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584B1 -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584B1
KR101353584B1 KR1020120074024A KR20120074024A KR101353584B1 KR 101353584 B1 KR101353584 B1 KR 101353584B1 KR 1020120074024 A KR1020120074024 A KR 1020120074024A KR 20120074024 A KR20120074024 A KR 20120074024A KR 101353584 B1 KR101353584 B1 KR 101353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gas
downstream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707A (ko
Inventor
허혁재
Original Assignee
허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혁재 filed Critical 허혁재
Priority to KR102012007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5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6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5/16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4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6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5/16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27B2005/161Gas inflow or out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27D2007/023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등의 소성 공정에 이용되는 연속식 열처리로 및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는 가스가 유동하는 내부공간과 가스 공급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머플 내부에,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급기박스들과, 상기 급기박스와 연통되며, 개방된 상류 측 일단을 통해서 공급된 가스를 상기 급기박스의 내부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급기관과, 가스가 유입되는 상류 측 일단과,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하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급기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급기관의 상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급기관 또는 다른 제2급기관의 하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열처리로는 머플로부터 급기장치와 배기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하기 위해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급기장치와 배기장치가 오염된 경우에 쉽게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급기장치와 배기장치 중 일부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일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CONTINUOUS FURNACE AND DETACHALBE GAS SUPPLY & EXHAUST UNIT FOR CONTINUOUS FURNACE}
본 발명은, 예컨대,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등의 소성 공정에 이용되는 연속식 열처리로 및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처리로는 비연속식 열처리로(Batch Type Furnace)와 연속식 열처리로(Continuous Type Furnace)로 나눌 수 있다. 비연속식 열처리로는 사이클 단위로 제품을 적재 가동하는 방식으로서 열처리가 완전히 끝날 때까지 제품이 로 내부에 머무르는 방식을 말한다.
연속식 열처리로란 제품의 열처리조건, 즉 온도 프로파일, 산소 농도 등을 지정해놓고 제품이 직접 이동하며 정해진 조건에 따라 열처리 되는 방식으로 비연속식 열처리로에 비해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연속식 열처리로는 피소성물의 가열방식에 따라서 연소불꽃이 직접 닿는 직접가열식과 금속 재질의 터널인 머플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머플식이 있다. 직접가열식은 열의 손실이 적다는 장점은 있으나, 피소성물을 일정하게 가열하지 못하고, 피소성물을 더럽히고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칩인덕터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생산하는 공정에서는 머플식 열처리로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연속식 열처리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머플식 열처리로는 피소성물(W)이 이송되는 머플(1)과, 상기 머플(1)의 주위를 감싸서 가열하는 다수의 발열체(2)와, 상기 머플(1)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급기 장치(3)와, 상기 피소성물(W)로부터 발생하는 바인더 분해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장치(4)와 상기 피소송물(W)을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5)와 상기 머플(1)과 발열체(2)를 고정하는 로체(6)를 갖추고 있다.
머플(1)은 피소성물(W)을 일정하게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며, 소성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머플(1)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크도록 급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하면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원하는 소성 분위기를 얻을 수 있다.
발열체(2)는 전후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온도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어 있다. 발열체(2)는 열처리로의 내부를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발열체(2)가 모여 각각 예비 소성(탈바인더)구간, 소성 구간 및 서냉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급기 장치(3)는 머플(1)내부의 압력이 양압이 되도록 유지시켜주며, 원하는 소성 분위기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가스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급기 장치(3)는 머플(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배기장치(4)는 피소성물(W)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흡입하는 가스 흡입 부재(7)와 가스 흡입 부재(7)와 연결된 배기관(8)과 흡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9)를 포함한다. 급기 장치(3)에서 공급되는 가스량이 배기장치(4)에서 배출되는 가스량에 비해 많아야 머플(1)내에 양압이 유지될 수 있다. 과량의 가스는 배기구(9)가 아니라 머플(1)의 입구와 출구로 배출된다.
