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192B1 - 그물망 베개 - Google Patents

그물망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192B1
KR101355192B1 KR1020120071567A KR20120071567A KR101355192B1 KR 101355192 B1 KR101355192 B1 KR 101355192B1 KR 1020120071567 A KR1020120071567 A KR 1020120071567A KR 20120071567 A KR20120071567 A KR 20120071567A KR 101355192 B1 KR101355192 B1 KR 10135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illow
pillow body
presen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910A (ko
Inventor
김대상
Original Assignee
김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상 filed Critical 김대상
Priority to KR102012007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1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3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망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베개는 두상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여 유아의 두상을 예쁘게 만들 수 있고, 통풍 효과가 뛰어나며, 엎드려 자더라도 질식사의 우려가 없다.

Description

그물망 베개{Netted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두상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고 통풍 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그물망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시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생활필수품이다.
통상적인 베개는 베개의 형태를 갖추기 위한 내피와, 내피의 내부에 충전되어 부피를 유지시키기 위한 충전물, 그리고 내피의 외부에 덮어씌워져 내피의 오염을 방지하는 외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종래의 베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사용자가 휴식 또는 취침을 위해 누웠을 시 딱딱한 충전물에 머리의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어 머리에 많은 압박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머리에 가해지는 압박에 의해 혈액순환을 저해하여 피로를 느끼게할 뿐만 아니라, 아직 두상의 형태가 완성되지 않은 유아에게는 두상의 형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내피 내에 가득찬 충전물로 인해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여름철 땀띠 유발 가능성도 있고, 특히 유아가 엎드려서 취침할 경우 베개로 인해 숨을 쉬지 못해 질식사로 이어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물망 베개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8-299139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상이 그물망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두상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고 통풍 효과를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그물망 베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베개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된 베개본체; 및 상기 베개본체의 관통부 상하부를 덮는 두상지지용 망;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개본체에는 상기 베개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관통부를 연결하는 홈 또는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기존의 베개처럼 충전물로 가득찬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충전물에 의해 머리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대한 줄여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베개를 베면, 두상지지용 망 위에 머리가 받쳐지게 되는데, 이때 두상지지용 망 아래쪽은 빈 공간이기 때문에 충전물 등에 의한 두부 압박이 전혀 없는 것이다. 즉 두상지지용 망이 팽팽해지면서 머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유지시킨 상태를 유지하되, 충전물에 의한 두부의 압박 없이 두부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두부 압박 최소화를 통해 혈액순환을 증진시킬 수 있고, 특히 유아가 사용할 경우 볼록한 형태의 예쁜 두상을 만들어줄 수가 있는 것이다.
더불어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두상지지용 망이 베개본체의 관통부 상하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통풍 효과가 최대한 발휘되어 태열이나 땀띠가 예방되며, 특히 유아가 엎드려 자더라도 두상지지용 망이 숨구멍 역할을 하게 되어 질식사의 우려가 없다.
또한 베개본체의 외측면과 관통부를 연통하는 별도의 홈 또는 구멍을 형성시킴으로써 관통부 내에서의 통풍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그물망 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그물망 베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1)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그물망 베개(1)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1)는 베개본체(10) 및 두상지지용 망(20)을 포함한다.
베개본체(10)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대략 도넛 형태로 구현되지만, 위쪽과 아래쪽은 움푹 들어간 형태(또는 좌우측보다 상대적으로 베개본체(10)의 두께가 얇은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를 대고 누웠을 시 어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개본체(10)는 베개의 전체 형태와 높이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베개본체(10) 내부에는 짧은 관 형태의 합성수지필러나, 발포스폰지, 압축솜, 왕겨, 곡물, 메모리폼, 무독성 실리콘 등의 충전물로 채워질 수 있다. 물론 베개본체(10) 자체를 라텍스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고, 밀폐된 튜브로 제작하여 내부에 공기를 넣었다 빼내는 형태일 수도 있다.
