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192B1 -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192B1
KR101354192B1 KR1020120053532A KR20120053532A KR101354192B1 KR 101354192 B1 KR101354192 B1 KR 101354192B1 KR 1020120053532 A KR1020120053532 A KR 1020120053532A KR 20120053532 A KR20120053532 A KR 20120053532A KR 101354192 B1 KR101354192 B1 KR 10135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fixing
mobile
ferroalloy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557A (ko
Inventor
김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5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1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21C5/5264Manufacture of alloyed steels including ferro-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75Charging or discharging vertically, e.g. through a bottom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고정슈트와 이동슈트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부원료 및 합금철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는, 래들(L) 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슈트(10); 그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슈트(10)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슈트(20); 상기 이동슈트(20)가 상기 제1고정슈트(10)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30); 상기 이동슈트(20)의 타단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제2고정슈트(40); 상기 제2고정슈트(40)의 일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이동슈트(2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리시빙부(50); 및 상기 리시빙부(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30)는 상기 제1고정슈트(10)와 이동슈트(20)의 비틀림 및 상기 이동슈트(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슈트(10) 및 이동슈트(20) 외주면에 각각 고정 결합된 제1가이드블록(34) 및 제2가이드블록(3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APPARATUS FOR PUTTING FERROALLOY AND AGGLUTINATIVE MATERIAL}
본 발명은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정슈트와 이동슈트 사이에 형성되는 갭에서 발생되는 낙광을 방지할 수 있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에서 용융된 용강은 래들(laddle)로 받아 정련로로 주입된다.
정련로에서는, 래들로부터 공급받은 용강의 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바, 고순도의 용강으로 정련하는 취련 작업이 진행된다.
이러한 정련로를 이용한 스테인리스강의 정련은 정련로 내에 용탕을 장입하여 탈탄 및 환원 탈류 조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성분 조정용 합금철 등의 부원료가 투입되게 된다.
정련로에서 충분히 정련된 용강은 래들로 출강되고, 출강된 용강은 래들에 담긴 상태에서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하여 용강 성분을 미세하게 조정하게 된다.
통상 부원료 및 합금철은 원료 저장빈에서 투입량을 검출, 평량계에서 평량하여 투입 슈트를 통해 자유 낙하 방식으로 래들로 투입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01660호(2003.01.08)에는 "제강을 위한 합금철 및 부원료 투입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제강을 위해 노내에 공급하는 다양한 합금철 및 자용성 장입물 내지 괴성광(단광) 등을 빠른 시간 내에 정량만큼 계량하여 노내에 공급함으로서 조업 능력 향상 및 작업 조건 그리고, 제강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를 포함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은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바, 이하에서는 종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의 문제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는, 상부빈(1), 이동슈트(3), 고정슈트(5)를 포함한다.
