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542B1 -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542B1
KR101351542B1 KR1020100022807A KR20100022807A KR101351542B1 KR 101351542 B1 KR101351542 B1 KR 101351542B1 KR 1020100022807 A KR1020100022807 A KR 1020100022807A KR 20100022807 A KR20100022807 A KR 20100022807A KR 101351542 B1 KR101351542 B1 KR 10135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solar cells
cell
sunshade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071A (ko
Inventor
주무정
오수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3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가 제공된다.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는 하나의 차양판, 차양판 상의 행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 차양판과 결합되어 차양판을 감거나 펼치는 롤러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태양전지 셀들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을 포함하며, 셀 그룹들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SHADING APPARATUS HAVING SOLAR CELL}
본 발명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등의 방출에 의한 지구의 온난화,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및 핵폐기물에 의한 방사능 오염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로 인해, 차세대 청정 에너지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태양전지)는 자원이 무한적이고 반영구적이므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태양전지는 p-n 접합을 이루는 반도체 다이오드에 빛을 쪼이면 전자가 생성되는 광기전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일반적으로 단위 태양전지에서 얻을 수 있는 전압은 1V 이하여서 실용적인 수준에 비해 매우 낮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모듈은 소정의 전압과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을 직렬 및 병렬로 상호 연결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은 평판형 고정식 발전설비용 외에도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킨 휴대형 태양전지 모듈도 있으며, 채광 조절용 커튼이나 블라인드의 슬랫(slat)에 태양전지를 탑재하여 발전 기능을 겸하는 차양 장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태양전지가 완전히 전개(展開)된 상태에서는 발전에 문제가 없으나, 사용 공간의 제약이나 채광 조절을 위해 태양전지의 일부가 접히거나 겹쳐진 상태로 이용될 경우, 태양광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태양전지는 발전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태양전지 셀들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는 태양전지 셀은 저항으로 작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발전 성능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해당 셀의 발열로 수명 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는 차양판, 상기 차양판 상의 행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 상기 차양판과 결합되어 상기 차양판을 감거나 펼치는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태양전지 셀들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을 포함하며, 상기 셀 그룹들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셀 그룹들의 각각은 상기 셀 그룹들 각각의 일단에 배치되어 역전류를 차단하는 블로킹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 그룹들의 각각은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 상의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전극, 상기 광 흡수층, 상기 제 2 전극 및 차단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태양전지 셀들은 유연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셀들에 병렬로 연결된 우회용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셀 그룹들은 상기 롤러에 최인접한 상기 셀 그룹부터 상기 롤러에 의하여 감기며, 상기 셀 그룹들은 상기 롤러에 최인접한 상기 셀 그룹까지 상기 롤러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양판은 상기 롤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감기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양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광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광창은 상기 행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광창은 행렬 방향으로 각각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광창은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의 행렬방향에 대한 대각선 방향들의 교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는 상기 차양판에 부착된 확산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산 필름은 상기 투광창에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투광창에 의하여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산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태양전지 셀들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을 구성하며, 셀 그룹들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에 의하여, 발전을 하지 못하는 태양전지 셀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태양광 발전에 의하여 생성된 전류의 안정된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는 투광창 및 확산필름을 구비하므로, 높은 품질의 실내 조명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는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셀과 블로킹 다이오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투광창 및 확산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Ⅰ-Ⅰ′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차양판(20) 상에 행렬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이 배치된다. 상기 차양판(20)은 롤러(10)와 결합되며, 상기 롤러(10)는 상기 차양판(20)을 상하 방향으로 감거나 펼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CG1~CGn, n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상기 롤러(10)에 최인접한 상기 셀 그룹(CG1)부터 상기 롤러(10)에 의하여 감기며,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상기 롤러(10)에 최인접한 상기 셀 그룹(CG1)까지 상기 롤러(10)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이 직렬로 연결되어 실용적인 전압과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에서 생성된 전류는 배선(50)에 의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
태양전지 셀들(30)은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가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태양전지 셀들(30)에 빛이 입사되면, p-n 접합 계면 근처에서 빛을 흡수하여 전자-정공쌍(electron-hole pair)이 생성되며, 내부 전기장(built-in electric field)에 의해 정공은 p형 반도체로, 전자는 n형 반도체로 이동하여 전류가 발생된다.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은 박막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은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CIGS계 박막 태양전지, CdTe 박막 태양전지, 유기 박막 태양전지 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일 수 있다.
