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75B1 -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75B1
KR101351775B1 KR1020117023941A KR20117023941A KR101351775B1 KR 101351775 B1 KR101351775 B1 KR 101351775B1 KR 1020117023941 A KR1020117023941 A KR 1020117023941A KR 20117023941 A KR20117023941 A KR 20117023941A KR 101351775 B1 KR101351775 B1 KR 10135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xidized
methionine
msr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849A (ko
Inventor
에드워드 펠레
대니얼 에이치. 메이스
Original Assignee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13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 피부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산화 메티오닌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C-말단에서 산화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짧은 폴리펩티드는 생체 피부 모델에서의 일광화상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며 메티오닌 술폭시드 리덕타제를 상향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미용상 허용되는 조성물 및 폴리펩티드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화 펩티드는 산화 α1-항트립신을 복구할 수 있으며, 다시 엘라스타제에 의하여 결합 조직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예를 들면 일광 손상된 피부의 복구 및 폐기종의 치료를 비롯한 광범위한 분지형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METHIONINE SULFOXIDE 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본 출원은 2009년 4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61/168,808호를 우선권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노화 방지 피부 관리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람 피부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화 메티오닌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인용한 모든 문헌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메티오닌
메티오닌(C5H11NO2S)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비극성 소수성 α-아미노산이다:
Figure 112011079585460-pct00001
메티오닌(Met)은 단백질을 생성한다.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중에서, 메티오닌은 2.3%로 단백질 중에서 그 발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된 것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백질 번역중에 메티오닌은 모든 진핵세포 단백질의 N-말단 위치에서 발견된다. Met 잔기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을 보호한다. 이는 필수 아미노산이며, 그래서 사람에 의하여 소화되어야만 한다.
Met의 산화 및 피부 노화
단백질에서, 메티오닌 잔기의 황-함유 측쇄는 단백질의 환경에서 반응성 산소 종(ROS)에 의하여 산화된다. ROS에 의한 메티오닌의 산화로 하기 화학식을 갖는 메티오닌 술폭시드(MetO)가 생성된다:
Figure 112011079585460-pct00002
.
황 원자는 2중 산화될 수 있어서 메티오닌 술폰(MetO2)을 생성한다. 메티오닌 술폰은 강한 생물학적 비가역성 산화제이며, 생물학적 환원성인 더 온화한 메티오닌 술폭시드와는 구별된다. 본원에서는 산화 메티오닌에 관한 언급은 메티오닌 술폰이 아닌 메티오닌 술폭시드를 언급한다.
단백질이 메티오닌 잔기에서 산화되고, 메티오닌이 단백질의 작용 및/또는 구조에 결정적인 경우, 단백질의 활성은 손상될 수 있다. 단백질의 산화는 주요한 원인으로 확인된 피부 노화를 비롯한 각종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헌["The Repair Enzyme Peptide Methionine-S-Sulfoxide Reductase Is Expressed In Human Epidermis and Upregulated by UVA Radiation", Ogawa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6) 126, 1128-1134](2006년 3월 2일 발행, 그 전문을 본원에 참고로 포함함)에는 "산화 단백질의 축적은 세포 노화의 특징으로 간주되며", "MetO를 환원시키는 능력은 세포가 ROS의 존재하에 생존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게다가, 이제는 일광 노출은 사람 피부에서 ROS 형성에 상당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메티오닌 술폭시드 리덕타제
메티오닌 아미노산 잔기의 산화가 세포내에 존재하는 기전에 의하여 사람 피부에서조차 가역적이라는 사실은 희망적이다. 산화 펩티드는 복구될 수 있다. 메티오닌 술폭시드의 환원은 대부분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항산화 효소인 메티오닌 술폭시드 리덕타제(Msr)에 의하여 촉매화된다. Msr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단백질 표면에서 노출된 메티오닌 잔기 및 Msr은 세포에서 반응성 산소종(ROS)을 조절하는 산화환원 사이클을 형성한다는 이론이 대두되었다. 즉, 단백질 Met 잔기는 내인성 항산화제이어서 세포내의 반응성 산소종의 제거제로서 역할을 하지만, Msr은 산화 메티오닌을 다시 사용 가능한 형태로 환원시킨다. 그래서, 단백질 표면에서의 메티오닌 산화는 단순히 무작위 손상이 아니며, 계의 일부가 산화 스트레스의 효과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Msr에는 2가지 형태, 이른바 MsrA 및 MsrB가 존재한다. MsrA는 Msr의 S-입체이성체의 환원에 관여하지만, MsrB는 R-입체이성체의 환원에 관여한다. 도 1은 메티오닌 술폭시드를 다시 메티오닌으로 환원시키는 MsrA의 역할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표피 각질세포내의 MsrA 활성의 존재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3년도에 입증되었다. 별도로, 주요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 및 HaCaT 세포 및 테스트 개체의 사람 표피에서의 MsrA 활성의 존재는 문헌[Ogawa et al., 상동, 2006]에서 보고되어 있다. 이들 기 둘다 RT-PCR(역전사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 방법을 사용하였다. 오가와 문헌은 주요 사람 각질세포 및 HaCaT 세포에서 상당한 MsrA 활성이 보고되었다. 게다가, 오가와 문헌에서는 MsrA가 각질화 표피층(즉, 각질층) 또는 진피층보다는 사람 피부의 유핵 표피층에서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래서, 피부 세포를 비롯한 세포내에서, Msr 효소는 단백질 기능을 조절하며 결손 기능불량 단백질의 축적을 방지한다.
