도센서(800)가 연결된다.
제1 압력센서(700)는 압축기(100)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며, 제2 압력.온도센서(800)는 압축기(10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한다.
제1 방향전환밸브(500) 및 제2 방향전환밸브(600)의 유로 변경에 의해 제1 모드(10) 및 제2 모드(20)로 작동하되, 제1 압력센서(700) 및 제2 압력.온도센서(800)의 측정값이 일정 이상인 경우 모드변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일정 압력 이하인 경우 모드 변경을 수행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의하면, 제1 방향전환밸브(500) 및 제2 방향전환밸브(600)는 냉난방운전시 유로가 전환되어, 필요에 따라 냉난방운전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모드(10)는 냉방모드로 구동되며, 제2 모드(20)는 난방모드로 구동된다.
[제1 모드에 대한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10)인 경우는 압축기(100)가 구동되면,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 후, 입구(510)를 거쳐 제1 방향전환밸브(500)에서 제1 출구(520) 또는 제2 출구(530) 중 하나의 경로를 판단하게 된다.
냉방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 냉매는 제1 출구(520)의 유로는 흐르고, 그때 제2 출구(530)의 유로는 닫히게 된다. 제1 출구(520)를 거친 고온고압의 냉매는 제1 유로(1)를 거쳐 제1 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을 통해 응축된다.
제1 열교환기(200)에서 통과하여 응축된 냉매는 제3 열교환기(900)를 지나, 팽창변(300)으로 유입되면서 감압된 후 팽창된 냉매를 공급받아 제2 열교환기(400)에서 증발된다.
증발된 냉매는 제2 유로(2)를 거쳐 제2 방향전환밸브(600)에서 유로의 방향을 전환 시켜준다. 제2 방향전환밸브(600)에서 제1 입구(610) 또는 제2 입구(620)를 중 하나의 경로를 판단한 후, 증발된 냉매는 제1 입구(610)를 지나며, 그때 제2 입구(620)는 유로가 닫히게 된다.
제1 입구(610)를 지난 냉매는 출구(630)로 나와 제3 열교환기(900) 및 제3 유로(3)를 거쳐 제1 압력센서(700)에서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 후 압축기(100)로 유입된다. 압축기에 유입된 냉매는 전술한 사이클을 반복해서 순환하게 된다.
[제2 모드에 대한 실시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드(20)인 경우는 압축기(100)가 구동되면,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 후, 입구(510)를 거쳐 제1 방향전환밸브(500)에서 제1 출구(520) 또는 제2 출구(530) 중 하나의 경로를 판단하게 된다.
난방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 냉매는 제1 출구(520)의 유로는 닫히고, 그때 제2 출구(530)는 열리게 되어 냉매는 제2 출구(530)로 흐르게 된다. 제2 출구(530)를 거친 고온고압의 냉매는 제4 유로(4)를 거쳐 제2 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을 통해 응축된다.
제2 열교환기(400)에서 통과하여 응축된 냉매는 팽창변(300)으로 유입되며, 팽창변(300)으로 유입된 냉매는 감압된 후 팽창된 냉매를 공급받아 제3 열교환기(900)를 거쳐 제1 열교환기(200)에서 증발된다.
증발된 냉매는 제5 유로(5)를 거쳐 제2 방향전환밸브(600)에서 유로의 방향을 전환시켜 준다. 제2 방향전환밸브(600)에서 제1 입구(610) 또는 제2 입구(620) 중 하나의 경로를 판단한 후, 증발된 냉매는 제2 입구(620)를 지나며, 그때 제1 입구(610)는 유로가 닫히게 된다.
제2 입구(620)를 지난 냉매는 출구(630)를 지나 제3 열교환기(900) 및 제3 유로(3)를 거쳐 제1 압력센서(700)에서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 후 압축기(100)로 유입된다. 압축기에 유입된 냉매는 전술한 사이클을 반복해서 순환하게 된다.
[제1 방향전환밸브의 작동 원리에 대한 실시예]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방향전환밸브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제1 방향전환밸브(500)의 유로가 열리고 닫힐 때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제1 방향전환밸브(500)는 입구(510), 제1 출구(520), 제2 출구(530), 제1 몸체(10), 제2 몸체(12), 제3 몸체(14), 제4 몸체(16), 제5 몸체(18), 제1 볼트(20), 제1 스프링와셔(21), 제2 볼트(22), 제2 스프링와셔(23), 제3 볼트(24), 제3 스프링와셔(25), 밸브샤프트(26), 코일몸체(38), 실링부(48), 실(50)을 포함한다.