상기 차양판(20)이 상기 롤러(10)에 의하여 감겨서, 상기 셀 그룹들(CG1~CGn) 중 첫번째 셀 그룹(CG1)이 태양광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 나머지 셀 그룹들(CG2~CGn)에 의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셀 그룹들(CG2~CGn)에서 발생한 태양광 전류가 첫번째 셀 그룹(CG1)쪽으로 역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첫번째 셀 그룹(CG1)의 소자 저항이 충분히 높을 수 있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 중 일부가 그림자에 가려진 경우에도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셀들(30) 중 일부가 고장나거나 다른 이유로 발전을 못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태양광 발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므로, 태양광 발전에 의하여 생성된 전류의 안정된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태양광 발전에 기여하지 못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셀 그룹들(CG1~CGn)은 태양광 발전에 기여하는 다른 셀 그룹들(CG1~CGn)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전기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셀 및 블로킹 다이오드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차양판(20) 상에 행렬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이 배치된다. 상기 차양판(20)은 롤러(10)와 결합되며, 상기 롤러(10)는 상기 차양판(20)을 상하방향으로 감거나 펼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CG1~CGn, n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에서 생성된 전류는 배선(50)에 의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 각각의 일단에 블로킹 다이오드(40)가 배치된다.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는 역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양판(20)이 상기 롤러(10)에 의하여 감겨서, 상기 셀 그룹들(CG1~CGn) 중 첫번째 셀 그룹(CG1)이 태양광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 나머지 셀 그룹들(CG2~CGn)에 의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셀 그룹들(CG2~CGn)에서 발생한 태양광 전류가 첫번째 셀 그룹(CG1)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기 첫번째 셀 그룹(CG1)의 일단에 배치된 블로킹 다이오드(40)는 역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는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에 의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은 유연성 기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연성 기판(flexible substrate, 25)은 고분자(poly)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유연성 기판(25)은 상기 차양판(20)이 감기거나 펼쳐질 때 차양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CIGS계 박막 태양전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은 상기 차양판(20) 상의 유연성 기판(25), 상기 유연성 기판(25) 상의 금속 전극층(31), 상기 금속 전극층(31) 상의 광흡수층(32), 상기 광흡수층(32) 상의 투명전극층(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32)은 CuInSe, CuInSe2, CuInGaSe, CuInGaSe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캘코파이라이트(chalcopyrite)계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전극층(31)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투명 전극층(33)은 인듐 주석 산화막(IT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와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은 단일칩에 집적화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칩 집적화(monolithic integration)된다는 것은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와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하나의 칩에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는 상기 태양전지 셀들(30)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의 집적화 과정에서 동시에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는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의 적층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는 태양전지 셀들(30)이 가지는 유연성 기판(25), 상기 유연성 기판(25) 상의 금속 전극층(41), 상기 금속 전극층(41) 상의 광흡수층(42), 상기 광흡수층(42) 상의 투명전극층(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단층(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44)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는 상기 차단층(44)을 포함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에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와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와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은 동시에 집적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차양판(20) 상에 행렬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이 배치된다. 상기 차양판(20)은 롤러(10)와 결합되며, 상기 롤러(10)는 상기 차양판(20)을 상하 방향으로 감거나 펼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CG1~CGn, n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에서 생성된 전류는 배선(50)에 의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 각각의 일단에 블로킹 다이오드(40)가 배치된다.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40)는 역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양판(20)이 상기 롤러(10)에 의하여 감겨서, 상기 셀 그룹들(CG1~CGn) 중 첫번째 셀 그룹(CG1)이 태양광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셀 그룹들(CG2~CGn)에 의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셀 그룹들(CG2~CGn)에서 발생한 태양광 전류가 첫번째 셀 그룹(CG1)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기 첫번째 셀 그룹(CG1)의 일단에 배치된 블로킹 다이오드(40)는 역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에 병렬로 연결된 우회용 다이오드(60)가 배치된다. 상기 우회용 다이오드(60)는 고장이나 다른 이유로 발전을 하지 못하는 태양전지 셀들(30)의 우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은 단위 셀들(35)로 그룹화할 수 있다. 상기 우회용 다이오드(60)는 단위 셀들(35)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단위 셀들(35)에 속하는 태양전지 셀들(30)의 저항값의 합과 상기 우회용 다이오드(60)의 저항값에 의하여 그룹화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우회용 다이오드(60)는 상기 단위 셀들(35)보다 저항값이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회용 다이오드(60)가 제공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셀 그룹(CG1~CGn) 중 일부의 태양전지 셀들(30)이 태양광 발전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모든 셀 그룹들(CG1~CGn)이 태양광 발전에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의 Ⅰ-Ⅰ′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차양판(20) 상에 행렬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이 배치된다. 