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298B1 -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298B1
KR101352298B1 KR1020110055412A KR20110055412A KR101352298B1 KR 101352298 B1 KR101352298 B1 KR 101352298B1 KR 1020110055412 A KR1020110055412 A KR 1020110055412A KR 20110055412 A KR20110055412 A KR 20110055412A KR 101352298 B1 KR101352298 B1 KR 10135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ing
lock
malfunc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466A (ko
Inventor
최동환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토스템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토스템비엠 filed Critical (주) 엘지토스템비엠
Priority to KR102011005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29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05B63/185Preventing actuation of a bolt when the wing i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창짝(50)에 부착되고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되는 잠금부(230)와 타측 창짝(60)에 부착되고 상기 잠금부(230)에 맞물려 잠금상태가 되는 걸림고리(285)를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잠금부(230)에 부착되되 상기 잠금부에 대해 제2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오작동 방지락(240)를 구비하고,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은 상기 걸림고리(285)에 맞닿아서 제2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잠금장치는 창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 이르러야 비로소 잠금장치가 작동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부주의로 문을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방범기능을 완전히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침입자가 창짝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보안성과 안전성이 강화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WINDOW SYSTEM WITH REINFORCED SECURITY}
본 발명은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창문이나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외부에서 창을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기능을 강화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를 구비한 창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리센트(10)의 오른쪽에서 바라본 잠금장치의 모습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에 설치된 창틀(2) 내부에 내부 창짝(3)과 외부 창짝(4)이 조립되어 미닫이식 창문(5)을 구성한다. 이때, 내부 창짝(3)의 좌측 단부에 잠금장치인 크리센트(10)가 설치되고, 외부 창짝(4)의 우측 단부에는 크리센트 브라켓(20)이 설치되어 미닫이식 창문(5)이 완전히 닫혔을 때, 크리센트(10)가 회전하여 크리센트 브라켓(20)에 결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크리센트(10)는 내부 창짝(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11)와, 손잡이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손잡이부(11)의 회전에 의해 크리센트 브라켓(20)과 맞물리는 초생달 모양의 잠금부(12)로 이루어진다. 크리센트 브라켓(20)은 외부 창짝에 고정되는 고정부(22)와, 고정부(22)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를 향해 반원형으로 굽힘된 고리부(2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크리센트(10)의 손잡이부(11)를 회전시켜 잠금부(12)가 크리센트 브라켓(20)의 고리부(23)와 맞물렸을 때, 크리센트(10)의 유동이 방지되고 창문이 잠기어 열리지 않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창문 잠금장치인 크리센트의 경우 창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잡이부(11)를 회전시키면 완전히 회전하는 구조이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부주의한 경우 문을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크리센트만 회전하고 잠금상태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도둑이 침입하는 등 방범기능을 온전히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을 설치하는 형태를 보면, 창틀(2)의 상하부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레일에 창짝(3,4)의 상하부에 형성된 홈을 끼워서 창짝을 창틀에 장착하는 방식이었다. 다시 말하면, 창짝(3,4)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창짝(3,4)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홈에 창틀(2)의 상측에 형성된 레일을 끼운 후, 창짝을 내리면서 창짝(3,4)의 하측단부에 형성된 홈에 창틀(2)의 하측에 형성된 레일을 끼워서 창틀을 체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체결상태에서는 창짝을 들어올리면 창짝이 창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침입자가 창짝을 들어올리면서 창짝을 이탈시킨 후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내공기 환기 등의 목적으로 창문을 개방하는 경우 개방된 공간으로 외부 침입자가 침입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가 부주의로 문을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잠금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가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침입자가 창짝을 이탈시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환기를 위해 창을 개방하되 환기용으로 일부분만 개방되도록 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 창짝(50)에 부착되고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되는 잠금부(230)와 타측 창짝(60)에 부착되고 상기 잠금부(230)에 맞물려 잠금상태가 되는 걸림고리(285)를 갖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30)에 부착되되 상기 잠금부에 대해 제2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오작동 방지락(240)를 구비하고,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은 상기 걸림고리(285)에 맞닿아서 제2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은, 창호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가 제1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에 맞닿는 스트라이킹부(243)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잠금부의 내측으로 절곡된 락킹부(2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작동 방지락의 제2방향 회전중심(y)는, 상기 잠금부의 제1방향 회전중심(x)로 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창짝에 장착되어 창짝이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창짝의 상측에 고정장착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상부가 삽입장착되어 고정부의 종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가능한 이동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창짝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125)을 포함한다.