Msr 하향조절은 조직 노화와 관련되어 있다
단백질을 복구하기 위한 Msr 기전에도 불구하고, 단백질 중의 MetO의 양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Msr 계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위태롭게 될 수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문헌[Stadtman et al., Methionine Oxidation and Aging;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Proteins & Proteomics; Volume 1703, Issue 2, 17 January 2005 (available online 9 September 2004), Pages 135-140)]에서는 하기와 같이 지적하였다:
"MetO 레벨의 변화는 (i) ROS 생성 속도의 증가; (ii) 항산화 용량의 감소; (iii) 산화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단백분해 활성의 감소; 또는 (iv) Msr 효소 레벨의 직접적인 손실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 환원 등가물(티오레독신, 티오레독신 리덕타제, NADPH 생성)의 이용가능성의 손실로 인하여 MetO 잔기를 다시 Met 잔기로 전환시키는 능력의 감소를 비롯한 다수의 각종 기전 중 임의의 1종 이상에서의 변형을 반영할 수 있다. Msr 활성의 중요성은 노화가 다수의 동물 조직에서의 Msr 활성의 손실과 관련되어 있으며, Msr 레벨에서의 감소를 초래하는 마우스에서의 변이가 최대 수명의 감소를 초래하는 반면, Msr의 과발현은 최대 수명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강조된다".
그래서, 노화는 Msr 하향조절을 초래하며, Msr 하향조절은 조직 노화를 초래한다. 최근 수년간, 다수의 병리학적 질환은 Msr 활성을 손실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이의 예로는 알츠하이머 질환 및 파킨슨 질환, 백내장, 백반증, α1-항트립신 관련 질환(즉 폐기종, 피부 노화) 및 감소된 수명을 들 수 있다.
Msr 하향조절은 H 2 O 2 와 관련되어 있다
백반증 환자의 표피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H2O2의 축적은 Msr 효소의 감소된 발현과 관련되어 있다. 반대로, 백반증 환자의 H2O2의 증가된 레벨이 인위적으로 감소될 경우, Msr 발현은 회복되어 건강한 피부의 레벨에 접근하게 된다. 또한, H2O2에 의하여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는 Msr 효소의 감소된 활성 및, 백반증 환자의 MetO를 다시 Met로 환원시키는 능력의 손실과 관련되어 있다. 게다가, H2O2의 존재하에서(반드시 백반증 환자의 피부에서만이 아니라, 단지 H2O2의 존재하에서) MsrA 및 MsrB(특히 MsrA)의 활성 손실도 또한 입증되어 있다. 문헌[Schallreuter et al., "Methionine Sulfoxide Reductases A and B Are Deactivated by Hydrogen Peroxide(H2O2) in the Epidermis of Patients with Vitiligo";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8) 128, 808-815; published online 18 Oct. 2007].
그래서, 감소된 Msr 레벨 및 감소된 Msr 활성은 증가된 H2O2 레벨과 관련되어 있다. 증가된 산화 스트레스는 감소된 Msr 레벨과 관련되어 있다.
Msr 상향조절
오가와 등의 문헌에 의하면, UVA 광으로의 노출이 표피에서의 MsrA의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배양된 HaCaT 세포에서도 나타난다. UVA에 대한 반응은 시간-, 선량- 및 파장-의존성 방식으로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오가와 등의 문헌에서는 MsrA의 상향조절이 배양된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의 낮은 농도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반대로, 낮은 선량의 UVB는 오가와 등의 문헌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노출후 72 시간 이내에 HaCaT 세포에서 MsrA를 하향조절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UVB 노출이 표피에서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유발하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흥미롭다. 그래서, UVB 및 과산화수소가 유사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과산화수소가 백반증 환자에서 Msr을 하향조절할 것으로 보이는 상기 논의한 쉬알로이터 등의 발견에 의하여 추가로 혼동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견해에 의하면, Msr에 대한 표피에서의 과산화수소의 역할 및 표피상에서의 UVB 노출의 효과가 완전 규명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광 손상된 피부 세포
본원에서, UVB는 280 내지 320 ㎚ 파장을 의미하며, UVA는 320 내지 450 ㎚ 파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2가지 방식으로의 일광 손상 피부는 직접 손상 및 간접 손상으로 명명한다. 직접 손상의 경우, 피부내의 DNA가 스펙트럼의 UVB 부분으로부터 광자를 직접 흡수한다. 더 적은 정도로는, DNA는 또한 UVA 광자를 흡수한다. 이러한 흡수는 피부 세포내에서 반응을 유발하는, DNA 서열에서의 변이를 야기할 수 있다. 반응은 일광화상 세포의 형성 및 멜라닌의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 흑색종 발생의 8%만이 직접적 DNA 변이로 인한 것이다.
반대로, 자외선 광자가 피부에 투입되어 발색단에 의하여 흡수되는 경우 간접적 손상이 발생한다. 여기된 상태에서, 발색단이 반응에 참여하여 반응성 산소종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람 피부에서 UVB 노출은 과산화수소의 생성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 UVA는 단일항 산소의 생성과 관련되어 있다. 반응성 산소를 중화시켜 피부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 반응성 종은 산화에 의하여, 예를 들면, 메티오닌의 부위에서 피부 세포 DNA 및 단백질을 손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DNA 및 단백질에 대한 손상을 산화 스트레스로 지칭하며, 이는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게다가, 모든 흑색종 발생의 92%는 간접적 산화 DNA 손상에 의한 것이다.
불행하게도, 특정한 선스크린제가 피부에 침투되어 반응성 산소종의 형성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유핵 표피에서 생성된 UV-유발된 (20 mJ·㎝-2) 반응성 산소종(ROS)의 수는 UV 필터 옥토크릴렌,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의 시간 길이에 의존하거나 또는 벤조페논-3은 피부 표면에 잔존한다 . . . 각각의 UV 필터가 피부 표면상에 t=20 분 동안 잔존한 후, 생성된 ROS의 수는 대조군에서 생성된 수보다 적기는 하나 증가되었다. t=60 분까지는, 필터가 대조군보다 많은 ROS를 생성한다. 데이타에 의하면, 3종 모두의 UV 필터가 유핵 층에 침투될 때, ROS의 레벨은 UV 조명하에서 표피 발색단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보다 더 높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헌[Hanson Kerry M.; Gratton Enrico; Bardeen Christopher J. (2006). "Sunscreen enhancement of UV-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skin".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41 (8): 1205-1212].