상부빈(1)의 하단에는 고정슈트(5)가 연결되고, 고정슈트(5)의 끝단은 이동슈트(3)의 상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바, 부원료 및 합금철이 상부빈(1), 고정슈트(5) 및 후드(H)에 설치된 이동슈트(3)를 통하여 래들(L)로 투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슈트(3)의 상단에는 깔대기 형상의 수급부(R)가 마련되는바, 고정슈트(5)를 통과한 부원료 및 합금철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이동슈트(3) 내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는, 고정슈트(5)와 이동슈트(3)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갭(G)을 통하여 다량의 낙광이 발생되는바, 미리 계량된 적정량의 부원료 및 합금철이 래들로 공급되지 않아 용강의 성분 조정을 불안정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듯, 불안정한 성분 조정 때문에, 용강이 회송 처리되어 재정련되어야 하는바,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강 버블링(bubbling) 작업시 고온과 유해 가스가 이동슈트(3) 내부를 통해 상부빈(1) 및 고정슈트(5)로 이동하는바, 설비가 산화되는 것은 물론, 유해 가스 등이 가진 열기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고 그 수명이 짧아지며, 이동슈트(3) 및 고정슈트(5)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갭(G) 부분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선행기술 1) 한국공개특허 제2003-0001660호(2003.01.0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슈트와 이동슈트 사이에 형성되는 갭에서 발생되는 낙광을 방지할 수 있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는, 래들 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슈트; 그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슈트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슈트; 상기 이동슈트가 상기 제1고정슈트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이동슈트의 타단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제2고정슈트; 상기 제2고정슈트의 일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이동슈트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리시빙부; 및 상기 리시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고정슈트와 이동슈트의 비틀림 및 상기 이동슈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슈트 및 이동슈트 외주면에 각각 고정 결합된 제1가이드블록 및 제2가이드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래들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 및 유해가스가 상기 제1고정슈트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슈트에 연결 설치된 유해가스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고정슈트와 이동슈트를 매개하는 제1구동실린더와, 상기 제1가이드블록 및 제2가이드블록을 매개하되 그 일단은 상기 제2가이드블록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 일단에 결합된 고정너트와, 상기 연결로드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제2가이드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너트에 고정 결합된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슈트 외주면에는 레일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슈트의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 결합된 수직브라켓과, 그 일단이 상기 수직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슈트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수평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브라켓에는, 상기 레일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슈트의 외주면에는 고정프레임이 돌출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이 고정프레임과 리시빙부를 매개하는 제2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슈트의 타단부에 그 직경 방향으로 고정 결합된 중심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시빙부는, 그 일단이 상기 중심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제2구동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고정슈트를 감싸는 상부콘 및 하부콘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슈트 내부와 연결되는 에어공급관과, 이 에어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정슈트와 이동슈트 사이의 갭 형성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고정슈트를 통하여 이동슈트로 합금철 및 부원료가 이동할 때, 낙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적정량의 부원료 및 합금철이 공급되어 성분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재 정련 작업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재정련 작업 발생 비율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용강 버블링 작업시 고온의 유해가스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설비 열화 및 부식을 방지하여, 설비 내구력이 개선되고, 정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에 따를 때, 고정슈트와 이동슈트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제1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수직브라켓, 수평브라켓 및 안내롤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요부인 리시빙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유해가스 차단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를 설명한다.
제1고정슈트(10)는 래들(도 1참조) 상에 위치하여, 후술할 제2고정슈트(40) 및 이동슈트(20)를 통하여 공급되는 합금철 및 부원료를 래들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1고정슈트(10)의 하단부에는 후드(도 1참조)가 고정 설치된다.
이동슈트(20)의 일단부는 제1고정슈트(10)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위치하고, 그 타단부는 제2고정슈트(4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바, 합금철 내지 부원료 공급시 제2고정슈트(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고정슈트(40)의 단부를 감싼다.
제1구동부(30)는 이러한 이동슈트(20)가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리시빙부(50)는, 이동슈트(20)가 이동하여 제2고정슈트(40)에 근접할 때,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 제2고정슈트(40)의 일단부를 감싼다. 이를 위해, 리시빙부(50)는 이동슈트(2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구동부(60)는, 리시빙부(50)에 동력을 전달하는바, 리시빙부(50)의 회동을 돕는다.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는, 래들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 및 유해가스가 제1고정슈트(10)를 통해 유입되어, 이동슈트(20) 및 제2고정슈트(4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고정슈트(10)와 연결된 유해가스 차단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30)는, 제1구동실린더(32)와, 제1가이드블록(34), 제2가이드블록(35), 연결로드(36), 고정너트(37) 및 압축스프링(3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동실린더(32)는 제1고정슈트(10)와 이동슈트(20)를 매개하는 것으로, 제1고정슈트(10)에 대하여 이동슈트(20)를 이동 가능케 하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동실린더(32) 설치를 위해, 제1고정슈트(10) 및 이동슈트(20) 외주면에는 고정브라켓(FB)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슈트(20)의 단부는 제1고정슈트(1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구동실린더(32) 작동과 동시에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이때, 이동슈트(20)의 단부와 제1고정슈트(10)의 외주면은 연결관(J)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이동슈트(20)가 이동하여 제1고정슈트(10)와 이동슈트(20) 간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더라도 이동슈트(20) 및 제1고정슈트(10)는 연결관(J)을 매개로 서로 연통된다.