상기 창짝의 하단에 장착되어, 내부창짝이 일부만 개방되도록 하는 부분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분개폐장치는 상기 창짝에 수평방향으로 매립되고, 일측 단부를 누르면 타측 단부가 돌출되어 내부창짝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잠금장치는 창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 이르러야 비로소 잠금장치가 작동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부주의로 문을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방범기능을 완전히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침입자가 창짝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보안성과 안전성이 강화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를 구비한 창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왼쪽에서 바라본 잠금장치의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의 구성이 분리된 모습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작동전 상태의 창호 시스템의 상측부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이탈방지장치만을 도시한 모습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작동된 상태의 창호 시스템의 상측부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이탈방지장치만을 도시한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크리센트 잠금장치의 모습이며
도 8에는 도 7의 크리센트 잠금장치에 걸림되어 잠기는 브라켓의 모습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모습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오작동 방지락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잠금부가 일정 각도 회전한 모습이며,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오작동 방지락이 일정 각도 회전한 모습이며,
도 13은 오작동 방지락이 해제되어 회전하는 모습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가 해제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15은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개폐장치를 보여주며,
도 17는 도 16의 부분개폐장치에 의해 내부창짝이 일정 만큼만 개방되는 것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창호'라고 하는 함은 도어 내지 창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모습이다. 건물 벽체의 개구부에 창틀프레임(F)이 배치되고, 상기 창틀프레임(F)에 내부창짝(50)과 외부창짝(60)이 장착되는 것은 종래의 창호 시스템과 동일하다. 그림에서 내부창짝(50)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된다.
도 3에서 창짝의 상측과 창틀프레임이 만나는 부위(예를 들어 'A'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100)가 설치되고, 실내창짝과 실외창짝의 일측면이 만나는 부위(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센트 잠금장치(200)가 설치되고, 창짝의 하부 적절한 곳(예를 들어, 'C'부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개폐장치(300)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부분개폐장치 각각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100)의 구성이 분리된 모습이며, 이탈방지장치(100)는 창짝(50)의 상측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상부가 삽입장착되어 고정부의 종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가능한 이동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10)는 창짝(50)의 상측홈에 삽입되어 고정장착되는 부재이며, 창짝(50)의 홈의 양측에 걸쳐서 고정되는 두개의 날개부(111)와 그 날개부(1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창틀프레임(도 5a의 F)의 레일(도 5a의 R)이 삽입되는 고정부홈(11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부(110)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115)이 있는데, 이 관통홀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부(120)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이탈방지장치(100)의 이동부(120)는 수직으로 형성된 몸체부(127)의 상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110)의 관통홀(115)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있고, 상기 삽입부의 상면(121)은 대략 평평하게 이루어져서 창호가 위로 이동할 시 창틀프레임(F)의 레일(R)과 만나서 창호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원리는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120)의 몸체부(127) 아래쪽에는 나사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장치가 작동한 후, 이 나사홈(125)에는 창호의 창짝을 관통하는 나사(스크루)가 체결되어 이동부가 일정위치에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도 6a에서 설명함).
