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000B1 -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000B1
KR101356000B1 KR1020110140899A KR20110140899A KR101356000B1 KR 101356000 B1 KR101356000 B1 KR 101356000B1 KR 1020110140899 A KR1020110140899 A KR 1020110140899A KR 20110140899 A KR20110140899 A KR 20110140899A KR 101356000 B1 KR101356000 B1 KR 10135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ocket
stand
stanche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186A (ko
Inventor
한점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0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28Frames of transverse type; Str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30Chains
    • B65H2404/31Chain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311Blades, lugs, plates, paddles,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라이저, 드릴 파이프 등의 설치를 마친 스탠천을 데크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의 활용을 통한 해양 구조물의 공간 활용도 및 활용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시추장비 등의 중량물 적치 또는 크레인의 사용을 위해서 데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추작업 중의 작업장 안전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해양 구조물의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는 데크(1) 상에 상부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파이프(2)가 적재되도록 하는 스탠천(110); 상기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천(110)을 설치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스탠천(11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스탠천(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착탈결합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Apparatus for loading pipes of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라이저, 드릴 파이프 등의 설치를 마친 스탠천을 데크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의 활용을 통한 해양 구조물의 공간 활용도 및 활용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 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홈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시추선(drill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각종 시추장비를 갖춘 리그선 또는 드릴쉽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의 중심부에는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라이저(riser) 또는 드릴 파이프(drill pipe)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문풀(moonpool)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BOP(blow out preventer) 및 X-MAS 트리 등과 같은 해저 장비들을 해저로 이동시키기 위한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들의 적치를 위하여, 데크에 스탠천(stanchion)이 수직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스탠천은 리그선 또는 드릴쉽에서 시추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파이프류, 예컨대 라이저, 드릴 파이프 등과 같은 대량 및 다종의 파이프류를 지정된 곳에 적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해양 구조물은 라이저 등의 설치를 마치면, 스탠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탠천이 데크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데크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해양 구조물에서 라이저의 설치를 마치더라도 시추장비 등의 중량물 적치 또는 크레인의 사용을 위해서 데크를 이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시추작업 중에 작업장의 안전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장애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탠천(stanchion)을 이동식으로 설치함으로써 파이프류의 적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해양 구조물의 운용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를 적재하는 적재 장치에 있어서, 데크(1) 상에 상부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파이프(2)가 적재되도록 하는 스탠천(110);상기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천(110)을 설치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상기 스탠천(11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스탠천(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착탈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데크(1)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부에 상기 스탠천(1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스탠천소켓(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탠천(110)은, 상단에 운반용 러그(11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탠천소켓(120)은, 상기 데크(1) 하측의 거더(3) 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개방된 상단이 상기 데크(1)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탠천소켓(120) 주위의 데크(1)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스탠천(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클램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150)는, 상기 스탠천소켓(120) 내에 삽입되어 상기 데크(1) 상에 놓여지는 지지부재(151);상기 지지부재(15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탠천(110)의 하부에 볼트(152)로 체결되는 체결부재(153); 및 상기 지지부재(151)와 상기 체결부재(153)를 연결시키는 보강부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탠천(110)이 분리된 상기 스텐천소켓(12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소켓커버(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커버(160)는, 상기 스탠천소켓(120)의 상부에 설치하되, 개구(163)가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161); 상기 커버플레이트(162)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스탠천소켓(120)에 삽입되는 삽입부(162); 상기 삽입부(162)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161)의 개구(163)를 통해 노출되는 핸들(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측부에 운반용 러그(13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결합부(140)는, 상기 스탠천(110)에 마련되는 지지단(141);상기 지지단(141) 상에 상부방향으로 마련되는 결합핀(142); 및 상기 결합핀(142)에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빔(130)에 형성되는 결합홀(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결합부(140)는, 상기 스탠천(110)에서 상기 결합핀(14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타이빔(1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결합부(240)는, 상기 스탠천(110)에 마련되는 지지단(241);상기 지지단(241) 상에 상방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타이빔소켓(242); 및 상기 타이빔소켓(24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빔(130)의 측부에 마련되는 삽입부(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결합부(240)는, 상기 스탠천(110)에서 상기 타이빔소켓(24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타이빔(1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단은, H 빔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탠천의 플랜지 사이와 웨브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를 적재하는 적재 장치에 있어서, 데크(1) 상에 상부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파이프(2)를 적재하되, 상기 데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탠천(110); 및 상기 스탠천(110)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스탠천(110)의 구조를 보강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스탠천(110)이 상기 데크(1)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천소켓(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저, 드릴 파이프 등의 설치를 마친 스탠천을 데크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의 활용을 통한 해양 구조물의 공간 활용도 및 활용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시추장비 등의 중량물 적치 또는 크레인의 사용을 위해서 데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추작업 중의 작업장 안전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해양 구조물의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의 커버의 측단면도이며, (b)는 (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c)는 (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C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단면도이며, 타이빔의 삽입부가 타이빔소켓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를 적재하는 적재 장치(100)는 데크(deck; 1) 상에 상부방향(반드시 수직을 의미하지 않으며, 어느 정도 기울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임. 이하 동일)으로 다수 설치되어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2)가 적재되도록 하는 스탠천(stanchion; 110)과,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스탠천(110)을 설치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스탠천(110)이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스탠천(110)과 연결수단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착탈결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수단은 H 빔과 같은 일반적인 빔이나 중실부재, 중공부재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타이빔(tie beam)(130)을 사용하였다.
