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899B1 -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 Google Patents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899B1
KR101353899B1 KR1020120135618A KR20120135618A KR101353899B1 KR 101353899 B1 KR101353899 B1 KR 101353899B1 KR 1020120135618 A KR1020120135618 A KR 1020120135618A KR 20120135618 A KR20120135618 A KR 20120135618A KR 101353899 B1 KR101353899 B1 KR 10135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divided
storage uni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민
한영재
이창영
정현승
서승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는 제1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부, 입력 단자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1차측 권선이 분할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며, 스위칭부를 통해 스위칭된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입력단자부와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압 변환부에서 발생되는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축적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분할저장부, 전압 변환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제2 전압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HIGH FREQUENCY TRANSFORMER FOR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분할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누설자속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와인딩되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누설 인덕턴스의 원인은 누설 자속에 의한 것이다. 즉, 1차측 권선에 의해 발생한 자속은 2차측 권선과 쇄교하는 상호자속과 2차측 권선과 쇄교하지 못하고 손실되는 누설자속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와인딩되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차례 적층하여 권선됨으로써, 1차(2차)측 권선 간에 자속방향이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되어 누설 인덕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설 인덕턴스가 증가되면, 대용량 시스템에서는 적용할 수 없고 소용량 시스템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릿 캐패시터를 이용하는 DC/DC 컨버터를 대용량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경우 대용량 고주파 변압기의 높은 스트레이 인덕턴스에 의해 스프릿 캐패시터에 충전전압이 상승하므로 스프릿 캐패시터를 이용하는 DC/DC 컨버터는 소용량 시스템에만 적용가능 하였다.
특허공개 10-2010-012324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분할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누설자속을 현저하게 줄여 대용량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는 제1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부, 입력 단자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1차측 권선이 분할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며, 스위칭부를 통해 스위칭된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입력단자부와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압 변환부에서 발생되는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축적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분할저장부, 전압 변환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제2 전압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분할된 1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과 2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이 서로 상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1차측 권선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할저장부는 제1 분할저장부와 제2 분할저장부를 포함하고, 제1 분할저장부와 제2 분할저장부는 직렬로 연결되고, 전압 변환부는 제1 분할저장부와 제2 분할저장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는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분할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누설자속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는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분할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누설자속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대용량의 시스템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는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분할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대용량의 시스템이 간소화됨으로써, 철도차량의 보조전원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고주파 스위칭에 의한 시스템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와인딩되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대한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와인딩되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대한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에 와인딩되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100)는 입력 단자부(110), 스위칭부(130), 전압 변환부(140), 분할저장부(120), 정류부(150), 필터링부(160) 및 출력 단자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 단자부(110, Input DC Power)는 제1 전압이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 단자부(110)는 외부 또는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전압발생장치(미도시)로부터 제1 전압을 공급받는다.
스위칭부(130)는 입력 단자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압을 스위칭한다. 이러한 스위칭부(130)는 제1 스위칭부(130,Q1)와 제2 스위칭부(130,Q2)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제1 전압이 공급되면, 제1 스위칭부(130,Q1)와 제2 스위칭부(130,Q2) 중 적어도 하나가 턴 온되어 제1 전압을 후술할 전압 변환부(140)에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칭부(130,Q1) 및 제2 스위칭부(130,Q2)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변환부(140,T1)는 1차측 권선이 분할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며, 스위칭부(130)를 통해 스위칭된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한다. 즉, 전압 변환부(140,T1)는 철심에 1차측 권선을 와인딩하되, 한번에 전부 와인딩을 하지 않고 1차측 권선의 일부를 남겨둔 후 2차측 권선을 와인딩한다. 이후 2차측 권선에 대한 와인딩이 끝나면 와인딩을 하지 않았던 1차측 권선을 와인딩된 2차측 권선위로 다시 와인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변환부(140,T1)는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1차측 권선 순으로 와인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압 변환부(140,T1)가 1차측 권선을 분할하고 분할된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을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분할된 1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과 2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이 서로 상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되지 않아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1차측 권선의 두께는 실적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2차측 권선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와인딩된 1차측 권선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반되는 분할된 1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과 2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 간의 균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자속이 발생되지 않아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분할저장부(120)는 입력단자부와 스위칭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전압 변환부(140)에서 발생되는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축적된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분할저장부(120)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저장부(120)는 제1 분할저장부(120,C1)와 제2 분할저장부(120,C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분할저장부(120,C1)와 제2 분할저장부(120,C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 변환부(140)는 제1 분할저장부(120,C1)와 제2 분할저장부(120,C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압 변환부(140)는 제1 분할저장부(120,C1)의 타단과 제2 분할저장부(120,C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류부(150)는 전압 변환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압을 정류한다. 이러한 정류부(150)는 제1 다이오드(D1) 내지 제4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160,C3)는 정류부(150)로부터 정류된 제2 전압을 필터링한다. 이러한 필터링부(160,C3)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류부(150)와 필터링부(160)가 형성됨으로써, 전압 변환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압의 노이즈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출력 단자부(170)는 필터링부(160,C3)로부터 필터링된 제2 전압을 출력한다. 즉, 출력 단자부(170)는 정류부(150)와 필터링부(160,C3)를 경류하여 노이즈가 현저하게 절감된 제2 전압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100)에서 전압 변환부(140,T1)의 1차측 제1 입력단자는 제1 스위칭부(130,Q1)와 제2 스위칭부(130,Q2)의 사이에 전기적에 연결되고, 전압 변환부(140,T1)의 1차측 제2 입력단자는 제1 분할저장부(120,C1)와 제2 분할저장부(120,C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 변환부(140,T1)의 2차측 제1 출력단자는 제1 다이오드(D1)와 제2 다이오드(D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 변환부(140,T1)의 2차측 제2 출력단자는 제3 다이오드(D3)와 제4 다이오드(D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100)는 분할저장부(120)와 전압 변환부(140)에서 발생하는 누설 인덕턴스 간의 공진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진 발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이 적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8333867-pat00001
상기한 수학식 1에 따라, 전압 변환부(140)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서는 f의 증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압 변환부(140)의 누설 인덕턴스(L) 또는 분할저장부(120)의 C값이 최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진주파수가 특정 주파수로 결정되면, 전압 변환부(140)의 누설 인덕턴스가 큰 경우 분할저장부(120)의 C값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반대로, 전압 변환부(140)의 누설 인덕턴스가 작은 경우 분할저장부(120)의 C값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입력 단자부 120: 분할저장부
130: 스위칭부 140: 전압 변환부
150: 정류부 160: 필터링부
170: 출력 단자부

