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586B1 -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586B1
KR101355586B1 KR1020110119732A KR20110119732A KR101355586B1 KR 101355586 B1 KR101355586 B1 KR 101355586B1 KR 1020110119732 A KR1020110119732 A KR 1020110119732A KR 20110119732 A KR20110119732 A KR 20110119732A KR 101355586 B1 KR101355586 B1 KR 101355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flow
bellows
controll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982A (ko
Inventor
정장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5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주행시 연료탱크(1)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연료 유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실내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ACTIVE BAFFLE DEVICE OF FULE TANK}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의 유동 소음을 발생시키는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생시켜서 연료의 유동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된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엔진은 연소실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폭발력을 이용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엔진은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차량에는 일정량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는 스틸(steel) 재질의 상판(1a)과 하판(1b)이 서로 용접 결합되어서 외관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상판(1a)과 하판(1b)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배플(2)이 설치된다.
상기 배플(2)은 상판(1a)과 하판(1b)을 이용해서 고정 설치되고 양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연료이동홀(2a)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배플(2)은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연료의 출렁거림을 최대한 억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연료 유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고정식으로 된 종래의 배플(2)은 연료 유동시 어느 특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연료의 유동 소음만 감소시킬 뿐,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 유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실내소음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의 유동 소음을 발생시키는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생시켜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 유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실내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된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는, 외력 작용시 가이드장치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연료탱크내에 설치된 유동배플; 상기 유동배플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가이드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배플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배플제어기; 상기 연료탱크내에 저장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서 연료의 유동 주파수로 연산하고, 연산된 연료 유동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제어 주파수를 선정하는 기능을 갖춘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해서 상기 배플제어기로 유압을 공급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연료탱크내에 설치되어서 연료의 유동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러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피에조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서로 이격된 전판과 후판을 구비한 가이드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전,후판을 연결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배플은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져서 상기 전,후판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배플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수직방향 가이드홀이 하단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제어기는 상기 유동배플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전판사이에서 상기 유동배플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1유압라인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스프링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동배플의 일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1제어기; 및 상기 유동배플의 타면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후판사이에서 상기 유동배플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2유압라인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스프링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동배플의 타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유압라인이 연결되고 유압 공급시 체적이 증가하도록 가변되는 제1벨로우즈; 상기 제1벨로우즈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1코일스프링; 상기 제1벨로우즈와 상기 제1코일스프링을 감싸서 보호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벨로우즈와 상기 유동배플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1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벨로우즈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제1벨로우즈와 상기 제1하우징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1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댐퍼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로드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2유압라인이 연결되고 유압 공급시 체적이 증가하도록 가변되는 제2벨로우즈; 상기 제2벨로우즈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2코일스프링; 상기 제2벨로우즈와 상기 제2코일스프링을 감싸서 보호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벨로우즈와 상기 유동배플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2벨로우즈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제2벨로우즈와 상기 제2하우징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2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로드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는,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연료 유동 소음을 모두 