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007B1 -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007B1
KR101353007B1 KR1020130064159A KR20130064159A KR101353007B1 KR 101353007 B1 KR101353007 B1 KR 101353007B1 KR 1020130064159 A KR1020130064159 A KR 1020130064159A KR 20130064159 A KR20130064159 A KR 20130064159A KR 101353007 B1 KR101353007 B1 KR 10135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drill
spindle support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경
Original Assignee
정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경 filed Critical 정희경
Priority to KR102013006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24B3/247Supports for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경드릴의 연삭면과 센터홈을 극히 용이하며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게 하는 초경드릴용 연삭장치를 개시한다. 그 구성은; 전동모터(1); 및 상기 전동모터(1)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고속회전되는 연삭숫돌(3); 상기 연삭숫돌(3)의 측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판(7); 상기 베이스판(7) 위에 상기 연삭숫돌(3)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축(17); 상기 제1축(17) 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주축지지부(16); 상기 주축지지부(16)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연삭하고자 하는 드릴(100)을 꽂아 고정시키기 위한 드릴척(19)이 설치되는 주축(11); 상기 베이스판(7)을 상기 연삭숫돌(3)을 향해 접근시키거나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판 기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경드릴용 연삭장치{Apparatus For Grinding Drill}
본 발명은 드릴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 마모시 이를 수공업적 수단을 이용하여 연삭함으로써 초경드릴의 날을 세워 재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초경드릴용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릴은 각종 소재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공구이다. 초경드릴은 초경합급으로 된 드릴을 의미하며 고속도강으로 된 하이스 드릴과 함께 절삭공구도 널리 사용된다. 전자는 경도가 보다 우수하고 후자는 인성이 더 뛰어난 특징을 가진다. 초경드릴은 스테링레스와 같이 통상의 금속재보다 고경도를 가지는 피가공물에 구멍을 가공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초경드릴(100, 이하 드릴이라 한다)에는 절삭력의 강화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센터홈(101,101')이 패여 있는 경우가 많다. 센터홈(101,101')의 깊이가 깊을수록 절삭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삭면(102,102') 역시 센터홈(101,101')을 사이로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곡면이 아닌 평면으로 되어 있다. 하나의 절삭면(102)은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절삭면(102') 역시 사잇각을 갖는 두 개의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드릴의 연삭시 다이아몬드 숫돌이 사용되는데, 드릴의 재질이 변화시키지 않도록 연삭 순간에 고열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드릴은 어느 정도 사용하게 되면 날이 마모되어 절삭력이 저하되어 다른 것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그러나 드릴의 가격이 고가이고 매번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심한 부담이 되기 때문에 연마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요망된다.
기존에 일반 드릴을 연마하기 위한 장치가 국내 특허출원 제10-2008-0005368호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일반드릴을 연삭하기 위한 장치로서 초경드릴의 센터홈을 정밀하게 연삭할 수는 없는 장치이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 특히 초경드릴이 마모된 경우 이를 연삭하여 날을 세우기 위한 드릴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3 ~ 4년의 훈련을 거쳐야 하는 특별한 기술의 습득이 없어도, 단 몇 분만의 교육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규모 기계가공업자가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초경드릴용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전동모터(1); 및 상기 전동모터(1)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고속회전되는 연삭숫돌(3); 상기 연삭숫돌(3)의 측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판(7); 상기 베이스판(7) 위에 상기 연삭숫돌(3)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축(17); 상기 제1축(17) 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주축지지부(16); 상기 주축지지부(16)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연삭하고자 하는 드릴(100)을 꽂아 고정시키기 위한 드릴척(19)이 설치되는 주축;
