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65B1 -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 Google Patents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65B1
KR101229265B1 KR1020110137929A KR20110137929A KR101229265B1 KR 101229265 B1 KR101229265 B1 KR 101229265B1 KR 1020110137929 A KR1020110137929 A KR 1020110137929A KR 20110137929 A KR20110137929 A KR 20110137929A KR 101229265 B1 KR101229265 B1 KR 10122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voltage
boost
integrated
integrated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병욱
조시훈
조성훈
김병수
정세교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13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코어를 사용하는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 입력부;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 싱글 코어에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가 집적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전압을 고주파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집적 변압기; 및 상기 집적 변압기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 전압을 정류 및 체배하여 고승압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전압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INTEGRATED TRANSFORMER AND HIGH STEP-UP DC/DC CONVER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글(single) 코어를 사용하는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와 같이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적 장치는 낮은 배터리 전압을 승압하기 위하여 높은 승압비를 가진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가 필요하다.
이러한 고승압 DC/DC컨버터의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의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변환하는 고효율의 승압회로 기술 및 상기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 갈바닉(Galvanic) 절연과 같은 절연 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승압 및 갈바닉 절연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는 변압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편 전류형 푸시풀(Push-pull) 컨버터는 상기 승압 및 갈바닉 절연 기능의 구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컨버터로서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 입력단의 MOSFET 스위치 및 출력단의 다이오드 정류회로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전류형 푸시풀(Push-pull) 컨버터로 직류-직류 컨버터를 구성할 경우에는 높은 승압비를 얻기 위해 큰 듀티비(Duty rate) 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효율이 낮아지며, 자기소자의 구성에 있어서 별도의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직류-직류 컨버터의 사이즈가 커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승압 및 갈바닉 절연 기능을 갖는 고효율의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싱글 코어에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가 집적하여 변압기 사이즈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용 집적 변압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는 직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압 입력부;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 싱글 코어에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가 집적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전압을 고주파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집적 변압기; 및 상기 집적 변압기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 전압을 정류 및 체배하여 고승압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전압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입력부는 직류전원 및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고,상기 스위칭부는 집적 변압기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부는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제1,제2스위칭신호에 따라 집적 변압기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교류전압을 제어하는 제1,제2MOSFET스위치; 상기 제1,제2MOSFET스위치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제2MOSFET스위치의 온/오프시 발생하는 서지전압을 제한하는 제1,제2클램프 다이오드; 및 상기 클램프 제1,제2 클램프 다이오드에 의해 제한된 서지 전압을 일시 충전하는 클래프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집적 변압기는 센터 레그 및 좌우측 레그를 갖는 소정 형상 싱글 코어; 상기 코어의 센터 레그에 집적된 변압기; 및 상기 좌우측 레그의 일측에 집적된 제1,제2 승압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레그에는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이 1/2씩 감겨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소정 형상은 E-E형으로,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은 변압기의 1차코일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레그에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레그의 중앙부에는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소정 인덕턴스값을 얻기 위해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적 변압기는 스위칭부를 통해 입력된 제1,제2스위칭 신호가 서로 오버랩되는 시간동안에는 상기 직류전압에 발생되는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제2스위칭 신호가 오버랩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제2인덕터 전류를 변압기의 1차코일을 통해 2차코일측으로 전달한다.
상기 승압 전압 출력부는 집적 변압기의 제1,제2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집적 변압기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 전압을 정류 및 승압하는 2개의 전압 체배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당설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 변압기는, 센터 레그 및 그 센터 레그와 연결된 좌,우측 레그가 소정 형상 싱글 코어; 싱글 코어의 센터 레그에 집적된 변압기; 및 상기 좌우측 레그의 일측에 집적된 제1,제2 승압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레그에는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코일이 감겨 있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레그에는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이 1/2씩 감겨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싱글 코어는 E-E형으로,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은 변압기의 1차코일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레그에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레그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소정 인덕턴스값을 얻기 위해 공극이 형성된다.