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실내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플을 구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배플 장치가 구비된 차량 연료탱크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배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차량의 연료탱크(1)는 상판(1a)과 하판(1b)이 서로 용접 결합되어서 외관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상판(1a)과 하판(1b) 사이의 내부공간에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배플 장치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 작용시 가이드장치(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연료탱크(1)내에 설치된 유동배플(20)과, 상기 유동배플(2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가이드장치(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배플(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배플제어기(30)와, 상기 연료탱크(1)내에 저장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서 연료의 유동 주파수로 연산하고, 연산된 연료 유동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제어 주파수를 선정하는 기능을 갖춘 컨트롤러(40)와,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해서 상기 배플제어기(30)로 유압을 공급하는 액추에이터(50)와, 상기 연료탱크(1)내에 설치되어서 연료의 유동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러(40)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피에조센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40)와 액추에이터(50)는 액체 연료에 의한 나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연료탱크(1)의 밖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추에이터(50)는 작동유체를 보관하고 있는 유체탱크(70)와 파이프 또는 호스(71)를 매개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피에조센서(60)는 연료탱크(1)나 또는 가이드장치(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40)와는 와이어를 매개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장치(10)는 서로 이격된 전판(11a)과 후판(11b)을 구비한 가이드하우징(11)과,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전,후판(11a,11b)을 연결하는 가이드바(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배플(20)은 상기 가이드바(12)에 끼워져서 상기 전,후판(11a,11b)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조인 바, 이를 위해 상기 유동배플(20)에는 상기 가이드바(12)가 삽입되는 수직방향 가이드홀(21)이 하단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은 연료탱크(1)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좌우방향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바(12)가 각각 고정 결합되며, 상기 유동배플(20)도 상기 연료탱크(1)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동배플(20)의 좌우방향 양단이 상기 가이드바(12)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배플제어기(30)는 제1제어기(31)와 제2제어기(32)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제1제어기(31)는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전판(11a)사이에서 상기 유동배플(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1유압라인(51)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5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액추에이터(50)의 작동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스프링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방향 움직임(유동배플이 가이드하우징의 전판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기(32)는 상기 유동배플(20)의 타면과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후판(11b)사이에서 상기 유동배플(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2유압라인(52)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5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액추에이터(50)의 작동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스프링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동배플(20)의 타방향 움직임(유동배플이 가이드하우징의 후판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 제1제어기(31)는 상기 제1유압라인(51)이 연결되고 유압 공급시 체적이 증가하도록 가변되는 제1벨로우즈(31a)와, 상기 제1벨로우즈(31a)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1코일스프링(31b)과, 상기 제1벨로우즈(31a)와 상기 제1코일스프링(31b)을 감싸서 보호하는 제1하우징(31c)과, 상기 제1벨로우즈(31a)와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1로드(31d)와, 상기 제1벨로우즈(31a)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제1벨로우즈(31a)와 상기 제1하우징(31c)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1댐퍼(31e)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댐퍼(32e)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로드(32d)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기(32)는 상기 제2유압라인(52)이 연결되고 유압 공급시 체적이 증가하도록 가변되는 제2벨로우즈(32a)와, 상기 제2벨로우즈(32a)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2코일스프링(32b)과, 상기 제2벨로우즈(32a)와 상기 제2코일스프링(32b)을 감싸서 보호하는 제2하우징(32c)과, 상기 제2벨로우즈(32a)와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로드(32d)와, 상기 제2벨로우즈(32a)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제2벨로우즈(32a)와 상기 제2하우징(32c)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2댐퍼(32e)로 구성되고, 상기 제2댐퍼(32e)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로드(32d)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이 움직이면 연료탱크(1)에 보관된 연료가 유동하고, 연료의 유동에 의해 유동배플(20)이 가이드바(12)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피에조센서(60)가 연료의 유동 압력을 검출하게 되고, 검출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4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40)는 피에조센서(60)로부터 전달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연료의 유동 주파수로 연산하고, 연산된 연료 유동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제어 주파수를 선정한 후, 제어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5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차량의 실내소음에 영향을 주는 연료 유동 소음은 보통 연료탱크에 반 이상의 연료가 채워진 상황, 특히 3/4 이상 연료가 채워진 상황이다. 물론 그 이하의 연료가 채워진 상황에서도 연료 유동 소음이 발생하나, 이때 발생하는 연료 유동 소음은 기타 다른 소음에 비해 실내소음에 영향을 주는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어서, 이때의 연료 유동 소음은 대체적으로 무시하게 된다.