제1 몸체(10)와 제3 몸체(14)는 제1 볼트(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스프링와셔(21)는 제1 볼트(20)와 제1 몸체(1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볼트(20)에 의한 풀림을 방지한다.
제2 몸체(12)와 제4 몸체(16)는 제2 볼트(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스프링와셔(23)는 제2 볼트(22)와 제2 몸체(12)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볼트(22)에 의한 풀림을 방지한다.
제4 몸체(16)와 제5 몸체(18)는 제3 볼트(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프링와셔(25)는 제3 볼트(24)와 제5 몸체(18) 사이에 위치하며, 제3 볼트(24)에 의한 풀림을 방지한다.
제3 몸체(14)와 제4 몸체(16)는 제5 볼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몸체(10), 제2 몸체(12), 제3 몸체(14), 제4 몸체(16), 제5 몸체(18)는 각각의 볼트(20, 22, 24)와 스프링와셔(21, 23, 25)를 사용하여 결합된 일체형 구조가 형성된다.
코일몸체(38)의 양쪽 끝단은 제1 모서리(44) 및 제2 모서리(46)에 접하며, 내부에는 밸브샤프트(26)가 구비되어 있다.
작동밸브(26)에 의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게 안내한다.
실링부(48)는 입구(510), 제1 출구(520) 및 제2 출구(5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유체가 누설되거나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방지한다.
실(50)은 입구(510), 제1 출구(520) 및 제2 출구(530)의 유로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제1 방향전환밸브의 냉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실시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전환밸브(500)는 입구(510)로 유입된 유체가 제2 출구(530)의 유로는 닫히고, 제1 출구(520)의 유로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냉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것이다.
입구(510)에서 유입된 유체는 밸브샤프트(26)와 제1 개폐시트(40)가 접촉되어, 제2 출구(530)로 흐르는 유로는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유체가 제2 출구(530)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한편, 입구(510)에서 유입된 유체는 밸브샤프트(26)와 제2 개폐시트(42) 사이로 드나들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제1 출구(520)로 흐르는 유로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므로, 유체가 제1 출구(520)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제1 방향전환밸브의 난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실시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전환밸브(500)는 입구(510)로 유입된 유체가 제1 출구(520)의 유로는 닫히고, 제2 출구(530)의 유로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난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것이다.
밸브샤프트(26)와 제2 개폐시트(42)는 접촉되어, 제1 출구(520)로 흐르는 유로는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입구(510)에서 유입된 유체가 제1 출구(520)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한편, 밸브샤프트(26)와 제1 개폐시트(40) 사이로 드나들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제2 출구(530)로 흐르는 유로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므로, 입구(510)에서 유입된 유체가 제2 출구(530)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제2 방향전환밸브의 작동 원리에 대한 실시예]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방향전환밸브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제2 방향전환밸브(600)의 유로가 열리고 닫힐 때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제2 방향전환밸브(600)는 제1 입구(610), 제2 입구(620), 출구(630), 제1 몸체(10), 제2 몸체(12), 제3 몸체(14), 제4 몸체(16), 제5 몸체(18), 제1 볼트(20), 제1 스프링와셔(21), 제2 볼트(22), 제2 스프링와셔(23), 제3 볼트(24), 제3 스프링와셔(25), 밸브샤프트(26), 코일몸체(38), 실링부(48), 실(50)을 포함한다.
제1 몸체(10)와 제3 몸체(14)는 제1 볼트(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스프링와셔(21)는 제1 볼트(20)와 제1 몸체(1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볼트(20)에 의한 풀림을 방지한다.
제2 몸체(12)와 제4 몸체(16)는 제2 볼트(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스프링와셔(23)는 제2 볼트(22)와 제2 몸체(12)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볼트(22)에 의한 풀림을 방지한다.
제4 몸체(16)와 제5 몸체(18)는 제3 볼트(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프링와셔(25)는 제3 볼트(24)와 제5 몸체(18) 사이에 위치하며, 제3 볼트(24)에 의한 풀림을 방지한다.
제3 몸체(14)와 제4 몸체(16)는 제5 볼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몸체(10), 제2 몸체(12), 제3 몸체(14), 제4 몸체(16), 제5 몸체(18)는 각각의 볼트(20, 22, 24)와 스프링와셔(21, 23, 25)를 사용하여 결합된 일체형 구조가 형성된다.
코일몸체(38)의 양쪽 끝단은 제1 모서리(44) 및 제2 모서리(46)에 접하며, 내부에는 밸브샤프트(26)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48)는 제1 입구(610), 제2 입구(620) 및 출구(6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유체가 누설되거나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방지한다.