상기 집적 변압기는 변압기의 1차 코일 단자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는 입력 전압에 발생된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1차코일 단자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는 상기 발생된 제1,제2인덕터 전류를 변압기의 1차코일을 통해 2차코일측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는 하나의 코어에 승압 인버터와 변압기가 집적된 집적 변압기를 사용하고, 상기 집적 변압기의 출력단에 직렬로 구성된 두 개의 전압 체배기를 연결하여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를 구현함으로써 높은 승압 비를 얻을 수 있고, 변압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코어의 사용량을 줄여 컨버터의 가격을 절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가 포함된 집적 변압기의 구조도.
도 3은 고 승압 동작시 각 부의 전류 및 전압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 승압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는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가 하나의 코어에 집적되어, 직류전압(Vi)을 고주파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집적 변압기(100)와, 상기 집적 변압기(100)에 직류전압(Vi)을 제공하는 전압 입력부(200)와, 상기 집적 변압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부(300)와, 상기 집적 변압기(100)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 전압을 정류 및 승압하여 출력전압 (Vo)을 생성하는 승압 전압 출력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집적 변압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센터 레그와 좌우측 레그를 갖는 소정 형상(2개의 E자가 겹쳐진 형태, E-E형)의 싱글(Single) 코어(30)와, 상기 코어(30)의 센터 레그에 집적된 변압기(31)와 상기 좌우측 레그의 일측에 집적된 인덕터(32),(33)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 레그에는 변압기(31)의 1차 코일(권선)과 2차코일이 감겨 있고, 좌측 및 우측 레그에는 승압 인덕터(32),(33)의 코일(권선)이 1/2씩 감겨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압 인덕터(32),(33)의 코일은 변압기(31)의 1차코일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레그에 배치(집적)된다. 상기 코일 배치에 의해 승압 인덕터 (32),(33)의 두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센터 레그에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변압기(31)의 1차코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싱글 코어(30)의 좌측 및 우측 레그의 중앙부에는 승압 인덕터(32),(33)의 적절한 인덕턴스값을 얻기 위해 공극(34)이 형성된다.
상기 전압 입력부(200)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직류 전원도 가능하다.
상기 스위칭부(300)는 집적 변압기(100)의 입력단자(Vp1,Vp2)에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듀티비(0.5이상)를 갖는 스위칭신호(S1,S2)에 따라 집적 변압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교류전압을 제어하는 MOSFET스위치(M1,M2)와, 상기 MOSFET스위치(M1,M2)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MOSFET스위치(M1,M2)의 온/오프시 발생하는 서지전압(e.g.,스파크)을 각각 제한하는 클램프 다이오드(DC1,DC2)와, 상기 클램프 다이오드(DC1,DC2)에 의해 제한된 서지 전압을 일시 충전하는 클램프 커패시터(C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MOSFET스위치는 MOSFET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MOSFET스위치(M1,M2)에는 역 병렬 다이오드(DM1,DM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 캐페시터(CC)에는 충전 에너지를 소모하는 클램프 저항(RC)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위칭신호(S1,S2)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신호이지만, 소정 구간이 오버랩되도록 듀티비가 조정되어 입력된다.