고정수단은 데크(1) 상에 스탠천(110)을 분리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나, 지지력 측면을 고려하여 데크(1)에 홈을 형성하고, 홈 내부에 스탠천(1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스탠천(110)의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으로 데크(1)에 형성되는 홈에 스탠천(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스탠천소켓(stanchion socket)(120)을 형성하도록 예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 적재 장치(100)는 리그선, 드릴쉽을 비롯하여 시추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해양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고, 라이저(riser), 드릴 파이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 적치에 사용될 수 있다.
스탠천(110)은 데크(1) 상에 상부방향으로 다수로 설치되어 파이프(2)가 적재되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일례로 데크(1) 상에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상부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열과 열 사이에 파이프(2)가 적치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천(110)은 상단에 스탠천소켓(120)으로부터 분리 내지 결합을 위하여 크레인 등에 연결되기 위한 운반용 러그(111)가 마련될 수 있다.
스탠천소켓(120)은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스탠천(110)이 설치되도록 한다.
연결수단인 타이빔(130)은 스탠천(110)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스탠천(110)의 열방향(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하 동일)으로 일단 또는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고, 측부에 설치 및 분리시 운반을 위하여 크레인과의 연결을 위한 운반용 러그(13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천소켓(120)은 데크(1) 하측의 거더(3) 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개방된 상단이 데크(1)로부터 노출되며, 깊이(depth)가 제한적으로 약 1,000mm 이내로서, 스탠천소켓(120)을 연결 및 지지하는 데크(1) 하부구조(거더, 빔 및 브라켓 등)는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용접으로 설계된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2)가 적치되는 지역의 데크(1) 하부에는 많은 룸(room) 들이 배치되거나 배관/전장/공조 시스템이 설비 될 수 있어 이들을 위한 공간 확보의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탠쳔소켓(120)의 하부에는 클램프(150)가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150)는 파이프(2) 하중 및 선체 운동에 의한 흔들림 스탠천(110) 및 파이프(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장치의 일종이며, 이를 위해 일례로서, 스탠천소켓(120) 주위의 데크(1)로부터 일정 간격(gap)을 가지면서 스텐천(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지지부재(151)와, 지지부재(15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스탠천(110)의 하부에 볼트(152)로 체결되는 체결부재(153)와, 지지부재(151)와 체결부재(153)를 서로 연결시키는 보강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51)는 스탠천소켓(120) 내에 삽입되도록 하부에 삽입플레이트(151a)가 스탠천소켓(120) 내부의 각 면에 마련됨으로써 스탠천소켓(120)과 스탠천(110) 사이에 삽입플레이트(151a)가 위치하도록 하여 스탠천(110)의 흔들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클램프(150)는 H 빔으로 이루어지는 스탠천(110)의 플랜지(112)와 웨브(113)에 각각 고정되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천(110)이 분리된 스텐천소켓(120)의 상부를 덮어서 비나 눈 등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소켓커버(1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의 (a)는 소켓커버(160)가 설치된 스텐천소켓(120)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b)는 (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미여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소켓커버(160)는 스탠천소켓(120)의 상부에 설치하되, 개구(163)가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161)와, 커버플레이트(161)의 저면에 마련되어 스탠천소켓(120)에 삽입되는 삽입부(162)와, 삽입부(162)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되, 커버플레이트(161)의 개구(163)를 통해 노출되는 핸들(164)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62)의 형상은 내부에 핸들(164)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핸들(164)을 잡고 운반하고자 할 때 핸들(164)을 잡기 편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삽입부(162)는 소켓커버(160)가 스탠천소켓(120)에 삽입될 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핸들(164)은 소켓커버(160)를 운반할 때 운반기구(예를 들면, 크레인 후크 등)가 연결되어 소켓커버(160)의 운반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결합부(140)는 타이빔(130)이 스탠천에(110)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데, 스탠천(110)에 마련되는 지지단(141)과, 지지단(141) 상에 상부방향으로 마련되는 결합핀(142)과, 결합핀(142)에 삽입되도록 타이빔(130)에 형성되는 결합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결합부(140)는 스탠천(110)의 일측과 타이빔(130)의 일단에 마련되거나, 스탠천(110)의 양측과 타이빔(13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착탈결합부(140)는 스탠천(110)에서 결합핀(14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각각 마련되어 타이빔(1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빔(130)이 가이드부(144)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결합홀(143)에 결합핀(142)이 쉽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로서, 착탈결합부(240)는 스탠천(110)에 마련되는 지지단(241)과, 지지단(241) 상에 상방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타이빔소켓(242)과, 