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228B1 - 시계 태엽용 와인더 - Google Patents

시계 태엽용 와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228B1
KR101352228B1 KR1020130098151A KR20130098151A KR101352228B1 KR 101352228 B1 KR101352228 B1 KR 101352228B1 KR 1020130098151 A KR1020130098151 A KR 1020130098151A KR 20130098151 A KR20130098151 A KR 20130098151A KR 101352228 B1 KR101352228 B1 KR 101352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unit
clock
spring
windup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언
Original Assignee
이태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언 filed Critical 이태언
Priority to KR102013009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1Construction of crowns for rotating movement; connection with the winding stem; winding 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00Driving mechanisms
    • G04B1/10Driving mechanisms with mainspring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03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by lever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용 태엽을 감는 태엽와인더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엽와인더는, 태엽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축과, 상기 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면커버와, 상기 축의 상단에 연결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홀이 상단으로 개구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태엽거치부와, 상기 제1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제1몸체가 삽입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와,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태엽거치부를 수용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에 형성된 태엽삽입홀을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지지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회전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히 태엽을 감을 수 있고, 회전손잡이를 반대쪽으로 몇 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태엽을 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계 태엽을 감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태엽을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안전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계 태엽용 와인더{Watch main spring winder}
본 발명은 시계 태엽을 보다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감을 수 있는 태엽 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식과, 태엽(main spring)에 의해 동작하는 기계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기계식 시계는, 문자판과, 문자판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바늘과, 문자판의 하부에서 바늘을 구동시키는 무브먼트(movment)를 포함한다. 또한 무브먼트는 태엽이 들어있는 태엽통(barrel drum)과, 태엽통과 결합하여 시침, 분침 및 초침을 회전시키는 기어열과, 기어열이 일정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탈진기(escapement)와 조속기(regulator) 등을 포함한다.
태엽통은 외측면에 형성된 기어가 기어열(예, 2번기어)과 맞물리며, 태엽이 풀리는 힘에 의해 태엽통이 회전하면서 기어열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태엽이 다 풀리면 더 이상 기어열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태엽을 감아주어야 한다. 또한 태엽이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태엽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한다.
그런데 태엽통에서 꺼낸 태엽이나 새 태엽은 얇은 금속스트립 형태로 펴져 있는 상태이며, 이를 태엽통에 넣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경으로 감아야만 한다.
그러나 시계용 태엽을 손으로 감아서 태엽통에 넣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어서,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태엽 와인더(main spring winder)라는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태엽을 감아서 태엽통에 넣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태엽 와인더는 기구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작업자가 태엽을 직접 밀어 넣는 방식이어서 작업후반으로 갈수록 큰 힘을 가해야 하고 태엽이 갑자기 풀리는 경우에 부상당할 우려가 있어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태엽의 복원력은 감긴 회수에 비례하므로 작업 후반으로 갈수록 복원력을 이겨내기 위해서 더 큰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태엽을 감을 수 있는 태엽 와인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다 안전하게 태엽을 감을 수 있는 태엽 와인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태엽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축과, 상기 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면커버와, 상기 축의 상단에 연결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홀이 상단으로 개구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태엽거치부와, 상기 제1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제1몸체가 삽입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와,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제2몸체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태엽거치부를 수용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에 형성된 태엽삽입홀을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태엽 와인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엽 와인더에서, 상기 지지유닛의 상기 제2몸체에는 지지손잡이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엽 와인더에서, 상기 지지유닛의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과 상기 이동유닛의 상기 요홈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이동유닛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지지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회전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히 태엽을 감을 수 있고, 회전손잡이를 반대쪽으로 몇 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태엽을 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계 태엽을 감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태엽을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안전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의 결합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로 태엽을 감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태엽와인더에 태엽이 감기는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7는 태엽와인더에 태엽이 완전히 감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100)의 사시도, 측면도, 분해단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100)는 도 3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구동유닛(110), 이동유닛(120), 지지유닛(130)을 포함한다.
회전구동유닛(110)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축(111)과, 축(111)의 상단에 결합된 상면커버(113)와, 일단이 상면커버(113)의 상부에서 축(111)에 연결된 연결부(117)와, 연결부(117)의 타단에 형성된 회전손잡이(115)를 포함한다. 연결부(117)는 축(11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에 근접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연결부(117)가 길수록 토크가 커지므로 더 적은 힘으로 축(111)을 회전시켜서 태엽을 감을 수 있다.
