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380B1 -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380B1
KR101355380B1 KR1020130063225A KR20130063225A KR101355380B1 KR 101355380 B1 KR101355380 B1 KR 101355380B1 KR 1020130063225 A KR1020130063225 A KR 1020130063225A KR 20130063225 A KR20130063225 A KR 20130063225A KR 101355380 B1 KR101355380 B1 KR 101355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multimedia content
question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만철
Original Assignee
고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만철 filed Critical 고만철
Priority to KR102013006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이 일부 또는 전부 맞는 경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watching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란 문자, 음성, 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 형태가 통합되어 생성, 전달, 처리되도록 하는 시스템 또는 서비스에서 활용되는 정보 서비스 내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일반적인 동영상 형태의 컨텐츠는 물론, 플래시 등과 같이 일련의 정지 화상들이 결합되어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컴퓨터 및 인터넷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및 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 상에서 원격 강의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나 광고 서비스 제공업체가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광고 서비스를 주요한 예로 들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강의 서비스나 온라인 광고 서비스는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삽입되어 실행되거나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배너 형태 또는 팝업(Pop-up)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한편, 온라인 강의 서비스나 온라인 광고 서비스는 학습자 또는 소비자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가 제대로 시청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 서비스는 학습자의 강의 진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학습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를 제대로 시청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온라인 광고 서비스는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가 온라인 광고를 봤을 경우 그에 대한 대가로 사이버 머니, 포인트 등을 지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소비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제공되는 온라인 광고를 제대로 시청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강의나 광고를 제대로 시청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된 시간을 확인하거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후 '확인' 등의 버튼을 누른 시간을 확인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제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식별자와 식별자에 대한 질문을 표시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을 확인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이 일부 또는 전부 맞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재생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식별자 표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이 일부 또는 전부 맞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하는 컨텐츠 시청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식별자와 식별자에 대한 질문을 표시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을 확인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를 통해 입력 받은 답변으로부터 컨텐츠 시청 확인부에서 시청 판단 여부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를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식별자에 대한 질문을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특정 위치에 식별자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특정 위치에 식별자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식별자에 대한 질문을 표시하고 답변을 입력 받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공부(110), 식별자 생성부(120), 컨텐츠 재생부(130), 식별자 표시부(140) 및 컨텐츠 시청 확인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일반적인 동영상 형태의 컨텐츠는 물론, 플래시 등과 같이 일련의 정지 화상들이 결합되어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식별자 생성부(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별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시간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표식(標式)을 의미하고 각각의 식별자는 모양, 표시 시간, 표시 위치 등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동일한 화면에 삽입되는 것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삽입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식별자 생성부(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의 개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모양 및 표시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식별자 생성부(120)가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식별자 생성부(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식별자 생성부(120)는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데, 식별자 생성부(120)가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컨텐츠 재생부(130)는 컨텐츠 제공부(110)로부터 제공 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식별자 표시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시간 동안 적어도 한번 표시될 수 있는데, 식별자 표시부(140)는 각각의 식별자에 대한 모양, 표시 시간, 표시 위치 등을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식별자 표시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시청 확인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이 일부 또는 전부 맞는 경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210). 그리고, 식별자 생성부(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생성한 후(S220),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S230).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 생성부(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의 개수를 결정하고(S221),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모양 및 표시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22).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표시될 식별자의 개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 재생 시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식별자의 모양은 문자, 기호, 도형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 특정 캐릭터 등과 같은 이미지 그 자체를 의미하는 개념이며, 식별자의 모양은 식별자의 형상 뿐만 아니라 색깔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식별자의 표시 시간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된 시점을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표시될 시간까지의 시간 간격(초, 분 또는 시간 단위)을 의미한다. 도 4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5 분인 경우, 1 분 단위로 총 5 개의 식별자(식별자 1 내지 식별자 4)를 생성하고, 식별자 1의 모양은 '★(red)', 표시 시간은 1 분(1:00)으로, 식별자 2의 모양은 '●(green)', 표시 시간은 2 분(2:00)으로, 식별자 3의 모양은 '■(blue)', 표시 시간은 3 분(3:00)으로, 식별자 4의 모양은 '▲(yellow)', 표시 시간은 4 분(4:00)으로 하여 식별자 정보를 생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의 예에 의하면, 4 개의 식별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된 이후 1 분 간격으로 '★', '●', '■', '▲'의 순서대로 각각 다른 색깔로 표시될 수 있다.