두상지지용 망(20)은 상하로 관통부(11)가 형성된 베개본체(10)의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두상지지용 망(20)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소재로 제작되는데, 모시 등의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개본체(10)에 두상지이용 망이 둘러싸인 형태를 도2를 통해 살펴보면, 베개본체(10) 중앙의 관통부(11) 상하부에 각각 두상지지용 망(20)이 위치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베개본체(10)의 관통부(11) 상에 머리를 대고 눕게 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11)는 비어 있지만, 위쪽의 두상지지용 망(20)이 팽팽해지면서 두부를 받치는 형태가 된다. 즉 두상지지용 망(20)에 의해 머리가 받쳐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는 베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베개에서는 충전물에 의해 머리가 받쳐짐으로써 충전물이 두부에 압박을 가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를 받치는 부분에 충전물이 전혀 없기 때문에 두부에 가해지는 압박이 최소화 된다. 즉 충전물에 의해 두부가 받쳐지는 것이 아니라 두상지지용 망(20)이 두부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받쳐주는 것이기 때문에, 유아가 사용할 경우 두부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여 볼록한 형태의 두상을 만들어줄 수가 있게 된다.
더불어 베개본체(10)의 관통부(11) 내측으로는 두상지지용 망(20)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을 통해 신선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될 수가 있어서 통풍 효과가 극대화된다. 따라서 태열이나 땀띠가 예방될 수가 있다.
또한 유아가 베개에 얼굴 부분을 댄 채로 취침을 하더라도 두상지지용 망(20)에 형성된 타공이 숨구멍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엎드린 채로 자더라도 숨쉬기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질식사의 위험을 해소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1)는 아직 두상이 형성되지 않은 유아에게 사용될 시 최적의 안락함과 두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더불어 통풍 효과의 극대화를 통해 땀띠를 예방하고 질식사의 위험 요소를 없애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1)는 앞뒤 구분이 없고 앞뒤 모두에 두상지지용 망(2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쪽으로 머리를 받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한쪽에만 두상지지용 망(20)이 마련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막혀 있는 구조라면, 잠결에 무심코 베개를 집어 다시 머리맡에 놓을 시 뒤집힌 상태, 즉 두상지지용 망(20)이 아닌 막혀 있는 쪽을 머리에 댈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통풍 효과가 전혀 발휘될 수가 없고, 이 상태에서 엎드려 잘 경우에는 숨을 쉴 수가 없어 질식사할 우려가 있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베개본체(10)의 상하부를 완전히 관통시키고 이러한 관통부(11) 양쪽 모두에 두상지지용 망(20)을 위치시켰기 때문에, 앞뒤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잠결에 무심코 막혀 있는 부분을 베고 잠으로써 질식사할 수 있는 우려를 말끔히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1')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베개에서 두상지지용 망이 베개본체 전체를 둘러싸지 아니하고, 베개본체(10')의 관통부 상하부에만 두상지지용 망(20')이 위치하여 봉재된 형태로 제작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앞서 기재하기를, 베개본체(10,10')에 채워지는 충전물로는 짧은 관 형태의 합성수지필러나, 발포스폰지, 압축솜, 왕겨, 곡물, 메모리폼, 무독성 실리콘 등의 충전물로 채워질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머리를 대었을 시 두상지지용 망(20,20')이 탄력을 가지고 머리를 받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를 대었을 시 두상지지용 망(20,20')이 결합되어 있는 베개본체(10,10')가 함께 압축 또는 내측으로 쓸려들어와 두상지지용 망(20,20')이 탄력을 잃고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치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안된다. 따라서 베개본체(10,10')가 안쪽으로 쓸려들어오지 않고 형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베개본체(10,10') 내부는 무독성 실리콘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독성 실리콘으로 채워져 베개본체(10,10')가 항상 형태를 유지하는 상황이라면 베개본체(10,10')를 바닥에 놓았을 시 관통부(11)의 아래쪽 둘레는 베개본체(10,10')로 가로막혀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들어올 여지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베개(1'')를 도시한 도5에서처럼, 베개본체(10'')의 하부에 홈(12'')을 형성시켜 놓으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베개본체(10'')의 하부 홈(12'')을 타고 관통부(11'')까지 유입될 수가 있어서 통풍 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베개본체(10'')는 앞뒤 구분 없이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어느쪽 면이 바닥이 될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관통부(11'') 저면을 통한 통풍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베개본체(10'')의 중심을 대칭으로 한쪽에는 아래쪽에 홈(12'')을 형성시키고, 다른쪽에는 위쪽에 홈(12'')을 형성시킴으로써, 어느 면이 바닥을 향하더라도 바닥과 밀착한 부분에는 홈(12'')이 위치할 수 있어서 외부와 관통부(11'')는 항상 연통할 수가 있다.
물론 홈(12'')이 반드시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베개본체(10'')의 중심에 별도로 구멍을 뚫어 관통부(12'')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베개본체(10'')의 외측면과 내측의 관통부(12'')를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홈 또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면 관통부(12'') 내에서의 통풍 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1'' : 그물망 베개
10,10',10'' : 베개본체
11,11'' : 관통부
12'' : 홈
20,20',20'' : 두상지지용 망