유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바인더를 함유한 피소성물(W)을 소성하는 경우, 300~400℃ 탈바인더 영역에서 바인더가 분해되면서 가스가 발생한다. 바인더 분해 가스란 소성 공정에서 피소성물(W)로부터 발생하는 유기물 또는 이들의 연소나 분해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스를 말하며, 산소와 결합하여 강한 환원분위기를 만들어 피소성물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탈바인더 구간에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인더 분해가스는 머플(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 흡입 부재(7)를 통해서 흡입된 후, 배기관(8)를 통해서 배기구(9)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배기관(8)과 배기구(9)의 온도가 바인더가 분해되는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바인더 분해가스가 응고되어 배기관(8)과 배기구(9)의 내벽에 부착된다. 바인더 분해가스가 응고되어 부착되면 배기관(8)과 배기구(9)를 통해서 배출되는 분해가스량이 감소하게 되고, 배출되지 못한 바인더 분해가스는 열처리로의 소성 영역으로 이동하여 소성 분위기를 강한 환원분위기로 변화시켜 피소성물(W)의 특성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배기구(9)와 배기관(8)을 교체하거나, 배기구(9)의 내벽을 청소하거나, 열처리로의 온도를 실제 작업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운전함으로써 배기관(8)과 배기구(9)의 내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배기구(9)와 배기관(8)을 교체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열처리로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기관(8)은 청소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열처리로의 온도를 높이더라고 이미 응고된 오염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037990호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스흡입 부재와 배기관을 머플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속식 열처리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연속식 열처리로는 연속식 열처리로의 머플에서 분리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에 가스흡입 부재와 배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배기관은 연속식 열처리로의 배기구와 연결된다.
등록특허 제10-1037990호
상술한 연속식 열처리로는 가스흡입 부재와 배기관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보통 연속식 열처리로의 길이가 10m 정도인 것을 고려할 때, 가스흡입 부재와 배기관이 설치된 슬라이드부의 길이가 7~8m 정도로 상당히 길기 때문에 슬라이드부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슬라이드부의 무게가 매우 무거우며, 슬라이드부가 자중에 의해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드부를 계속 받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를 당겨야 한다. 또한, 슬라이드부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연속식 열처리로가 설치된 공간의 앞쪽에 10m 정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가스흡입 부재와 배기관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에는 슬라이드부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할 수 있는 급 ·배기장치를 구비한 연속식 열처리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리할 수 있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는 가스가 유동하는 내부공간과 가스 공급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머플 내부에,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급기박스들과, 상기 급기박스와 연통되며, 개방된 상류 측 일단을 통해서 공급된 가스를 상기 급기박스의 내부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급기관과, 가스가 유입되는 상류 측 일단과,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하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급기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급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급기관 또는 다른 제2급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연속식 열처리로의 제1급기관은 상기 급기박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급기박스의 내부공간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급기관은 상기 급기박스의 제1면과 제2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급기박스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급기박스의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 또는 복수의 관통슬롯일 수 있다.