실(50)은 제1 입구(610), 제2 입구(620) 및 출구(630)의 유로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제2 방향전환밸브의 냉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실시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전환밸브(600)는 제2 입구(620)의 유로는 닫히고, 제1 입구(610)의 유로는 열려 유체가 유입되어 출구(630)의 유로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냉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것이다.
밸브샤프트(26)는 제1 개폐시트(40)와 접촉되어, 제2 입구(620)에서 유입된 유체는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제2 입구(620)에 유입된 유체가 출구(630)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한편, 밸브샤프트(26)와 제2 개폐시트(42) 사이로 드나들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제1 입구(610)에서 유입된 유체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므로, 제1 입구(610)에서 유입된 유체가 출구(630)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제2 방향전환밸브의 난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실시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전환밸브(600)는 제1 입구(610)의 유로는 닫히고, 제2 입구(620)의 유로는 열려 유체가 유입되어 출구(630)의 유로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난방 시스템 작동원리에 대한 것이다.
밸브샤프트(26)와 제1 개폐시트(40) 사이로 드나들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제2 입구(620)에서 유입된 유체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므로, 제2 입구(620)에서 유입된 유체가 출구(630)로 흐를 수 있게 된다.
한편, 밸브샤프트(26)와 제2 개폐시트(42)는 서로 접촉되어, 제1 입구(610)에서 유입된 유체는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제1 입구(610)에서 유입된 유체가 출구(630)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의하면, 제1 방향전환밸브(500) 및 제2 방향전환밸브(600)는 냉난방운전시 유로가 전환되어, 필요에 따라 냉난방운전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로는 이산화탄소(CO2) 냉매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압축기 200 : 제1 열교환기
300 : 팽창변 400 : 제2 열교환기
500 : 제1 방향전환밸브 510 : 입구
520 : 제1 출구 530 : 제2 출구
600 : 제2 방향전환밸브 610 : 제1 입구
620 : 제2 입구 630 : 출구
700 : 제1 압력센서 800 : 제2 압력센서
900 : 제3 열교환기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기;
    제1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팽창변;
    상기 팽창변과 연결되는 제2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1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1 방향전환밸브;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제2 방향전환밸브;
    상기 압축기 입구 측에 설치되어,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압축기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
    상기 제1 방향전환밸브 및 상기 제2 방향전환밸브의 유로 변경에 의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작동하되,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측정값이 일정 이상인 경우 모드 변경을 지연하고 일정 이하인 경우 모드 변경을 수행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변과 상기 제1 열교환기 사이;및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상기 제2 방향전환밸브 사이에 제3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제1 열교환기, 상기 팽창변, 상기 제2 열교환기, 상기 제2 방향전환밸브, 상기 제3 열교환기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제2 열교환기, 상기 팽창변, 상기 제1 열교환기, 상기 제2 방향전환밸브, 상기 제3 열교환기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110147658A 2011-12-30 2011-12-30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1357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58A KR101357150B1 (ko) 2011-12-30 2011-12-30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58A KR101357150B1 (ko) 2011-12-30 2011-12-30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622A KR20130078622A (ko) 2013-07-10
KR101357150B1 true KR101357150B1 (ko) 2014-02-04

Family

ID=4899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658A KR101357150B1 (ko) 2011-12-30 2011-12-30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6583B2 (en) * 2018-06-27 2022-05-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limate-control system having vapor-injection compress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234A (ja) * 2000-05-15 2001-11-22 Hitachi Ltd ヒ−トポンプ式熱供給装置
KR20090091451A (ko) * 2008-02-25 2009-08-28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용 이산화탄소 공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234A (ja) * 2000-05-15 2001-11-22 Hitachi Ltd ヒ−トポンプ式熱供給装置
KR20090091451A (ko) * 2008-02-25 2009-08-28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용 이산화탄소 공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622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3674B2 (ja) 空調装置
US10293660B2 (en) Integrated valve and heat pump cycle
JP5799924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EP0768198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using a flammable refrigerant
KR101815579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EP1435494B1 (en)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frigeration system
WO2016208337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6194538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3039047A1 (ja) 自動車用温調システム
US1005916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device
WO2016067567A1 (ja) 空調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空調制御装置の電磁弁故障判定方法
KR101357150B1 (ko)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US10487830B2 (en) Air compression device to prevent backflow of compressed air toward compressor after the compressor is stopped
US11740004B2 (en) Transportation refrigeration unit with adaptive defrost
JP200424545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1714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2066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6031673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437003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631547B1 (ko)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JP4888450B2 (ja) 車両用空調装置
CA30452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lugging in hvac compressor of vehicle
JP2006177598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4436082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6349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