상기 승압 전압 출력부(400)는 집적 변압기(100)의 출력단자(Vs1, Vs2)에 연결되어 상기 집적 변압기(100)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 전압을 정류 및 승압하는 2개의 전압 체배기(D1, C1, D2, C2 및 D3, C3, D4, C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전압 체배기에 의해 출력전압 (Vo)은 통상적인 정류회로와 비교하여 4배의 승압효과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에서 승압비는 권선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낮은 입력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기 위해서는 변압기의 권선비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상기 권선비를 증가시키는 경우 효율이 저하되고 변압기의 동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집적 변압기의 출력단자에 전압 체배기능을 갖는 승압 전압 출력부(400)를 연결하여 높은 승압비를 얻고자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 승압 직류-직류 컨버터의 동작을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승압 동작시 각 부의 전류 및 전압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의 승압 동작시 출력전압(Vo)은 MOSFET스위치(M1, M2)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스위칭신호(S1,S2)의 듀티비(Duty ratio)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스위칭신호(S1,S2)의 듀티비는 통상 0.5이상이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MOSFET스위치(M1, M2)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S1, S2)는 서로 오버랩 되는 구간(모두 하이레벨인 구간)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스위칭 신호(S1, S2)가 오버랩되는 구간 즉, 두 MOSFET스위치(M1, M2)가 온되는 구간에서는 승압 인덕터(32),(33)의 전류가 증가하게 되며 이때 변압기의 1차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은 서로 상쇄되어 2차코일측으로 전류가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두 스위칭 신호(S1, S2)가 오버랩되지 않는 구간 즉, 어느 하나의 MOS FET스위치(M1 또는 M2)만이 온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증가된 전류가 변압기(31)의 1차코일을 통해 2차코일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승압 인덕터(32),(33)의 전류가 변압기(31)의 1차코일에 흐르면 2차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어, 상기 2차코일에는 승압비에 반비례하는 크기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 시간(t1)동안 하이레벨의 스위칭 신호(S1, S2)가 MOSFET스위치(M1, M2)에 인가되면 MOSFET스위치(M1, M2)는 모두 턴온된다.이때, 상기 t1은 다음의 수학식1과 같다.
[수학식1]
t1 = [(2D-1)/2] ×Ts
상기 D는 듀티 비(duty ratio)이고 Ts는 스위칭 신호(S)의 펄스 주기이다.
MOSFET스위치(M1, M2)가 턴온되면 전압 입력부(200)에서 제공된 직류전압(Vi)이 집적 변압기(100)의 인덕터(32),(33)에 인가되어 전류(iL)가 발생된다. 상기 발생된 전류(iL)은 인덕터(32),(33)에서 자속을 발생시키지만 해당 자속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인덕터(32),(33)의 전류(iL)에 의해 생성되었기 때문에 센터 레그에서 상쇄된다. 따라서, 상기 인덕터(32),(33)는 안정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t1동안 승압 인덕터(32),(33)에 흐르는 전류(iL)는 증가하여 에너지를 저장한다.
그런데, 상기 t1동안 집적 변압기(100)의 입력단자(Vp1, Vp2)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발생된 인덕터 전류(iL)는 변압기(100)의 1차코일을 통하여 2차코일측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증가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MOSFET스위치(M2)가 턴오프되면, 시간(t2)동안 집적 변압기(100)의 입력단자(Vp1, Vp2)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인덕터(32),(33)에 흐르는 전류(iL)는 집적 변압기(100)의 1차코일을 통해 2차코일측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인덕터 전류(iL)는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때, 상기 MOSFET스위치(M1, M2)의 턴오프되는 시점에서 서지전압(스파크 전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해당 서지전압은 클램프 다이오드(DC1, DC2)에서 각각 억제된 후 클램프 커패시터(CC)에 저장되기 때문에 서지전압이 직접 전압기(100)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류는 집적 변압기(100)의 출력단자(Vs1, Vs2)에 고주파 교류 전압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상기 상기 t2는 다음의 수학식2와 같다.
[수학식2]
t2 = (1-D) ×Ts
상기 집적 변압기(100)의 출력단자(Vs1, Vs2)에 발생된 고주파 교류 전압에 의해 승압 전압 출력부(400)내의 다이오드(D1, D3)에 다이오드 전류(iD1, iD3)가 흐르게 되고, 상기 다이오드 전류(iD1, iD3)가 출력 커패시터(C1, C3)에 충전되어 출력전압(Vo)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iD1은 iD3와 동일하다.