그래서, 특정의 선스크린제의 사용은 흑색종 및 기타 산화 손상의 발생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본 발명은 특정 선스크린제로부터 산화 손상의 위험 없이 UV 노출의 손상 효과를 감소시킨다. 사실상, 본 발명은 피부 단백질의 산화 손상을 역전시킨다.
피부 침투
각질층은 국소 적용된 물질에 대하여 주요 침투 차단체를 나타낸다. 각질층은 지질 바탕질에 매립된 약 20개의 각질세포 층으로 이루어진 매우 특화된 조직이다. 각질세포는 매우 치밀하며, 이들 사이의 공간은 층판 이중층의 기질화된 구조체로 채워져 있다. 각질층은 피부를 통한 친유성 및 친수성 물질의 통과를 조절한다. 다수의 요인은 특정의 화합물이 각질층을 통과할 수 있는지의 여부, 생체 표피 세포의 더 깊은 층으로 통과하게 되는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들 요인 중 일부로는 분자의 크기, 극성 및 용해도, 피부의 연령 및 상태, 침투 향상제의 사용 및 피부를 통하여 택하게 되는 경로를 들 수 있다.
크기에 관하여서는, 분자의 분자량이 약 600 달톤 이상으로 증가됨에 따라 분자가 각질층을 침투하는데 더욱더 어렵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 수 있다. 일부 자료는 피부의 유형 및 건강에 의존하여 이와 같은 컷오프를 약간 더 낮게 한다. 예를 들면, 한 자료는 "무손상 피부를 침투할 수 있는 최대 분자는 분자량이 500이다"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문헌["Routes for Skin Penetration", N. Dylan, Cosmetiscope Technical Notes 0504; accessed at http://www.nyscc.org/cosmetiscope/archive/tech0504.html on Mar. 4, 2009]. 그러므로, 피부 침투에 대한 절대 컷오프로서 600 달톤은 불가하다. 더 큰 분자는 피부를 침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600 달톤 이상으로 증가되면, 미용상 허용되는 수단에 의하여 각질층의 침투는 점차로 문제가 된다. 그래서, 캐리어 분자를 피부에 침투시키고자 할 경우, 약 606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분자를 사용하는 것은 명백하지 않다. 극성에 관하여서는, 일반적으로 양이온성 종이 음이온성 종보다 피부에 더 잘 침투된다. 용해도와 관련하여서는 친유성 화합물이 친수성 화합물보다 더 신속하게 각질층을 침투하는 경향이 있다.
적용된 화합물이 투입되어 각질층에 침투되는 능력은 공지의 침투 향상제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으며, 피부의 차단체 저항은 가역적으로 감소된다. 술폭시드(즉 디메틸술폭시드, DMSO), 아존(즉 라우로카프람), 피롤리돈(즉 2-피롤리돈, 2P), 알콜 및 알칸올(즉 에탄올 또는 데칸올), 글리콜(즉 프로필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터펜을 비롯한 다수의 화합물이 침투 향상 활성에 대하여 평가되었다. 이러한 침투 향상제 군은 다양한 유형의 작용 및 피부 차단체를 통한 각종 침투 채널을 나타낸다. 차단체 침투를 향상시키는 비-화학적 수단으로는 물리적 기법(즉 이온삼투요법, 초음파 치료), 효소 기법(각질층 지질의 특정한 양상을 변경시킴) 및 소포성 캐리어(즉 리포좀, 니오좀 등)의 사용을 들 수 있다.
α 1 -항트립신 결핍증
α1-항트립신 결핍증은 혈액 및 폐에서 감소된 α1-항트립신(A1AT) 활성을 초래하는 유전 질환이다. 흥미롭게도, 에어로졸화된 A1AT의 사용에 대한 연구는 진행중인 것에 유의한다. 에어로졸화된 A1AT를 하기도에 도달하게 하기 위하여 폐에 흡입시킨다. 흡입된 A1AT가 폐에서의 손상된 엘라스틴 섬유에 도달하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논문["Alpha 1-antitrypsin deficiency", http://en.wikipedia.org/wiki/Alpha_1-antitrypsin_deficiency; last modified March 28, 2009]을 참조한다. 이 논문에서는 폐에서 Msr을 상향조절하기 위하여 C-말단 메티오닌 술폭시드 잔기를 갖는 펩티드의 사용이 개시 또는 시사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은 C-말단 메티오닌 술폭시드 잔기를 갖는 에어로졸화된 펩티드가 개시 또는 시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 이전에, 본 출원인은 임의의 미용상 허용되는 국소 조성물을 일광에 노출전 적용시 피부를 Msr 상향조절에 의하여 보호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본 출원인(들)은 말단 메티오닌 술폭시드를 갖는 펩티드, 특히 분자량이 약 600 또는 약 600보다 작은 펩티드를 포함하는 미용상 허용되는 국소 조성물을 개시하는 종래 기술을 알고 있지 않았다. 본 출원인(들)은 피부에 말단 메티오닌 술폭시드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V광의 손상 효과를 감소시키는 미용상 허용되는 방법을 알고 있지 않았다.
개요
C-말단에서 산화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단쇄 폴리펩티드는 생체 피부 모델에서 일광화상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며 메티오닌 술폭시드 리덕타제를 상향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용상 허용되는 조성물 및 폴리펩티드의 사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추가로, 산화 펩티드는 산화 α1-항트립신을 복구시킬 수 있으며, 그리하여 엘라스타제에 의한 결합 조직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효과는 예를 들면 일광 손상된 피부의 복구 및 폐기종의 치료를 비롯한 다양한 분지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메티오닌 술폭시드를 다시 메티오닌으로 환원시키는데 있어서 MsrA 역할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에서 UVB-유발된 과산화수소에 대한 Msr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3은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에서 UVB-유발된 세포 사멸에 대한 Msr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4는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에서 Msr 상향조절에 대한 산화 펩티드(MetO-엔케팔린)의 양성 효과를 도시한다.
도 5 및 6은 UVB 조사에 의하여 야기된 일광화상 세포의 생성에 대한 MetO-엔케팔린의 억제 효과를 도시한다.
도 7은 표피 세포에서 MetO-엔케팔린의 낮은 세포독성을 도시한다.