상면커버(113)는 축(111)에 대해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면커버(113)가 후술하는 측면커버(137)의 상단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축(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111)의 상단에서 상면커버(113)와 연결되는 부분의 직하부에는 태엽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12)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축(111)에서 결합돌기(112)가 형성되는 부분이 평면이 되도록 절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유닛(120)은 제1몸체(121)와, 제1몸체(121)의 상단에 형성된 태엽거치부(125)와, 상기 태엽거치부(125)의 중앙을 관통하여 제1몸체(121)의 내부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축홀(123)을 포함한다. 태엽거치부(125)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제1몸체(121)의 상단에서 축홀(12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동유닛(120)의 제1몸체(121)의 외주면에는 태엽거치부(125)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요홈부(127)가 형성된다. 즉, 제1몸체(121)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직경을 갖는 것이 아니라 요홈부(127)에 해당하는 구간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고, 요홈부(127)의 하단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한편 요홈부(127)가 반드시 태엽거치부(125)의 직하부에서부터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몸체(1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유닛(120)과 지지유닛(130)의 조립을 위해서는 태엽거치부(125)가 제1몸체(121)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태엽거치부(125)의 외경이 요홈부(127)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지지유닛(130)은 세로방향의 관통부(132)가 형성된 제2몸체(131)와, 제2몸체(1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손잡이(133)와, 관통부(13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이동유닛(120)의 요홈부(127)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35)와, 제2몸체(131)의 상단에 형성되어 이동유닛(120)의 태엽거치부(125)를 내부에 수용하는 통 형상의 측면커버(137)와, 태엽을 삽입하기 위하여 측면커버(137)에 형성된 태엽삽입홀(139)을 포함한다.
한편 이동유닛(120)은 지지유닛(1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승강하는 것이지만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용자가 태엽의 폭을 고려하여 이동유닛(120)을 적절한 높이로 이동시키면 이동유닛(120)이 그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동유닛(120)의 제1몸체(121)를 지지유닛(130)의 제2몸체(131)의 관통부(132)에 꽉끼움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유닛(120)의 제1몸체(121)의 외경을 지지유닛(130)의 제2몸체(131)의 내경보다 근소하게 작게 형성하여 이동유닛(120)이 약간 뻑뻑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태엽와인더(100)의 조립방법을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유닛(120)에서 태엽거치부(125)를 분리한 상태에서 제1몸체(121)를 지지유닛(130)의 하부에서 관통부(132)로 삽입한다.
이때 제1몸체(121)의 요홈부(127)는 제2몸체(131)에 형성된 걸림돌기(135)의 사이를 통과하며, 요홈부(127)의 하단이 걸림돌기(135)에 걸림으로써 제1몸체(121)가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몸체(121)의 상단에 태엽거치부(125)를 결합하면, 이동유닛(120)이 지지유닛(13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유닛(120)은 지지유닛(130)의 내부에 뻑뻑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태엽의 크기에 따라 이동유닛(120)을 적당한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회전구동유닛(110)의 축(111)을 이동유닛(120)의 축홀(123)에 삽입하고, 상면커버(113)를 측면커버(137)의 상단에 거치 또는 결합하면, 태엽거치부(125)의 상부에 상면커버(113)와 측면커버(137)에 의해 둘러싸이는 태엽권취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태엽권취공간은 측면커버(137)의 태엽삽입홀(139)을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엽와인더(100)를 이용하여 태엽을 감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동유닛(120)과 지지유닛(130)을 결합하고, 회전구동유닛(110)을 이동유닛(120)에 결합하기 전에 축(111)에 태엽(10)을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축(111)에 형성된 결합돌기(112)를 태엽(1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홀에 깨워서 태엽(10)을 결합한다. 이때 태엽(10)의 결합 방향은 태엽(10)의 감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축(111)에 태엽(10)을 결합한 다음에는, 회전구동유닛(110)의 축(111)을 이동유닛(120)의 축홀(123)에 삽입하고 상면커버(113)를 측면커버(137)의 상단에 결합하거나 거치한다. 이때 축(111)에 연결된 태엽(10)은 측면커버(137)의 태엽삽입홀(139)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야 한다.
이어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유닛(120)의 제1몸체(121)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지지손잡이(133)를 잡고 태엽와인더(100) 전체를 지지하면서 다른 손으로는 회전손잡이(115)를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손잡이(115)가 회전함에 따라 축(111)이 회전하면서, 축(111)에 연결된 태엽(10)이 측면커버(137)의 안쪽으로 인입되어 축(111)의 둘레에 감기게 된다.
도 6은 축(111)의 결합돌기(112)에 태엽(10)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축(111)이 회전함에 따라 태엽(10)이 축(111)의 둘레에 감기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태엽(10)을 모두 감은 이후에는 축(111)으로부터 태엽(10)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태엽(10)을 모두 감은 이후에 상면커버(113)를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핀셋 등으로 태엽(10)을 약간 누른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111)을 반대방향으로 일정 회수만큼 회전시키면 된다.
감긴 상태의 태엽(1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태엽(10)이 복원력에 의해 펴지면서 측면커버(137)쪽으로 밀착되고 결합돌기(112)로부터 태엽(10)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태엽(10)이 축(111)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는 축(111)을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110)을 들어 올려서 분리할 수 있으며, 도 5b는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태엽와인더(100)를 뒤집으면, 태엽(10)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준비된 태엽통(20)에 삽입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유닛(120)의 제1몸체(121)를 약간 눌러서 태엽(10)을 아래로 밀어 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유닛(130)의 걸림돌기(135)의 하부와 이동유닛(120)의 요홈부(127)의 사이에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수단(15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수단(150)을 설치하면, 이동유닛(120)에 탄성이 부여되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손잡이(133)를 잡고 이동유닛(120)의 제1몸체(121)를 위에서 누르면 태엽거치부(125)가 태엽(10)을 측면커버(137)의 외부로 완전히 밀어 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태엽 20: 태엽통
100: 태엽와인더 110: 회전구동유닛
111: 축 112: 결합돌기
113: 상면커버 115: 회전손잡이
117: 연결부 120: 이동유닛
121: 제1몸체 123: 축홀
125: 태엽거치부 127: 요홈부
130: 지지유닛 131: 제2몸체
132: 관통부 133: 지지손잡이
135: 걸림돌기 137: 측면커버
139: 태엽삽입홀 150: 탄성수단