상기 차양판(20)은 롤러(10)와 결합되며, 상기 롤러(10)는 상기 차양판(20)을 상하 방향으로 감거나 펼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CG1~CGn, n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셀 그룹들(CG1~CGn)에서 생성된 전류는 배선(50)에 의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양판(20)은 적어도 하나의 투광창(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창(70)은 상기 차양판(20)이 전개(展開)하면 태양광을 차단하게 되므로, 적절한 실내 조명을 위해서 일부 태양광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투광창(70)은 상기 행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투광창(70)은 태양광 발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양판(20)이 투명한 경우, 차양판(20)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투명창(70)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차양판(20)이 불투명한 소재인 경우, 상기 태양전지 셀들(30)이 배치되지 않은 상기 차양판(20)에 구멍을 뚫어 상기 투광창(70)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투광창(70)은 행렬 방향으로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투광창(70)은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30)의 행렬방향에 대한 대각선 방향의 교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는 상기 차양판(20)에 부착된 확산 필름(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필름(80)은 상기 투광창(70)에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투광창(70)에 의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확산 필름(7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필름(80)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투광창(70)에 의한 극명한 명암 대비를 완화시켜 시각적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과 다르게, 투광창(70)의 배열에 따라 로고(logo) 또는 무늬를 형상화할 수 있으며, 장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투광창(70)과 상기 확산 필름(80)은 쾌적하고 높은 품질의 실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는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10: 롤러 20: 차양판 30: 태양전지 셀
40: 블로킹 다이오드 50: 배선
60: 우회용 다이오드 70: 투광창
80: 확산 필름

Claims (15)

  1. 차양판;
    상기 차양판 상의 행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
    상기 차양판과 결합되어 상기 차양판을 감거나 펼치는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태양전지 셀들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셀 그룹들을 포함하며,
    상기 셀 그룹들은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셀 그룹들의 각각은 상기 셀 그룹들 각각의 일단에 배치되어 역전류를 차단하는 블로킹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그룹들의 각각은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광흡수층, 상기 광흡수층 상의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전극, 상기 광흡수층,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상의 차단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은 유연성 기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들에 병렬로 연결된 우회용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그룹들은 상기 롤러에 최인접한 상기 셀 그룹부터 상기 롤러에 의하여 감기며, 상기 셀 그룹들은 상기 롤러에 최인접한 상기 셀 그룹까지 상기 롤러에 의하여 펼쳐지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상기 롤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감기거나 펼쳐지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광창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은 상기 행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은 행렬 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은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셀들의 행렬방향에 대한 대각선 방향들의 교점에 각각 배치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에 부착된 확산 필름을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은 상기 투광창에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투광창에 의하여 노출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KR1020100022807A 2009-09-18 2010-03-15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KR101351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61 2009-09-18
KR20090088661 2009-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71A KR20110031071A (ko) 2011-03-24
KR101351542B1 true KR101351542B1 (ko) 2014-01-16

Family

ID=4393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807A KR101351542B1 (ko) 2009-09-18 2010-03-15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24434A1 (en) * 2013-02-14 2014-08-14 Crestron Electronics, Inc. Motorized roller shade with photovoltaic shade material
US10522707B2 (en) 2015-01-29 2019-12-31 Solaria Corporation Tiled solar cell laser process
US10651321B2 (en) 2015-01-29 2020-05-12 Solaria Corporation Solar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trings configured from a five strip cell
US20160226438A1 (en) * 2015-01-29 2016-08-04 Solaria Corporation Solar module with diode device for shading
US10411153B2 (en) 2015-01-29 2019-09-10 Solaria Corporation Tiled solar module repair process
US10347788B2 (en) 2015-01-29 2019-07-09 Solaria Corporation Tiled solar cell laser process
KR101947401B1 (ko) * 2018-05-15 2019-02-13 김민성 어닝타입 태양전지모듈발전장치
KR20200111424A (ko) *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광명전기 플렉서블 태양 전지 모듈을 이용한 어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18A (ja) * 1995-08-09 1997-02-18 Shiroki Corp シート状太陽電池
JP2000164910A (ja) 1998-09-24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
JP2008042142A (ja) 2006-08-10 2008-02-21 Ntt Facilities Inc ロールカーテン装置
JP2009147363A (ja) 2009-02-19 2009-07-02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18A (ja) * 1995-08-09 1997-02-18 Shiroki Corp シート状太陽電池
JP2000164910A (ja) 1998-09-24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
JP2008042142A (ja) 2006-08-10 2008-02-21 Ntt Facilities Inc ロールカーテン装置
JP2009147363A (ja) 2009-02-19 2009-07-02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71A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542B1 (ko) 태양전지를 가지는 차양 장치
US11867431B2 (en) Solar photovoltaic blinds and curtain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JP5178705B2 (ja) 内部間隔を有する非平面状ソーラーユニットの組立品
KR101250437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차양 장치
US8859880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tiling industrial thin-film solar devices
US20130306130A1 (en) Solar module apparatus with edge reflection enhance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TMI20071833A1 (it) Matrice di pannelli solari terrestri.
US20120060890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96929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후면 기판
WO2013023199A2 (en) Photovoltaic module light manipulation for increased module output
KR102586342B1 (ko) 태양광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116253B2 (en)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KR102531270B1 (ko) 실리콘 기반 창호형 반투명 유연태양광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3221321U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225170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
KR102101728B1 (ko) 태양 전지 모듈
CN219350240U (zh) 太阳能电池及其钝化接触结构、组件和系统
KR102599896B1 (ko)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KR102424453B1 (ko) 입체형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660795B1 (ko) 태양광 모듈
KR101147313B1 (ko) 광기전력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191909A1 (en) Solar photovoltaic blinds and curtain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CN207995027U (zh) 一种智能双面光伏组件
CN106601828A (zh) 一种光伏瓦片
Price et al. Concentrating photovoltaic panels for the roof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