상기 베이스판(7)을 상기 연삭숫돌(3)을 향해 접근시키거나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판 기동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드릴을 상기 드릴척(19)에 한 번 설치한 위치에서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상기 드릴을 직선 운동시킬 수 있어 평면으로 된 절삭면(102,102')을 원하는 형상으로 연삭하는 동시에, 센터홈(101,101')을 정확히 연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드릴용 연삭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축지지부(16)는 하부주축지지부(16a)와 상부주축지지부(16b)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주축지지부(16a)는, 상기 제1축(17) 상에 설치되는 축연결대(61); 상기 축연결대(6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축(17)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축끼움공(63)이 마련되어 있는 축케이싱(65)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주축지지부(16b)는, 상기 축케이싱(65)의 축끼움공(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축(17)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축(67); 상기 주축(11)을 받치기 위하여 상기 제2축(67) 상부에 설치되는 주축받침판(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축받침판(15)의 상면에는 상기 주축받침판(15)에 직각을 이루는 레버손잡이(2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축지지부(16)는 상기 제1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베이스판(7) 상면에 설치되는 전방걸림대(49); 상기 축케이싱(65)의 외측에 부착된 제1브래킷(51)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상기 전방걸림대(49)를 향해 돌출되는 제1회전각조정볼트(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축(11)은 축하우징(13)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주축(11)은 제1고정볼트(21)에 의해 정해진 각도 만큼씩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축지지부(16)는 하부주축지지부(16a)와 상부주축지지부(16b)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주축지지부(16a)는, 상기 제1축에 연결되는 레일부재(81); 상기 레일부재(81)의 레일베이스판(82) 위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봉(83);
가이드봉(83)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봉(83)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85);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주축지지부(61b)는 상기 이동블럭(8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축(11)은 상기 가이드봉(8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삭숫돌(3)을 향해 전후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축(67)과 주축받침판(15) 사이에는 지지부상판(73)이 개입되며;
상기 지지부상판(73)의 상면 일측에 엘(L)자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받침블록(75)과, 끝단이 테이퍼 형성되며 압박볼트(79)에 의해 상기 지지부상판(73)에 결합되는 누름블럭(77)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블럭(77)과 접하는 상기 주축받침판(15)의 측면(15a)은 상기 누름블럭(77)과 반대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주축받침판(15)을 상기 받침블록(75)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블럭(77)을 압박볼트(79)로써 조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주축받침판(15)이 강하게 받침블럭(75)으로 밀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축받침판(15)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에 의해 마모된 드릴을 간단한 방법으로 연삭하여 재사용하게끔 하는 드릴 연삭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방법이 간명하므로 특별한 숙련도나 노하우가 없어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드릴 연삭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전기력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구성이 간단하므로 소규모로 기계가공업을 운영하는 자라면 누구나 쉽게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경드릴용 연삭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경드릴용 연삭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주축과 연삭숫돌을 기준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초경드릴용 연삭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초경드릴용 연삭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주축과 연삭숫돌을 기준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축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드릴의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필요한 곳에서 도 9 내지 도 11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경드릴용 연삭장치는 전동모터(1) 및 상기 전동모터(1)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고속회전되는 연삭숫돌(3)과 함께 사용된다. 전동모터(1)는 소정의 베이스프레임(5)에 고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의 초경드릴용 연삭장치는 초경 재질의 드릴(100)을 연삭하기 위한 것이므로 연삭숫돌(3)은 다이아몬드 숫돌이 사용된다.
이하 설명되는 구성이 본 발명의 실질적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베이스판(7)이 연삭숫돌(3)의 전방에 설치된다. 베이스판(7)은 베이스프레임(5)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판(7)은 LM가이드(9)와 같은 선형 가이드수단에 의해 연삭숫돌(3)의 전방에서 좌우방향(W1, 이하 '제1방향'이라 함)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주축(11)이 축하우징(13)에 의해 베이스판(7) 위에 설치된다. 축하우징(13)은 주축(11)을 자신의 축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축하우징(13)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축하우징(13)의 저면에는 축받침판(15)이 고정된다. 축하우징(13)과 주축(11) 사이는 복수의 베어링이 개입되어 있다.