상술한 연속식 열처리로는 상기 급기박스와 결합되며, 배기 가스 흡입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배기박스와, 상기 배기박스와 연결되어, 흡입된 배기 가스를 수송하는 복수의 제1배기관과,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하류 측 일단과, 유입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상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공급받아 상류 측으로 전달하는 제2배기관과, 상기 제2배기관을 통해 전달된 배기 가스를 상기 연속식 열처리로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배기관과 연결되며, 상기 머플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배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배기관 또는 다른 제2배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기박스는 상기 급기박스의 하류 측 면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박스의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 또는 복수의 관통슬롯일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배기관과 하류 측 제1배기관 또는 상기 제2배기관과 하류 측 다른 제2배기관은 분할 핀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는 가스가 유동하는 내부공간과 가스 공급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머플 내부에,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급기박스들과, 상기 급기박스와 연통되며, 개방된 상류 측 일단을 통해서 공급된 가스를 상기 급기박스 내부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급기관과, 가스가 유입되는 상류 측 일단과,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하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급기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급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급기관 또는 다른 제2급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술한 급·배기장치는 상기 급기박스와 결합되며, 배기 가스 흡입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배기박스와, 상기 배기박스와 연결되어, 흡입된 배기 가스를 수송하는 복수의 제1배기관과,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하류 측 일단과, 유입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상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공급받아 상류 측으로 전달하는 제2배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배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배기관 또는 다른 제2배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열처리로는 머플로부터 급기장치와 배기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하기 위해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급기장치와 배기장치가 오염된 경우에 쉽게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급기장치와 배기장치 중 일부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일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속식 열처리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배기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급·배기 장치의 개략적인 밑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급·배기 장치의 일부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급·배기 장치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의 일실시예는 종래의 연속식 열처리로 마찬가지로 피소성물(W)이 이송되는 머플(10)과, 머플(10)을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체(2)와, 머플(10) 내부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급기 박스(30)와, 피소성물(W)로부터 발생하는 바인더 분해 가스를 흡입하는 배기 박스(40)와 피소송물(W)을 머플(10) 입구에서 머플(10) 출구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과 상기 머플(10)과 발열체(2)를 고정하는 로체(6)를 포함하는바, 종래의 연속식 열처리로와 구조와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연속식 열처리로와 구성과 기능에 차이가 있는 급·배기 장치에 대해서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배기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급·배기 장치의 개략적인 밑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급·배기 장치의 일부의 A-A 방향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급·배기 장치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 장치는 급기박스(30), 배기박스(40), 제1급기관(50), 제2급기관(60), 제1배기관(70), 제2배기관(80)을 포함한다.
급기박스(30)는 머플(10)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급기박스(30)는 머플(10)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킷(11) 위에 배치된다. 급기박스(30)는 머플(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급기박스(30)는 세 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급기박스(30)는 머플(10)의 길이, 머플(10) 내부의 분위기에 따라서 그 갯수가 변경될 수 있다. 머플(10)의 길이가 길고, 각 구역별로 머플(10) 내부의 분위기를 달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급기박스(30)의 수가 증가한다. 외부전극 소성을 예를 들어, 머플(10)의 상류 측 탈바인더 구간에서는 외부전극 페이스트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바인더를 제거하기 위해서 산소농도가 높은 가스가 공급되어야 하며, 소성 구간에서는 외부전극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산소농도가 낮은 가스가 공급되어야 한다.
급기박스(30)는 직육면체 형태이다. 급기박스(30)는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다른 재질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저온 영역에서 사용되는 급기박스(30)는 스테인리스강(Steel Use Statinless, SUS)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고온 영역에서 사용되는 급기박스(30)는 인코넬(Inconel)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급기박스(30)의 바닥면에는 머플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급기박스(30)의 상류 및 하류 측 면에는 제1 및 제2급기관(50, 60)들이 설치되기 위한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급기박스(30)들은 측면에는 인접하는 급기박스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5)이 설치되어 있다.
배기박스(40)는 배기 가스 흡입을 위해서 머플(10) 내부에 설치된다. 급기박스(30)를 통해서 유입된 가스는 피처리물과 반응한 후 배기박스(40)를 통해서 배출된다. 배기박스(40)는 급기박스(30)의 하류 측에 결합한다. 배기박스(40)는 급기박스(30)와 마찬가지로 위치에 따라서 스테인리스강 또는 인코넬로 제작될 수 있다.
