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020B1 - 유인 취출구 - Google Patents
유인 취출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3020B1 KR101353020B1 KR1020120017011A KR20120017011A KR101353020B1 KR 101353020 B1 KR101353020 B1 KR 101353020B1 KR 1020120017011 A KR1020120017011 A KR 1020120017011A KR 20120017011 A KR20120017011 A KR 20120017011A KR 101353020 B1 KR101353020 B1 KR 101353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upply
- inlet
- port
- wi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인 취출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인 취출구는, 본체(1)를 구비하고, 본체(1) 내에 환상의 간격부(2)를 형성하고, 간격부(2)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공급공기가 송입되도록 송기구(3)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부(2)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상기 공급공기를 분출하는 공기분출구(4)를, 상기 간격부(2)를 따라서 그 둘레방향으로 복수 분할 배치하고, 상기 공기분출구(4)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유인구(5)를, 상기 공기분출구(4)로부터 분출하는 상기 공급공기가 불어 들어오는 것으로 상기 피공조 공간(S)의 공기를 유인하도록 상기 공기 분출구(4)마다 분할 배치하여, 유도 안내로(19)를 설치하고, 상기 유인구(5)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상기 공급공기와 유인공기의 혼합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S)으로 유도 안내하는 혼합공기 취출풍로(6)를 형성하며, 상기 유인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S)으로부터 상기 유인구(5)로 유도 안내하는 유인풍로(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인(誘引) 취출구(diffuser)에 관한 것이다.
송풍 동력의 삭감을 목적으로 하여, 공조기로부터의 공급공기를 통상보다도 저온이면서 소풍량으로 하여 실내 등의 피공조 공간에 설치한 취출구로부터 급기(給氣)함으로써 공조를 행하는 저온 송풍 공조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에, 일반적인 불어 흐르는 취출구를 사용하면, 공급공기가 저온이면서 소풍량이기 때문에, 기류가 확산하지 않고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와 결로(結露)가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은 취출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 취출구에는, 확산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회날개를 설치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압력손실이 크고 소음발생의 문제가 있다. 또한, 취출구의 최하면인 실내 개방부에서 실내공기를 유인하기 때문에 취출구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취출구 전체의 단열처리가 필요해진다. 게다가 저온의 공급공기와 유인공기는 불균일하게 혼합되기 때문에 드래프트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인 취출구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송입된 공급공기로 피공조 공간의 공기를 유인 혼합하여 그 혼합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으로 취출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이 본체 내에, 상기 공급공기를 분출하는 공기분출구를, 환상(環狀)으로 복수 분할 배치하고, 상기 공기 분출구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유인구를, 상기 공기분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상기 공급공기가 불어 들어오는 것으로 상기 피공조 공간의 공기를 유인하도록 상기 공기 분출구마다 분할 배치하여, 상기 유인구와 유인구 사이에 상기 유인공기를 상기 유인구의 전체둘레로 두루 들어오게 하는 유도 안내로를 설치하며, 상기 유인구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상기 공급공기와 유인공기의 혼합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으로 유도 안내하는 혼합공기 취출풍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인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으로부터 상기 유인구로 유도 안내하는 유인풍로를 형성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2의 발명에 의하면,
(1) 본체 내부에서 저온의 공급공기와 그보다 고온의 유인공기를 혼합하여 취출하기 때문에, 공기분출구로부터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서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인구와 혼합공기 취출풍로의 단열이 불필요해져서 단열처리 범위가 적어지고, 제작이 용이해 진다.
(2) 유인공기를 유인구의 전체 둘레로부터 유인할 수 있으므로 압력손실이 적고, 공급공기 풍량에 대한 유인공기의 풍량(혼합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혼합공기 취출풍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어, 확산성이 양호해지고 온도 편차가 없어진다.
(3) 공기분출구 및 유인구를 환상(둘레방향)으로 분할 또는 환상(둘레방향)의 일부만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압(靜壓)이 작아져서 기류 도달거리가 늘어나 확산성이 양호해 진다.