이상 설명한 이탈방지장치(100)가 창틀에 장착된 모습이 도 5a 와 도 6a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작동전 상태의 창호 시스템의 상측부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이탈방지장치만을 도시한 모습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작동된 상태의 창호 시스템의 상측부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이탈방지장치만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보면, 이탈방지장치가 창짝에 설치되되, 이탈방지장치가 작동전(상기 이동부(120)의 나사홈(125)에 스크루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의 모습이다. 이 상태는 창짝이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직후의 모습이며,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창틀프레임(F)의 레일(R)의 끝단과 상기 이동부의 상면(121) 사이의 거리가 S1으로 표시된 만큼의 거리이며, 이때는 창짝을 위로 들어올리면서 창짝을 창틀프레임으로부터 분리(이탈)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를 보면, 이탈방지장치가 창짝에 설치된 후, 이탈방지장치를 작동시킨 모습, 즉 상기 이동부(120)가 고정부(110)의 관통홀(115)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 후 나사홈(125)에 스크루가 체결되어 이동부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스크루는 창짝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125)에 장착되어서 상기 이동부(120)가 더 이상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창틀프레임(F)의 레일(R)의 끝단과 상기 이동부의 상면(121) 사이의 거리가 S2로 표시된 만큼의 거리로 줄어든다(S2 < S1). 이렇게 감소한 거리로 인해서 창짝을 위로 들어올리더라도 레일(R)이 고정부홈(113)에서 완전히 이탈할 수 없기 때문에 창짝을 창틀프레임으로부터 분리(이탈)시킬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창짝을 창틀프레임에 장착한 후 상기 창짝에 매립된 이탈방지장치(100)의 이동부(1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홈(125)에 나사를 체결하여 창짝에 고정시키면 상기 이동부는 더 이상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따라서 창짝을 창틀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 침입자가 외부에서 창짝을 이탈시켜서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창짝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실내측에서 상기 스크루를 분리한 후 상기 이동부(12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후 창짝을 분리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크리센트 잠금장치(200)의 모습이며, 손잡이부(220)가 일정 각도(θ)만큼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며, 오작동방지락(240)에 의해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을 보면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200)는 내부창짝(50)의 우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장착부(210)와, 상기 고정장착부(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손잡이부(220)와, 상기 손잡이부(2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금속재질의 잠금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200)는 도 8에서 도시된 브라켓(28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280)은 외부창짝(60)의 설치되고, 창짝들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실내창짝에 설치된 상기 크리센트 잠금장치(2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80)은 돌출되어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걸림고리(285)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크리센트 잠금장치(200)의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회전하는 잠금부(230)외 외주 돌출부가 상기 걸림고리(285)에 걸려서 창짝이 잠기게 되는 구조이며, 이 부분은 종래 기술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200)는 오작동 방지(창짝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완전히 회전한다면 사용자에게 창문이 잠긴 것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이것을 '오작동' 이라고 함)를 위해 오작동 방지락(240)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20)가 일정 각도(θ)만큼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참고로, 그림에서 각도(θ)가 0도이면 크리센트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며, 각도(θ)가 180도이면 잠금된 상태이다. 창짝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잡이부(2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아 사용자는 쉽게 창이 닫히지 않은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성 중 설명 편의를 위해 잠금부(230)와 오작동 방지락(240)만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0은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의 사시도이다. 오작동 방지락(240)의 형상은 대략 긴 막대 형상이며, 일측 단부는 약간 휘어진 곡선형인 스트라이킹부(243)이며 타단부는 잠금장치의 내측을 향해서 약 90도 휘어져 돌출된 락킹부(245)이다.
상기 스트라이킹부(243)는 (창호를 잠그기 위해서 내부창짝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잠금장치의 손잡이부를 돌려서 체결하는 경우에 브라켓(280)의 걸림고리(285)에 닿게 되는 부분이며,상기 락킹부(245)는 고정창착부의 회전방지부(도 11의 215, 이하 설명)에 맞닿아서 손잡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락킹부(245)이다.
상기 락킹부(245)는 도 10에서 보듯이, 오작동 방지락(240)의 몸체에서 대략 직각으로 휘어져 잠금장치의 안쪽을 향하도록(도 9 그림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서 x는 잠금부(230)의 회전 중심이며, y는 오작동 방지락(240)의 회전 중심이다.
도 9는 크리센트 잠금장치(200)의 손잡이부(220)가 해제상태(도 7의 각도 θ가 0인 상태)의 잠금부(230) 모습이며, 도 10은 잠금장치의 손잡이부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예를 들어, 도 7의 상태)에서 잠금부(230)의 모습이다.