주축지지부(16)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축(11)의 설치 위치 및 방향을 세팅할 수 있게 한다. 드릴의 절삭면(102,102')을 연마할 때는 그에 맞는 위치 및 방향에 주축을 세팅시킬 수 있게 하며, 센터홈을 낼 경우에도 역시 그에 맞는 위치 및 방향에 주축을 세팅시킬 수 있게 한다.
실로 다양한 방식으로 주축지지부(16)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되는 것은 그중 몇가지 예에 불과하다. 우선 센터홈(101)을 낼 경우에 적합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위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축(17)이 연삭숫돌(3)에 인접한 지점에, 특히 연삭숫돌의 회전축(X)과 평행하게 베이스판(7) 위에 설치된다. 주축지지부(16)가 제1축(17) 상에 설치됨으로써 제1축(17)을 축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주축(11)의 선단에는 드릴(100)을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공지의 드릴척(19)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축(11) 및 드릴척(19)에 끼워지는 드릴(100)도 제1축(17)을 중심으로, 도 3의 측면도 상 제2방향(W2)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주축(11)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주축(11)은 축하우징(13)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축(11)은 제1고정볼트(21)에 의해 정해진 각도 만큼씩(예를 들어, 90°씩) 정확하게 드릴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축(11)은 제2고정볼트(23)에 의해 축하우징 내부에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고정볼트(21)의 하단은 주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90° 또는 180° 각도의 간격으로 패인 안착홈에 끼워져 안착된다. 제1고정볼트(21)는 스프링(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방향으로 들려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단이 안착홈(22)으로부터 이탈되어 주축(11)이 회전될 수 있게끔 한다. 주축(11)은 주축(11)의 후단에 설치되는 노브 형태의 회전손잡이(25)를 손으로 잡고 돌림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드릴을 원하는 방향으로 세팅한 후에는 제2고정볼트(23)로써 주축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고정볼트(23)의 선단은 나사결합력에 의해 주축(11)의 측면을 압박할 수 있다.
주축(11)과 상기 연삭숫돌(3)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주축 조정수단이 제공된다. 주축 조정수단은 주축(11) 내지 베이스판(7)을 기동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주축지지부(18)를 포함한다.
주축 조정수단은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드릴(100)을 고정된 연삭숫돌(3)에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한다. 위에 설명된 LM가이드(9)는 주축 조정수단중 하나이다. LM가이드(9)는 주축(11)으로 하여금 도 3의 측면도에서 보았을 경우 제1방향(W1)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베이스판(7) 정면에는 고정대(35)가 베이스프레임(5) 등에 고정 설치된다. 베이스판(7)과 고정대(35) 사이에는 스프링(37)이 설치되어 베이스판(7)과 고정대(35)는 서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미세조정핸들(39)이 고정대(35)에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선단이 베이스판(7)에 지지된다. 베이스판(7)의 선단에는 미세조정핸들(39)의 선단이 지지되는 지지블럭(41)이 설치될 수 있다. 미세조정핸들(39)을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판(7)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판(7)의 위치가 정확히 조정된 다음에는, 베이스판(7)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5)에 체결되는 베이스판고정볼트(43)를 이용하여 베이스판(7)을 그 위치에 단단히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베이스판(7)과 주축받침판(15) 사이에는 주축(11)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정수단이 설치된다. 기울기 조정수단은 베이스판(7) 상에 직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축공(45)이 타공된 직립고정판(47), 제1축공(45)에 끼워지는 제1축(17), 제1축(17)과 주축받침판(15) 사이에 설치되는 주축지지부(16)를 포함한다. 주축지지부(16)가 제1축(17)상에 연결됨으로써 주축(11)은 제1축(17)을 중심으로 도 3 또는 도 4의 제2방향(W2)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주축받침판(15)의 상면 일측에는 주축을 제1축(17)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손잡이(24)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주축지지부(16)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한다.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베이스판(7) 상면에 설치되는 전방걸림대(49); 주축지지부(16)의 외측에 부착된 제1브래킷(51)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상기 전방걸림대(49)를 향해 돌출되는 제1회전각조정볼트(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베이스판 상면에 후방걸림대(55)와, 후방걸림대(55)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주축지지부(16)의 외측에 부착된 제2브래킷(57)을 향해 돌출되는 제2회전각조정볼트(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주축(11)의 제1축(17)을 중심으로 한 제2방향(W2)으로의 회전은 전후방 모두 제한 내지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축을 도 4의 평면도상 베이스판(7) 위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제3방향(W3), 즉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회전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주축지지부(16)는 하부주축지지부(16a)와 상부주축지지부(16b)로 구성된다. 하부주축지지부(16a)는, 제1축(17) 상에 설치되는 축연결대(61)와 축연결대(61, 도 3 참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축(17)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축끼움공(63)이 마련되어 있는 축케이싱(65)을 포함한다. 축케이싱(65)에는 제2축(67)이 끼워지며 이 제2축(67)이 주축받침판(15)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주축의 평면도상 회전각도를 계측하기 위한 각도기(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축케이싱(65)의 측부에는 제2축(67)을 직각으로 압박하도록 직각방향으로 2개의 축회전고정볼트(71)가 축케이싱(65)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한다.