타이빔소켓(24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타이빔(130)의 측부에 용접 등으로 마련되는 삽입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결합부(240)는 스탠천(110)에서 타이빔소켓(24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타이빔(1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지단(141,241)은 H 빔으로 이루어지는 스탠천(110)의 플랜지(112) 사이와 웨브(113)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웨브(113)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에 보강부재(1411, 2411)를 설치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의 다른 예를 살펴보면, 데크(1) 상에 상부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파이프(2)를 적재하되, 데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탠천(110); 및 스탠천(110)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스탠천(110)의 구조를 보강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H 빔과 같은 일반적인 빔이나 중실부재, 중공부재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타이빔(tie beam)(130)을 사용하였다.
또한,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스탠천(110)이 데크(1)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천소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술구성을 본 실시예에서도 부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에 의하면, 스탠천(110)을 스탠천소켓(120)에 의하여 이동식(removable type)으로 설치함으로써 적치 공간을 다양한 파이프류 적치, 컨테이너, 장비류 등의 적재 등에 활용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해양 구조물의 운용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라이저, 드릴 파이프 등의 설치를 마친 스탠천(110)을 데크(1)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1)의 활용을 통한 해양 구조물의 공간 활용도 및 활용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시추장비 등의 중량물 적치 또는 크레인의 사용을 위해서 데크(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추작업 중의 작업장 안전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해양 구조물의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데크 2 : 파이프
3 : 거더 110 : 스탠천
111 : 운반용 러그 112 : 플랜지
113 : 웨브 120 : 고정수단(스탠천소켓)
130 : 연결수단(타이빔) 131 : 운반용 러그
140 : 착탈결합부 141 : 지지단
1411 : 보강부재 142 : 결합핀
143 : 결합홀 144 : 가이드부
150 : 클램프 151 : 지지부재
152 : 볼트 153 : 체결부재
154 : 보강부재 160 : 소켓커버
161 : 커버플레이트 162 : 삽입부
163 : 개구 164 : 핸들
240 : 착탈결합부 241 : 지지단
1411, 2411 : 보강부재 242 : 타이빔소켓
243 : 삽입부 244 : 가이드부

Claims (16)

  1.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를 적재하는 적재 장치에 있어서,
    데크(1) 상에 상부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파이프(2)가 적재되도록 하는 스탠천(110);
    상기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천(110)을 설치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스탠천(11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스탠천(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착탈결합부(140,24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데크(1)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부에 상기 스탠천(1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스탠천소켓(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천(110)은,
    상단에 운반용 러그(11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천소켓(120)은,
    상기 데크(1) 하측의 거더(3) 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개방된 상단이 상기 데크(1)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탠천소켓(120) 주위의 데크(1)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스탠천(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클램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50)는,
    상기 스탠천소켓(120) 내에 삽입되어 상기 데크(1) 상에 놓여지는 지지부재(151);
    상기 지지부재(15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탠천(110)의 하부에 볼트(152)로 체결되는 체결부재(153); 및
    상기 지지부재(151)와 상기 체결부재(153)를 연결시키는 보강부재(1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탠천(110)이 분리된 상기 스텐천소켓(12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소켓커버(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켓커버(160)는,
    상기 스탠천소켓(120)의 상부에 설치하되, 개구(163)가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161);
    상기 커버플레이트(161)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스탠천소켓(120)에 삽입되는 삽입부(162);
    상기 삽입부(162)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161)의 개구(163)를 통해 노출되는 핸들(16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측부에 운반용 러그(13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타이빔(130)으로 적용되고,
    상기 착탈결합부(140)는,
    상기 스탠천(110)에 마련되는 지지단(141);
    상기 지지단(141) 상에 상부방향으로 마련되는 결합핀(142); 및
    상기 결합핀(142)에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빔(130)에 형성되는 결합홀(1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부(140)는,
    상기 스탠천(110)에서 상기 결합핀(14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타이빔(1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타이빔(130)으로 적용되고,
