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718B1 - 교반기능을 갖는 컵 - Google Patents

교반기능을 갖는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718B1
KR101356718B1 KR1020120056924A KR20120056924A KR101356718B1 KR 101356718 B1 KR101356718 B1 KR 101356718B1 KR 1020120056924 A KR1020120056924 A KR 1020120056924A KR 20120056924 A KR20120056924 A KR 20120056924A KR 101356718 B1 KR101356718 B1 KR 10135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ower source
stirring
gear
inn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565A (ko
Inventor
배석형
백민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5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7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사용자가 한번의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교반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커피나 차 등의 고형물을 고르게 섞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중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내컵 및 외컵과,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과,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자력을 갖는 작동부재와,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동력원의 회전력을 작동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내컵의 바닥 윗면에 설치되고 작동부재의 자력과 인력으로 작용하는 자력을 갖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교반기능을 갖는 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반기능을 갖는 컵 {Cup with Stirring Function}
본 발명은 교반기능을 갖는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푼이나 막대를 사용하지 않고 커피나 차 등의 고형물을 고르게 섞는 것이 가능하도록 교반장치를 내장한 교반기능을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컵이나 잔에 커피, 설탕, 프림 등을 취향에 따라 넣은 다음, 물을 붓고 스푼이나 막대 등을 이용하여 저어주어 고르게 녹아서 섞어지도록 교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기타 코코아나 쵸코, 율무차, 생강차 등의 전통차의 경우에도 물과 투입된 고형물이 고르게 섞이도록 교반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교반을 위한 스푼이나 막대 등이 없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섞이지 않거나 비위생적인 방법(예를 들면 커피믹스 등이 들어있던 일회용 포장지 등)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일을 하게 되어, 빠른 시간 안에 저어주지 않는 경우에는 고형물이 밑으로 가라앉아 이후에는 교반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한번의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교반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커피나 차 등의 고형물을 고르게 섞는 것이 가능한 교반기능을 갖는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은 이중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내컵 및 외컵과,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자력을 갖는 작동부재와,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을 상기 작동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내컵의 바닥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자력과 인력으로 작용하는 자력을 갖는 교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원은 태엽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동력원을 태엽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컵과 외컵을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복수개의 기어, 풀리와 벨트, 스프로킷과 체인 등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작동부재 및 교반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부재의 윗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여 교반작용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날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부재 및 날개는 시각적인 심미감과 장식미를 갖추도록 꽃잎형상이나 별형상 등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에 의하면, 내컵에 설치되는 교반부재가 작동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내컵에 담겨진 액체에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되므로, 내컵에 담겨진 액체와 고형물의 교반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별도로 교반을 위한 숟가락이나 막대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에 있어서, 동력이 작동부재까지 전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에 있어서, 동력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에 있어서, 복수의 작동부재를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교반기능을 갖는 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내컵(20) 및 외컵(10)과, 동력원(30)과, 작동부재(50)와, 동력전달장치(40)와, 교반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상의 내컵(20)과 외컵(10)은 내컵(20)의 바닥 밑면과 위컵의 바닥 윗면 사이에 상기 동력원(30), 작동부재(50), 동력전달장치(4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18)을 형성하도록 이중으로 배치하여 설치된다.
상기 외컵(10)은 상단 모서리가 상기 내컵(20)의 외주면 중간에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외컵(10)의 상단 모서리를 상기 내컵(20)의 상단 모서리에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동력원(30)은 상기 내컵(20)의 바닥 밑면과 외컵(10)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18)에 설치된다.