제2축(67)과 주축받침판(15) 사이에는 지지부상판(73)이 개입된다. 지지부상판(73)에는 주축받침판(15)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이는 지지부상판(73)의 상면 일측에 엘(L)자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받침블록(75)과 끝단이 테이퍼 형성되며 압박볼트(79)에 의해 지지부상판(73)에 결합되는 누름블럭(77)을 포함한다. 누름블럭(77)과 접하는 주축받침판(15)의 측면(15a)은 누름블럭(77)과 반대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주축받침판(15)을 받침블록(75)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누름블럭(77)을 압박볼트(79)로써 조여 체결하게 되면 주축받침판(15)이 강하게 받침블럭(75)으로 밀착되어 항상 정확한 위치에 주축(11)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연삭숫돌(100)의 사선방향에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주축(11)을 놓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손잡이(24)를 잡고 제한된 위치까지 주축(11)을 앞으로 밀었다가 당기면 도 1에 도시된 센터홈이 연삭된다. 전방걸림대(49)와 제1회전각조정볼트(53)에 의해 주축(11)을 움직일 수 있는 거리는 정밀하게 조정이 가능하므로 센터홈의 깊이는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100)을 주축(15)을 축중심으로 180° 회전시킨 다음 위의 작업을 반복하면 도 11에 도시된 센터홈(101,101')이 180° 각도로 대칭되게 연삭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드릴의 절삭면(102,102')을 연삭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릴 연삭장치로서 도 11에 도시된 드릴의 절삭면(102,102')을 평면 형태로 연삭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특히 위에 설명된 전반적인 내용은 이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만 주축을 기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의 것과 병행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작업사정에 따라 다른 부분만 부분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축(17)에는 축연결대(61, 도 7 참조)가 설치되며, 주축지지부(16)는 축연결대(61)의 상단에 연결된다. 주축지지부(16)는 하부주축지지부(16a)와 상부주축지지부(16b)로 구성되는데, 하부주축지지부(16a)는 주축(11)이 연삭숫돌(3)을 향해 직선운동을 하도록 가이드된다. 이를 위해 축연결대(61')에 레일부재(81)가 연결되고, 레일부재(81)의 레일베이스판(82) 위에는 가이드봉(83)이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봉(83)에는 이동블럭(85)이 끼워진다. 상부주축지지부(61b)는 이동블럭(85)에 연결되며, 따라서 주축(11) 역시 가이드봉(8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삭숫돌(3)을 향해 전후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봉(83)의 연장방향은 제4방향(W4, 도 7 내지 도 8 참조)이다.
상부주축지지부(16b)는 이동블럭(85)이 직접 연결되는 지지대하판(87)과, 지지대하판(87)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축(11)과 직각방향을 이룰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는 제3축(89)을 포함한다.