(4) 피공조 공간의 배치나 스페이스에 따라서, 공기분출구 및 유인구의 분할 개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등 자유롭게 취출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1) 본체의 간격부를 따라서 공급공기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선회하여 전체 둘레로 널리 퍼지기 때문에, 혼합공기를 피공조 공간으로 균등하게 취출할 수 있고 확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간단한 구조로 콤팩트 화를 도모할 수 있어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고, 압력손실이 적고 난류를 방지하여 부드럽게 취출할 수 있으며, 소음이 낮아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1) 본체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부터 공기를 유인하여, 본체의 지름방향 안쪽에서 취출하기 때문에, 콴다효과(Coanda effect)에 의한 천장면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천장면이 아름답고 보수가 필요 없어지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1) 공기분출구 및 유인구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피공조 공간의 열부하 분포에 대응한 기류 분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공조효율이 양호해져 쾌적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1) 볼트 너트 부재를 나사 운동에 의해 진퇴 시키기만 하면 간단하게, 취출부의 축방향 위치조절과 둘레방향 위치조절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장판과 취출부의 간격조절이나 취출방향의 조절을 겸용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1) 혼합공기를 소용돌이 모양으로 선회시켜서 피공조 공간으로 취출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어 확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유인 취출구를 공급공기 도입부 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취출부 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도면이다.
도 5는 일부를 생략한 공급공기 도입부 측으로부터 바라본 동체의 전체 도면이다.
도 6은 일부를 생략한 취출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부를 생략한 취출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부를 생략한 취출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취출부 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취출부 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도면이다.
도 5는 일부를 생략한 공급공기 도입부 측으로부터 바라본 동체의 전체 도면이다.
도 6은 일부를 생략한 취출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부를 생략한 취출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부를 생략한 취출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취출부 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유인 취출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인 취출구는, 외부로부터 송입된 공급공기로 피공조 공간(S)의 공기를 유인 혼합하여 그 혼합공기를 피공조 공간(S)으로 취출하는 본체(1)를 구비한다. 본체(1)는, 간격부(2)를 가지는 공급공기 도입부(8)와, 공기 분출구(4)와 유인구(5)와 혼합공기 취출풍로(6)와 유인풍로(7)를 가지는 취출부(9)로 구성한다. 피공조 공간(S)은, 오피스 빌딩이나 병원, 호텔 등의 각종 건물의 실내나 홀 등의 공간이다. 이러한 피공조 공간(S)의 천장 등에 유인 취출구를 설치한다. 유인 취출구에는, 도시를 생략한 공조기로부터 덕트 등을 통하여 조화용 공기 등이 공급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의 점선의 큰 화살표시는 풍향을 나타낸다.
본체(1) 내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는 환상(環狀)의 간격부(2)를 형성한다. 이 간격부(2)의 둘레방향으로 공급공기가 송입되도록 송기구(送氣口)(3)를 설치한다. 간격부(2) 축방향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는, 통과 단면적을 감소시켜 풍속을 높여서 공급공기를 분출하는 원호모양의 공기 분출구(4)를, 간격부(2)를 따라서 그 둘레 방향으로 복수 분할배치한다. 즉, 본체(1) 내에 공기 분출구(4)를 환상으로 복수 분할배치하고, 본체(1) 내의 공기 분출구(4)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공기 분출구(4)를 따라 환상의 간격부(2)를 형성한다. 공기분출구(4)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는, 원호모양의 유인구(5)를, 공기 분출구(4)로부터 분출하는 공급공기가 들어오는 것으로 피공조 공간의 공기를 유인하도록 각 공기 분출구(4)마다 분할배치하고, 이웃하는 유인구(5)와 유인구(5)의 둘레방향 단부 사이에 유인공기를 지름 방향으로 횡단시켜서 유인구(5)의 전체 둘레로 두루 들어오게 하는 유도 안내로(19)를 설치한다. 