이후 다시 상기 MOSFET스위치(M2)가 턴온되면 두개의 MOSFET스위치(M2)가 모두 턴온상태이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같이 t1시간동안 인덕터(32),(33)에 흐르는 전류(iL)는 증가하지만, 변압기(100)의 1차코일을 통하여 2차코일측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다른 MOSFET스위치(M1)가 턴오프되면, 시간(t2)동안 집적 변압기(100)의 입력단자(Vp1, Vp2)(1차 코일단자)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인덕터(32),(33)에 흐르는 전류(iL)는 집적 변압기(100)의 1차코일을 통해 2차코일측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인덕터 전류(iL)는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상기 전달된 전류는 집적 변압기(100)의 출력단자(Vs1, Vs2)에 고주파 교류 전압의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집적 변압기(100)의 출력단자(Vs1, Vs2)에 발생된 고주파 교류 전압에 의해 승압 전압 출력부(400)내의 다이오드(D2, D4)에 다이오드 전류(iD2, iD4)가 흐르게 되고, 상기 다이오드 전류(iD2, iD4)가 출력 커패시터(C2, C4)에 충전되어 출력전압(Vo)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iD2는 iD4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출력 커패시터(C1, C2, C3, C4)에 전압이 충전되어 최종적으로 승압된 출력전압(Vo)이 발생된다. 즉, 상기 동작에 의해 입력 전압(Vi) 및 출력 전압(Vo)사이에 승압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전압 전달비는 다음 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1101160612-pat00001
................... 식(3)
여기서 D는 스위칭신호(S1, S2)의 듀티비이며, n은 변압기의 권선비이다.
한편 상기 MOSFET스위치(M2)가 턴오프되는 경우, 2차코일측에 전달된 전류는 다이오드(D1, D3)를 통해 커패시터(C1, C3)를 충전하게 되며, 상기 MOSFET스위치(M1)가 턴오프되는 경우 2차코일측으로 전달된 전류는 다이오드(D2, D4)를 통해 커패시터(C2, C4)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커패시터(C1~C4)는 서로 직렬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변압기 출력전압(VS1, VS2)에 비해 4배의 승압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싱글 코어의 형상을 E-E형상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싱글 코어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싱글 코어에 승압 인버터와 변압기가 집적된 집적 변압기를 사용하고, 상기 집적 변압기의 출력단에 직렬로 구성된 두 개의 전압 체배기를 연결하여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를 구현함으로써 높은 승압 비를 얻을 수 있고, 변압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코어의 사용량을 줄여 컨버터의 가격을 절감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 보다는 특허등록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집적 변압기 200 : 전압 입력부
300 : 스위칭부 400 : 승압전압 출력부
40 : 코어 31 : 변압기
32, 33 : 인덕터 34 : 공극

Claims (13)

  1.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 입력부;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
    싱글 코어에 승압 인덕터와 변압기가 집적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전압을 고주파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집적 변압기; 및
    상기 집적 변압기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 전압을 정류 및 체배하여 고승압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적 변압기는
    센터 레그 및 좌우측 레그를 갖는 소정 형상의 싱글 코어;
    상기 싱글 코어의 센터 레그에 집적된 변압기; 및
    상기 싱글 코어의 좌우측 레그의 일측에 집적된 제1,제2 승압 인덕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센터 레그에는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코일이 감겨 있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레그에는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이 1/2씩 감겨 직렬로 연결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입력부는
    직류전원 또는 배터리로 구성되며, 상기 듀티비는 0.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집적 변압기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제1,제2스위칭신호에 따라 집적 변압기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교류전압을 제어하는 제1,제2MOSFET스위치;
    상기 제1,제2MOSFET스위치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제2MOSFET스위치의 온/오프시 발생하는 서지전압을 제한하는 제1,제2클램프 다이오드; 및
    상기 클램프 제1,제2 클램프 다이오드에 의해 제한된 서지 전압을 일시 충전하는 클래프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MOSFET스위치는
    MOSFET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2MOSFET스위치에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 캐페시터에는 충전 에너지를 소모하는 클램프 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형상은
    E-E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은
    변압기의 1차코일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레그에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레그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소정 인덕턴스값을 얻기 위해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변압기는
    스위칭부를 통해 입력된 제1,제2스위칭 신호가 서로 오버랩되는 시간동안에는 상기 직류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제2스위칭 신호가 오버랩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상기 증가된 제1,제2인덕터 전류를 변압기의 1차코일을 통해 2차코일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전압 출력부는
    집적 변압기의 제1,제2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집적 변압기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 전압을 정류 및 승압하는 2개의 전압 체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10. 센터 레그 및 좌,우측 레그를 갖는 소정 형상 싱글 코어;
    상기 싱글 코어의 센터 레그에 집적된 변압기; 및
    상기 싱글 코어의 좌우측 레그의 일측에 집적된 제1,제2 승압 인덕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터 레그에는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코일이 감겨 있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레그에는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이 1/2씩 감겨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변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코어는
    E-E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변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코일은
    변압기의 1차코일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레그에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레그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소정 인덕턴스값을 얻기 위해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변압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변압기는
    스위칭부를 통해 입력된 제1,제2스위칭 신호가 서로 오버랩되는 시간동안에는 상기 직류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제1,제2승압 인덕터의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제2스위칭 신호가 오버랩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상기 증가된 제1,제2인덕터 전류를 변압기의 1차코일을 통해 2차코일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변압기.