상기 피에조센서(60)는 연료유동에 따라 시간(sec)에 연속적으로 변하는 데이터를 측정하게 되고, 이를 컨트롤러(40)에 전송하면 상기 컨트롤러(40)에서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연료의 유동 주파수 특성을 파악(연산)하고, 연산된 연료 유동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제어 주파수를 선정한 후, 제어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5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0)는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게 되고, 그러면 유체탱크(70)내에 보관되어 있던 유체는 제1,2유압라인(51,52)을 통해 제1,2벨로우즈(31a,32a)로 공급된다.
상기 제1,2벨로우즈(31a,32a)로 유압이 공급되면 제1,2벨로우즈(31a,32a)는 체적이 증가하도록 가변되고, 상기 제1,2벨로우즈(31a,32a)에 감겨진 상기 제1,2코일스프링(31b,32b)의 탄성력은 강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2벨로우즈(31a,32a)와 제1,2코일스프링(31b,32b)이 갖는 스프링상수 값은 전체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제1,2로드(31d,32d)를 통해 증가된 제1,2벨로우즈(31a,32a)와 제1,2코일스프링(31b,32b)의 스프링상수 값이 전달되면, 연료의 유동에 의해 가이드바(12)를 따라 움직이던 유동배플(20)은 움직임이 둔화되고, 이에 따라 유동배플(20)에 의해 연료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연료 유동에 따른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제1,2코일스프링(31b,32b)이 갖는 스프링상수 값이 변해서 연료 유동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면, 2자유도계에서 매스댐퍼를 단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유동배플(20)은 연료 유동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상기 유동배플(20)은 능동적으로 연료 유동을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제어 대상의 유동 주파수가 크면 유동배플(20)의 스프링상수 값을 크게 하여 제어대상의 유동 주파수와 동일하게 맞춰서 제어하고, 그 반대면 스프링상수 값을 낮춰서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 유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바, 즉 제1,2벨로우즈(31a,32a)로 공급되는 유압의 양이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조절되고, 이로 인해 제1,2벨로우즈(31a,32a)와 제1,2코일스프링(31b,32b)이 갖는 스프링상수 값을 제어 주파수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 유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피에조센서(60)가 시간(sec)에 연속적으로 변하는 데이터 값을 측정하게 되므로 연속적인 연료 유동 주파수의 측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제1,2코일스프링(31b,32b)의 스프링상수 값을 변화시키면 연속적인 연료 유동 주파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는 연료탱크(1)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연료 유동 소음을 모두 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실내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연료탱크 10 - 가이드장치
20 - 유동배플 30 - 배플제어기
40 - 컨트롤러 50 - 액추에이터
60 - 피에조센서 70 - 유체탱크

Claims (10)

  1. 외력 작용시 가이드장치(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연료탱크(1)내에 설치된 유동배플(20);
    상기 유동배플(2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가이드장치(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배플(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배플제어기(30);
    상기 연료탱크(1)내에 저장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서 연료의 유동 주파수로 연산하고, 연산된 연료 유동 주파수의 역 위상에 해당하는 제어 주파수를 선정하는 기능을 갖춘 컨트롤러(40); 및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해서 상기 배플제어기(30)로 유압을 공급하는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내에 설치되어서 연료의 유동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러(40)로 연료의 유동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피에조센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10)는 서로 이격된 전판(11a)과 후판(11b)을 구비한 가이드하우징(11); 및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전,후판(11a,11b)을 연결하는 가이드바(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동배플(20)은 상기 가이드바(12)에 끼워져서 상기 전,후판(11a,11b)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동배플(20)에는 상기 가이드바(12)가 삽입되는 수직방향 가이드홀(21)이 하단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플제어기(30)는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전판(11a)사이에서 상기 유동배플(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1유압라인(51)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5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50)의 작동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스프링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1제어기(31); 및
    상기 유동배플(20)의 타면과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후판(11b)사이에서 상기 유동배플(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2유압라인(52)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5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50)의 작동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스프링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동배플(20)의 타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제어기(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기(31)는 상기 제1유압라인(51)이 연결되고 유압 공급시 체적이 증가하도록 가변되는 제1벨로우즈(31a);