이러한 연결관(J) 구성은, 제1고정슈트(10) 및 이동슈트(20)가 서로 인입,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 구조를 갖는 경우라면,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1고정슈트(10) 및 이동슈트(20)는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바, 이동슈트(20)는 제1고정슈트(10)와 연결 가능한 선상으로 이동되어야 하고, 이동 이후에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여야 하는바, 이를 위해 제1고정슈트(10) 및 이동슈트(20)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가이드블록(34) 및 제2가이드블록(35)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가이드블록(34) 및 제2가이드블록(35)은 연결로드(36)로 연결되되, 연결로드(36)는 제2가이드블록(35)을 관통하여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즉, 이동슈트(20) 이동시 이러한 이동슈트(20)에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블록(35)도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제2가이드블록(35)을 관통하여 일정 길이 돌출된 연결로드(36)의 돌출 길이를 이동슈트(20) 이동에 따라 짧아지게 되며, 이러한 제1가이드블록(34) 및 제2가이드블록(35)이 이동슈트(2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제2가이드블록(35)을 관통하여 돌출된 연결로드(36) 일단에는 고정너트(37)가 고정 결합되며, 돌출된 연결로드(36) 부위에는 압축스프링(38)이 권취되고, 이 압축스프링(38)의 양 단은 제2가이드블록(35) 및 고정너트(37)에 고정되다.
이동슈트(20)가 원위치에 있을 때, 압축스프링(38)은 인장된 상태이며, 이동슈트(20)가 이동함에 따라 원상태인 압축 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이동슈트(20)가 완전히 이동한 경우, 압축스프링(38)은 완전한 원상태인 완전압축 상태를 유지하는바, 이동슈트(20)가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지 않도록 이동슈트(20)의 하강 방향에 반대 반향으로 작용하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는, 수직브라켓(VB), 수평브라켓(HB), 레일(R) 및 안내롤러(G)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슈트(20)의 길이를 고려할 때, 연결로드(36)에 의해 연결되는 제1가이드블록(34) 및 제2가이드블록(35)을 이용하여 이동슈트(20)를 안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1고정슈트(10)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돌출하여 수직브라켓(VB)을 설치하고, 이동슈트(20) 형성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브라켓(HB)의 일단을 수직브라켓(VB)의 끝단에 결합하고, 이 수평브라켓(HB)에는 레일(R) 상에서 구름 운동하는 안내롤러(G)를 설치함으로써, 이동슈트(20)의 이동을 더욱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수평브라켓(HB)은 이동슈트(20) 이동시 발생되는 반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수평브라켓(HB1), 제2수평브라켓(HB2) 및 제3수평브라켓(HB3)을 적층,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제3수평브라켓(HB3)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안내롤러(G)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동슈트(20)가 이동하는 경우, 안내롤러(G)와 접촉하고 있던 레일(R)은 안내롤러(G)를 타고 이동함으로써, 이동슈트(20)의 이동이 더욱 원활해짐과 동시에 이탈 가능성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슈트(20)의 외주면에는 고정프레임(F)이 돌출 결합되고, 제2구동부(60)는 이 고정프레임(F)과 리시빙부(50)를 매개하는 제2구동실린더(6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슈트(40)와 일정 간격 이결되어 있던 리시빙부(50)는, 제2구동실린더(62)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여 제2고정슈트(40)의 외주연을 감싸게 됨으로써, 부원료 및 합금철이 이동 과정에서 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리시빙부(5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는, 중심축(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축(C)은, 이동슈트(20) 타단부에 그 직경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시빙부(50)는, 상부콘(52)과 하부콘(54)을 포함하는바, 상부콘(52) 및 하부콘(54)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그 일단은 각각 중심축(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는 각각 제2구동실린더(62)의 일단이 결합된다.