상기 동력원(3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동력원(30)은 태엽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동력원(30)을 태엽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컵(20)과 외컵(10)을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외컵(10)의 상단 모서리를 상기 내컵(20)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동력원(3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엽(32)의 바깥쪽 끝부분은 상기 내컵(20)의 바닥 밑면쪽에 고정하고, 태엽(32)의 안쪽 끝부분은 상기 외컵(10)의 바닥 윗면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34)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원(30)을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내컵(20)과 외컵(10)을 잡고 서로 상대회전을 시키는 것에 의하여 태엽(32)이 감기게 되고, 사용자가 내컵(20)과 외컵(10)의 상대회전을 정지하면 태엽(32)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감긴 상태가 풀리면서 구동기어(34)가 회전하면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동력원(30)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엽(32)의 바깥쪽 끝부분을 상기 외컵(10)의 바닥 윗면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기어(36)에 고정하고, 상기 내컵(20)의 바닥 밑면쪽 테두리에 상기 권취기어(36)와 연결되는 내접기어(38)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내컵(20)과 외컵(10)을 상대회전시키면 상기 권취기어(36)가 내접기어(38)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태엽(32)을 감게 된다.
상기에서 내접기어(38)와 권취기어(36) 사이에 필요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간기어(37)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중간기어(37)를 설치하게 되면, 권취기어(36)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력원(30)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모터가 직접 구동기어(3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동력원(30)으로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스위치를 상기 외컵(10)의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컵(20)과 외컵(10) 사이의 공간(18)에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동력전달장치(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컵(20)의 바닥 밑면과 외컵(10)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18)에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40)는 상기 동력원(30)의 회전력을 상기 작동부재(5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40)는 복수개의 기어, 풀리와 벨트, 스프로킷과 체인 등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장치(40)는 상기 동력원(30)의 구동기어(34)와 연결되는 복수의 변속기어(42), (44)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40)는 상기 동력원(30)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변환하여 상기 작동부재(50)쪽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저속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속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경우는 태엽(32) 등에 의한 회전속도가 너무 늦어 충분한 교반효과를 얻을 수 없을 때에 구성하고, 저속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경우는 모터 등에 의한 회전속도가 너무 빨라 내컵(20)의 액체가 비산할 우려가 있거나 회전력이 충분히 크지 않을 때에 구성한다.
상기 작동부재(50)는 상기 동력원(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내컵(20)의 바닥 밑면과 외컵(10)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18)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장치(40)의 마지막단 변속기어(44)와 연결되는 종동기어(48)의 회전축에 상기 작동부재(50)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동부재(50)는 자력을 갖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작동부재(50)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원이 입력되면 자력을 갖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부재(6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컵(20)의 바닥 윗면에 설치된다.
상기 교반부재(60)는 상기 작동부재(50)의 자력과 인력으로 작용하는 자력을 갖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교반부재(60)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교반부재(60)를 구성하게 되면, 보관시에도 교반부재(60)가 작동부재(50)에 인력이 작용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우려가 없다.
그리고 내컵(20)을 세척하거나 교반부재(60)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반부재(6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상기 교반부재(60)의 윗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여 교반작용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날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부재(60) 및 날개는 시각적인 심미감과 장식미를 갖추도록 꽃잎형상이나 별형상 등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50)가 회전함에 따라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내컵(20)의 바닥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교반부재(60)도 회전하게 되고, 교반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컵(20) 내부에는 와류가 형성되면, 액체와 고형물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교반부재(60)에 날개를 형성하게 되면, 와류의 형성이 보다 잘 일어나게 되고, 와류의 방향도 다양하게 형성되어 교반 작용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재(50) 및 교반부재(6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34)를 중심으로 상기 동력전달장치(40)의 변속기어(42), (44)를 위성기어로 구성하고, 각각의 동력전달장치(40)의 변속기어(42), (44)에 기어결합되는 종동기어(48)와 작동부재(50)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작동부재(50)와 교반부재(60)를 복수의 세트로 구성하면, 내컵(20) 내부에 여러개의 와류를 형성하므로, 교반작용이 보다 활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능을 갖는 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외컵, 18 - 공간, 20 - 내컵, 30 - 동력원, 32 - 태엽, 34 - 구동기어
36 - 권취기어, 37 - 중간기어, 38 - 내접기어, 40 - 동력전달장치
42,44 - 변속기어, 48 - 종동기어, 50 - 작동부재, 60 - 교반부재