    상기 제1벨로우즈(31a)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1코일스프링(31b);
    상기 제1벨로우즈(31a)와 상기 제1코일스프링(31b)을 감싸서 보호하는 제1하우징(31c); 및
    상기 제1벨로우즈(31a)와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1로드(3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기(31)는 상기 제1벨로우즈(31a)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제1벨로우즈(31a)와 상기 제1하우징(31c)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1댐퍼(31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댐퍼(31e)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로드(31d)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기(32)는 상기 제2유압라인(52)이 연결되고 유압 공급시 체적이 증가하도록 가변되는 제2벨로우즈(32a);
    상기 제2벨로우즈(32a)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2코일스프링(32b);
    상기 제2벨로우즈(32a)와 상기 제2코일스프링(32b)을 감싸서 보호하는 제2하우징(32c); 및
    상기 제2벨로우즈(32a)와 상기 유동배플(20)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로드(3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기(32)는 상기 제2벨로우즈(32a)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제2벨로우즈(32a)와 상기 제2하우징(32c)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2댐퍼(32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32e)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로드(32d)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KR1020110119732A 2011-11-16 2011-11-16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KR101355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32A KR101355586B1 (ko) 2011-11-16 2011-11-16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32A KR101355586B1 (ko) 2011-11-16 2011-11-16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82A KR20130053982A (ko) 2013-05-24
KR101355586B1 true KR101355586B1 (ko) 2014-01-27

Family

ID=4866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732A KR101355586B1 (ko) 2011-11-16 2011-11-16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0054A (en) * 2013-12-10 2014-07-23 Daimler Ag Liquid fuel tank with motorised actuated horizontal baff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40B1 (ko) * 2002-10-16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구조
KR100528226B1 (ko) * 2004-04-28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슬러싱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5507B1 (ko) * 2004-04-28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슬러싱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5594B1 (ko) * 2003-10-16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탱크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40B1 (ko) * 2002-10-16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구조
KR100535594B1 (ko) * 2003-10-16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탱크의 구조
KR100528226B1 (ko) * 2004-04-28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슬러싱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5507B1 (ko) * 2004-04-28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슬러싱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82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1650B2 (ja) コンパクトで高速かつ強力な油圧アクチュエータのノイズ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514833B (zh) 用于承载件中或用作减振器的弹簧减振器系统
US20120308023A1 (e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for exhaust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57956A1 (en)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n actuator
KR101549881B1 (ko) 선박 엔진용 제진 장치
CN105952975A (zh) 一种磁流变减振管夹
KR101355586B1 (ko) 차량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 장치
CN105235552A (zh) 车辆悬挂系统以及悬挂安装车辆部件的方法
CN109356959A (zh) 一种自适应远程主动减振系统
JP2014169763A (ja) 脈動抑制機構
RU166886U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ая опора
KR102009790B1 (ko) Mr가진기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JP2011157920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内燃機関
KR101709773B1 (ko) 중소형 비상발전기의 진동저감장치
JP6498924B2 (ja) 二重動吸振器及び二重動吸振器の設計方法
JP4897619B2 (ja) ヒステリシスのない空気軸受による能動防振システム
KR101354263B1 (ko) 병렬형 엔진 마운트 구조
KR101378844B1 (ko) 선박 엔진의 탑 브레이싱 장치
JP2016125412A (ja) 振動水柱型波力発電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空気室容積導出用の制御則を求める方法
JP2013057348A (ja) 防振支持装置、それを搭載した車両、及び車両の振動低減方法
US10962066B2 (en) Clutch control device
KR100892476B1 (ko) 클러치 페달 진동 저감장치
KR101324307B1 (ko) 자려진동 에너지를 이용한 조류 발전기
KR20150092896A (ko) 엔진의 진동감쇄장치
US9718099B2 (en) Vibration damper for reducing vibrations of a low frequency sound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