리시빙부(50)가 제2고정슈트(40)를 감싼 상태에서 부원료 및 합금철이 공급되면, 실질적으로 이러한 부원료 및 합금철은 중력에 의해 하부콘(54)의 내측면을 타고 이동하는바, 하부콘(54)의 상단에는 연장콘(56)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구동실린더(62)가 작동하면, 상부콘(52) 및 하부콘(54)의 일단은 중심축(C)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그 타단은 회동하여 제2고정슈트(40)을 따라 모이게 되고, 최종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상부콘(52) 및 하부콘(54)은 전체적으로 제2고정슈트(40)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제2고정슈트(40)의 끝단부가 상부콘(52) 및 하부콘(54)이 모아져 형성된 깔때기 모양의 덕트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2고정슈트(40)를 통과한 부원료 및 합금철은 낙광없이 이동슈트(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의 유해가스 차단부(70)는, 제1고정슈트(10) 내부와 연결되는 에어공급관(72)과, 이 에어공급관(7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밸브(7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개폐밸브(74)를 열어 에어공급관(72)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면, 유해가스 내지 열기가 유입되는 길목이 에어로 인해 차단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부원료 및 합금철을 래들로 투입함으로써, 유해가스 및 열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유해가스 차단부(70)를 이용하여 유해가스 및 열기가 제1고정슈트(10)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제1구동부(30)를 작동시켜, 이동슈트(20)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슈트(20)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제2구동부(60)를 작동시켜 반원추 형상의 상부콘(52) 및 하부콘(54)을 회동시키면, 상부콘(52) 및 하부콘(54) 모아져 제2고정슈트(40) 끝단부를 감싸는 깔때기 형상을 띄게 되는바, 제2고정슈트(40)를 통하여 공급되는 부원료 및 합금철은 연장콘(56), 하부콘(54), 상부콘(52)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슈트(20)로 전달되어 낙광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제1고정슈트 20 : 이동슈트
30 : 제1구동부 32 : 제1구동실린더
34 : 제1가이드블록 35 : 제2가이드블록
36 : 연결로드 37 : 고정너트(37)
38 : 압축스프링 40 : 제2고정슈트
50 : 리시빙부 52 : 상부콘
54 : 하부콘 60 : 제2구동부
70 : 유해가스 차단부
L : 래들 R : 레일
VB : 수직브라켓 HB : 수평브라켓
G : 안내롤러

Claims (7)

  1. 래들(L) 상에 위치하는 제1고정슈트(10); 그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슈트(10)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슈트(20); 상기 이동슈트(20)가 상기 제1고정슈트(10)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30); 상기 이동슈트(20)의 타단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제2고정슈트(40); 상기 제2고정슈트(40)의 일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이동슈트(2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리시빙부(50); 및 상기 리시빙부(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30)는 상기 제1고정슈트(10)와 이동슈트(20)의 비틀림 및 상기 이동슈트(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슈트(10) 및 이동슈트(20) 외주면에 각각 고정 결합된 제1가이드블록(34) 및 제2가이드블록(35)을 포함하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들(L)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 및 유해가스가 상기 제1고정슈트(1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슈트(10)에 연결 설치된 유해가스 차단부(70)를 더 포함하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30)는, 상기 제1고정슈트(10)와 이동슈트(20)를 매개하는 제1구동실린더(32)와, 상기 제1가이드블록(34) 및 제2가이드블록(35)을 매개하되 그 일단은 상기 제2가이드블록(35)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된 연결로드(36)와, 상기 연결로드(36) 일단에 결합된 고정너트(37)와, 상기 연결로드(36)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제2가이드블록(35)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너트(37)에 고정 결합된 압축스프링(38)을 더 포함하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슈트(20) 외주면에는 레일(R)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슈트(10)의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 결합된 수직브라켓(VB)과, 그 일단이 상기 수직브라켓(VB)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슈트(20)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수평브라켓(H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브라켓(HB)에는, 상기 레일(R)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롤러(G)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슈트(20)의 