    상기 착탈결합부(240)는,
    상기 스탠천(110)에 마련되는 지지단(241);
    상기 지지단(241) 상에 상방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타이빔소켓(242); 및
    상기 타이빔소켓(24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빔(130)의 측부에 마련되는 삽입부(2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부(240)는,
    상기 스탠천(110)에서 상기 타이빔소켓(242)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타이빔(1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14.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H 빔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탠천의 플랜지 사이와 웨브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15.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 파이프를 적재하는 적재 장치에 있어서,
    데크(1) 상에 상부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파이프(2)를 적재하되, 상기 데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탠천(110);
    상기 스탠천(110)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스탠천(110)의 구조를 보강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데크(1)에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스탠천(110)의 하단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스탠천(110)이 상기 데크(1)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천소켓(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16. 삭제
KR1020110140899A 2011-12-23 2011-12-23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KR101356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899A KR101356000B1 (ko) 2011-12-23 2011-12-23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899A KR101356000B1 (ko) 2011-12-23 2011-12-23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186A KR20130073186A (ko) 2013-07-03
KR101356000B1 true KR101356000B1 (ko) 2014-01-28

Family

ID=4898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899A KR101356000B1 (ko) 2011-12-23 2011-12-23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96B1 (ko) * 2013-08-0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적재 구조체
KR101863915B1 (ko) * 2016-10-27 2018-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설비의 파이프 적치대
CN115107925B (zh) * 2022-08-11 2024-01-16 扬州海润船业有限公司 一种易于拆装的钢制甲板驳船用栏杆柱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90U (ko) * 1998-06-30 2000-01-25 이해규 시추선의 라이저 저장 및 운반구조
KR20110058310A (ko) * 2009-11-26 2011-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철식 파이프 스토리지 랙이 구비된 해저 파이프 부설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90U (ko) * 1998-06-30 2000-01-25 이해규 시추선의 라이저 저장 및 운반구조
KR20110058310A (ko) * 2009-11-26 2011-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철식 파이프 스토리지 랙이 구비된 해저 파이프 부설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186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860B2 (en) Multi-activity offshore drilling facility having a support for tubular string
EP27690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multiple subsea wells from an offshore platform at a single site
US8807874B2 (en) Dry-tree semi-submersible production and drilling unit
RU2596005C2 (ru) Защи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одоотделяющей колонны самоподъемной платформы
US8534213B2 (en) Skid shoe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KR101356000B1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적재 장치
EP3033268B1 (en) Monohull offshore drilling vessel
KR101498246B1 (ko) 문풀 구역의 장비이동을 위한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 및 그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를 갖는 시추선
KR20130032793A (ko) 시추선의 라이저 적재 구조 및 적재 방법
AU2010216206B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KR101434957B1 (ko) 탑드라이브 시스템의 모터 배치구조
KR20140062985A (ko) 드릴링 유니트용 튜블라 스토리지 지지대
KR101956679B1 (ko) 시추 해양구조물의 드릴 플로어
KR20120111373A (ko) 상갑판 상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시추선
NO20191084A1 (en) Deck for offshore rig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20170021771A (ko) 드릴링 동작을 하는 플로팅 유닛
KR101875090B1 (ko) 고정식 시추 플랫폼의 오버보드 파이프 지지구조물
KR20110022176A (ko) 갠트리형 데릭을 갖는 시추선
EP2918491B1 (en) Multipurpos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s for attachment
KR101551798B1 (ko) 오버헤드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KR101681718B1 (ko) 라이저 이송 시스템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KR20160106813A (ko) 해양구조물에 구비되는 커서 가이드 구조물
KR101665449B1 (ko) 라이저의 서포트 시스템 및 그 서포트 시스템을 구비하는 드릴쉽
KR101684372B1 (ko) 시추시설 분출방지스택용 크레인 레일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