도 8은 α1-항트립신이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산화 α1-항트립신이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α1-항트립신의 엘라스타제-억제 활성이 MsrA에 의하여 회복되어 산화 α1-항트립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본원에서, "포함하다" 및 그의 활용어는 개방형으로 간주하여야 하며, 이는 그룹, 목록, 수집 또는 조성이 명백하게 명명된 종목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의 RT-PCR에 의한 각질세포에서 메티오닌 술폭시드 리덕타제(Msr)의 존재를 설정한 후, 실험은 비-세포독성 방식으로 이러한 효소를 상향조절하는 방법으로 시작하였다. 시도한 제1의 물질은 산화 메티오닌(술폭시드 형태)이지만, 결과는 살림 유전자에 대한 Msr의 비가 증가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들 실험에서, 산화 펩티드는 매우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관찰에 기초한다:
1. Msr은 NHEK에서 UVB-유발된 과산화수소를 억제하며, 세포 생육성을 개선시킨다; 2. 메티오닌 술폭시드(MetO)는 단독으로는 Msr을 크게 상향조절하지 않는다; 3. C-말단 메티오닌 술폭시드를 갖는 저 분자량 폴리펩티드는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NHEK)에서 Msr을 상향조절할 수 있다; 4. 이러한 폴리펩티드의 비산화 형태는 Msr을 크게 상향조절하지 않는다; 5. Msr을 상향조절하는 것 이외에, 산화 폴리펩티드는 UVB-조사된 생체 피부 모델에서 일광화상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6. 산화 폴리펩티드를 사용함으로써 Msr은 비-세포독성 방식으로 상향조절된다. 이들 각각을 차례로 논의하고자 한다.
1. Msr은 NHEK에서 내인성 및 UVB-유발된 과산화수소를 억제하며, 세포 생육성을 개선시킨다
도 2a 및 2b는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NHEK)에서 내인성 및 UVB-유발된 과산화수소에 대한 Msr의 효과를 도시한다. NHEK는 제시된 농도에서 Msr에서 예비배양된다. 배양후, 일부 세포를 UVB(20 mJ/㎠)에 노출시킨다. 차트에 제시된 바에 의하면, 내인성 과산화수소의 레벨에서 상당한 감소 및, UVB 노출로 인한 과산화수소 형성의 상당한 감소가 존재한다. Msr이 UVB-유발된 H2O2를 억제할 경우,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Msr을 상향조절하는 것은 예방적 조치로서 산화 스트레스의 개시 이전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Msr이 내인성 H2O2를 환원시킬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Msr의 상향조절이 각질세포에 관하여 노화방지되는 것으로 확립되었다. 그래서, 피부에 산화 펩티드를 전달하는 것은 노화 방지 피부 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도 3은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에서 UVB-유발된 세포 사멸에 대한 Msr의 효과를 도시한다. NHEK를 Msr 중에서 4 시간 동안 제시된 농도에서 예비배양한 후, 다양한 레벨의 UVB에 노출시킨다. 차트에 제시된 바에 의하면, UVB 노출의 결과로서 세포 사멸율은 미처치 대조군에 비하여 크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UVB 노출의 모든 테스트한 레벨 및 Msr 농도에서 관찰되었다.
2. 산화 메티오닌(MetO)은 단독으로는 NHEK에서 Msr을 크게 상향조절하지 않는다
2003년 8월 또는 8월경, 통상의 RT-PCR에 의한 각질세포에서 메티오닌 술폭시드 리덕타제(Msr)의 존재를 설정한 후, 비-세포독성 방식으로 이러한 효소를 상향조절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시작하였다. 시도한 제1의 물질은 산화 메티오닌(술폭시드 형태)이다. 그러나, 결과는 살림 유전자에 비하여 Msr의 레벨은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본 출원인은 수차례 시도하였으나, 2004년 2월까지는 산화 아미노산이 각질세포에서 Msr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였다. 비교적 커다란 단백질인 산화 소 혈청 알부민도 또한 시도하였으나, 성공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2004년 2월에 실시한 실험에서, 산화 폴리펩티드가 매우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그와 비슷한 연구를 지속하였다.
3. C-말단 메티오닌 술폭시드를 갖는 저 분자량 폴리펩티드는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 NHEK )에서 Msr 을 상향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산화 펩티드의 예를 하기 서열로 제시하였다:
Figure 112011079585460-pct00003
이러한 폴리펩티드는 분자량이 약 606이며, 그의 C-말단 메티오닌 잔기에서 산화된다.
이러한 펩티드의 비산화 형태는 Met-엔케팔린(CAS 번호: 58569-55-4; C27H35N5O7S)으로 공지되어 있다.
Figure 112011079585460-pct00004
Met-엔케팔린은 분자량이 573.6611 g/몰인 펜타펩티드 신경전달물질이다. Met-엔케팔린은 체내에서 통증 및 통각을 조절한다.
"MetO-엔케팔린"이라는 것은 서열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C-말단 메티오닌 잔기의 황에서 산화된 Met-엔케팔린의 산화 형태를 의미하고자 한다.
하기는 MetO-엔케팔린이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에서 Msr을 상향조절하는 것을 예시한다. NHEK 세포는 밤새 배양 배지(대조군), 산화 펩티드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 및 비산화 펩티드(대조군)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산화 펩티드의 농도(㎎/㎖)로는 0.01, 0.1 및 0.25를 들 수 있다. 비산화 펩티드(즉 Met-엔케팔린)는 0.25 ㎎/㎖에서만 테스트하였다. 배양후, mRNA를 세포로부터 추출하고, cDNA를 역전사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RT-PCR)으로 생성하였다. 샘플을 대조군으로서 β-마이크로글로불린을 사용하는 겔 전기영동에 의하여 Msr에 대하여 프로브 처리하였다. 결과를 도 4에 제시한다. Msr 발현에서의 평균 증가율은 산화 펩티드 농도 0.01%, 0.1% 및 0.25% 각각에 대하여 18, 28 및 25.4%이다. 결과를 웨스턴 블로팅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는 산화 펩티드로 처리한 세포에서 Msr mRNA의 증가를 나타낸다.