축케이싱(65)은 제3축(89)에 직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3축(89)을 축중심으로 하여, 즉 제5방향(W5)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축케이싱(65) 이상의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주축(11)은 제1축(17)을 중심으로 제1 내지 제5방향(W1 ~ W5)을 따라 직선 또는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즉 5가지의 자유도를 갖고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주축(11)은 매우 다양한 각도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절삭면에 대한 다양한 연삭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1)을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레버손잡이(24)를 밀고 당기면, 주축(11)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도면상 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연삭되기 때문에 드릴(100)의 절삭면을 평면으로 연삭할 수 있게 된다. 드릴(100)을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원리에 의해 주축(11)을 축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가면서 동일한 방식으로 연삭하게 되면 절삭면(102,102')을 요망하는 형태의 평면으로 연삭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69는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각도기를 표시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전동모터 3 : 연삭숫돌
5 : 베이스프레임 7 : 베이스판
9 : LM가이드 11 : 주축
13 : 축하우징 15 : 축받침판
16 : 주축지지부 17 : 제1축
19 : 드릴척 20,37 : 스프링
21, 23 : 제1,2 고정볼트 22 : 안착홈
24 : 레버손잡이
25 : 회전손잡이 35 : 고정대
39 : 미세조정볼트 41 : 지지블럭
43 : 베이스판고정볼트 45 : 제1축공
47 : 직립고정판 49 : 전방걸림대
51,57 : 제1,2브래킷 53,59 : 제1,2회전각조정볼트
61 : 축연결대 63 : 축끼움공
65 : 축케이싱 67 : 제2축
69 : 각도기 71 : 축회전고정볼트
73 : 지지부상판 75 : 받침블럭
77 : 누름블럭 79 : 압박볼트
81 : 레일부재 83 : 가이드봉
85 : 이동블럭 87 : 지지대하판
89 : 제3축 67 : 연결부재
100 : (초경) 드릴 101,101' : 센터홈
102, 102' : 절삭면

Claims (6)

  1. 삭제
  2. 초경 재질의 드릴을 연삭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모터(1); 상기 전동모터(1)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고속회전되는 다이아몬드로 된 연삭숫돌(3); 상기 연삭숫돌(3)의 측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판(7); 상기 베이스판(7) 위에 상기 연삭숫돌(3)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축(17); 상기 제1축(17) 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주축지지부(16); 상기 주축지지부(16)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연삭하고자 하는 드릴(100)을 꽂아 고정시키기 위한 드릴척(19)이 설치되는 주축(11); 상기 베이스판(7)을 상기 연삭숫돌(3)을 향해 접근시키거나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판 기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주축지지부(16)는 하부주축지지부(16a)와 상부주축지지부(16b)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주축지지부(16a)는, 상기 제1축(17) 상에 설치되는 축연결대(61); 상기 축연결대(6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축(17)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축끼움공(63)이 마련되어 있는 축케이싱(65)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주축지지부(16b)는, 상기 축케이싱(65)의 축끼움공(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축(17)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축(67); 상기 주축(11)을 받치기 위하여 상기 제2축(67) 상부에 설치되는 주축받침판(15)을 포함하며;
    상기 주축(11)은 축하우징(13)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주축(11)의 원주방향을 따라 90° 또는 180° 각도의 간격으로 안착홈(22)이 패여 형성되며; 제1고정볼트(21)가 스프링(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방향으로 들려질 수 있도록 상기 축하우징(13)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볼트(21)의 선단은 상기 안착홈(22)중 어느 하나에 안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하부주축지지부(16a)는, 상기 제1축(17)에 연결되는 레일부재(81); 상기 레일부재(81)의 레일베이스판(82) 위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봉(83); 상기 가이드봉(83)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봉(83)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8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주축지지부(16b)는 상기 이동블럭(8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축(11)은 상기 가이드봉(83)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연삭숫돌(3)을 향해 전후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축(67)과 주축받침판(15) 사이에는 지지부상판(73)이 개입되며;