배기박스(40)는 직육면체 형태이며, 바닥면에는 배기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41)을 대신하여, 배기박스(4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의 관통슬롯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기박스(40)의 상류 및 하류 측 면에는 급기관(50, 60)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박스(40)의 윗면에는 제1배기관(70)과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급기박스(30)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관은 제1급기관(50), 제2급기관(60)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제1급기관(50)은 급기박스(30)의 내부공간에 가스를 직접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급기관의 끝부분이다. 제1급기관(50)은 급기박스(30)의 상류 측 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서 급기박스(3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급기관(50)에는 급기박스(30)의 내부공간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51)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급기관(50)을 통해서 공급된 가스는 급기박스(30)의 내부공간을 채우게 된다. 내부공간을 채운 가스는 급기박스(30)의 관통구멍(31)을 통해서 균일하게 머플(10) 내부로 공급된다.
제1급기관(50)의 하류 측 일단은 밀폐되어 있으며, 상류 측 일단은 개방되어 있다. 상류 측 일단의 내주면은 테이퍼되어 있다.
제1급기관(50)은 모든 급기박스(30)에 설치된다. 최상류측 급기박스(30-1)에 설치된 제1급기관(50-1)은 좌측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며, 최하류측 급기박스(30-3)에 설치된 제1급기관(50-3)은 우측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있다. 최하류측 급기박스(30-3)에는 제1급기관(50-3)만이 설치된다.
제2급기관(60)은 상류 측에서 유입된 가스를 하류 측에 배치된 제1급기관(5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2급기관(60)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류 측 일단의 외주면은 하류 측으로 진행할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되어 있으며, 상류 측 일단의 내주면은 상류 측으로 진행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도록 테이퍼되어 있다. 제2급기관(60)의 하류 측 일단은 제1급기관(50)의 상류 측 일단 또는 인접하는 다른 제2급기관(60)의 상류 측 일단에 끼워진다.
최하류측 급기박스(30-3)에는 제2급기관이 설치되지 않으며, 최상류측 급기박스(30-1)에는 두 개의 제2급기관(60-1)이 설치되며, 가운데 급기박스(30-2)에는 한 개의 제2급기관(60-2)이 설치된다.
최상류측 제1급기관(50-1)과 제2급기관(60-1)은 외부 급기라인과 연결된다.
급기박스(30)들이 체결수단(35)들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면, 제2급기관(60)들 사이의 연결부(65) 또는 제2급기관(60)과 제1급기관(50) 사이의 연결부(65)가 밀착되어, 연결부(65)가 밀봉된다.
제1배기관(70)은 배기박스(4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연통된다. 제1배기관(70)의 상류 측 일단의 내주면은 상류 측으로 진행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도록 테이퍼되어 있으며, 분할 핀(75)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배기관(80)은 제1배기관(7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머플(10)의 외측에 설치된 배기구(9)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배기구(9)에는 벤튜리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인젝터가 설치되어 있다. 인젠터에 의해서 배기구(9) 주의의 압력이 떨어지고, 배기가스가 배기구(9)를 향해서 흐르게 된다.
제2배기관(80)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류 측 일단의 외주면은 하류 측으로 진행할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되어 있으며, 상류 측 일단의 내주면은 상류 측으로 진행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도록 테이퍼되어 있다. 제2배기관(80)의 양단에는 분할 핀(75)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배기관(80)의 하류 측 일단은 제1배기관(70)의 상류 측 일단 또는 인접하는 다른 제2배기관(80)의 상류 측 일단에 끼워진다. 제2배기관(80)과 다른 제2배기관(80) 또는 제1배기관(70)의 결합부의 관통구멍에는 배기관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할 핀(75)이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연속식 열처리로에서 상술한 급·배기 장치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외부 급기 라인을 급기장치의 급기관(50-1, 60-1)들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배기구(9)에서 배기장치의 배기관(70-1, 80-1)들을 분리한다.