4. 비산화 폴리펩티드는 NHEK 에서 Msr 을 크게 상향조절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산화 펩티드는 Msr 발현에서 상당한 증가를 야기하지 않았다. 다시, 이러한 결과를 웨스턴 블로팅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는 비산화 펩티드로 처리한 세포에서 Msr mRNA의 상당한 증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산화 폴리펩티드는 UVB-조사된 생체 피부 모델에서 일광화상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UVB-조사된 생체 피부 모델에 대한 MetO-엔케팔린 산화 펩티드의 효과는 일광화상 세포(SBC)의 생성을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방법: 표피 전체 두께 200(EFT 200) 생체 피부 모델은 맷텍(MatTek)으로부터 얻었으며, 48 시간 동안 배지내에서 1 ㎎/㎖의 MetO-엔케팔린을 사용하여 또는 이를 사용하지 않고 배양하였다. 산화 펩티드를 실온에서 저장할 수 있다. 펩티드는 이미 산화되었기 때문에, 저장시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성을 갖는다. 트랜스웰 막에 위치하여 공기/수성 계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생체 피부 모델의 아래에 2 ㎖의 배지를 첨가하였다. 48 시간 후, 생체 피부 모델을 100 mJ/㎠ UVB에 노출시키고, 다시 공급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그 다음날, 샘플을 10% 포르말린에 고정시키고, 조직학적 절편 및 H&E 염색을 위하여 파라곤 바이오서비시즈(Paragon Bioservices)에 보냈다. 각각의 절편에 대한 5개의 인접 현미경적 시야는 SBC 및 관련되지 않은 세포의 수를 계수하고 및 SBC를 전체의 비율로서 나타내어 SBC의 존재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일광화상 세포는 세포질 및 농축핵(농축 염색질)의 호산성 염색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 1 ㎎/㎖의 MetO-엔케팔린으로 처리한 샘플 중의 일광화상 세포의 생성은 크게 감소되었다. 동일한 실험의 2종의 별도의 시험 결과를 각각 도 5 및 6에 도시하였다. 2종의 시험 모두로부터 SBC에서의 평균 감소율은 31.1%이다. 그래서, UVB 방사의 유해한 효과로부터의 실질적인 보호량은 MetO-엔케팔린 펩티드에 의하여 예시되었다.
UVB의 흡수로 인한 일광화상 세포 형성에서의 관찰된 감소가 펩티드에 의한 것인가? 라는 질문을 해 본다. 그 대답은 확실히 아니다이다. MetO-엔케팔린의 UV 스펙트럼은 거의 물과 동일하다. 290 ㎚에서, 0.24의 k-값 및 145.5의 흡광 계수로 해석되는 흡광도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흡광도는 약하며, 그래서 펩티드에 의한 흡수는 SBC 발생에서의 감소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다. 추가로, 펩티드는 생체 피부 모델의 아래에 적용되며, 약 300 ㎚ 이하의 모든 UV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는 폴리스티렌 뚜껑을 갖는 6-웰 평판내에서 노출을 실시하였다. 그래서, MetO-엔케팔린 펩티드는 방사선의 흡수를 제외한 UVB 방사선의 유해한 효과로부터 정상 사람 표피 각질세포를 보호한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임의의 한 이론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나, UVB 방사선이 MetO의 세포 농도를 증가시키며, MetO-엔케팔린은 Msr을 상향조절하여 UVB-유발된 MetO를 다시 Met로 환원시킨다고 판단된다.
6. 산화 폴리펩티드를 사용함으로써 Msr은 비-세포독성 방식으로 상향조절된다
도 7은 각질세포에서 다양한 농도에서 MetO-엔케팔린의 세포독성(또는 그의 결핍증)을 도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산화 펩티드를 사용한 배양후 각질세포에서 관찰된 효과는 세포독성으로 인한 것이 아닌 것으로 입증되었다.
C-말단 메티오닌 잔기에서 이미 산화된 작은 메티오닌-함유 폴리펩티드가 관찰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예상밖이며, 종래 기술에서는 추론되지 않는다. 이는 산화 메티오닌 단독으로는 Msr을 상향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그러하다. 요컨대, 데이타는 MetO-엔케팔린 산화 폴리펩티드가 Msr을 상향조절하며, SBC 형성을 감소시키고 H2O2 생성을 억제하여 UVB 스트레스로부터 생체 피부 모델을 보호하며, 피부에서의 엘라스타제-유발된 손상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백반증 환자에서의 Msr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산화 α 1 -항트립신의 복구, Msr을 사용한 엘라스타제의 억제
최초로, Msr은 잠재적으로 폭넓은 결과와 함께 산화 α1-항트립신(또한 A1AT로 공지됨; 또한 α1 프로네이나제 억제제 A1PI로 공지됨)을 복구시키는데 사용되었다. 간에서 생성된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인 A1AT는 단지 트립신만이 아니라 다양한 프로테아제를 억제한다. 예를 들면, A1AT는 염증 에피소드중에 배출된 효소의 효과로부터 조직을 보호한다. 이러한 효소의 하나가 엘라스타제이다.