유인구(5)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는, 공급공기와 유인공기의 혼합공기를 피공조 공간(S)으로 유도 안내하는 혼합공기 취출풍로(6)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부터 바람이 불어가는 쪽을 향하여 확대되는 둥근 형태의 환상(環狀)으로 형성하고, 유인공기를 피공조 공간(S)으로부터 유인구(5)로 유도 안내하는 유인풍로(7)를, 혼합공기 취출풍로(6)의 외주를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한다. 혼합공기 취출풍로(6)에는, 피공조 공간(S)으로 혼합공기를 소용돌이 모양으로 유도 안내해는 가이드부(20)를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환상(環狀)'이란 링(ring) 모양, 통(筒) 모양, 플레어(flare) 모양 등, 각종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취출부(9)는, 피공조 공간(S) 측이 개방된 삿갓모양의 외벽체(11) 및 내벽체(12)와, 삿갓모양의 동체(13)를 가지고 있다. 동체(13)는 내벽체(12)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내벽체(12)는 외벽체(11)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외벽체(11)의 내면과 내벽체(12)의 외면 사이에서 유인풍로(7)를 형성하고, 내벽체(12)의 내면과 동체(13)의 외면 사이에서 혼합공기 취출풍로(6)를 형성한다. 혼합공기 취출풍로(6)의 가이드부(20)는, 동체(13)의 외면에 복수의 볼록한 줄을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외벽체(11)와 내벽체(12)와 동체(13)는 볼트 너트 등의 연결부재(18)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혼합공기 취출풍로(6)의 바람이 불어오는 부분은 본체(1)의 축방향 안쪽방향으로 설치하여 풍로를 길게 한다. 동체(13)의 내부에는, 조명기구(14) 또는/및 피공조 공간(S)의 인체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15)를 설치한다. 이 검출기(15)의 신호에 대응하여 취출풍량과 조명기구 조광(調光) 중 일방 또는 양방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동체(13)는 내부가 빈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피공조 공간(S) 측을 개방시킨 구조로 하여도 좋고, 가이드 부(20)는, 내벽체(12)의 내면 또는/및 동체(13)의 외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가이드 부(20), 혼합공기 취출풍로(6) 및 유인풍로(7)의 구성, 구조의 변경은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급공기 도입부(8)는, 피공조 공간(S) 측이 개방된 케이스(16)와, 바닥이 있는 통 모양의 칸막이 바디(17)와, 송기구(3)를 가진다. 칸막이 바디(7)는 케이스(16)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케이스(16)의 내면과 칸막이 바디(17)의 외면 사이에서 간격부(2)를 형성한다. 송기구(3)는 케이스(16)에, 간격부(2)의 둘레방향으로 공급공기가 나선모양으로 흐르도록 내접선 모양으로 설치된다. 이 공급공기 도입부(8)에 대하여 취출부(9)를, 공기 분출구(4) 및 유인구(5)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연통 연결하고, 공급공기 도입부(8)와 취출부(9)를 고정하는 고정구(R)를 설치한다. 고정구(R)는 볼트 너트 부재(10)로 하여, 공급공기 도입부(8)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 개방부와, 취출부(9)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 개방부를, 공기분출구(4) 및 유인구(5)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결합하고, 공급공기 도입부(8)의 축 중심부와, 취출부(9)의 축 중심부를, 볼트 너트 부재(10)에서 나사 운동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연결한다. 공급공기 도입부(8)는 천장 안쪽 등에 매달아 고정하고, 볼트 너트 부재(10)에 의해 취출부(9)와 천장판의 간격(H) 조절과, 공기분출구(4) 및 유인구(5)의 둘레방향 위치조절을 행한다.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공급공기 도입부(8)의 케이스(16)의 개방부에, 취출부(9)의 외벽체(11)의 일부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돌출시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바깥쪽으로 결합하고, 공급공기 도입부(8)의 칸막이 바디(17)와 내벽체(12)를 고정구(R)로 연결하고 있으나, 칸막이 바디(17)와 외벽체(11)를 고정구(R)로 연결하여도 좋으며, 그것의 구성, 구조의 변경은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급공기 도입부(8)의 내주면은 둥근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각형도 좋고, 고정구(R)는 볼트 너트 부재(10) 이외의 기구나 구조, 구성의 것이어도 좋다.