Claims (4)

  1. 제1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부;
    상기 입력 단자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1차측 권선이 분할되고, 분할된 상기 1차측 권선 사이에 2차측 권선이 배치되며,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스위칭된 상기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입력단자부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발생되는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축적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분할저장부;
    상기 전압 변환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2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상기 제2 전압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상기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2. 제1 항에 있어서,
    분할된 상기 1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과 상기 2차측 권선에 의한 자속방향이 서로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3. 제1 항에 있어서,
    분할된 상기 1차측 권선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저장부는 제1 분할저장부와 제2 분할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저장부와 상기 제2 분할저장부는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전압 변환부는 상기 제1 분할저장부와 상기 제2 분할저장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KR1020120135618A 2012-11-27 2012-11-27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KR10135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618A KR101353899B1 (ko) 2012-11-27 2012-11-27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618A KR101353899B1 (ko) 2012-11-27 2012-11-27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899B1 true KR101353899B1 (ko) 2014-01-23

Family

ID=5014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618A KR101353899B1 (ko) 2012-11-27 2012-11-27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118A (ko) * 2014-10-30 2016-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누설자속 저감을 위한 고주파 변압기
KR20240025198A (ko) 2022-08-18 2024-02-27 용인전자주식회사 영전압 스위칭방식 컨버터 일체형 변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753A (ja) 1999-09-22 2001-04-06 Fuji Electric Co Ltd 多重インバータ用変圧器
KR20090102288A (ko) * 2008-03-26 2009-09-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압기 및 이 변압기를 사용하는 전원장치
KR101038341B1 (ko) 2011-03-04 2011-06-01 주식회사 아이티파워 노이즈 표시부 및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한 노이즈 차단 변압기
KR20110094329A (ko) * 2009-02-13 2011-08-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변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753A (ja) 1999-09-22 2001-04-06 Fuji Electric Co Ltd 多重インバータ用変圧器
KR20090102288A (ko) * 2008-03-26 2009-09-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압기 및 이 변압기를 사용하는 전원장치
KR20110094329A (ko) * 2009-02-13 2011-08-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변압기
KR101038341B1 (ko) 2011-03-04 2011-06-01 주식회사 아이티파워 노이즈 표시부 및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한 노이즈 차단 변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118A (ko) * 2014-10-30 2016-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누설자속 저감을 위한 고주파 변압기
KR101626151B1 (ko) * 2014-10-30 2016-06-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누설자속 저감을 위한 고주파 변압기
KR20240025198A (ko) 2022-08-18 2024-02-27 용인전자주식회사 영전압 스위칭방식 컨버터 일체형 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490B2 (ja) 複数供給オンボード電源を備えた電力インバータ
US8374000B2 (en) Interleaved flyback converter device with leakage energy recycling
JPWO2009011091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464478B1 (ko) 다중 입력 llc 공진형 dc―dc 컨버터
JP2014007914A (ja) Dc−dcコンバータ
US20140233264A1 (en) Single stage PFC power supply
US9369060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ackage
JP2009247121A (ja) 電力変換装置
Shin et al. Analysis of LLC resonant converter with current-doubler rectification circuit
US11677327B2 (en) Transformer converter with center tap inductance
KR101918062B1 (ko) 전력 변환 장치
US8975884B2 (en) Two-phase transformer-coupled boost converter
KR101353899B1 (ko) Dc/dc 컨버터용 고주파 변압기
US20110199802A1 (en) Single ended power converters operating over 50% duty cycle
CN104247242B (zh) 充电设备的输出级
JP2019176611A (ja) Llc共振コンバーター
US10014765B2 (en) Single stage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KR20170064076A (ko) 자속 공유형 대전압용 전원 공급 장치
JP388280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4216522A (ja) 変圧器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WO2017000668A1 (zh) 一种辅助电源的供电电路及方法
KR101229265B1 (ko)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US20150222188A1 (en) High frequency transformer for reducing leakage flux
KR101442553B1 (ko) 전원회로
KR101626151B1 (ko) 누설자속 저감을 위한 고주파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