식별자 생성부(120)는 식별자 정보를 생성한 후(S222), 이러한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S231). 식별자에 대한 질문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대로 시청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표시된 식별자에 대한 다양한 질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자 정보는 모양 및 표시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질문은 식별자의 모양(색깔 포함), 식별자들의 표시 순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 4의 예와 같은 식별자 정보로부터, 질문 1은 '2 번째 표시된 식별자의 모양'에 관해, 질문 2는 '3 번째 표시된 식별자의 색깔'에 관해, 질문 3은 '▲, ★ 식별자의 표시 순서'에 관해 총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을 생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식별자의 모양을 도형의 형상과 색상으로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식별자 1 내지 식별자 4를 동일한 색깔의 번호 '1', '2', '3', '4'로 생성할 수도 있고, 다른 색깔의 같은 캐릭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부(13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고(S240), 식별자 표시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S250). 그리고, 식별자 표시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질문을 표시할 수 있다(S260).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5 분 분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M)을 실행하는 동안 도 4의 예에 도시된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4 개의 식별자(ID1 내지 ID4)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도 5의 예에서 생성된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을 토대로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는 도 5의 예에서 생성된 질문을 객관식 문제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식별자 표시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70). 마지막으로, 컨텐츠 시청 확인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일부 또는 전부 맞는 경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정확하게 시청했다고 판단하고(S280),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올바르게 시청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S281).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를 통해 입력 받은 답변으로부터 컨텐츠 시청 확인부에서 시청 판단 여부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사용자가 도 7의 예에 도시된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에 대해 각각 3번 '●', 2번 'blue' 및 1번 '▲'를 선택하여 답변을 입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예에서 생성된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에 대한 답은 각각 '●', 'blue', '★'이므로, 사용자는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 중 질문 1과 질문 2만 맞춘 것을 알 수 있다. 도 8에서는 컨텐츠 시청 확인부(150)가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에 대한 답변이 모두 맞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 재생 시간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설정에 의해, 컨텐츠 시청 확인부(150)는 3 개의 질문(질문 1 내지 질문 3) 중 2 개 이상을 맞춘 경우에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고, 전체 질문 중 60% 이상 맞춘 경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에서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자 정보는 각각의 식별자에 대한 모양, 표시 시간, 표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를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생성부에서 식별자에 대한 질문을 생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5 분인 경우, 2 개의 식별자(식별자 1 및 식별자 2)를 생성하고, 식별자 1의 모양은 '■(red)', 표시 시간은 1 분(1:00)으로, 식별자 2의 모양은 '●(green)', 표시 시간은 3 분(3:00)으로 하여 식별자 정보를 생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에서는, 도 9의 예와 같은 식별자 정보로부터, ' ● 식별자가 표시된 위치'에 관해 1 개의 질문(질문 1)을 생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식별자 정보는 각각의 식별자에 대한 모양, 표시 시간,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식별자 표시부(140)는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을 복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 후 복수의 분할 화면 중에서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에 해당하는 분할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특정 위치에 식별자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특정 위치에 식별자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의 식별자 표시부에서 식별자에 대한 질문을 표시하고 답변을 입력 받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식별자 표시부(140)는 식별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51).
판단 결과, 식별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별자 표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을 복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할 수 있다(S252). 도 9의 예에서, 식별자 1은 '우측상단'이라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고, 식별자 2는 '좌측하단'이라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식별자 표시부(140)는 2 개의 식별자(식별자 1 및 식별자 2)를 표시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을 '좌측상단', '우측상단', '좌측하단' 및 '우측하단'으로 총 4 개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식별자 표시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을 복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 후(S252),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에 따라 복수의 분할 화면 중에서 해당하는 분할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S253). 도 12a에서는 5 분 분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M)을 실행하는 동안 도 9의 예에 도시된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식별자 1(ID1)인 '■'을 1 분(1:00)이 되는 시점에 화면의 우측 상단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도 12b에서는 식별자 2(ID2)인 '●'을 3 분(1:00)이 되는 시점에 화면의 좌측 하단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단계 S251에서 판단한 결과, 식별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자 표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S254).
한편, 도 13에서는 도 10의 예에서 생성된 1 개의 질문(질문 1)을 화면에 표시한 예와 사용자로부터 질문 1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식별자 정보에 식별자의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질문을 표시하고 답변을 입력 받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310), 이러한 사용자 단말(310)과 인터넷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310)과 각종 정보를 주고 받아 이를 처리하는 중앙 서버(320)로 구성되고, 컨텐츠 재생부(311) 및 식별자 표시부(312)는 사용자 단말(310)에 구비되고, 컨텐츠 제공부(321), 식별자 생성부(322), 및 컨텐츠 시청 확인부(323)는 사용자 단말(310)이 접속되는 중앙 서버(320)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300)에서 사용자가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용자 단말(3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물론, 일반 컴퓨터(PC), 테블릿 컴퓨터(Tablet PC)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31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중앙 서버(320)는 사용자 단말(310)과 인터넷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310)이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31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전송 받아 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300)은 중앙 서버(32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중앙 서버(32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중앙 서버(320)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320),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 등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졌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3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사용자 단말(310)은 컨텐츠 재생부(311) 및 식별자 표시부(312)를 포함하고, 중앙 서버(320)는 컨텐츠 제공부(321), 식별자 생성부(322) 및 컨텐츠 시청 확인부(323)를 포함하도록 구체적으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320)의 컨텐츠 제공부(321)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410). 그리고, 중앙 서버(320)의 식별자 생성부(322)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예를 들어, N 개의 식별자)와 N 개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예를 들어, M 개의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S420). 중앙 서버(320)가 식별자 생성부(322)에서 생성된 N 개의 식별자와 M 개의 질문을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하면(S430), 사용자 단말(310)의 컨텐츠 재생부(311)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S440). 사용자 단말(310)의 식별자 표시부(312)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N 개의 식별자를 표시하고(S450),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게 M 개의 질문을 표시할 수 있다(S460). 그리고, 사용자 단말(310)의 식별자 표시부(312)는 사용자로부터 M 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아 이를 중앙 서버(320)로 전송하면(S470), 중앙 서버(320)의 컨텐츠 시청 확인부(323)는 M 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 확인하여(S480)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90).