공급공기 도입부(8)에 송입된 공급공기는, 간격부(2)를 따라 돌면서 확산하여 공기분출구(4)를 통과한 후, 유인구(5)를 향하여 분출된다. 그때, 공기분출구(4)와 유인구(5) 사이의 간격부가 부압(負壓)이 되어, 피공조 공간(S)의 공기를 유인풍로(7)를 통하여 유인한다. 유인 공기는 유도 안내로(19)를 통하여 두루 들어와 유인구(5)의 전체 둘레로부터 흡입되어 공급공기와 혼합된다. 그 때문에 혼합공기 토출풍량에 대한 공급공기 풍량 : 유인공기 풍량의 비율을 예를 들면 6:4와 같이 많게 할 수 있다. 혼합공기는, 혼합공기 취출풍로(6)를 통해 피공조 공간(S)을 향해서 4방향으로 취출된다. 예를 들면, 냉방 시, 혼합공기 취출풍로(6)에서는 13℃의 저온의 공급공기와, 그것보다도 고온인 27℃의 유인공기를 혼합하기 때문에 결로(結露)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공급공기는 유인 혼합된 시점에서 피공조 공간(S)의 이슬점 온도보다 고온으로 절대습도가 낮게 되도록 설정하지만 변경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기분출구(4)와 유인구(5)의 분할 개수의 증감은 가능하며, 도 6은 3분할, 도 7은 2분할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원호 모양의 공기분출구(4)를, 간격부(2)를 따라서 그것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배치(즉, 본체(1) 내에, 공기분출구(4)를 환상(環狀)의 일부에 복수 분할 배치하고, 본체(1) 내의 공기분출구(4)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환상의 간격부(2)를 형성)하고, 공기분출구(4)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원호 모양의 유인구(5)를, 공기분출구(4)로부터 분출하는 공급공기가 들어오는 것으로 피공조 공간(S)의 공기를 유인하도록 공기분출구(4)를 따라서 배치하여, 유인구(5)의 둘레방향 양단부 사이에 유인공기를 유인구(5)의 전체 둘레로 두루 들어오게 하는 유도 안내로(19)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인풍로(7) 및 혼합공기 취출풍로(6)는,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부터 바람이 불어가는 쪽을 향하여 넓어지는 사각(四角)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환상(環狀)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가이드부(20)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본체
2 : 간격부
3 : 송기구
4 : 공기분출구
5 : 유인구
6 : 혼합공기 취출풍로
7 : 유인풍로
8 : 공급공기 도입부
9 : 취출부
10 : 볼트 너트 부재
19 : 유도 안내로
20 : 가이드부
2 : 간격부
3 : 송기구
4 : 공기분출구
5 : 유인구
6 : 혼합공기 취출풍로
7 : 유인풍로
8 : 공급공기 도입부
9 : 취출부
10 : 볼트 너트 부재
19 : 유도 안내로
20 : 가이드부
Claims (7)
- 외부로부터 송입된 공급공기로 피공조 공간(S)의 공기를 유인 혼합하여 그 혼합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S)으로 취출하는 본체(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 내에, 상기 공급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원호모양 공기분출구(4)를, 환상으로 되도록 분할 배치하고,
복수의 상기 공기분출구(4) 각각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복수의 원호모양 유인구(5) 각각을 분할 배치하며,
상기 공기분출구(4)로부터 분출하는 상기 공급공기가 상기 유인구(5)로 불어 들어오는 것으로 상기 피공조 공간(S)의 공기를 유인하도록, 상기 공급공기의 흐름에서의 상기 유인구(5)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단부를 상기 공기분출구(4)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단부로부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유인구(5)의 둘레방향 단부 사이에 유인공기를 지름 방향으로 횡단시켜서 상기 유인구(5)의 전체둘레로 두루 들어오게 하기 위한 유도 안내로(19)를 설치하고,
상기 유인구(5)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상기 공급공기와 유인공기의 혼합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S)으로 유도 안내하는 혼합공기 취출풍로(6)를 형성하며,
상기 유인공기를 상기 피공조 공간(S)으로부터 상기 유인구(5)로 유도 안내하는 유인풍로(7)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 내의 복수의 상기 공기분출구(4)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환상의 간격부(2)를 형성하고, 상기 간격부(2)에 둘레 방향으로 상기 공급공기가 송입되도록 송기구(3)를 설치하며,
복수의 상기 공기분출구(4)를 상기 간격부(2)를 따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취출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혼합공기 취출풍로(6)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부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대되는 둥근 모양 또는 다각형의 환상으로 형성하고, 유인풍로(7)를, 상기 혼합공기 취출풍로(6)의 외주를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취출구. - 제1항에 있어서,