다음, 급·배기 장치를 연속식 열처리로의 입구 측으로 잡아당긴다. 급·배기 장치의 최상류측 급기박스(30-1) 및 배기박스(40-1)가 머플(10)의 외부로 노출되면, 최상류측 급기박스(30-1) 및 배기박스(40-1)와 중간 급기박스(30-2) 및 배기박스(40-2)를 결합하고 있는 체결수단(35)을 해제하고, 배기관들(80-1과 70-2, 80-1과 80-2)을 결합하고 있는 분할 핀(75)을 제거한다. 그러면 급기관(60-1과 50-2, 60-1과 60-2)들과 배기관들(80-1과 70-2, 80-1과 80-2)이 서로 분리되면서, 최상류측 급기박스(30-1) 및 배기박스(40-1)와 이들에 결합되어 있는 급기관(60-1, 50-1) 및 배기관(70-1, 80-1)들을 나머지 급·배기 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 계속해서, 급·배기 장치를 연속식 열처리로의 입구 측으로 잡아당겨서, 중간 급기박스(30-2) 및 배기박스(40-2)가 머플(10)의 외부로 노출되면, 체결수단(35)을 해제하고, 분할 핀(75)을 제거하여, 중간 급기박스(30-2) 및 배기박스(40-2)와 이들에 결합되어 있는 급기관(50-2, 60-2) 및 배기관(70-2, 80-2)들을 나머지 급·배기 장치로부터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최하류측 급기박스(30-3) 및 배기박스(40-3)와 여기에 결합되어 있는 급기관(50-3) 및 배기관(70-3)을 머플(10) 외부로 잡아당겨서 머플(10)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급·배기 장치를 연속식 열처리로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반대 과정을 통해서 급·배기 장치를 연속식 열처리로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열처리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머플 30: 급기박스
35: 체결수단 40: 배기박스
50: 제1급기관 60: 제2급기관
70: 제1배기관 75: 분할핀
80: 제2배기관

Claims (20)

  1. 로체의 내부에 머플(Muffle)이 배치되고, 이송수단에 의해 피소성물을 그 머플의 내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소성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가스가 유동하는 내부공간과 가스 공급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머플 내부에,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급기박스들과,
    상기 급기박스와 연통되며, 개방된 상류 측 일단을 통해서 공급된 가스를 상기 급기박스의 내부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급기관과,
    가스가 유입되는 상류 측 일단과,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하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급기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급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급기관 또는 다른 제2급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관은 상기 급기박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급기박스의 내부공간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기관은 상기 급기박스의 제1면과 제2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급기박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테이퍼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급기박스들을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박스의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 또는 복수의 관통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박스와 결합되며, 배기 가스 흡입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배기박스와,
    상기 배기박스와 연결되어, 흡입된 배기 가스를 수송하는 복수의 제1배기관과,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하류 측 일단과, 유입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상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공급받아 상류 측으로 전달하는 제2배기관과,
    상기 제2배기관을 통해 전달된 배기 가스를 상기 연속식 열처리로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배기관과 연결되며, 상기 머플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배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배기관 또는 다른 제2배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박스는 상기 급기박스의 하류 측 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박스의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 또는 복수의 관통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
  10. 제7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배기관과 하류 측 제1배기관 또는 상기 제2배기관과 하류 측 다른 제2배기관은 분할 핀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
  11. 연속식 열처리로의 머플에 가스를 공급하고, 배기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급·배기 장치로서,
    가스가 유동하는 내부공간과 가스 공급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머플 내부에,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급기박스들과,
    상기 급기박스와 연통되며, 개방된 상류 측 일단을 통해서 공급된 가스를 상기 급기박스 내부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급기관과,