엘라스타제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프로테아제이다. 엘라스틴은 모든 결합 조직의 2가지 주요 성분 중 하나이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엘라스타제가 체크되지 않을 경우, 다양한 결합 조직 병리학은 발병된 조직의 위치 및 기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도한 엘라스타제 활성은 예를 들자면 처진 피부 및 탄력섬유증; 폐에서의 폐기종 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및 간에서이 경화를 초래할 수 있다.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α1-항트립신(A1AT)은 엘라스타제를 불활성 형태로 유지하여 중성구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체크한다. A1AT는 그의 메티오닌 358 잔기를 사용하여 엘라스타제를 결합시켜 실시된다. 그러나, A1AT이 메티오닌 358 잔기에서 산화될 경우, A1AT의 결합 기능은 손상되며, 결합 조직의 과도한 분해가 발생하게 된다. A1AT의 메티오닌 358 잔기의 산화는 세포 과산화수소, 염증, 흡연 및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된 레벨과 관련되어 있다. α1-항트립신을 보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롭게도, 산화 α1-항트립신을 복구하고, 엘라스타제 억제를 회복시키는 것으로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방법: 몰레큘라 프로브즈(Molecular Probes)로부터의 엘라스타제 분석을 사용하고, α1-항트립신을 사용한 억제에 대하여 변형시켰다. 형광은 CytoFluor 평판 판독기에서 485 ㎚에서의 여기 및 525 ㎚에서의 방출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의 단계 1은 엘라스타제 활성이 α1-항트립신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는 α1-항트립신과 함께 0.1 ㎎/㎖ 엘라스틴 및 0.05 단위/㎖ 엘라스타제를 선량 의존성 방식으로(2.5-50 ㎍/샘플) 배양하여 달성되었다. 결과는 도 8에 도시하였으며, 여기서 con은 대조군; E=엘라스타제, I=억제제(분석과 함께 포함됨), AT=α1-항트립신이다. α1-항트립신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형광은 감소되었으며, 이는 엘라스타제의 더 큰 억제를 나타낸다.
실험의 단계 2는 과산화수소(H2O2)가 α1-항트립신의 엘라스타제 억제 능력을 방해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는 10 ㎍의 α1-항트립신을 과산화수소로 산화시켜 실시된다. 도 9에는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된 5, 10 및 30 밀리몰(mM) 농도의 H2O2가 선량 의존성 방식으로 α1-항트립신을 억제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30 mM의 H2O2에서 α1-항트립신이 제공된 거의 모든 엘라스타제 억제가 손실되었다.
실험의 단계 3은 α1-항트립신의 산화가 MsrA로 역전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는 30 mM H2O2에서 0.7 ㎎/㎖ MsrA 및 10 mM DTT와 함께 2 시간 동안 산화된 A1AT를 배양시켜 달성되었다. 그후, 샘플을 엘라스타제 활성 분석에서와 같이 적절한 대조군, 예컨대 효과가 없는 DTT 단독, Msr 단독 등과 함께 재분석하였다. 도 10은 본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다. 본 출원인은 100% 엘라스타제를 사용하여 시작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α1-항트립신(AT)은 엘라스타제 활성의 약 90%를 제거한다(엘라스타제+AT로 표시된 막대). α1-항트립신을 산화시킨 후, 모든 엘라스타제 활성은 복귀되었다(엘라스타제+ATox로 표시된 막대). 마지막으로, 도 10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막대는 0.7 ㎎/㎖의 MsrA가 59%의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하여 재-억제를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래서, MsrA는 엘라스타제 억제를 효소 정밀도와 함께 산화α1-항트립신으로 상당히 회복시킬 수 있다.
Msr이 산화 α1-항트립신을 복구시키므로, MetO-엔케팔린 산화 펩티드는 표피 Msr을 상향조절하여 피부에 대한 엘라스타제-유발된 손상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MetO-엔케팔린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피부에 전달되어 피부에 흡수되면, MetO-엔케팔린은 Msr을 상향조절한 후, 산화 α1-항트립신을 복구한다. 복구된 α1-항트립신은 엘라스타제에 의하여 결합 조직 분해를 중지시킨다.
유사하게, MetO-엔케팔린은 α1-항트립신의 메티오닌 358 잔기의 산화를 수반하는 임의의 조건 또는 병리학에서 유용한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etO-엔케팔린은 폐기종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면, MetO-엔케팔린은 에어로졸 비히클 중에서 하기도로 전달되고, 폐기종 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흡입할 수 있다. 기도에서, MetO-엔케팔린은 Msr을 상향조절하여 산화 α1-항트립신을 복구시킬 수 있다. 복구된 α1-항트립신은 엘라스타제에 의하여 결합 조직 분해를 중지시킨다.
추가로, MetO-엔케팔린은 MetO-엔케팔린이 전달될 수 있는 임의의 조직에서 Msr의 상향조절제로서 일반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성물
본원에 기재된 산화 펩티드의 잇점은 피부에 미용상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 및 1종 이상의 산화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산화 펩티드는 MetO-엔케팔린이 될 수 있다. "유효량"의 산화 펩티드(들)는 피부의 소정의 표면적에 대하여 소정 레벨의 산화 조직 손상을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Msr을 상향조절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산화 펩티드(들)의 농도가 제제의 0.01 중량% 정도로 낮을 경우 유효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소비자가 적용한 제곱 센티미터당 국소 제제의 평균량은 유효량의 산화 펩티드를 용이하게 포함할 수 있다.