잠금장치가 해제상태(도 9)에서 손잡이부(220)를 돌려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부(230)가 x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잠금부 상에 결합되어 있는 오작동 방지락(240) 역시 x를 중심으로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내부창짝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라면, 잠금장치는 브라켓(도 8의 280)에 맞닿지 않는 상태이므로 손잡이부를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것은 오작동 방지락(240)의 락킹부(245)가 회전방지부(215)에 부딪혀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즉, 오작동 방지락(240)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락킹부(245)가 회전방지부(215)에 부딪혀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오작동 방지락(240)이 부착된 잠금부(230)가 회전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손잡이부(220)가 돌아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방지부(215)는 고정장착부(210)에 일부로서 고정장착부에서 약간 돌출되어 오작동 방지락(240)의 락킹부(245)에 부딪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서, 만약 내부창짝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잠금장치의 손잡이부를 돌린다면, 손잡이부는 일정 각도까지만 회전하고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내부창짝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다는 것을 쉽게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의 그림에서 상기 회전방지부(215)와 오작동 방지락(240)은 동일 평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회전방지부(215)는 오작동 방지락(240)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락킹부(245)의 끝단에 맞닿게 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12는 내부창짝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잠금장치의 손잡이부를 돌리는 경우에 상기 잠금부(230)가 완전히 회전할 수 있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내부창짝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부(220)를 돌린다면, 내부창짝의 잠금장치(2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부창짝의 브라켓(280)이 위치한다. 즉, 잠금부(230)가 회전하여 브라켓(280)의 걸림고리(285)에 걸려서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면, 내부창짝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부(220)를 돌리면 잠금부(230)가 오작동 방지락(240)과 함께 회전하다가, 오작동 방지락(240)의 스트라이킹부(243)가 브라켓(280)의 걸림고리(285)에 먼저 닿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고리(285)는 도 12의 화살표(P)방향으로 상기 스트라이킹부(243)를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스트라이킹부는 잠금부와 함께 시계방향(잠금방향, 또는 제1방향이라고도 함)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잠금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반시계방향(해제방향 또는 제2방향이라고도 함)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12에선 각도(α)만큼 회전). 그러면, 오작동 방지락(240)의 타단 즉 락킹부(245)가 상기 회전방지부(215)에 부딪히지 않고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3에서는 이렇게 계속하여 회전하는 잠금장치의 실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해를 돕기위해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스트라이킹부(243)를 가압하고 있는 모습이다(실제로는 걸림고리(285)가 스트라이킹부를 가압함).
즉, 락킹부(245)가 각도(α)만큼 회전함에 따라, 잠금부(230)의 회전중심(x)로부터의 거리가 더 길어지게 되고(도 11에서는 거리(d)보다 더 커져 도 12에서는 거리(D)가 됨), 따라서 잠금부와 함께 오작동 방지부가 회전 중심(x)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도는 경우에 상기 회전방지부(215)에 걸리지 않아서 계속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내부창짝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부(220)를 돌린다면 브라켓의 걸림고리가 오작동 방지락(240)의 스트라이킹부(243)를 밀기 때문에, 락킹부가 회전방지부에 방해를 받지 않게 됨으로 인해, 손잡이부가 완전히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잠금부(230)에 상기 걸림고리(285)가 체결되어 크리센트 잠금장치는 잠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서 창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크리센트 손잡이가 회전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잠금장치가 체결된 것으로 착각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가 해제상태(즉, 도 7에서 각도(θ)가 0도인 상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15은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가 잠금상태(즉, 도 7에서 각도(θ)가 180도인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의 측면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일부 구성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보면, 크리센트 잠금장치(200)의 측면에는 이중잠금버튼(250)이 구비된다. 상기 이중잠금버튼(150)은 크리센트 잠금장치가 잠금상태에서 손잡이부(2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창짝을 이중으로 잠그는 역할을 한다. 즉, 크리센트 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인 경우 손잡이부(2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중잠금버튼을 위로 올린 상태에서 회전하여만 손잡이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를 보면, 이중잠금버튼(250)은 잠금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이중잠금버튼과 일체로 연결되되 잠금장치 내부에 매립된 부분이 있다. 매립된 내부부분의 상측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버튼돌기(25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장치 내부에는 판 스프링(255)이 구비되어, 판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이중잠금버튼(250)을 항상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중잠금버튼은 일시 위쪽으로 상승하더라도 다시 아래쪽으로 복귀하여 위치하게 된다.