    가스가 유입되는 상류 측 일단과,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하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급기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급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급기관 또는 다른 제2급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관은 상기 급기박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급기박스의 내부공간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기관은 상기 급기박스의 제1면과 제2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급기박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테이퍼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급기박스들을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박스의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 또는 복수의 관통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박스와 결합되며, 배기 가스 흡입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복수의 배기박스와,
    상기 배기박스와 연결되어, 흡입된 배기 가스를 수송하는 복수의 제1배기관과,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하류 측 일단과, 유입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상류 측 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공급받아 상류 측으로 전달하는 제2배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배기관의 하류 측 일단은 인접하는 하류 측 제1배기관 또는 다른 제2배기관의 상류 측 일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박스는 상기 급기박스의 하류 측 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박스의 개구부는 복수의 관통구멍 또는 복수의 관통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배기관과 하류 측 제1배기관 또는 상기 제2배기관과 하류 측 다른 제2배기관은 분할 핀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KR1020120074024A 2012-07-06 2012-07-06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KR101353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24A KR101353584B1 (ko) 2012-07-06 2012-07-06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24A KR101353584B1 (ko) 2012-07-06 2012-07-06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07A KR20140005707A (ko) 2014-01-15
KR101353584B1 true KR101353584B1 (ko) 2014-01-22

Family

ID=5014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024A KR101353584B1 (ko) 2012-07-06 2012-07-06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070A (ko) 2015-02-13 2016-08-23 허혁재 연속식 열처리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2387A (ja) * 1990-12-21 1992-08-12 Toshiba Ceramics Co Ltd 連続式トンネル炉
JPH08110177A (ja) * 1994-08-16 1996-04-30 Murata Mfg Co Ltd 熱風循環炉
JPH09175871A (ja) * 1995-10-26 1997-07-08 Noritake Co Ltd 膜形成素材を含む基板の焼成方法および装置
KR101037990B1 (ko) 2008-09-05 2011-05-30 허혁재 연속식 열처리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2387A (ja) * 1990-12-21 1992-08-12 Toshiba Ceramics Co Ltd 連続式トンネル炉
JPH08110177A (ja) * 1994-08-16 1996-04-30 Murata Mfg Co Ltd 熱風循環炉
JPH09175871A (ja) * 1995-10-26 1997-07-08 Noritake Co Ltd 膜形成素材を含む基板の焼成方法および装置
KR101037990B1 (ko) 2008-09-05 2011-05-30 허혁재 연속식 열처리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07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53647A1 (fr) Procédé de prétraitement d'un moulage en nid d'abeille pour calcination et système de prétraitement d'un moulage en nid d'abeille pour calcination
KR101353584B1 (ko) 연속식 열처리로 및 분리가능한 연속식 열처리로용 급·배기장치
JP2016527393A (ja) 焼結ワークピースを焼結する方法並びにこのための設備
KR101037990B1 (ko) 연속식 열처리로
CN106298421A (zh) 用以消除来自离子注入工艺的自燃副产物的方法和装置
US9890080B2 (en) Cement plant
CN103502479B (zh) 用于为熔炼设备输送和预热金属炉料的装置和相关的方法
FI97165B (fi) Voimalaitos, jossa on ruuvikuljetintyyppinen tuhkanjäähdytin
KR20160100070A (ko) 연속식 열처리로
KR101506726B1 (ko) 가스분사노즐을 구비한 열처리로
CN210585783U (zh) 一种莫来石筛选装置
TW201202645A (en) Operation method of powder sintering factory
JP2012201580A (ja) 排ガスの冷却方法及び排ガスの冷却装置
TWM506933U (zh) 鍋爐廢熱回收裝置
CN108096953A (zh) 高温废气处理装置
KR101519507B1 (ko) 스크러버용 습식 탱크
CN107129165B (zh) 石灰窑及石灰生产系统
CN106925069A (zh) 一种工业炉用废气除渣装置
US10190770B2 (en) Method for cooling solid residues of a combustion process
CN220169917U (zh) 一种具有子母镗结构的马弗炉
CN220829074U (zh) 连续式烧成炉
TW201433768A (zh) 熱處理爐
CN206730775U (zh) 一种工业炉用废气除渣装置
JP2007139289A (ja) 連続焼成炉
CN208520196U (zh) 靶材粉体专用推板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