MetO-엔케팔린 산화 펩티드는 사용자의 피부에 국소 적용에 적절한 광범위한 미용상 허용되는 제제에 혼입될 수 있다. 성분, 조성물의 제형 및 제조 방법에 대한 제1의 주요 제한점은 최종 생성물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유효량"의 산화 펩티드를 포함하여야만 한다는 점이다. 제2의 주요 제한점은 최종 제제가 Msr을 상향조절하거나 또는 일광화상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산화 펩티드의 능력을 허용되지 않는 레벨로 감소시키지 않아야만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에 의하면 산화 펩티드를 수성 및 비-수성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수성 조성물은 에멀젼, 액제, 현탁제, 분산제, 스틱, 겔 또는 에어로졸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에멀젼의 제형인 경우,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이 될 수 있다. 조성물의 모든 수성 제형은 약 1 내지 99%, 5 내지 99%, 1 내지 90%, 10 내지 99%, 5 내지 90%, 1 내지 85%, 5 내지 85%, 10 내지 90% 및 10 내지 85%의 가장 덜 바람직한 내지는 가장 바람직한 범위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이 존재할 경우, 1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75%의 오일이 존재한다.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미용상 허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스크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선스크린제는 미립자 형태의 화학적 UVA 또는 UVB 선스크린제 또는 물리적 선스크린제를 포함한다. 존재할 경우, 선스크린제는 약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5%일 수 있다. 그러나, 소정 레벨의 보호의 경우, 선스크린제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기재된 MetO-엔케팔린에 의하여 제공된 보호 때문이다. 기타 임의의 성분으로는 보습제(즉 글리콜, 당); 계면활성제(즉 실리콘계 또는 유기계를 포함하며; 존재할 경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0 중량% 범위내가 될 수 있음); 생물학적 물질(즉 %. 세포 RNA 또는 DNA의 분절 또는 프로바이오틱 미생물; 존재할 경우, 이러한 물질은 약 0.0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20% 범위내가 될 수 있음); 구조화제; 오일(즉 휘발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 및 비-실리콘); 비타민; 항산화제; 피부 활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산화 펩티드는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복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복구 -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을 복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산화 펩티드를 손상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산화 손상된 피부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피부에 적용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Msr을 상향조절하며, 이는 C-말단 메티오닌 잔기에서 산화되는 피부에서 단백질을 복구하게 된다. 상향조절된 Msr은 또한 358 메티오닌 잔기에서 산화되는 α1-항트립신(A1AT)을 복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의 방법은 산화 잔기가 피부 단백질, 예컨대 각질세포에서 또는 α1-항트립신에서 발견되는 것이건 간에 사람 피부에서 산화 메티오닌 아미노산 잔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유효량"의 MetO-엔케팔린을 산화 메티오닌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산화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 0.01 중량% 이상의 농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방 -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산화 펩티드는 특정의 산화 스트레스의 개시 이전에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하루를 해변에서 보낼 계획이라면, 피부에 적용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Msr을 상향조절하며 및/또는 일광화상 세포 형성을 억제하며, 이는 UVA 및/또는 UVB 노출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손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의 방법은 사람 피부에서 산화 메티오닌 아미노산 잔기의 양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산화 스트레스의 개시를 경험할 위험이 있는 피부에 "유효량"의 MetO-엔케팔린 산화 펩티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산화 펩티드를 적용하고, 피부를 위험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산화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 0.01 중량% 이상의 농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노화 징후의 감소 - 본 발명의 제3의 방법은 피부 노화의 하나 이상의 징후를 측정 가능하게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법에서, 유효량의 MetO-엔케팔린 산화 펩티드를 피부 노화의 하나 이상의 징후를 나타내는 피부의 부위에 반복적으로 적용한다. 반복된 적용은 적어도 피부에서의 개선이 관찰될 때까지 수일 또는 수주 또는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실시된다. 산화 펩티드는 소정의 스케쥴, 즉 3주간 1일 1회 이상 또는 6개월간 격주로 1일 2회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적용은 노화의 징후 중 1 이상에서의 측정 가능한 감소가 이루이질 때까지 실시될 수 있다. 그후, 노화의 징후의 감소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용을 중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산화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 0.01 중량% 이상의 농도로 규칙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가능하게 감소될 수 있는 노화의 징후는 모든 외관상 가시 및 촉각 소견뿐 아니라, 피부 노화로 인한 임의의 기타 거시적 또는 미시적 효과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징후는 고유한 요인 또는 외적 요인, 예컨대 생활 노화 및/또는 환경적 손상에 의하여 유발 또는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징후는 조직 중단, 예컨대 주름; 피부 탄력 손실(기능적 피부 엘라스틴의 손실 및/또는 불활성화), 처짐(눈가의 부음 및 턱 아래 늘어진 살), 피부 견고함 손실, 피부 조밀성 손실, 변형으로부터 피부 반동 손실, 탄력섬유증, 콜라겐 파괴 및 각질층, 진피, 표피에서의 기타의 조직학적 변화; 변색(다크 써클 아래 포함), 얼룩, 창백함, 과다색소침착된 피부 부위, 예컨대 노인 반점 및 주근깨, 각화증, 비정상 분화 및 각화항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α 1 -항트립신 질환의 치료
본 발명의 제4의 방법은 α1-항트립신상에서 358 메티오닌 잔기의 산화로 인한 질환을 치료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유효량의 MsrA 또는 MetO-엔케팔린이 산화 α1-항트립신 단백질에 전달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피부에, 특히 Msr 또는 MetO-엔케팔린이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는 비히클 중에서 MsrA 또는 MetO-엔케팔린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질환은 피부 또는 더 깊은 조직에 있을 수 있다. 피부에서, 질환은 콜라겐의 분해에 의하여 야기되는 탄력섬유증 또는 피부 노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기타의 이로운 피부 방법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 요법의 일부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를 세정하고, 토너로 처리한 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다. 또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클렌저, 토너, 각질제거제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21)

  1. 미용상 허용되는 염기 및 0.01 중량% 이상의 산화 펩티드
    Figure 112013076894619-pct00018
    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1 내지 99 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선스크린제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5. 미용상 허용되는 염기 및 0.01 중량% 이상의 산화 펩티드
    Figure 112013076894619-pct00019
    를 포함하는, 사람 피부에서 산화 메티오닌 잔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미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산화 메티오닌 잔기가 각질세포 중에 존재하는 것인 미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산화 메티오닌 잔기가 α1-항트립신 메티오닌 358 잔기인 미용 조성물.
  8. 미용상 허용되는 염기 및 0.01 중량% 이상의 산화 펩티드
    Figure 112013076894619-pct00020
    를 포함하는, 산화 스트레스의 위험에 노출되는 사람 피부에서의 산화 메티오닌 잔기의 양을 유지하기 위한 미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위험이 UVA광, UVB 광, 또는 둘다로의 노출인 미용 조성물.
  10. 미용상 허용되는 염기 및 0.01 중량% 이상의 산화 펩티드
    Figure 112013076894619-pct00021
    를 포함하는, 주름, 피부 탄력 손실, 피부 견고함 손실, 탄력섬유증, 콜라겐 파괴 또는 과다색소침착을 감소시키기 위한 미용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미용상 허용되는 염기 및 0.01 중량% 이상의 산화 펩티드
    Figure 112013076894619-pct00022
    를 포함하며, 사람 조직에 적용되는, 사람 조직에서의 메티오닌 술폭시드 리덕타제 A(MsrA)를 상향조절하기 위한 미용 조성물.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향조절이 표피 각질세포에서 발생되는 미용 조성물.