Claims (8)

  1. 이중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내컵 및 외컵과,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자력을 갖는 작동부재와,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과 외컵의 바닥 윗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을 상기 작동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내컵의 바닥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자력과 인력으로 작용하는 자력을 갖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원은 태엽을 이용하여 상기 내컵과 외컵을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컵(10)의 상단 모서리를 상기 내컵(20)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도록 결합시키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동력원의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복수의 변속기어로 구성하되,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마지막단 변속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의 회전축에 상기 작동부재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교반기능을 갖는 컵.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태엽의 바깥쪽 끝부분은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쪽에 고정하고, 상기 태엽의 안쪽 끝부분은 상기 외컵의 바닥 윗면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구성하는 교반기능을 갖는 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태엽의 바깥쪽 끝부분을 상기 외컵의 바닥 윗면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기어에 고정하고, 상기 내컵의 바닥 밑면쪽 테두리에는 상기 권취기어와 연결되는 내접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태엽의 안쪽 끝부분은 상기 외컵의 바닥 윗면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구성하는 교반기능을 갖는 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접기어와 권취기어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간기어를 더 설치하는 교반기능을 갖는 컵.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및 교반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하는 교반기능을 갖는 컵.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의 윗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여 교반작용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날개를 설치하는 교반기능을 갖는 컵.
KR1020120056924A 2012-05-29 2012-05-29 교반기능을 갖는 컵 KR10135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24A KR101356718B1 (ko) 2012-05-29 2012-05-29 교반기능을 갖는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24A KR101356718B1 (ko) 2012-05-29 2012-05-29 교반기능을 갖는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65A KR20130133565A (ko) 2013-12-09
KR101356718B1 true KR101356718B1 (ko) 2014-02-04

Family

ID=4998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24A KR101356718B1 (ko) 2012-05-29 2012-05-29 교반기능을 갖는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113B1 (ko) 2015-02-03 2016-07-07 김태중 교반용 컵 및 이를 이용한 첨가물 투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6052B (zh) * 2018-06-26 2019-12-03 瑞安市雏鹰文学艺术培训学校 一种扳机式助泡花茶壶
KR102164277B1 (ko) * 2018-09-10 2020-10-12 김남주 휴대용 살균 소독기
CN111012138A (zh) * 2020-01-02 2020-04-17 六安丰恺尼机电科技有限公司 多功能水杯的磁耦合搅拌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825A (ja) * 1994-12-08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加熱機器
KR20100083071A (ko) * 2009-01-12 2010-07-21 (주)쿠두 태엽 동력 믹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825A (ja) * 1994-12-08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加熱機器
KR20100083071A (ko) * 2009-01-12 2010-07-21 (주)쿠두 태엽 동력 믹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113B1 (ko) 2015-02-03 2016-07-07 김태중 교반용 컵 및 이를 이용한 첨가물 투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65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718B1 (ko) 교반기능을 갖는 컵
EP2752142A1 (en) Structure of speed-controllable stirring container
US10986964B2 (en) Dual speed manual stand mixer
CN202773992U (zh) 一种双桶式冰激凌搅拌机
CN203709876U (zh) 一种手持搅拌机
US20130114370A1 (en) Magnetically-driven stirring structure
KR200467253Y1 (ko) 태엽 구동형 로터를 가진 휴대용 컵
US9808779B2 (en) Hand-held blender
KR20050081119A (ko) 회전식 프로펠러가 내용물을 섞어주는 컵뚜껑
EP1459666B1 (en) Electric hand mixer
JP6475397B2 (ja) 重力による下降動を回転力に転換する飲み物撹拌装置
US11553819B2 (en) Autolayering blending system
US20180000291A1 (en) Mixer
US2736535A (en) Mixing device
CN203914630U (zh) 一种搅拌杯
CN204561898U (zh) 一种食物料理机的传动机构
CN201194622Y (zh) 带搅拌器的饮料杯
CN204858864U (zh) 具有行星变速箱的电机及其食物处理机
KR20190104261A (ko) 조리기
CN109044043A (zh) 一种可自动混合添加料的水杯装置
KR101536624B1 (ko) 알 내부 혼합교반을 위한 회전장치
KR200497119Y1 (ko) 컵 구조
KR20220113261A (ko) 3축 휘핑크림 제조장치
KR20140060939A (ko) 음료 회동이 가능한 컵
CN208799102U (zh) 搅拌机及搅拌容器的转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