잠금장치의 내부에는 손잡이부(220)와 연결되어 손잡이부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260)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260)의 하단에는 회전축돌기(263)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돌기(263)와 대략 90도 되는 위치에 스프링장착부(26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스프링(270)이 장착된다.
도 14의 상태(잠금장치 해제 상태)에서, 창호 시스템을 잠그기 위해 크리센트 잠금장치(200)의 손잡이부(220)를 돌리면, 손잡이부와 연결된 회전축(260)이 그림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에 따라 스프링장착부(265)에 연결된 스프링(270)은 인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스프링 장착부(265)가 최고점을 지나는 순간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은 계속하여 회전하여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장착부(265)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4에서 회전축(260)의 아래쪽에 위치하던 회전축돌기(263)는, 상기 회전에 의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6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회전축돌기(263)가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버튼돌기(253)와 부딪히게 되지만, 버튼돌기의 아래쪽 곡선부(253a)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이중잠금버튼(250)을 위로 밀면서 계속하여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도 14의 크리센트 잠금장치 해제상태에서 손잡이부(220)을 돌려서 도 15의 크리센트 잠금장치 잠금상태로 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돌기(263)가 상기 버튼돌기(253)를 위로 밀면서 회전하여 크리센트 잠금장치는 잠금상태로 된다. 이후 이중잠금버튼(250)은 판 스프링(255)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복귀한다.
그런데, 도 15의 크리센트 잠금장치 잠금상태에서 손잡이부(220)을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도 14의 크리센트 잠금장치 해제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을 보면, 도 15 상태에서 회전축(253)가 반시계방향으로 돌게 되는데, 이때 회전축돌기(263)가 버튼돌기(253)에 부딪히게 되어 버튼돌기를 왼쪽으로 가압하게 되나 버튼돌기는 왼쪽방향으로는 이동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263)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잠금상태에서 손잡이부만을 돌려서는 해제상태로 돌아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중잠금버튼(250)을 사용자가 손으로 위쪽으로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회전축돌기(263)와 버튼돌기(253)의 간섭을 해소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20)를 돌려야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잠금장치는 해제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크리센트 잠금장치를 해제상태로 돌리기 위해서는 손잡이부를 돌리는 것외에 이중잠금버튼도 직접 손으로 밀어올려야 하므로 잠금기능이 이중으로 강화되고 따라서 보안성 내지 안정성이 더욱 강화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부분개폐장치를 보여주며, 도 17는 도 16의 부분개폐장치에 의해 내부창짝이 일정 만큼만 개방되는 것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상기 부분개폐장치(300)는 외부창짝(60)의 아래쪽 내지 위쪽의 실내측면에 설치된다. 도 16에서는 그 하나의 예로서 부분개폐장치(300)가 외부창짝(60)의 아래쪽 실내쪽을 바라보는 면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창짝(60)의 아래쪽에는 상기 부분개폐장치가 매립되는 홈이 형성되어 부분개폐장치가 매립되되, 상기 부분개폐장치는 도면 그림 상 우측끝단의 차단부(310)와 좌측끝단의 작동부(320)를 갖는다. 부분개폐장치(300)는 외부면이 외부창짝(60)의 면과 평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는 실내창짝(50) 개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창짝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그런데, 부분개폐장치(300)의 작동부(320)를 누르게 되면 타단(차단부,310)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창짝(50)을 개방한다면 돌출된 차단부(310)로 인해서 내부창짝(50)은 부부개폐장치(300)가 설치된 곳까지만 개방되고 완전히 개방될 수 없게 된다(도 17 참조). 그러므로, 사용자는 창을 일부만 개방하여 환기는 시키되, 완전히 개방되는 것은 방지하여 침입자가 들어올 수는 없도록 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부분개폐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실내창짝을 완전히 개방하고 싶다면, 도 16에 도시된 부분개폐장치의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310)를 누르게 되면 차단부가 창짝 내부로 삽입되어 부분개폐장치가 외부창짝의 면과 평평하게 되므로 실내창짝(50)은 다시 완전히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창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 이르러야 비로소 잠금장치가 작동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부주의로 문을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침입자가 창짝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창짝의 개방 정도를 일정 부분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보안성과 안전성이 강화된 효과가 있다.