Claims (2)

  1.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된 베개본체; 및
    상기 베개본체의 관통부 상하부를 덮는 두상지지용 망을 포함하고,
    상기 베개본체에는 상기 베개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관통부를 연결하는 홈 또는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베개.
  2. 삭제
KR1020120071567A 2012-07-02 2012-07-02 그물망 베개 KR10135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67A KR101355192B1 (ko) 2012-07-02 2012-07-02 그물망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67A KR101355192B1 (ko) 2012-07-02 2012-07-02 그물망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10A KR20140003910A (ko) 2014-01-10
KR101355192B1 true KR101355192B1 (ko) 2014-01-27

Family

ID=5014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567A KR101355192B1 (ko) 2012-07-02 2012-07-02 그물망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1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0576U (ko) * 1989-01-31 1990-08-10
JPH0553571U (ja) * 1991-12-24 1993-07-20 西川産業株式会社
JPH08299139A (ja) * 1995-05-08 1996-11-19 Brother Ind Ltd
JP2010075402A (ja) 2008-09-25 2010-04-08 Nishikawa Living Inc 高通気性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0576U (ko) * 1989-01-31 1990-08-10
JPH0553571U (ja) * 1991-12-24 1993-07-20 西川産業株式会社
JPH08299139A (ja) * 1995-05-08 1996-11-19 Brother Ind Ltd
JP2010075402A (ja) 2008-09-25 2010-04-08 Nishikawa Living Inc 高通気性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10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2654A1 (en) Pillow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KR20130000325U (ko) 에어메쉬베개
US6701555B1 (en) Dual-filled, adjustable postural health pillow
KR101170041B1 (ko) 에어볼을 이용한 매트리스
KR101355192B1 (ko) 그물망 베개
CN208957385U (zh) 一种可自由调换软硬度的床垫
CN213282418U (zh) 一种备长炭透气枕头
KR200477202Y1 (ko) 건강 베개
KR101730806B1 (ko) 구획정리와 높낮이조절을 겸비한 기능성 베개
JP3110709U (ja) 乳幼児用枕
KR102345937B1 (ko) 적층형 베개
CN103705035A (zh) 防呛奶婴幼儿谷物睡垫
CN210930493U (zh) 一种四季防螨床垫
KR20230064167A (ko) 베개 구조체
CN204813087U (zh) 呼吸透气型枕头
KR20080001199U (ko) 통기성부재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2606372B1 (ko) 목쿠션 겸용 베개
KR20190000690U (ko) 쿠션
KR102646980B1 (ko) 독립 쿠션의 에어셀 분할구조를 갖는 기능성 베개
KR20130003617U (ko) 유아용 베개
CN104939592A (zh) 呼吸透气型枕头
KR101237557B1 (ko) 한지를 이용한 방석
KR101298911B1 (ko) 열분산기능을 갖는 숙면유도용 베개
KR20130004850U (ko) 사이드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