외주면에는 고정프레임(F)이 돌출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부(60)는, 이 고정프레임(F)과 리시빙부(50)를 매개하는 제2구동실린더(62)를 포함하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슈트(20)의 타단부에 그 직경 방향으로 고정 결합된 중심축(C)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시빙부(50)는, 그 일단이 상기 중심축(C)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제2구동부(60)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고정슈트(40)를 감싸는 상부콘(52) 및 하부콘(54)을 포함하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차단부(70)는, 상기 제1고정슈트(10) 내부와 연결되는 에어공급관(72)과, 이 에어공급관(7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밸브(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KR1020120053532A 2012-05-21 2012-05-21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KR10135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32A KR101354192B1 (ko) 2012-05-21 2012-05-21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32A KR101354192B1 (ko) 2012-05-21 2012-05-21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57A KR20130129557A (ko) 2013-11-29
KR101354192B1 true KR101354192B1 (ko) 2014-01-23

Family

ID=4985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32A KR101354192B1 (ko) 2012-05-21 2012-05-21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1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61U (ko) * 1996-07-23 1998-04-30 김종진 전로 합금철 다기능 투입장치
KR19990005555U (ko) * 1997-07-18 1999-02-18 김종진 합금철 투입슈트용 완충장치
KR20040092879A (ko) * 2003-04-29 2004-11-04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 부산물 처리장치
KR20120133097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용 부원료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61U (ko) * 1996-07-23 1998-04-30 김종진 전로 합금철 다기능 투입장치
KR19990005555U (ko) * 1997-07-18 1999-02-18 김종진 합금철 투입슈트용 완충장치
KR20040092879A (ko) * 2003-04-29 2004-11-04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 부산물 처리장치
KR20120133097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용 부원료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57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7861B1 (en) Apparatus for preheating and charging raw materials for electric furnace
ITUA20163986A1 (it) Metodo ed apparato per la produzione di ghisa, ghisa prodotta secondo detto metodo
CN108203752A (zh) 一种中频电炉配加料控制方法及智能化系统
KR101354192B1 (ko) 부원료 및 합금철 투입장치
KR20020073299A (ko) 구리 합금으로 구성된 주조 용탕의 출탕 장치
RU2405046C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раскисления, легирования и обработки стали
Mc Dougall Ferroalloys processing equipment
CN102337377A (zh) 钢液喂线装置和喂线方法
CN111194357A (zh) 低碳钢的改进制造
CN206219617U (zh) 炼钢炉防护装置
JP2013158824A (ja) 注湯取鍋の搬送装置
CN101665850B (zh) 海绵铁的加热熔化及渣铁分离和钢液精炼装置
RU2133280C1 (ru)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в электрическую печь с шахтой
CN202214380U (zh) 钢液喂线装置
CN106222528A (zh) 一种控制大断面球铁件的显微缩松的方法
CN105066709A (zh) 电炉自动加配料及消烟除尘减排一体化系统
Teguri et al. Manganese ore pre-reduction using a rotary kiln to manufacture super-low-phosphorus ferromanganese
KR101614902B1 (ko) 슬래그 러너 스파우트
KR101277649B1 (ko) 용강 및 슬래그 샘플러
CN105775968B (zh) 一种电梯轿顶结构及电梯轿厢
RU80456U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и
CN220771895U (zh) 一种矿热炉炉料自动上料装仓装置
CN211522245U (zh) 高铬铸铁冶炼的新型装置
HU210769B (en) Process for preventing the formation of flue gases in metallurgical processes and during the transport of molten metal from a metallurgical vessel to canting vessels and device for transporting molten metals from a metallurgical furnace to a casting vesse
CN202730160U (zh) 高炉取样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