Claims (3)

  1. 태엽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축과, 상기 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면커버와, 일단이 상기 축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결합된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홀이 상단으로 개구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태엽거치부와, 상기 제1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제1몸체가 삽입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와,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제2몸체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태엽거치부를 수용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에 형성된 태엽삽입홀과, 상기 제2몸체의 측방으로 돌출된 지지손잡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을 포함하는 태엽 와인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과 상기 이동유닛의 상기 요홈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 와인더
KR1020130098151A 2013-08-19 2013-08-19 시계 태엽용 와인더 KR101352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151A KR101352228B1 (ko) 2013-08-19 2013-08-19 시계 태엽용 와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151A KR101352228B1 (ko) 2013-08-19 2013-08-19 시계 태엽용 와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228B1 true KR101352228B1 (ko) 2014-01-15

Family

ID=5014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151A KR101352228B1 (ko) 2013-08-19 2013-08-19 시계 태엽용 와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9394C1 (ru) * 2014-05-08 2015-08-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Часовой завод "НИКА" Часы с устройством завода час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с помощью троса
KR20220076858A (ko) 2020-12-01 2022-06-08 조계웅 살균기능을 갖는 자동손목시계 보관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637A (ja) * 1995-10-16 1997-05-02 Orient Watch Co Ltd 携帯用機械時計の手巻ゼンマイ構造
JP2000109251A (ja) * 1998-10-05 2000-04-18 Nishimura Seisakusho:Kk 巻取装置
JP2005345214A (ja) 2004-06-01 2005-12-15 Kensuke Fujimura 機械式時計用ゼンマイ巻上げ機構
JP2011053196A (ja) * 2009-09-02 2011-03-17 Dahlia:Kk ゼンマイ巻込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637A (ja) * 1995-10-16 1997-05-02 Orient Watch Co Ltd 携帯用機械時計の手巻ゼンマイ構造
JP2000109251A (ja) * 1998-10-05 2000-04-18 Nishimura Seisakusho:Kk 巻取装置
JP2005345214A (ja) 2004-06-01 2005-12-15 Kensuke Fujimura 機械式時計用ゼンマイ巻上げ機構
JP2011053196A (ja) * 2009-09-02 2011-03-17 Dahlia:Kk ゼンマイ巻込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9394C1 (ru) * 2014-05-08 2015-08-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Часовой завод "НИКА" Часы с устройством завода час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с помощью троса
KR20220076858A (ko) 2020-12-01 2022-06-08 조계웅 살균기능을 갖는 자동손목시계 보관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5467A2 (en) Spinner for toy top
KR101686701B1 (ko) 선상재료 저장 수송기
KR101352228B1 (ko) 시계 태엽용 와인더
JPH0536464Y2 (ko)
KR20090120425A (ko) 철근 결속기
US3044732A (en) Wrist reel
US10401796B2 (en) Barrel shaft for a clock movement, barrel spring, and barrel including such a spring and/or such a shaft
EP3232274A1 (en) Movement for mechanical timepiece
KR101352283B1 (ko) 자동 시계용 거치장치
JP2016059310A (ja) コード式刈払機用刈払ヘッド
JP2005157158A (ja) スクリーン装置
US2911832A (en) Gyroscope
KR20160125056A (ko)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JP6874341B2 (ja) 時計用駆動機構、機械式時計およびゼンマイの操作方法
JP4317797B2 (ja) 魚釣用リール
US20110056338A1 (en) Contractible wrench structure
JP7207011B2 (ja) 時計
US11851808B2 (en) Device for tensioning a drawcord of an ironing board cover
CN208805682U (zh) 辅助手动上发条的手表上发条的组合装置
RU2565864C1 (ru) Часы с колпаком или корпус настольных часов
CN214215334U (zh) 一种新型树脂工艺品
KR20110007319U (ko) 팽이 완구 발사 장치
RU148279U1 (ru) Часы с колпаком или корпус настольных часов
KR200201239Y1 (ko) 플라이 릴의 레버 윈드장치
JP2017083335A (ja) 時計用香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