    상기 지지부상판(73)의 상면 일측에 엘(L)자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받침블록(75)과, 끝단이 테이퍼 형성되며 압박볼트(79)에 의해 상기 지지부상판(73)에 결합되는 누름블럭(77)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블럭(77)과 접하는 상기 주축받침판(15)의 측면(15a)은 상기 누름블럭(77)과 반대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주축받침판(15)을 상기 받침블록(75)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블럭(77)을 압박볼트(79)로써 조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주축받침판(15)이 강하게 받침블럭(75)으로 밀착하게 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드릴을 상기 드릴척(19)에 한 번 설치한 위치에서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상기 드릴을 직선 운동시킬 수 있어 평면으로 된 절삭면(102,102')을 원하는 형상으로 연삭하는 동시에, 센터홈(101,101')을 정확히 연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받침판(15)의 상면에는 상기 주축받침판(15)에 직각을 이루는 레버손잡이(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지지부(16)는 상기 제1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베이스판(7) 상면에 설치되는 전방걸림대(49); 상기 축케이싱(65)의 외측에 부착된 제1브래킷(51)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상기 전방걸림대(49)를 향해 돌출되는 제1회전각조정볼트(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30064159A 2013-06-04 2013-06-04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KR10135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159A KR101353007B1 (ko) 2013-06-04 2013-06-04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159A KR101353007B1 (ko) 2013-06-04 2013-06-04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007B1 true KR101353007B1 (ko) 2014-01-22

Family

ID=5014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159A KR101353007B1 (ko) 2013-06-04 2013-06-04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3140A (zh) * 2020-12-31 2022-07-01 阳江鸿丰实业有限公司 双动力头三轴砂带磨床
KR102666934B1 (ko) * 2023-11-21 2024-05-16 김영수 절삭 가공용 팁 가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938B1 (en) * 1999-07-16 2001-06-12 Lisle Corporation Drill grin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938B1 (en) * 1999-07-16 2001-06-12 Lisle Corporation Drill grin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3140A (zh) * 2020-12-31 2022-07-01 阳江鸿丰实业有限公司 双动力头三轴砂带磨床
CN114683140B (zh) * 2020-12-31 2024-05-03 阳江鸿丰实业有限公司 双动力头三轴砂带磨床
KR102666934B1 (ko) * 2023-11-21 2024-05-16 김영수 절삭 가공용 팁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2551B (zh) 拓宽应用的加工圆弧刃金刚石刀具刀尖圆弧的微摆研抛装置
CN108430718A (zh) 木工工作台及多功能木工装置
KR101209826B1 (ko) 정밀부품 면삭가공을 위한 밀링머신용 지그
KR2013003407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링 머신용 바이스
CA2942038C (en) Tile saw
KR101353003B1 (ko) 나사탭 연삭장치
KR101353007B1 (ko) 초경드릴용 연삭장치
KR200478673Y1 (ko) 칼갈이 지그 장치
EP3059048B1 (en) Adjustable grinding jig
KR880002333B1 (ko) 드릴 연마용 홀더 장치
CN216883006U (zh) 一种用于车刀的磨刀装置
CN105364127A (zh) 一种打斜孔辅助治具
CN104400841A (zh) 一种手动茶盘雕刻平面铣削装置
KR101116564B1 (ko) 테이블 타입 면취기
AU2009263039B2 (en) A device for sharpening a twist drill point and a method for its use
KR101801684B1 (ko) 드릴 연삭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드릴 연삭 방법
CN204366735U (zh) 一种透视圆弧砂轮修整器
JP2004230542A (ja) 三つ目、四つ目ドリル研磨機
JP2011143485A (ja) 目立て・研磨装置
US835964A (en) Machine for sawing diamonds.
CN107363652B (zh) 一种深孔钻磨刀机
CN107030605B (zh) 镶嵌式磨削夹紧装置及打磨装置、打磨方法
TW202107056A (zh) 雙滑座量測台
US2855917A (en) Dressing attachment for surface grinders
TWM482471U (zh) 主軸內孔線上研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