이하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510)과 중앙 서버(520)로 구성되고, 컨텐츠 재생부(511), 식별자 생성부(512), 식별자 표시부(513) 및 컨텐츠 시청 확인부(514)는 사용자 단말(510)에 구비되고, 컨텐츠 제공부(521)만 사용자 단말(510)이 접속되는 중앙 서버(52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50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식별자 생성부(512) 및 컨텐츠 시청 확인부(514)를 사용자 단말(510)에 포함하도록 구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520)의 컨텐츠 제공부(521)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610). 그리고, 사용자 단말(510)의 식별자 생성부(512)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예를 들어, N 개의 식별자)와 N 개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예를 들어, M 개의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S620). 그리고, 사용자 단말(510)의 컨텐츠 재생부(511)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S630). 사용자 단말(510)의 식별자 표시부(513)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N 개의 식별자를 표시하고(S640),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게 M 개의 질문을 표시할 수 있다(S650). 그리고, 사용자 단말(510)의 식별자 표시부(513)는 사용자로부터 M 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은 후(S660), 사용자 단말(510)의 컨텐츠 시청 확인부(514)는 M 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70).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510)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중앙 서버(520)로 전송하고(S680), 중앙 서버(520)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8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500)에서는 식별자 및 질문의 표시, 질문에 대한 답변의 확인 및 사용자의 시청 여부에 대한 판단을 모두 사용자 단말(510)에서 처리하므로 중앙 서버(520)의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연산 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에 식별자와 식별자에 대한 질문을 표시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을 확인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
110: 컨텐츠 제공부
120: 식별자 생성부
130: 컨텐츠 재생부
140: 식별자 표시부
150: 컨텐츠 시청 확인부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모양, 표시 시간 및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을 복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시간 및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에서 해당하는 분할 화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이 일부 또는 전부 맞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모양, 표시 시간 및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재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을 복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에 대한 표시 시간 및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에서 해당하는 분할 화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식별자 표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답변이 일부 또는 전부 맞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했다고 판단하는 컨텐츠 시청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식별자 표시부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 상기 식별자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시청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되는 중앙 서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 상기 식별자 생성부, 상기 식별자 표시부 및 상기 컨텐츠 시청 확인부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되는 중앙 서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
KR1020130063225A 2013-06-03 2013-06-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1355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225A KR101355380B1 (ko) 2013-06-03 2013-06-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225A KR101355380B1 (ko) 2013-06-03 2013-06-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380B1 true KR101355380B1 (ko) 2014-02-07

Family

ID=5026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225A KR101355380B1 (ko) 2013-06-03 2013-06-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3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925A (ja) * 2000-11-10 2002-07-26 Red Rice Medium Inc 広告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40000093A (ko) * 2002-06-24 2004-01-03 최우근 광고의 시청에 따른 보상 방법
KR20100006933A (ko) * 2008-07-10 2010-01-22 박승권 양방향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시청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925A (ja) * 2000-11-10 2002-07-26 Red Rice Medium Inc 広告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40000093A (ko) * 2002-06-24 2004-01-03 최우근 광고의 시청에 따른 보상 방법
KR20100006933A (ko) * 2008-07-10 2010-01-22 박승권 양방향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시청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確認装置及びその方法
CN110570698B (zh) 一种在线教学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RU2531863C2 (ru) Целевая реклама, генерируемая пользователем
JP6665200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20220021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n-Air Commercial Programming with Interactive Applications
CN113825031A (zh) 直播内容生成方法及装置
US11842425B2 (e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30090986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Monitoring Viewer Advertisement Content
KR20130005776A (ko) 씨아이디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수신 단말기, 씨아이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JP6219548B1 (ja) 仮想処理サーバ、仮想処理サーバ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WO2021159832A1 (zh) 在线交互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2968729A (zh) 用户限定的广告目标定位
US201501062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visual effects associated with online presentations
CN103139657A (zh) 广告机管理系统、广告机及其播放的广告内容的验证方法
WO2013040904A1 (zh) 一种处理广告的方法和终端
WO2019084875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服务器、存储介质
JP2014513347A (ja) 的を絞った広告メッセージを送達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637625A (zh) 一种虚拟真人主播节目及问答互动的方法与系统
US20200058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user-responsive reactive advertising via voice interactive input/output devices
US201602927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atic testing to determine user attention for advertisements
US2018020427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KR101355380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88577A1 (en) Non-intrusive cloud based multi-screen media advertising platform
RU2636116C2 (ru) Способ, сервер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го контента
US202300155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native Adve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