KR1020110137929A 2011-12-20 2011-12-20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KR10122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29A KR101229265B1 (ko) 2011-12-20 2011-12-20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29A KR101229265B1 (ko) 2011-12-20 2011-12-20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265B1 true KR101229265B1 (ko) 2013-02-04

Family

ID=4789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929A KR101229265B1 (ko) 2011-12-20 2011-12-20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3611A (zh) * 2017-09-28 2018-01-19 周安平 交流、直流自动切换led灯
US10256737B2 (en) 2016-08-08 2019-04-09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magnetic apparatus and DC-DC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830A (en) 1992-04-20 1993-12-07 At&T Bell Laboratories Drive circuit for power switches of a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US7034647B2 (en) 2001-10-12 2006-04-25 Northeastern University Integrated magnetics for a DC-DC converter with flexible output inductor
KR100983673B1 (ko) * 2007-09-27 2010-09-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승압형 dc-dc 컨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830A (en) 1992-04-20 1993-12-07 At&T Bell Laboratories Drive circuit for power switches of a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US7034647B2 (en) 2001-10-12 2006-04-25 Northeastern University Integrated magnetics for a DC-DC converter with flexible output inductor
KR100983673B1 (ko) * 2007-09-27 2010-09-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승압형 dc-dc 컨버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논문(제목: Single-Stage Push-Pull Boost Converter With Integrated Magnetics and Input Current Shaping Technique), 논문발표 2006년 9월 *
IEEE 논문(제목: Single-Stage Push-Pull Boost Converter With Integrated Magnetics and Input Current Shaping Technique), 논문발표 2006년 9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6737B2 (en) 2016-08-08 2019-04-09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magnetic apparatus and DC-DC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CN107613611A (zh) * 2017-09-28 2018-01-19 周安平 交流、直流自动切换led灯
CN107613611B (zh) * 2017-09-28 2023-10-27 周安平 交流、直流自动切换led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eng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a single-switch high step-up coupled-inductor boost converter
JP3656865B2 (ja) コンバータ
US7289338B2 (en) Input to output isolated DC-DC converter
US740595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nd voltage converting method
Park et al. Nonisolated ZVZCS resonant PWM DC–DC converter for high step-up and high-power applications
EP2670037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101286509B1 (ko) 직렬 공진 컨버터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기
US20100277955A1 (en) Boost Device For Voltage Boosting
JP200516021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e et al. A new asymmetrical half-bridge converter with zero DC-offset current in transformer
WO2020033325A1 (en) Shielded electrical transformer
JP2012186984A (ja) 高電圧インバータ装置
US9509221B2 (en) Forward boost power converters with tapped transformers and related methods
Khan et al. Elimination of filter inductor in switching cell AC–AC converters using magnetic integration
CN103715903A (zh) 正向升压型功率转换器和方法
JP201211010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124231B2 (ja) 直流変換装置
CN111656661A (zh) 恒频dc / dc功率转换器
WO2005015725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407910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1632052B2 (en) Dual active bridge with distributed inductance
Choi et al. Increase in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using 1: 1 Transformer and pulse-frequency modulation control
KR102211454B1 (ko) 절연형 dc-d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US11356029B2 (en) Rectifying circuit and switched-mode power supply incorporating rectifying circuit
KR101229265B1 (ko) 집적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고승압 직류-직류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