본체(1)를, 간격부(2)를 가지는 공급공기 도입부(8)와, 공기분출구(4)와 유인구(5)와 혼합공기 취출풍로(6)와 유인풍로(7)를 가지는 취출부(9)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공급공기 도입부(8)에 대하여 상기 취출부(9)를, 상기 공기분출구(4) 및 상기 유인구(5)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연통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취출구. - 제5항에 있어서,
공급공기 도입부(8)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 개방부와, 취출부(9)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 개방부를, 공기분출구(4) 및 유인구(5)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결합하고,
상기 공급공기 도입부(8)의 축 중심부와, 상기 취출부(9)의 축 중심부를, 볼트 너트 부재(10)에서 나사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취출구. - 제1항에 있어서,
혼합공기 취출풍로(6)에, 피공조 공간(S)으로 혼합공기를 소용돌이 모양으로 유도 안내하는 가이드부(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 취출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011A KR101353020B1 (ko) | 2012-02-20 | 2012-02-20 | 유인 취출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011A KR101353020B1 (ko) | 2012-02-20 | 2012-02-20 | 유인 취출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5512A KR20130095512A (ko) | 2013-08-28 |
KR101353020B1 true KR101353020B1 (ko) | 2014-01-21 |
Family
ID=4921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7011A KR101353020B1 (ko) | 2012-02-20 | 2012-02-20 | 유인 취출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30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1132B1 (ko) * | 2015-07-17 | 2016-09-30 | (주)수산공조 |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8335U (ja) * | 1983-07-30 | 1985-02-26 |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 空気吹出口 |
JP2004198084A (ja) * | 2002-12-20 | 2004-07-15 | Ohbayashi Corp | 吹出口装置 |
-
2012
- 2012-02-20 KR KR1020120017011A patent/KR1013530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8335U (ja) * | 1983-07-30 | 1985-02-26 |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 空気吹出口 |
JP2004198084A (ja) * | 2002-12-20 | 2004-07-15 | Ohbayashi Corp | 吹出口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5512A (ko) | 2013-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51111B2 (ja) | 誘引吹出口 | |
JP5028511B2 (ja) | 変風量吹出装置 | |
WO2017107820A1 (zh) | 空调室内机 | |
JP5667270B1 (ja) | グリル型誘引吹出口 | |
JP5198620B2 (ja) | ワンスパン空調システム | |
JP4838081B2 (ja) | 吹出口装置 | |
US9222683B2 (en) | Supply air terminal device | |
CN105546690B (zh) | 空调室内机 | |
WO2017166935A1 (zh) | 空调室内机 | |
JP2013139962A (ja) | 誘引パンカ | |
JP5080626B2 (ja) | 変風量吹出装置 | |
CN102374625A (zh) | 诱导吹出口 | |
JP2012063079A (ja) | 誘引吹出口 | |
US20130090052A1 (en) | Air handling device | |
TW201638533A (zh) | 氣流交換裝置及其室內盒 | |
JP6454871B2 (ja) | 送風装置 | |
KR101353020B1 (ko) | 유인 취출구 | |
JP6184190B2 (ja) | 低温吹出口装置 | |
CN113639315B (zh) | 空调器及用于空调器的诱引出风装置 | |
CN109209946A (zh) | 一种风扇 | |
KR200458718Y1 (ko) |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 |
CN113639316B (zh) | 空调器及用于空调器的诱引出风装置 | |
CN208295868U (zh) | 灯具内部散热结构 | |
EP3387329B1 (en) | A supply air device | |
KR20100012859U (ko) |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