  21. 삭제
KR1020117023941A 2009-04-13 2010-04-12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101351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80809P 2009-04-13 2009-04-13
US61/168,808 2009-04-13
PCT/US2010/030749 WO2010120691A2 (en) 2009-04-13 2010-04-12 Methionine sulfoxide 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01A Division KR20130100383A (ko) 2009-04-13 2010-04-12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849A KR20110136849A (ko) 2011-12-21
KR101351775B1 true KR101351775B1 (ko) 2014-01-14

Family

ID=429345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01A KR20130100383A (ko) 2009-04-13 2010-04-12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1020117023941A KR101351775B1 (ko) 2009-04-13 2010-04-12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01A KR20130100383A (ko) 2009-04-13 2010-04-12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60694A1 (ko)
EP (1) EP2419117B1 (ko)
JP (1) JP5690810B2 (ko)
KR (2) KR20130100383A (ko)
AU (1) AU2010236730B2 (ko)
CA (1) CA2757036C (ko)
ES (1) ES2670928T3 (ko)
WO (1) WO20101206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420A1 (pt) * 2011-01-19 2012-07-26 Peixoto Eduardo Motta Alves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tratamento de patologia induzida por estresse oxi dativo e uso da mesma
MX2021008115A (es) * 2019-01-04 2021-08-11 Avon Prod Inc Derivados oxidados de fragmentos de gdf-11.
CN113144171B (zh) * 2021-03-24 2022-09-20 南开大学 一种氧化响应形貌转变多肽纳米药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3736A2 (en) * 2007-09-11 2009-03-19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met-enkephalin as a therapeutic ag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4352A5 (en) * 1976-01-26 1984-07-31 Wellcome Fou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DE2819277A1 (de) * 1977-05-16 1978-11-23 Sandoz Ag Neue polypeptid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937076A1 (de) * 1989-11-07 1991-05-08 Heyl Chem Pharm Kollage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kosmetische mittel
JP2907938B2 (ja) * 1990-04-13 1999-06-21 株式会社成和化成 化粧品基剤
WO1993025576A2 (en) * 1992-06-05 1993-12-23 Sri International Peptides having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activity
DE602004014902D1 (de) * 2004-05-04 2008-08-21 Kraft Foods Holdings Inc Peptid-Antioxidantien aus Sojaproteinen
US7173110B2 (en) * 2004-11-08 2007-02-06 New York University Peptide anti-tumor agent
EP2382231A2 (en) * 2009-01-16 2011-11-02 Sederma New compounds, in particular peptides,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nd cosmetic and dermopharmaceutical uses
FR2941231B1 (fr) * 2009-01-16 2016-04-01 Sederma Sa Nouveaux peptid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utilisations cosmetiques et dermo-pharmaceutiqu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3736A2 (en) * 2007-09-11 2009-03-19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met-enkephalin as a therapeutic ag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vest.Dermatol., vol.126, pp.1128-1134 (20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9117A4 (en) 2014-10-22
EP2419117B1 (en) 2018-03-28
JP5690810B2 (ja) 2015-03-25
CA2757036C (en) 2015-09-15
ES2670928T3 (es) 2018-06-04
WO2010120691A2 (en) 2010-10-21
EP2419117A2 (en) 2012-02-22
JP2012523436A (ja) 2012-10-04
AU2010236730B2 (en) 2012-09-20
AU2010236730A1 (en) 2011-10-27
KR20110136849A (ko) 2011-12-21
US20100260694A1 (en) 2010-10-14
CA2757036A1 (en) 2010-10-21
WO2010120691A3 (en) 2011-03-03
KR20130100383A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iele Oxidative targets in the stratum corneum
Pan et al. The impact of urban particulate pollution on skin barrier function and the subsequent drug absorption
Clausen et al. Prevention of cognitive deficits and brain oxidative stress with superoxide dismutase/catalase mimetics in aged mice
Tsukahara et al. Selective inhibition of skin fibroblast elastase elicits a concentration-dependent prevention of ultraviolet B-induced wrinkle formation
Merial‐Kieny et al. Avène Thermal Spring Water: an active component with specific properties
Kong et al. Inhibitory effect of hydroxysafflor yellow a on mouse skin photoaging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Bernstein et al. The polyhydroxy acid gluconolactone protects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in an in vitro model of cutaneous photoaging
KR100844914B1 (ko) 탄력섬유형성의 불완전, 결여 혹은 해체로 인한 질병을제어하는 라이실 옥시다제의 동종효소의 활성 촉진
KR20170101946A (ko) 올레아노일 펩티드 조성물 및 콜라겐 증진
Darlenski et al. Epidermal barrier and oxidative stress parameters improve during in 311 nm narrow band UVB phototherapy of plaque type psoriasis
CA2555728A1 (en) Agents for sequestering serum aging factors and uses therefore
US10568819B2 (en) Skin enhancing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4506676A (ja) 化粧品用調合物
Matsuda et al. Suppression of UV-induced wrinkle formation by induction of HSP70 expression in mice
ES2651364T3 (es) Métodos para la producción de una composición cosmética que comprende leucolectina y usos de la misma
KR101351775B1 (ko) 메티오닌 술폭시드 펩티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JP2018535970A (ja) 汚染作用から皮膚を保護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施用
Yarosh DNA Repair, lmmunosuppression
EP2722075B1 (en) Prevention of conditions arising from an impaired skin barrier function
Rougier et al. Protection of the skin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s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74795A (ko) 주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4954450B2 (ja) 弾性繊維形成の不全、欠損又は無秩序による病状に対処するための、リシルオキシダーゼのアイソフォームの活性の誘導
KR102504644B1 (ko) Atage-905 콜라겐 엘라스틴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식품 조성물
Zeng et al. Platelet-rich plasma alleviates skin photoaging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by regulating autophagy and inhibiting the NLRP 3 inflammasome path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