100 : 이탈방지장치 110 : 고정부
120 : 이동부 125 : 나사홈
200 : 크리센트 잠금장치 210 : 고정장착부
220 : 손잡이부 230 : 잠금부
240 : 오작동 방지락 250 : 이중잠금버튼
260 : 회전축 270 : 스프링
300 : 부분개폐장치 310 : 회복부
320 : 작동부

Claims (8)

  1. 일측 창짝(50)에 부착되고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되는 잠금부(230)와 타측 창짝(60)에 부착되고 상기 잠금부(230)에 맞물려 잠금상태가 되는 걸림고리(285)를 갖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30)에 부착되되 상기 잠금부에 대해 제2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오작동 방지락(240)를 구비하고,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은,
    스트라이킹부(243)를 일단에 구비하며,
    타단에는 상기 잠금부의 내측으로 절곡된 락킹부(245)를 구비하고,
    고정장착부(210)에는 회전방지부(215)가 돌출형성되되,
    창호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이 상기 잠금부(230)와 함께 회전하다가, 상기 스트라이킹부(243)가 상기 걸림고리(285)에 맞닿지 않게 되며, 상기 락킹부가 상기 회전방지부에 닿으면서 상기 오작동 방지락이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어 상기 오작동 방지락에 의해 상기 잠금부(230)의 회전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아 잠금상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창호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오작동 방지락(240)이 상기 잠금부(230)와 함께 회전하다가 상기 스트라이킹부(243)가 상기 걸림고리(285)에 맞닿게 되면, 상기 걸림고리에 의해 상기 오작동 방지락이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락킹부가 상기 회전방지부에 닿지 않으면서 상기 잠금부(230)가 계속하여 회전하여 잠금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 방지락의 제2방향 회전중심(y)는, 상기 잠금부의 제1방향 회전중심(x)로 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어 창짝이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창짝의 상측에 고정장착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상부가 삽입장착되어 고정부의 종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가능한 이동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창짝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12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하단에 장착되어, 내부창짝이 일부만 개방되도록 하는 부분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개폐장치는 상기 창짝에 수평방향으로 매립되고,
    일측 단부를 누르면 타측 단부가 돌출되어 내부창짝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개폐장치는,
    상기 내부 창짝의 후단을 지지하는 차단부(310)와;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을 돌출시키는 작동부(320)로 이루어지고,
    외부창짝의 외부면에는 상기 부분개폐장치가 장착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내부창짝을 일정만큼 개방할 경우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홈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부 창짝이 더 이상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110055412A 2011-06-09 2011-06-09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35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412A KR101352298B1 (ko) 2011-06-09 2011-06-09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412A KR101352298B1 (ko) 2011-06-09 2011-06-09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466A KR20120136466A (ko) 2012-12-20
KR101352298B1 true KR101352298B1 (ko) 2014-01-16

Family

ID=4790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412A KR101352298B1 (ko) 2011-06-09 2011-06-09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2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78Y1 (ko) * 2007-01-27 2008-03-18 이재민 이탈방지 크리센트 브라켓
KR20080081474A (ko) * 2007-03-05 2008-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난방지용 창호 롤러
KR20100032612A (ko) * 2008-09-18 2010-03-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78Y1 (ko) * 2007-01-27 2008-03-18 이재민 이탈방지 크리센트 브라켓
KR20080081474A (ko) * 2007-03-05 2008-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난방지용 창호 롤러
KR20100032612A (ko) * 2008-09-18 2010-03-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466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3144B2 (en) Door travel limiting device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20110167883A1 (en) Side hung type door or window handle lock
KR101292418B1 (ko) 수평밀착형 창호의 오동작 방지 핸들
KR200387008Y1 (ko) 창 열림 스톱바 장치
KR10135229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0550454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JP5351822B2 (ja) 電気錠付き引戸装置
KR100749912B1 (ko) 열림방지형 건축용 방범창
KR20080003261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0331774Y1 (ko) 여닫이문
JP2001193334A (ja) 換気ロック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100696202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1218740B1 (ko) 방범용 방화문
KR101990692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JP6384855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KR200398812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JP4210776B2 (ja) 煙返しを持つ引違い扉錠
JP4559261B2 (ja) クレセント及びクレセント付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